KR100733146B1 -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146B1
KR100733146B1 KR1020070035568A KR20070035568A KR100733146B1 KR 100733146 B1 KR100733146 B1 KR 100733146B1 KR 1020070035568 A KR1020070035568 A KR 1020070035568A KR 20070035568 A KR20070035568 A KR 20070035568A KR 100733146 B1 KR100733146 B1 KR 10073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wing device
main body
groundwater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옥수지하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수지하개발 filed Critical (주)옥수지하개발
Priority to KR102007003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 E21B19/06Elevators, i.e. rod- or tube-gri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6Connecting or disconnecting pipe couplings or joints
    • E21B19/165Control or monitoring arrangemen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폐공의 원상복구시 지반의 관정에 박혀 있는 파이프를 빼내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 인발시 파이프 내경에 압착시켜 손쉽게 연결하는 형태의 압착식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새로운 인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파이프를 용접하여 인발하는 방식과 관련한 용접부위 파손 문제를 배제할 수 있고 주변 땅을 파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전반적인 파이프 인발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지하에 묻혀 있는 파이프를 인발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연결할 때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의 연결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가용성(可用性) 측면 등과 관련한 상품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제공한다.
지하수, 폐공, 파이프, 인발장치

Description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Pipe pulling-out device for processing equipment of underground water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연결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인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 인발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추에이터 11 : 인발장치 본체
12 : 파이프 견인부재 13 : 압착식 연결부재
14 : 쐐기부재 15a,15b : 요철면
16 : 훅 17 : 요크
18 : 핀체결용 홀 19 : 원통부
20 : 몸체부 21 : 스프링
22 : 압착부 23 : 하판
24 : 상판 25 : 핀
26a,26b : 테이퍼면
본 발명은 지하수 폐공의 원상복구시 지반의 관정에 박혀 있는 파이프를 빼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측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압착식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파이프 인발작업을 안전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을 뚫고, 관정에 양수관을 삽입한 다음,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양수하는 것이 보통의 방법이다.
예를 들면, 지반을 굴착하여 관정을 형성한 후, 이 관정의 내벽에 원형의 파이프를 관정의 적정위치까지 밀착되도록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수중모터펌프가 설치된 양수관을 관정에 삽입하며, 어댑터 등을 이용하여 양수관과 송수관을 연결한다.
따라서, 통상 암반 사이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가 암반공을 통하여 관정에 모이게 되고, 관정에 모인 지하수는 수중모터펌프의 작동으로 강제 흡입된 후, 양수관을 따라 송수관으로 공급되는 것이었다.
통상 지하수는 개발된 후 약 5~10년이 경과하게 되면 지하수가 풍성하게 잔존 매장되어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관정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수로인 암반공이 지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토사 슬러지 등에 의해 점차 막혀가고, 결국에는 연결된 암반공이 막히면서 채수되는 지하수가 급감하게 되므로서, 제역할을 다하지 못해 폐공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지하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지면에 50~250m 정도의 심공을 뚫게 되는데, 지하수를 장시간 사용하면 지하수의 수질이 저하되어 사용하지 않거나, 지하수의 개발 과정 중 지하수의 수질 및 지하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심공을 폐공하여 원상복구시켜야 한다.
이는 폐공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폐공을 통하여 오수나 폐수가 유입되어 지 하수를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보통 폐공이란 현재 또는 미래에 이용할 계획이 없고 오염방지를 위한 별도의 조치없이 방치되어 있는 지층을 굴착한 모든 공(孔; hole) 또는 우물(well)을 말한다.
따라서, 지하수를 개발ㆍ이용할 목적으로 착정한 우물, 조사용 시추공 중에서 당초의 목적을 상실한 지하굴착공 전부가 폐공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폐공은 오염원으로 작용하거나, 지표 오염원의 유입 창구로 작용하거나, 유입된 오염원을 지하심부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통오로 작용하는 등 지하수 오염에 심각한 영향은 미친다.
이와 같은 폐공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일시적인 폐공처리, 되메움을 통한 원상 복구, 폐공을 관측정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여기서 원상복구 방법은 파이프를 인발하여 공 내부가 자연적으로 함몰되게 하거나, 공 내부가 함몰되지 않으면 주변토양으로 되메움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폐공 처리를 위한 되메움은 ①주변환경검토, ② 폐공현황 및 제원조사, ③ 폐공내 이물질 제거 및 우물소독, ④ 투수성 재료 주입, ⑤ 터파기, ⑥ 파이프 제거, ⑦ 불투수성재료 주입, ⑧ 지표부 표면처리 등의 순서로 시공한다.
여기서, 파이프 제거과정의 경우 터파기가 끝나면 파이프를 가능한 한 인발(뽑기)하여 제거하게 되며, 이때 유압잭 등과 같은 파이프 인발 설비를 이용하여 인발하게 된다.
종래에는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 인발시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 견인부재를 파이프에 용접한 후, 파이프 견인부재가 설치된 유압식 잭의 상승력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인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힘이 필요하여 인발시 용접부위가 종종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파이프의 상단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지하에 묻힌 경우에는 파이프 견인부재와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하여 파이프 주변의 땅을 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파이프 인발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하에 묻혀 있는 파이프 인발시 파이프 내경에 압착시켜 손쉽게 연결하는 형태의 압착식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새로운 인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파이프를 용접하여 인발하는 방식과 관련한 용접부위 파손 문제를 배제할 수 있고 주변 땅을 파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전반적인 파이프 인발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하에 묻혀 있는 파이프를 인발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연결할 때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의 연결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가용성(可用性) 측면 등과 관련한 상품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고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한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를 인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인발장치 본체(11); 상기 인발장치 본체(11)에 결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0)와 함께 상하로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당겨주는 파이프 견인부재(12); 및 상기 파이프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12)에 연결 설치되어 상승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체적에 의해 파이프 내경면에 압착되는 압착식 연결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식 연결부재(13)는 상단부의 핀체결용 홀(18)과 하단부 쪽으로 넓어지게 테이퍼진 원통부(19)를 갖는 몸체부(20)와, 내경면은 상기 원통부(19)에 밀착되게 테이퍼진 형태로 되어 있고 바깥둘레를 조여주는 스프링(21)에 의해 원통부(19)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분할부로 결합된 원통관 형상의 압착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발장치 본체의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양쪽 2개로 구성되는 유압식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인발장치는 인발장치 본체(11)의 상판에 형성된 홀에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 구조로 삽입되면서 상승시 쐐기작용을 통해 견인 부재(12)와 본체(11) 간에 결속력을 제공하도록 다수 개의 분할부로 결합된 링 형상의 쐐기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의 내경면은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크레인 등에 걸기 위한 훅과 압착식 연결부재측과의 결합을 위한 요크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의 압착부의 외경면은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인발장치는 파이프 인발시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인발장치 본체(11), 파이프측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뽑아내는 역할을 하는 파이프 견인부재(12), 실질적으로 파이프측과 연결되면서 파이프와 파이프 견인부재(12)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압착식 연결부재(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발장치 본체(11)는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일종의 지지체로서, 지면에 놓여지는 하판(23) 및 파이프 견인부재(12)가 결합되는 상판(24)과, 상기 하판(23)에 지지되면서 상판(24)을 받쳐주는 액추에이터(10)로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0)는 상판(24)의 양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양쪽 2개가 구비되며, 대략 파이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20~30ton 정도의 힘이 필요하므로, 이에 적합한 유압식 실린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발장치 본체(11)는 하판(23) 위에 실린더 본체가 수직 자세로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가 상판(24)의 저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실린더 작동에 따라 상판(24)이 실린더 스트로크(stroke) 만큼 위아래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위아래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상판(24)과 하판(23)의 중심부에는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판(24)에 형성되는 홀은 파이프 견인부재(12)가 결합되는 곳으로 이용되고, 하판(23)에 형성되는 홀은 지면에 묻혀 있는 파이프 주변을 노출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판(24)에 형성되어 있는 홀의 경우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 구조, 즉 윗쪽의 직경이 넓고 아래쪽의 직경이 좁은 테이퍼 홀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테이퍼면(26a)의 내경을 가지는 테이퍼 구조로 인해 상판 상승시 이곳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쐐기부재(14)의 쐐기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부재 간의 결속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발장치 본체(11)는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한 액추에이터(10)를 이용하여 상판(24)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판(24)의 상승력을 통해 지면에 묻혀 있는 파이프를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12)는 파이프측과 연결되어 파이프를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일정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파이프 견인부재(12)의 상단에는 훅(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크레인 등과 같은 견인수단과 연결될 수 있고, 또 하단에는 요크(17)가 형성되어 있어서 압착식 연결부재(13)측과 핀(25)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견인부재(12)는 인발장치 본체(11)의 상판(24)의 홀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그 하단부, 즉 요크(17)가 파이프측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판(24)과는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상판(24)의 상승시(또는 하강시) 함께 상승되면서 그 하단쪽의 파이프를 지면 속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12)와 인발장치 본체(11) 간의 결합을 위한 일 예로서 쐐기부재(14)가 제공된다.
상기 쐐기부재(14)는 다수 개의 분할부(26b)로 분리되어, 예를 들면 3개로 분리된 분할부가 링 형태로 조합되어 사용되는 부재로서, 상판(24)의 홀 내에 삽입된 후, 파이프 견인부재(12)를 가운데 두고 홀 주변에 얹혀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부재의 외주부는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즉 부재의 외주면은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인발장치 본체(11)의 상판 홀(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홀) 내에 형합되면서 상판 상승시 쐐기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쐐기작용를 통해 그 안쪽으로 위치되는 파이프 견인부재(12)를 조여주게 되므로, 파이프 견인부재(12)와 인발장치 본 체(11) 간의 결속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판(24)의 홀 내에 쐐기부재(14)가 테이퍼 구조로 삽입되고, 쐐기부재(14)의 내측에 조성되는 원형의 홀 내에는 파이프 견인부재(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24)이 상승하는 경우, 3개로 분할된 쐐기부재(14)의 각 부재는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중심을 향해 좁혀지게 되고, 계속해서 그 내측의 파이프 견인부재(12)의 둘레를 꽉 조여줄 수 있게 되므로, 상판(24)과 파이프 견인부재(12)는 쐐기부재(14)를 매개로 하여 일체식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부재(14)의 내경면은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면서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15a)으로 되어 있어서 파이프 견인부재(12)의 둘레면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발장치 본체(11)의 액추에이터(10)가 작동하게 되면, 상판(24) 및 이것과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 견인부재(12)가 함께 상승하면서 파이프 인발을 위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식 연결부재(13)는 파이프 견인부재(12)와 파이프를 연결해주는 수단으로서 파이프에 삽입되어 체적의 확장시 파이프 내경에 압착되는 방식으로 파이프에 일체식으로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식 연결부재(13)는 파이프 견인부재(12)측과 결합되는 몸체부(20)와 파이프측에 삽입되는 압착부(22)로 구성되며, 압착부(22)의 반경방향 확장 및 축소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파이프측과 결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단의 사각블럭체에 형성되는 핀체결용 홀(18)을 가지고 있으며, 이곳을 통해 파이프 견인부재(12)의 요크(17)와 핀(25)으로 체결되는 한편, 그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의 원통부(19), 예를 들면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곳에 압착부(22)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부(22)는 실질적으로 파이프 내경면에 압착되는 부분으로서, 다수 개로 분할부로 분리된,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3개로 분할부가 결합된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원통부(19)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하나의 원통 모양을 하면서 몸체부(20)측과 결합된다.
특히, 압착부(22)의 내경면은 원통부(19)가 갖는 테이퍼 형태의 외주면에 밀착 대응하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어서, 몸체부(20)의 원통부(19) 둘레면에 조합시 분리된 분할부 각각은 원통부와의 테이퍼 구조로 조합되어 있는 특성상 길이방향의 움직임(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즉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확장) 안쪽으로 좁혀질 수 있게 된다(수축).
즉, 압착부(22)가 윗쪽(테이퍼 형태의 좁은쪽)으로 올라가 있는 경우 압착부(22)의 외경은 좁혀진 상태가 되고, 아래쪽(테이퍼 형태의 넓은쪽)으로 내려가 있는 경우 압착부(22)의 외경은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벌어진 상태가 파이프 내경면에 압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압착부(22)의 안정적인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위해 원통부(19)의 길이를 압착부(22)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부(19)의 둘레에 조합되는 압착부(22)를 잡아주기 위한 수단으로 스프링(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21)은 일종의 코일스프링을 원 모양으로 만든 형태로서, 적어도 2개 정도가 압착부(22)의 둘레를 감싸면서 조여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원 모양의 일체형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한쪽이 끊어져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압착부의 체결력과 확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착부의 외주연에 따라 체결되는데, 이때의 압착부의 체결력과 확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을 선정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22)의 경우 그 외경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면서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15b)로 되어 있어서 파이프 내경면측에 밀착시 더욱 견고한 마찰특성을 발휘하여 결속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인발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파이프 인발장치의 파이프 연결 전 상태를 보여준다.
파이프 인발장치는 파이프(100)가 묻혀 있는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때 파이프 견인부재(12) 및 그 하단의 압착식 연결부재(13)는 파이프(100)와 동일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파이프 인발장치의 파이프 연결 후 상태 를 보여준다.
파이프 견인부재(12)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서 하단에 있는 압착식 연결부재(13)를 파이프(100)의 상단 내부에 삽입한다.
압착식 연결부재(13)가 파이프(100)의 내부에 적당히 삽입되면, 인발장치 본체(11)의 상판 홀에 쐐기부재(14)를 삽입 설치하여 파이프 견인부재(12)의 둘레를 구속한다.
이때, 쐐기부재(14)가 테이퍼 구조로 상판 홀 내에 삽입됨에 따라 파이프 견인부재(12)는 쐐기부재(14)에 의해 꽉 조여지면서 상판(24)에 일체식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이프(100) 내에 삽입되는 압착식 연결부재(13)의 경우 그 압착부(22)가 최대한 외경이 축소된 상태(스프링의 조임에 의해)에서 파이프 내경면에 약간 빡빡하게 끼워지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파이프 인발장치의 파이프 인발 초기 상태를 보여준다.
파이프(100) 내에 압착식 연결부재(13)의 삽입이 완료된 후, 인발장치 본체(11)에 있는 액추에이터(10),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가 작동하면, 파이프 연결부재(13) 및 파이프 견인부재(12)를 포함하는 상판(24) 전체가 위로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압착식 연결부재(13)의 압착부(22)는 그 내측의 원추형 원통부(19)의 상승에 따라 그 외경이 확장되면서 파이프(100)의 내경면에 견고하게 결속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파이프 인발장치의 파이프 인발 완료 상태를 보여준다.
위와 같이 압착식 연결부재(13)의 압착부(22)가 파이프(100)의 내경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계속적인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에 묻혀 있던 파이프(100)가 빠져 나오게 된다.
파이프(100)가 어느 정도 인발된 상태에서 파이프 나머지 부분을 빼내는데에는 그다지 큰 힘이 들지 않으므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 견인부재(12)를 들어 올리는 것으로 파이프를 완전히 빼낼 수 있고, 따라서 파이프 인발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계속해서 후속 공정을 수행하여 폐공에 대한 원상복구시공을 마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수 폐공의 원상복구를 위한 파이프 인발작업시 파이프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압착식 연결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종전의 파이프 용접방식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 예를 들면 용접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 파이프 주변의 땅을 파야 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파이프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인발을 위한 장치의 연결시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구조의 연결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가용성(可用性)을 높일 수 있는 등 장치의 반영구적인 사용과 함께 장치의 상품성과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고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한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를 인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인발장치 본체(11);
    상기 인발장치 본체(11)에 결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0)와 함께 상하로 동작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당겨주는 파이프 견인부재(12); 및
    상기 파이프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12)에 연결 설치되어 상승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체적에 의해 파이프 내경면에 압착되는 압착식 연결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식 연결부재(13)는 상단부의 핀체결용 홀(18)과 하단부 쪽으로 넓어지게 테이퍼진 원통부(19)를 갖는 몸체부(20)와,
    내경면은 상기 원통부(19)에 밀착되게 테이퍼진 형태로 되어 있고 바깥둘레를 조여주는 스프링(21)에 의해 원통부(19)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분할부로 결합된 원통관 형상의 압착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발장치 본체(11)의 액추에이터(10)는 적어도 양쪽 2개로 구성되는 유 압식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인발장치는 인발장치 본체(11)의 상판(24)에 형성된 홀(26a)에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 구조로 삽입되면서 상승시 쐐기작용을 통해 견인부재(12)와 본체(11) 간에 결속력을 제공하도록 다수 개의 분할부로 결합된 링 형상의 쐐기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14)의 내경면은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15a)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견인부재(12)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크레인 등에 걸기 위한 훅(16)과 압착식 연결부재(13)측과의 결합을 위한 요크(17)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착식 연결부재(13)의 압착부(22)의 외경면은 위아래로 반복되는 요철면(15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KR1020070035568A 2007-04-11 2007-04-11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KR100733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68A KR100733146B1 (ko) 2007-04-11 2007-04-11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68A KR100733146B1 (ko) 2007-04-11 2007-04-11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146B1 true KR100733146B1 (ko) 2007-06-28

Family

ID=3837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68A KR100733146B1 (ko) 2007-04-11 2007-04-11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1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354B1 (ko) 2009-07-13 2010-06-10 통진엔지니어링(주) 지하수 폐공 처리장치
KR20200132341A (ko) * 2019-05-17 2020-11-25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혁신적인 psc 단순교 시공방법
KR20200134089A (ko) * 2019-05-21 2020-12-01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유지관리용 정착구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 거더 제작방법
KR20230102787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상무기업 관정파이프 인발 장치
WO2023168375A1 (en) * 2022-03-04 2023-09-07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egmented expansion cone, method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78A (ja) * 1993-09-16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海上浮体の長尺物支持装置及び支持方法
KR20010041641A (ko) * 1998-03-05 2001-05-25 에어러큅 코포레이션 내부 파이프 인발장치
KR200348952Y1 (ko) 2004-01-08 2004-04-30 한라건설주식회사 섬유강화플라스틱 파이프 현장 인발시험장치
KR20060095042A (ko) * 2005-02-25 2006-08-30 대원토질 주식회사 지반보강재 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78A (ja) * 1993-09-16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海上浮体の長尺物支持装置及び支持方法
KR20010041641A (ko) * 1998-03-05 2001-05-25 에어러큅 코포레이션 내부 파이프 인발장치
KR200348952Y1 (ko) 2004-01-08 2004-04-30 한라건설주식회사 섬유강화플라스틱 파이프 현장 인발시험장치
KR20060095042A (ko) * 2005-02-25 2006-08-30 대원토질 주식회사 지반보강재 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354B1 (ko) 2009-07-13 2010-06-10 통진엔지니어링(주) 지하수 폐공 처리장치
KR20200132341A (ko) * 2019-05-17 2020-11-25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혁신적인 psc 단순교 시공방법
KR102259140B1 (ko) * 2019-05-17 2021-06-01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혁신적인 psc 단순교 시공방법
KR20200134089A (ko) * 2019-05-21 2020-12-01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유지관리용 정착구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 거더 제작방법
KR102258959B1 (ko) * 2019-05-21 2021-06-01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 거더 제작방법
KR20230102787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상무기업 관정파이프 인발 장치
WO2023168375A1 (en) * 2022-03-04 2023-09-07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egmented expansion cone, method and system
US11802464B2 (en) 2022-03-04 2023-10-31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egmented expansion cone,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146B1 (ko)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CN204298821U (zh) 双套筒拔桩设备
KR20160147142A (ko) 연약지반조사를 위한 회전식 지반시료수집장치
CN102733388B (zh) 混凝土桩的埋设方法及装置
JP2008255603A (ja) 低空頭制限下における中掘杭の打設方法
JP5390919B2 (ja) 土留部材撤去方法
CN105332376A (zh) 液压式机械手拔桩夹紧装置及拔桩机
JP4881257B2 (ja) スパイラルオーガーおよび該スパイラルオーガーを用いた土中埋設本管に対する枝管の取付け工法
CN105113976A (zh) 钢丝刷钻头回旋钻机及解决埋钻、掉钻、卡钻的方法
JP2009287326A (ja) 既存杭の引き抜き方法
JP4693586B2 (ja) 円形立坑掘削方法
KR100999880B1 (ko) 강관 압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물통 기초 시공 공법
CN214883645U (zh) 一种可实现全自动焊接免掏桩清孔的静力压桩机
KR100965374B1 (ko) 대구경 파이프 인발장치
CN107083773A (zh) 扣管式拔桩器
KR100955667B1 (ko) 타격에 의한 지하수 불용공의 케이싱 파이프 제거방법 및그 제거장치
CN107386249B (zh) 一种土压力盒埋设装置及采用该装置的土压力盒埋设方法
CN102619220B (zh) 一种桩基础施工方法
JP2019183626A (ja) 管状体の回転圧入方法、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管状体の回転圧入装置
JP6636362B2 (ja) バケットと接続用ケーシングとの接続構造及び掘削穴埋め戻し工法
CN210598896U (zh) 一种钻井用液压式简易井口导流装置
CN205171517U (zh) 液压式机械手拔桩夹紧装置及拔桩机
CN105178318B (zh) 一种钢管降水管井拔除方法
CN215290116U (zh) 一种用于拔桩机的拔桩部件
CN203741827U (zh) 一种竹节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