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115B1 -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 Google Patents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115B1
KR100691115B1 KR1020060031513A KR20060031513A KR100691115B1 KR 100691115 B1 KR100691115 B1 KR 100691115B1 KR 1020060031513 A KR1020060031513 A KR 1020060031513A KR 20060031513 A KR20060031513 A KR 20060031513A KR 100691115 B1 KR100691115 B1 KR 10069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upper plate
furnace
main bod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549A (ko
Inventor
요시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과제) 곤로 본체와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연소용 공기를 곤로 본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유리 상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유리 상판(3)은, 유리제의 상판 주체(6)와, 금속제 압출성형재를 사용한 전방 테두리체(7)와 후방 테두리체(8)를 구비한다. 전방 테두리체(7)는 좌/우에 제 1 통기구(11)와 하면에 제 2 통기구(12)를 가진다. 후방 테두리체(8)는 좌/우에 제 3 통기구(13)와 하면에 제 4 통기구(14)를 가진다. 제 2 통기구(12)와 제 4 통기구(14)는 카운터톱(1)의 곤로 개구(1a)에 위치하여 곤로 본체와 연이어 통한다. 버너(9)의 연소가 행해지면, 곤로 본체내에서 연소용 공기가 소비되고, 전방 테두리체(7)에서는 제 1 통기구(11)와 제 2 통기구(12)로부터, 후방 테두리체(8)에서는 제 3 통기구(13)와 제 4 통기구(14)로부터 곤로 본체내에 공기가 공급된다. 이로 인해, 벽면(W)과 후방 테두리체(8)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공기를 곤로 본체내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GLASS TOP PLATE FOR DROP-IN TYPE COOKING STOV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예인 유리 상판을 사용한 곤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제 1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예인 유리 상판의 요부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3예인 유리 상판을 사용한 곤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4예인 유리 상판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운터톱 2 - 곤로
3 - 유리 상판 4 - 곤로 본체
6 - 상판 주체 7 - 전방 테두리체
7a - 제 1 홈부 7b - 제 1 가장자리부
7c - 전방 통부 8 - 후방 테두리체
8a - 제 2 홈부 8b - 제 2 가장자리부
8c - 후방 통부(후방 통기부) 11 - 제 1 통기구
12 - 제 2 통기구 13 - 제 3 통기구(후방 통기통로)
14 - 제 4 통기구(후방 통기통로)
본 발명은, 곤로 본체를 카운터톱에 형성한 곤로 개구에 삽입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드롭인식 곤로에 있어서, 상판으로서 외관성 및 청소성의 양호함으로 인해, 주체부분(상판 주체)을 유리제로 한 유리 상판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유리 상판은, 유리제의 상판 주체와, 상판 주체의 주변을 에워싸는 외측 테두리로 구성되고, 외측 테두리는, 상판 주체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을 따르는 전방 테두리재와, 상판 주체 좌/우의 측방 가장자리부분을 따르는 좌/우 측방 테두리재와,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따르는 후방 테두리재를 액자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롭인식 곤로에서는 곤로 본체내의 열기가 카운터톱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곤로 본체의 밀폐성을 높이고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는 곤로 본체내의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리 상판에서는 후방 테두리재의 후방 가장자리의 카운터톱에 착좌하는 수하벽부에 통기구를 형성하고, 통기구로부터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후방 테두리재의 수하벽부의 높이는, 디자인상의 제약에 의해 그다지 높게 할 수 없고, 상기 수하벽부에 형성하는 통기구의 개구면적도 그다지 넓게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통기구와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연소용 공기의 분량이 부족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22981호 공보(0026~0028, 도 1~도 3)
본 발명은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곤로 본체와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연소용 공기를 곤로 본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유리 상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1 형태는, 곤로 본체를 카운터톱에 형성한 곤로 개구에 삽입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드롭인식 곤로용의 유리 상판에 있어서, 유리제의 상판 주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전방 테두리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후방 테두리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테두리체 및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을 후방에서 끼워넣는 제 1 홈부가 형성된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좌/우가 개방된 제 1 통기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전방 통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 통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구비하고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전방에서 끼워넣는 제 2 홈부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곤로 본체내를 대기(大氣)개방하는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된 후방 통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에서는, 상기 후방 테두리체의 후방 통기통로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 테두리체에 형성된 제 1 통기구 및 제 2 통기구를 통하여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유리 상판과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곤로 본체내의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 문에, 압출방향의 양단부는 개구된 것이므로, 상기 제 1 통기구는 상기 전방 테두리체를 가공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의 제 1 예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통형상의 후방 통부로서,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가 개구된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 후가공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 통기부를 통형상 후방 통부로 하고, 그 좌/우에 상기 제 3 통기구, 그 하면에 상기 제 4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로부터도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통부와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곤로 본체내의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테두리체도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 통기구는 상기 후방 테두리체를 가공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통기부의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 통부는, 후방에 평면부를 가지는 각(角)통형상이고, 상기 평면부에 후방 통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5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5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거듭 전체의 개구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곤로 본체내의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의 제 2 예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의 상하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는 서로 근접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의 좌/우가 개구된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 후가공에 의해 상기 하판에 형성되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와, 상기 상판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제 5 통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통기구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틈새의 폭을 유지하는 보강 테두리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통기부를 상기 상판 및 하판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도, 상기 제 3 및 제 4 통기구뿐만 아니라, 상기 제 5 통기구로부터 곤로 본체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그 압출 방향의 양단부에는 제 3 통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의해 제 5 통기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5 통기구도 압출성형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압출성형후의 가공은 상기 제 4 통기구에 대해서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 3 통기구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개재하는 보강 테 두리체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후방 테두리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상기 틈새의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 테두리체는 상기 제 3 통기구로부터의 해충, 쥐, 먼지뭉치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를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에 표리를 관통하는 상판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때, 상기 후방 통기부의 제 3 예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상판 개구를 포함하는 상판 주체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통형상의 후방 통부이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가 개구되는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 후가공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 개구를 통하여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고 상기 상판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에 상기 상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통부의 제 3 및 제 4 통기구와 상기 상판 개구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로부터도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후방 통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방 테두리체의 후방으로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주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다른 예와 같은 형태라면, 유리 상판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의 유리 상판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의 제 4 예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에서 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와, 제 2 가장자리부에서 비스듬히 후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평판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 3 통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 통기부를 상기 평판부와 상기 후드부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후방 통기부의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되므로, 상기 제 3 통기부로부터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2 형태는, 곤로 본체를 카운터톱에 형성한 곤로 개구에 삽입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에 있어서, 유리제의 상판 주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측방 가장자리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측방 테두리체로 구성되고, 상기 측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판 주체의 측방 가장자리부분을 향해 끼워 넣어지는 측방 홈부가 형성된 측방 가장자리부와, 상기 측방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후가 개방된 제 1 통기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측방 통부를 가지고, 상기 측방 통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구비하여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 주체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된 측방 테두리체가 형성되고, 전/후의 제 1 통기구, 및 제 2 통기구를 통하 여,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도 측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이므로, 상기 제 1 통기구는 압출성형을 할 때에 형성되기 때문에, 압출성형후의 가공은 상기 제 2 통기구에 대해서만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측방 테두리체의 외측면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그 외부와 내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3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곤로 본체내에 충분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상판이,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는 후방 테두리체를 거듭 구비하고,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전방에서 끼워 넣는 제 2 홈부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곤로 본체내를 대기(大氣) 개방하는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된 후방 통기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측방 테두리체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 테두리체로부터도 곤로 본체내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제 1 및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통기구에는, 해충, 쥐, 먼지뭉치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형태로, 상기 제 3 통기구 또는 상기 제 5 통기구에도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예인 유리 상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1)에 드롭인식 곤로(2)를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곤로(2)는, 카운터톱(1)의 표면에 얹어놓아지는 유리 상판(3)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을 개방면으로 하는 상자형의 곤로 본체(4)를 구비하고 있다. 곤로 본체(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a)가 형성되어 있고, 곤로 본체(4)를 카운터톱(1)에 형성한 곤로 개구(1a)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랜지부(4a)를 곤로 개구(1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걸림하여, 곤로 본체(4)를 카운터톱(1)에 매달아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4a)의 외주연에는 패킹(4b)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패킹(4b)을 통하여 플랜지부(4a)가 카운터톱(1)에 얹어놓아져 있다. 그리고 유리 상판(3)에 의해 곤로 본체(4)를 상측에서 덮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곤로 본체(4)는, 내부의 열기가 카운터톱(1)에 미치지 않도록 밀폐성을 높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유리 상판(3)의 이면과 카운터톱(1)의 표면의 사이에서, 패킹(4b)을 에워싸도록 패킹(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5)은 유리 상판(3)의 이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리 상판(3)은, 세라믹 유리 등의 내열 유리제의 상판 주체(6)와, 상판 주체(6)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을 따르게 하여 형성된 전방 테두리체(7)와,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다르게 하여 형성된 후방 테두리체(8)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 주체(6)에는 곤로 본체(4)내에 배치한 좌/우 한 쌍의 버너(9)가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버너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 주체(6) 위에 각 버너용 개구를 에워싸도록 하여 좌/우 한 쌍의 삼발이(9a)를 얹어놓고 있다. 상기 버너(9)는 조리할 때에 국물이 끓어 넘칠 경우에도 끓어 넘친 국물 등이 곤로 본체(4) 내에 침입하지 못하는 이른바 실드(shield)식의 버너로 되어 있다.
상기 전방 테두리체(7) 및 상기 후방 테두리체(8)는,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압출성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테두리체(7)는, 상판 주체(6)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이 후방에서 끼워 넣어지는 제 1 오목홈부(7a)를 가지는 제 1 가장자리부(7b)와, 제 1 가장자리부(7b)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좌/우가 개방된 제 1 통기구(11)가 형성된 통형상 전방 통부(7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방 통부(7c)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한 경사부(7d)를 가지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평평한 5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통부(7c) 하면(7e)의 좌/우 2개소에는,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곤로 본체(4)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통부(7c)의 경사부(7d)에는 각 버너(9)의 점화 조작 등을 행하는 좌/우 한 쌍의 조작손잡이(9b)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테두리체(8)는,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이 전방에서 끼워 넣어지는 제 2 오목홈부(8a)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8b)와, 제 2 가장자리부(8b)와 일체로 성형되어 그 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된 제 3 통기구(13)가 형성된 통형상 후방 통부(8c)(후방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 후방 통부(8c)는 전방 으로 크게 모따기된 경사부(8d)를 가지고, 배면은 수직으로 세워 올려지는 평면부(8e)로 이루어져 있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받침대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통부(8c) 하면(8f)의 좌/우 2개소에는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곤로 본체(4)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4 통기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예에서는, 제 3 통기구(13)와 제 4 통기구(14)에 의해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예의 유리 상판(3)에 있어서는, 2개소의 제 2 통기구(12)의 개구면적의 합계가 좌/우 제 1 통기구(11)의 개구면적의 합계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같은 형태로, 제 4 통기구(14)의 개구면적의 합계는 제 3 통기구(13)의 개구면적의 합계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 1 통기구(11) 및 제 3 통기구(13)는 모두 전방 테두리체(7) 및 후방 테두리체(8)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테두리체는 사용의 편의성이나 디자인 관계상 그다지 크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개구면적도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제 2 통기구(12) 및 제 4 통기구(14)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개구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기구(12) 및 제 4 통기구(14)를 제 1 통기구(11) 및 제 3 통기구(13)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통기구(11) 및 제 3 통기구(13)의 통기 능력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판 주체(6)와 전방 테두리체(7)의 연결작업을 할 때에는, 제 1 오목홈부(7a)에 실리콘계 코킹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15)를 충전함과 아울러, 상판 주 체(6)의 전방 가장자리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상태에서 상판 주체(6)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을 제 1 오목홈부(7a)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상판 주체(6)의 전방 가장자리부 단면이 제 1 가장자리부(7b)에 접착된다. 또한 후방 테두리체(8)에 대해서도, 전방 테두리체(7)와 같은 형태로 제 2 오목홈부(8a)에 접착제(15)를 충전하여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 단면을 제 2 오목홈부(8a)에 끼워 넣어 접착한다.
또한 제 1예에서는, 제 1 통기구(11)와 제 3 통기구(13)에 그물코형상의 통기구가드(16, 1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가드(16, 17)는 해충, 쥐, 먼지뭉치 또는 먼지 등이 곤로 본체(4)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가드(16, 17)는 전/후 테두리체와 같이 금속으로 형성해도 되고 합성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제 1예의 유리 상판(3)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9b)에 의해 버너(9)가 점화되고 연소가 행해지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사용되어 연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사용되면, 곤로 본체(4)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 2 통기구(12) 및 전방 통부(7c)의 좌/우에 형성된 제 1 통기구(11)를 통하여 외기(外氣)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곤로 본체(4)내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제 4 통기구(14) 및 후방 통부(8c)의 좌/우에 형성된 제 3 통기구(13)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제 1예의 유리 상판(3)에 있어서는, 제 2 통기구(12)의 개구면적이 제 1 통 기구(11)의 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통기구(1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곤로 본체(4)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형태로 제 4 통기구(14) 및 제 3 통기구(13)로부터도 원활하게 곤로 본체(4)내에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상판(3)과 후방 벽면(W)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곤로 본체(4)내에 버너(9)용 연소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기구(11) 및 제 3 통기구(13)에 형성된 통기구가드(16, 17)에 의해 해충 등의 침입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곤로 본체(4)내에 해충 등이 들어가지 못한다.
또한 제 1예의 변형예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후방 테두리체(8)의 후면에 형성된 평면부(8e)에, 후방 테두리체(8)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5 통기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5 통기구(18)는, 제 3 통기구(13)와 제 4 통기구(14)의 개구면적과 거의 같은 개구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3 통기구(13), 제 4 통기구(14) 및 제 5 통기통로에 의해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5 통기구(18)에도 통기구가드(1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방 테두리체(8)에, 제 3 통기구(13)에 부가하여 제 5 통기구(18)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더욱 많은 공기를 곤로 본체(4)내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제 5 통기구(18)는 곤로(2)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예와 같은 외관 디자인으로 많은 공기를 곤로 본체(4)내에 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2예인 유리 상판(2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예의 유리 상판(21)은, 내열 유리제의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따르게 하여 형성된 후방 테두리체(22)가 상기 제 1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예의 후방 테두리체(22)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압출성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이 전방에서 끼워 넣어지는 제 2 오목홈부(22a)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22b)와, 제 2 가장자리부(22b)의 상측에서 후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상판(22c)과, 제 2 가장자리부(22b)의 하측에서 후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하판(22d)으로 이루어진다. 상판(22c)은 제 2 가장자리부(22b)에서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후측 부분은 수직으로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판(22d)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앙판(2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테두리체(22)는 금속제 압출성형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단부가 개방되어 제 3 통기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22d)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여 곤로 본체(4)를 향해 개구되는 제 4 통기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22c)의 선단 가장자리와 하판(22d)의 선단 가장자리의 사이에는 틈새(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예에서는, 상기 틈새(25)가 제 5 통기구로 되어 있다.
제 3 통기구(23)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22c)의 내면과 하판(22d)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하는 보강 테두리체(26)가 부착된다. 상기 보강 테두 리체(26)는, 외곽(26a)이 강성이 있는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테두리체(26)는 통기구가드를 겸하고 있고, 외곽(26a)의 내부에 망(2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망(26b)에 의해 해충 등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보강 테두리체(26)를 후방 테두리체(22)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상판(22c)에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판(22c)과 하판(22d)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판(22c)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틈새(25)의 폭의 변화가 방지되기 때문에, 제 5 통기구의 통기능력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 2예에서는, 틈새(25)의 폭을 해충 등이 들어가기 어려운 폭(예를 들면 약 3㎜)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하판(22d)에 형성된 중앙판(22e)과 상판(22c)의 간격도 같은 폭으로 하고 있다. 제 2예에 있어서는, 제 5 통기구인 틈새(25)로부터 공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될 때, 공급되는 공기가 중앙판(22e)에 의해 사행(蛇行)한다. 이로 인해, 공기 안에 먼지가 있는 경우에도 중앙판(22e)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틈새(25)의 폭을 넓게 하여, 통기구가드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예의 유리 상판(21)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9b)에 의해 버너(9)가 점화되고 연소가 행해지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사용되어 연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사용되면, 곤로 본체(4)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 2 통기구(12) 및 전방 통부(7)의 좌/우에 형성된 제 1 통기구(11)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곤로 본체(4)내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 4 통기구(24) 및 제 3 통기구(23), 또한 제 5 통기구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제 2예의 유리 상판(21)에 있어서는, 제 4 통기구(24)가 제 3 통기구(23)의 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통기구(23) 또는 제 5 통기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곤로 본체(4)내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유리 상판(31)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예의 유리 상판(31)은 상기 제 1예와는 후방 테두리체의 형상, 및 상판 주체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다. 제 3 예의 후방 테두리체(32)는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 2 오목홈부(32a)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32b)의 전방에서 상판 주체(33)의 표면을 향하여 후방 통부(34)가 연이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방 통부(3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고, 그 좌/우가 개구되는 제 3 통기구(35)도 이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통부(34)의 하면에는, 제 3 통기구(35)보다 개구면적이 큰 제 4 통기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통기구(36)도 제 1예와 같이 후방 테두리체(32)의 압출성형후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3 예에 있어서는, 제 3 통기구(35)와 제 4 통기구(36)에 의해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 주체(33)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는 상판 개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 개구(33a)는 제 3 통기구(35)보다도 개구면적이 크고, 제 4 통기구(36)와 거의 동일한 개구면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테두리체(32)가 상판 주체(33)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에 부착되면, 제 4 통기구(36)와 상판 개구(33a)가 연이어 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 3 통기구(35)와 제 4 통기구(36)와 상판 개구(33a)를 통하여 곤로 본체(4)의 내부와 외기가 연이어 통하게 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예의 유리 상판(31)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9b)에 의해 버너(9)가 점화되고 연소가 행해지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사용되어 연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사용되면, 곤로 본체(4)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 2 통기구(12) 및 전방 통부(7)의 좌/우에 형성된 제 1 통기구(11)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곤로 본체(4)내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상판 개구(33a), 제 4 통기구(36) 및 후방 통부(34)의 좌/우에 형성된 제 3 통기구(35)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제 3 예의 유리 상판(31)에 있어서는, 상판 개구(33a) 및 제 4 통기구(36)가 제 3 통기구(35)의 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통기구(35)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곤로 본체(4)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3 예의 유리 상판(31)은 후방 테두리체(32)가 상판 주체(33)의 후방에 연이어 돌출되지 않고 후방 통부(34)가 상판 주체(33)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리 상판(31)으로 제 1예의 유리 상판(3)과 동일한 외형 치수의 상판 주체(33)를 사용하면, 유리 상판(31) 전체의 길이치수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길이치수가 짧은 부엌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테두리체(32)의 형상이 간결해지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의 유리 상판(31)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4 예인 유리 상판(41)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예의 유리 상판(41)은 후방 테두리체(42)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예의 후방 테두리체와 다르게 되어 있다. 제 4 예에 있어서의 후방 테두리체(42)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홈부(42a)를 가지는 제 2 가장자리부(42b)에서 후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42c)와, 제 2 가장자리부(42b)에서 비스듬하게 후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드부(42d)를 가지고 있다.
또한 평판부(42c)에는 곤로 본체(4)의 내부를 대기 개방하는 제 3 통기구(43)가 압출성형후에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예에서는 상기 제 3 통기구(43)에 의해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 통기구(43)에도 통기구가드(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예의 유리 상판(41)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9)의 연소가 행해져서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소비되어도 제 1 통기구(11) 및 제 2 통기구(12)뿐만 아니라, 제 3 통기구(43)에서도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또한 제 3 통기구(43)는 후드부(42d)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조리시에 끓어 넘침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제 3 통기구(43)로부터 곤로 본체(4)내에 넘친 국물 등이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후드부(42d)는 후방뿐만 아니라 좌/우도 개방되어 있기 때 문에, 유리 상판(3)과 후방 벽면(W)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곤로 본체(4)내에 버너(9)용의 연소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51)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51)은 상판 주체(6)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좌/우 테두리체(5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 테두리체(52)는, 각각 알루미늄의 압출성형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후에는 제 1 통기구(53) 및 통기구가드(54)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테두리체(52)는, 각각 상판 주체(6)의 측방 가장자리부분이 끼워 넣어지는 오목홈부(52a)를 가지는 가장자리부(52b)와, 가장자리부(52b)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전/후가 개방된 측방 통부(52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측방 통부(52c)의 전/후에는 제 1 통기구(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 통부(52C)의 하면에는, 곤로 본체(4)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 통부(52C)의 외측면에는, 측방 통부(52C)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3 통기구(56) 및 통기구가드(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통기구(53)는 좌/우 테두리체(52)가 압출성형될 때에 동시에 형성되고, 제 2 통기구(55)와 제 3 통기구(56)는 압출성형후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손잡이(9b)가 상판 주체(6)에 형성된 관통구멍(58)에 부착된다. 도 7에 있어서는 버너(9), 삼발이(9a), 및 조작손잡이(9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51)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버너(9)가 점화되어 연소가 행해지고, 곤로 본체(4)내의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사용되면, 곤로 본체(4)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 2 통기구(55) 및 좌/우의 측방 통부(52C)의 전/후에 형성된 제 1 통기구(53)를 통하여 외기가 곤로 본체(4)내에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측방 통부(52C)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통기구(56)로부터도 제 2 통기구(55)를 통하여 곤로 본체(4)내에 연소용의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곤로 본체(4)내의 버너(9)에 연소용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판 주체(6)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도 4에 나타낸 후방 테두리체(22)를 좌/우 테두리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에 있어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에 좌/우 테두리체(52)와 같은 구성의 후방 테두리체(59)를 형성해도 된다. 도 8(a)에 나타낸 후방 테두리체(59)는, 제 2 홈부(59a) 및 제 2 가장자리부(59b)를 가지고 있고, 제 2 가장자리부(59b)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통부(59c)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방 통부(59c)에는, 후면 및 하면에 통기구(60)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의 통기구(60)에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상기 후방 테두리체(59)에서는, 후방 통부(59c)가 후방 통기부이고, 통기구(60)가 후방 통기통로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상판에 있어서는, 상판 주체(6)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테두리체(61)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후방 테두리체(61)는, 제 2 홈부(61a) 및 제 2 가장자리부(61b)를 가지고 있고, 제 2 가장자리부(61b)에서 수평 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면부(61c)와, 제 2 가장자리부(61b)에서 비스듬히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드부(61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평면부(61c)에는 곤로 본체(4)를 대기 개방하는 통기구(62) 및 통기구가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테두리체(52)뿐만 아니라, 후방 통기통로인 통기구(60, 62)를 구비한 후방 테두리체(59,6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더욱 많은 공기를 곤로 본체(4)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기구가드(16, 17, 19, 54, 57)를 망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도 4에 나타낸 틈새(25)와 같이, 해충 등이 침입할 수 없도록 슬릿을 형성하여 그것을 통기구가드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곤로 본체와 후방 벽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연소용 공기를 곤로 본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유리 상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곤로 본체를 카운터톱에 형성한 곤로 개구에 삽입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드롭인식 곤로용의 유리 상판에 있어서,
    유리제의 상판 주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전방 테두리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후방 테두리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테두리체 및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전방 가장자리부분을 후방에서 끼워 넣는 제 1 홈부가 형성된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된 제 1 통기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전방 통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 통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구비하는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전방에서 끼워 넣는 제 2 홈부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곤로 본체내를 대기 개방하는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된 후방 통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통형상의 후방 통부이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가 개구되는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부는, 후방에 평면부를 가지는 각통형상이고, 상기 평면부에 후방 통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5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의 상/하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는 서로 근접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 리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의 좌/우가 개구되는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하판에 형성되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와, 상기 상판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하판의 선단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제 5 통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통기구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틈새의 폭을 유지하는 보강 테두리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 테두리체는 상기 제 3 통기구로부터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에 표리를 관통하는 상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통기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상판 개구를 포함하는 상판 주체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고 좌/우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통형 상의 후방 통부이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후방 통부의 좌/우가 개구되는 제 3 통기구와,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후방 통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판 개구를 통하여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여 상기 상판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 3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가지는 제 4 통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통기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에서 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와, 제 2 가장자리부에서 비스듬하게 후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 통기통로는, 상기 평판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제 3 통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8. 곤로 본체를 카운터톱에 형성한 곤로 개구에 삽입하도록 하여 배치하는 드롭인식 곤로용의 유리 상판에 있어서,
    유리제의 상판 주체와, 상기 상판 주체의 측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 되는 좌/우 한 쌍의 측방 테두리체로 구성되고,
    상기 측방 테두리체는 금속제 압출성형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판 주체의 측방 가장자리부분을 향해 끼워 넣어지는 측방 홈부가 형성된 측방 가장자리부와, 상기 측방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고 전/후가 개방된 제 1 통기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측방 통부를 가지고, 상기 측방 통부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상기 제 1 통기구의 개구면적 이상의 개구면적을 구비하고 곤로 본체내와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방 테두리체의 외측면에 압출성형후의 후가공에 의해 그 외부와 내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제 3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리 상판은,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여 형성되는 후방 테두리체를 거듭 구비하고, 상기 후방 테두리체는, 상기 상판 주체의 후방 가장자리부분을 전방에서 끼워 넣는 제 2 홈부가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곤로 본체내를 대기 개방하는 후방 통기통로가 형성된 후방 통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구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12.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구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13.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 통기구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기구가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KR1020060031513A 2005-06-30 2006-04-06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KR100691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1572A JP4633559B2 (ja) 2005-06-30 2005-06-30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用のガラス天板
JPJP-P-2005-00191572 200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49A KR20070003549A (ko) 2007-01-05
KR100691115B1 true KR100691115B1 (ko) 2007-03-12

Family

ID=3759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513A KR100691115B1 (ko) 2005-06-30 2006-04-06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33559B2 (ko)
KR (1) KR100691115B1 (ko)
CN (1) CN1892116B (ko)
TW (1) TWI268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42776B2 (en) 2007-01-08 2010-09-16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ES2338730B1 (es) * 2007-09-25 2011-03-10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de coccion a gas con un carril.
JP4782092B2 (ja) * 2007-09-28 2011-09-28 大阪瓦斯株式会社 天板構造
CN101256000B (zh) * 2008-04-22 2011-11-09 合肥博普高新科技有限公司 节能环保智能安全箱形灶台
WO2009129690A1 (zh) * 2008-04-22 2009-10-29 Li Xiaolong 环保多功能灶具及安装架和隔热装置
ES2345646B1 (es) * 2008-06-10 2011-07-18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cion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campo de coccion.
JP2009300056A (ja) * 2008-06-17 2009-12-24 Osaka Gas Co Ltd 加熱調理器
KR101055958B1 (ko) 2009-03-09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EP2378207B1 (en) * 2010-03-31 2017-05-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arrangement
JP5604156B2 (ja) * 2010-04-05 2014-10-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IT1401158B1 (it) * 2010-07-28 2013-07-12 Smeg Spa Piano cottura
CN102384507A (zh) * 2010-08-30 2012-03-2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灶具底壳及带有该种底壳的灶具
CN103017213A (zh) * 2012-12-18 2013-04-03 李孝龙 可调整台面环保灶具
CN105444225B (zh) * 2014-08-28 2017-10-24 台湾樱花股份有限公司 嵌入式灶具的进气装置
TWI644060B (zh) * 2016-09-02 2018-12-11 台灣櫻花股份有限公司 快組式進氣結構及檯面爐
JP2019082271A (ja) * 2017-10-30 2019-05-30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コンロ
CN110173723A (zh) * 2019-05-27 2019-08-27 中山百得厨卫有限公司 灶具底壳结构以及燃气灶具
US11536463B2 (en) 2019-08-30 2022-12-27 Whirlpool Corporation Cooktop with side frame members
ES2850081A1 (es) * 2020-02-21 2021-08-25 Famar Muebles S L Dispositivo de refuerzo y ventilacion para mobiliari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3567A1 (fr) 1994-01-12 1995-07-19 Société SCHOLTES Système de ventilation pour table de cuisson ou analogue
JPH1122981A (ja) 1997-06-27 1999-01-26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H11241831A (ja) 1998-02-25 1999-09-07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コンロ
KR20040103761A (ko) * 2003-05-30 200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인식 곤로용 상판
KR20060050574A (ko) * 2004-10-08 2006-05-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상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539A (ja) * 1994-08-30 1996-03-12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装置
JP4025211B2 (ja) * 2002-10-01 2007-12-19 リンナイ株式会社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3739737B2 (ja) * 2002-10-02 2006-01-25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3567A1 (fr) 1994-01-12 1995-07-19 Société SCHOLTES Système de ventilation pour table de cuisson ou analogue
JPH1122981A (ja) 1997-06-27 1999-01-26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H11241831A (ja) 1998-02-25 1999-09-07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コンロ
KR20040103761A (ko) * 2003-05-30 200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인식 곤로용 상판
KR20060050574A (ko) * 2004-10-08 2006-05-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상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2116B (zh) 2010-06-23
KR20070003549A (ko) 2007-01-05
JP4633559B2 (ja) 2011-02-16
TW200700677A (en) 2007-01-01
JP2007010226A (ja) 2007-01-18
TWI268330B (en) 2006-12-11
CN1892116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115B1 (ko) 드롭인식 곤로용 유리 상판
US6349713B1 (en) Cooking stove
JP5271988B2 (ja) ガスコンロの操作部防水構造
KR100402579B1 (ko) 전자레인지
DE102012200286A1 (de) Dunstabzugshaube mit Bildschirm
CA1252008A (en) Oven ventilating system
DE60108718T2 (de) Abzugshaubenvorrichtung eines Mikrowellenofens versehen mit einer belüfteten Abzugshaube
USD468961S1 (en) Oven vent cover for a gas cooking appliance
USD468964S1 (en) Grate assembly for a gas cooking appliance
KR100254605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JP3288956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4549930B2 (ja) ビルトイン式の3口こんろ
TWI290204B (en) A gas stove of top surface operating type
JPH11248167A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USD467768S1 (en) Downdraft grill for a cooking appliance
USD468159S1 (en) Oven vent cover for a cooking appliance
JP3866064B2 (ja) 換気装置
JP3913057B2 (ja) ガスグリル付きこんろ
JP4115424B2 (ja) コンロ用天板及びコンロ
US20050109335A1 (en) Energy-saving cooking appliance door having a low front temperature
JP4011537B2 (ja) グリル
US20070207433A1 (en) Oven Apparatus and Seasoning Method Therewith
JP3658040B2 (ja) ガス調理器
CN221172344U (zh) 吸油烟机及其集烟罩
CN218864245U (zh) 一种灶具底盘结构及燃气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