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958B1 -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958B1
KR101055958B1 KR1020090019593A KR20090019593A KR101055958B1 KR 101055958 B1 KR101055958 B1 KR 101055958B1 KR 1020090019593 A KR1020090019593 A KR 1020090019593A KR 20090019593 A KR20090019593 A KR 20090019593A KR 101055958 B1 KR101055958 B1 KR 10105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t
cooker
top plate
gap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222A (ko
Inventor
김기환
백윤건
박상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빌트인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빌트인 조리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데코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데코 부재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각 측면부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갭이 포함된다.
조리기기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 member thereof}
본 실시예는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트 인 조리기기는 캐비닛-설치장이라고 할 수도 있다-에 직접 설치되는 조리기기로서, 캐비닛과 같은 가구의 설치 시에 빌트 인 조리기기가 함께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주방 구조를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중에서도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다른 이름으로 핫 플레이트(hot plate), 홉(hob), 레인지(Range), 쿡탑(cook-top)이라고도 하고, 그 어떠한 이름과는 상관없이 본원 실시예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이름을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말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제작 시간 및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는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에는, 캐비닛에 설치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데코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데코 부재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각 측면부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갭이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빌트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에는, 빌트 인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탑 플레이트의 일부를 커버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모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모재에 복수의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갭이 형성된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재에 갭을 형성하고, 상기 모재를 프레스 가공함에 따라 손쉽게 상기 데코 부재가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갭을 막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데코 부재의 제작 과정이 용이하고 제작 공정 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가 캐비닛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가 캐비닛에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서 데코 부재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빌트 인 조리기기(5)는 주방에서 설치되는 캐비닛(1)에 장착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일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5)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함몰부(2)와, 상기 함몰부(2)의 테두리부 부분에 제공되는 놓임부(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5)에는, 상기 함몰부(2)에 수용되며, 가열원 등이 내장되는 본체(7)와 상기 본체(7)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놓임부(3)에 안착되는 세라믹 재질의 탑 플레이트(6)와, 상기 탑 플레이트(6)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복수의 데코 부재(1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데코 부재(10)는, 각각 일 례로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앞쪽 부분과 뒷쪽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앞쪽 부분을 커버하는 데코 부재(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데코 부재(10)는 일 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6)의 테두리부를 커버하여 미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데코 부재(10)는 상면부(11)(12)와, 상기 상면부(11)(12)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14)와, 상기 상면부(11)(12)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부(13)와, 상기 상면부(11)(12)의 후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밀착부(16)가 포함된다.
상기 데코 부재(10)가 상기 탑 플레이트(6)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5)가 상기 캐비닛(1)에 설치되면, 상기 상면부(11)(12)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상면부(11)(12)는,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앞쪽 부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에서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2)가 포함된다. 상기 경사부(12)는 상기 수평부(11)에 일체로 연장된다.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13)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13)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3)에는 갭(15)이 형성된다. 상기 갭(15)은 상기 경사부(12)와 상기 수평부(11)의 경계 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갭(15)은 상기 전면부(14)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갭(15)은 상기 측면부(13)의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3)는 상기 갭(15)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부(12) 측에서 하방으 로 연장되는 제 1 부분(13a)과, 상기 수평부(11)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분(13b)의 상하 길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분(13a)의 높이는 상기 갭(15) 측에서 상기 전면부(14)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14)의 높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6)의 높이보다 작으며, 상기 전면부(14)는 상기 경사부(12)에 의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전면과 이격된다.
상기 밀착부(16)는 상기 탑 플레이트(6)의 상면에 밀착되어, 물 등이 상기 상면부(11)(12)와 상기 탑 플레이트(6)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데코 부재(10)의 제작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데코 부재(10)의 제작과 관련하여 상기 측면부(13)에 형성되는 갭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 부재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데코 부재(10)를 형성하기 위한 모재를 제작하게 된다(S). 상기 모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재는 얇은 사각형 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모재가 제작된 후에는 상기 모재에 한 쌍의 갭(15)을 형성한다(S2). 상기 갭(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재의 전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모 재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갭의 이격 거리는, 완성될 전단부(14)와 높이와 상기 경사부(12)의 전후 길이가 고려되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모재에 갭(15)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게 된다(S3). 이 때, 프레스 가공을 위한 프레스는 완성될 데코 부재(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프레스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데코 부재(10)가 완성된다.
상기 프레스 가공을 하는 경우, 상기 갭(15)을 기준으로 앞쪽 부분에, 경사부(12), 전면부(14), 한 쌍의 제1부분(13a)이 형성되고, 상기 갭(15)을 기준으로 뒷쪽 부분에 수평부(11), 한 쌍의 제2부분(13b) 및 밀착부(16)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탑 플레이트(6)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1cm 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2부분의 높이는 1cm보다 작고, 상기 전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2부분의 높이보다 작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한 쌍의 제1부분(13a)이 일체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부(14)와 상기 한 쌍의 제1부분(13a)의 연결 부위에서 찢어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프레스 가공 과정에서는 모재가 인장되고, 상기 경사부(12) 및 상기 수평부(11)가 일정 각도를 이루므로, 상기 모재의 인장 시 상기 모재의 측면부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재에 상기 갭(15)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11)와 상기 경사부(12)의 각도 차이로 인한 측면부의 찢어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완성된 상태의 데코 부재(10)에서 상기 갭(15)은 상기 빌트 인 조리기 기가 상기 캐비닛(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 측면에 의해서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갭(5)을 막기 위한 용접 등의 후가공 및 용접 완료 후의 표면을 매끄럽게하는 표면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재에 갭을 형성하고, 상기 모재를 프레스 가공함에 따라 손쉽게 상기 데코 부재가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갭을 막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데코 부재의 제작 과정이 용이하고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가 캐비닛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가 캐비닛에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 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 부재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Claims (5)

  1. 캐비닛에 설치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데코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데코 부재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각 측면부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갭이 포함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가 포함되며,
    상기 갭은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경계 부위에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높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높이 보다 작은 빌트 인 조리기 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5. 빌트 인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탑 플레이트의 일부를 커버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모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모재에 복수의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갭이 형성된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KR1020090019593A 2009-03-09 2009-03-0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KR10105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593A KR101055958B1 (ko) 2009-03-09 2009-03-0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593A KR101055958B1 (ko) 2009-03-09 2009-03-0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22A KR20100101222A (ko) 2010-09-17
KR101055958B1 true KR101055958B1 (ko) 2011-08-09

Family

ID=4300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593A KR101055958B1 (ko) 2009-03-09 2009-03-0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92Y1 (ko) 2002-07-26 2002-10-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상판유리 조립구조
JP2007010226A (ja) 2005-06-30 2007-01-18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用のガラス天板
KR100826706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92Y1 (ko) 2002-07-26 2002-10-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상판유리 조립구조
JP2007010226A (ja) 2005-06-30 2007-01-18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用のガラス天板
KR100826706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22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6059S1 (en) Cooking pan
USD768431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769052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826626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508816S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D769053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506637S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D899175S1 (en) Cooking appliances and utensils
USD769056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769055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752920S1 (en) Knob for home appliance
USD599606S1 (en) Heat insulating and hot water pot
KR101055958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빌트 인 조리기기용 데코 부재의 제작방법
JP6162538B2 (ja) 加熱調理器
JP6137940B2 (ja) 加熱調理器
JP2008173195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D807690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WO2008077836A3 (de) Gargerät mit einem garbehälter
CN205866625U (zh) 上盖组件和烹饪器具
USD869895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807688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USD807680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KR100659169B1 (ko) 보조상판을 구비한 붙박이형 쿡탑
USD547603S1 (en) Support for cooking utensil
USD789732S1 (en) Cooking pan for use in heating coo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