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10B1 -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10B1
KR100690010B1 KR1020050099694A KR20050099694A KR100690010B1 KR 100690010 B1 KR100690010 B1 KR 100690010B1 KR 1020050099694 A KR1020050099694 A KR 1020050099694A KR 20050099694 A KR20050099694 A KR 20050099694A KR 100690010 B1 KR100690010 B1 KR 10069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formula
reaction
dialkyl carbonate
fluor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승
김홍곤
안병성
이상득
이현주
김훈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9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2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phosgene or halofor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8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6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다졸 유도체 존재하에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반응시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유독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온화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불순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알킬 카보네이트, 불소화, 이미다졸 화합물

Description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Synthetic Method of Fluorinated Dialkylcarbonates}
본 발명은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다졸 유도체 존재하에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반응시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유독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온화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불순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특수 용제나 염료, 식물보호제, 폴리카보네이트 등 합성 수지의 출발 물질 혹은 중간체, 연료의 첨가제,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액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다른 유기 용제에 비하여 유전율이 높고, 무기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알킬렌 카보네이트에 비해 점도가 낮기 때문에 상용화된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액에 알킬렌 카보네이트와의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리튬 이차 전지의 폭발 사고 등은 주로 유기 카보네이 트의 가연성에 유래하는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할로겐, 특히 불소화된 유기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방안이 연구 중에 있다.
불소를 함유하는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불소를 포함하지 않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알킬 알콜과 포스젠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반응 원료로 사용하는 포스젠의 맹독성과 부산물로 발생되는 염산에 의한 장치의 부식으로 인해 상기한 포스젠 공정에 의한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생산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의 새로운 대체 공정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6-25104호, 일본특허공개 평3-141243호, 대한민국공개특허 특1996-0014087호에는 포스젠 공정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일산화탄소와 메틸나이트레이트를 백금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제조하고, 부산물로 발생되는 일산화질소를 회수하여 다시 메틸 알콜과 반응시킴으로써 메틸나이트레이트를 생성하는 순환 공정을 제안하였다.
상기한 공정은 포스겐을 사용하는 공정에 비해 독성 및 부식성은 낮으나, 여전히 원료로 유독성 성분인 일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점과, 일산화질소가 순환되는 데에 따른 공해, 부식성 및 폭발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5-342209호, 일본특허공개 평15-342236호, 일본특허공개 평15-342237호, 일본특허공개 평16-8996호 그리고 일본특허공개 평16-10571호에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혹은 IVA 또는 IVB족 금속산화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알킬 알코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디알킬 카보네이 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맹독성의 원료물질을 사용하거나 부식성의 부산물이 생성되지는 않으나, 부가적인 촉매의 사용이 필요하고, 부산물로서 알킬렌글리콜 및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분해로 인한 에틸렌 옥사이드 및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어 복잡한 분리 정제 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국제특허공개 제98/15024호에는 불소를 함유하는 환상 카보네이트 제법으로 염소를 함유하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KF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할로겐 교환반응은 일반적으로 높은 반응 온도, 긴 반응 시간을 필요로 하고, 생성물의 선택성도 너무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국제특허공개 제94/10120호, 일본특허공개 소63-25570에는 환상 카보네이트를 불소 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에서 직접 불소화하는 "액상 직접 불소화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유기화합물과 불소 가스를 직접 반응하여 불소화하는 방법은 불소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선택적인 부분 불소화가 어렵고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저온의 반응 온도, 긴 반응 시간 그리고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나 폴리플루오로에테르 등의 특수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고 반응물이 불소와 치환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활성 메틸렌 수소 및 메틴 수소를 가지는 화합물로 한정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유 독성 원료인 포스젠, 일산화탄소, 메틸나이트레이트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온화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이미다졸 유도체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킬 경우 기존의 공정보다 저온의 조건에 목적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원료로 포스젠 등과 같은 유독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반응 중 발생되는 부식성 물질의 발생 요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공정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응 매개체로 사용되는 이미다졸 유도체가 반응 중 발생되는 염화수소와 결합하여 이미다졸륨을 형성하는데, 생성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상기 이미다졸륨 등을 포함하는 부산물이 그 비중 등의 차이가 크므로 층분리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독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온화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이미다졸 유도체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8의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이미다졸 유도체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다음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화학식 2)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화학식 3)를 이미다졸 유도체(화학식 4)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된다.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반응은 다음 반응식 2 및 3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 이미다졸 유도체는 먼저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화학식 3)와 반응하여 이온성 액체인 이미다졸륨염(화학식 5)을 형성하게되고, 이는 다시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화학식 2)과 반응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화학식 1)를 제조하게 되며, 여기서 부생물로서 다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륨염(화학식 6)이 형성된다.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3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4
본 발명에서는 반응 매개체로서 이미다졸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 제조시 반응 중간체가 독성을 나타내거나, 부식성을 띠지 않아 공정상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었으며, 또한 상기한 이미다졸 유도체의 사용으로 기존의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가 120 ∼ 200 ℃ 의 고온에서 수행되던 것과는 달리 상온 이하의 저온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반응 조건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화학식 4)와 부산물로 생성된 이온성 액체인 이미다졸륨염(화학식 5, 6)은 모두 생성물인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화학식 1)보다 비중이 크다.
따라서, 반응액 중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위쪽의 액상으로 존재하고, 반응 매개체 및 부산물은 아래층에 액상으로 존재해 층분리로 생성물 회수가 가능하고, 이들은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 보다 비점이 높으므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단순 증류를 통해서도 쉽게 고순도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식 3에 의해서 생성된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이온성 액체인 1-알킬이미졸륨염에 적당한 염기를 추가하여 다시 이미다졸 유도체(화학식 4)로 회수할 수 있다(반응식 4). 상기 염기로는, 알칼리금속염, 구체적으로 알칼리금속의 수용성 염(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소듐알콕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5
상기 화학식 5, 6 및 반응식 1 ∼ 4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8의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이며, M은 알칼리 금속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 제조시 반응물의 사용량은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 1 몰에 대하여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가 1 ∼ 1.5 몰, 그리고 이미다졸 유도체가 1.3 ∼ 2몰이 되도록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 1 몰에 대하여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가 1.2 몰, 그리고 이미다졸 유도체가 1.5 몰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와 이미다졸 유도체의 몰비가 1 : 1 미만이면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가 미반응물로 존재하게 되어 생성물의 분리 및 정제에 어려움이 생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기존의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보다 반응시 온도 조건이 더욱 완화되는데, 그 온도조건은 -20 ∼ 50 ℃, 바람직하게는 -10 ∼ 25 ℃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 및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의 전환율이 각각 100 %가 될 수 있는 온도 범위 중에서 가능한 한 낮은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반응 온도가 -20 ℃ 미만이면 반응 진행 속도가 너무 느리고, 50 ℃를 초과하면 반응 생성물이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동일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용매로서 사용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양은 이미다졸 유도체에 대한 중량비로 50 ∼ 300%, 바람직하게는 100 ∼ 200 %가 적당하다. 이 경우, 이미다졸 유도체와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와의 반응시 반응물을 희석하는 효과로 인해 반응열을 제어할 수 있어 상온에서 보다 안정적인 반응이 가능하고, 반응 생성물인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이온성 액체인 이미다졸륨의 층분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실시예 1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43.4 g (0.434 mole)을 1-메틸이미다졸 53.5 g (0.651 mole)에 녹인 후 0 ℃에서 메틸 클로로포메이트 49.2 g (0.521 mole)을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만든 후 위층을 분리해 캐필러리 컬럼이 부착된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의 전환율은 97.8% 였다. 위층을 감압 증류하여 무색 투명한 액체인 2,2,2-트리플루오로 에틸메틸 카보네이트를 96.9%의 수율로 얻었다.
반응 중간체로 생성되는 이온성 액체인 이미다졸륨염(화학식 5)은 알코올이 없는 조건에서 1-메틸이미다졸과 메틸 클로로포메이트를 혼합하는 즉시 생성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매의 포화량을 넘어서면 흰색 고체가 석출되기 시작한다. 반응 후 1-메틸이미다졸의 잔류량으로부터 유추한 이미다졸륨염의 생성수율은 약 97%로 이미다졸륨염이 용해된 용매의 1H NMR을 확인하면 용매와 원료에 해당하는 것 이외의 새로운 특성 피크가 생성되어 이미다졸륨염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H NMR (300 MHz, DMSO-d 6, 25 ℃): δ (ppm) = 10.10 (s, 1H, CH-Im), 8.15, 7.96 (d, 2H, CH-Im), 4.08 (s, 3H, CH3-Im), 3.96 (s, 3H, CH3-O).
알코올의 전환율과 카보네이트의 수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6
Figure 112005059784800-pat00007
실시예 2 ∼ 1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며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의 종류 전환율 (%) 카보네이트의 수율 (%)
1 메틸 클로로포메이트 97.8 96.9
2 에틸 클로로포메이트 94.8 93.2
3 비닐 클로로포메이트 89.1 86.9
4 n-프로필 클로로포메이트 95.6 94.0
5 i-프로필 클로로포메이트 96.9 94.5
6 알릴 클로로포메이트 88.3 85.3
7 n-부틸 클로로포메이트 96.2 95.3
8 i-부틸 클로로포메이트 91.7 90.1
9 n-헥실 클로로포메이트 90.1 88.7
10 페닐 클로로포메이트 87.0 83.8
11 n-헵틸 클로로포메이트 85.8 83.6
12 n-옥틸 클로로포메이트 82.4 76.2
실시예 13 ∼ 2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의 종류만 변화시키면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알코올의 종류 전환율 (%) 카보네이트의 수율 (%)
13 CFH2CH2OH 98.9 97.4
14 CFH2CH(OH)CFH2 97.7 94.0
15 CF2HCF2CH2OH 97.4 96.2
16 CF3CF2CH2OH 98.8 97.0
17 CF3CH(OH)CF3 95.6 93.9
18 CF3CHFCF2CH2OH 95.2 93.8
19 CF3(CF2)2CH2OH 93.9 92.7
20 CF3CF2CH(OH)CF3 91.0 89.6
21 (CF3)3COH 88.8 86.2
22 CF2H(CF2)3CH2OH 93.5 92.3
23 CF3(CF2)5(CH2)2OH 91.5 90.4
24 CF3(CF2)6CH2OH 89.6 87.5
실시예 25 ∼ 2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다졸 유도체의 종류만 변화시키면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이미다졸 유도체의 종류 전환율 (%) 카보네이트의 수율 (%)
25 1,2-디메틸이미다졸 99.3 97.4
26 1-비닐이미다졸 96.1 94.3
27 1-알릴이미다졸 92.3 91.0
28 1-부틸이미다졸 94.1 93.2
이미다졸 유도체의 회수
실시예 29
상기 실시예 1에서 층분리로 얻어진 아래층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20.84 g (0.521 mole)을 상온에서 가한 후 1 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NaCl을 여과한 후에 남아있는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97.6%의 1-메틸이미다졸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30 ∼ 33
상기 실시예 29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 25 ∼ 28에서 사용된 이미다졸 유도체를 회수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이미다졸 유도체의 종류 회수율 (%)
29 1-메틸이미다졸 97.6
30 1,2-디메틸이미다졸 96.1
31 1-비닐이미다졸 95.1
32 1-알릴이미다졸 94.6
33 1-부틸이미다졸 95.9
실시예 34
실시예 29와 동일한 조건에서 NaOH 대신 NaOCH3를 사용하여 1-메틸이미다졸의 회수실험을 행하였다. 1-메틸이미다졸의 회수율은 98.5%이었다.
실시예 35 ∼ 37
상기 실시예 1, 2 및 13과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에 생성물과 동일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용매로서 일정량 첨가하여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알코올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R1-, R2-) 전환율 (%) 회수율 (%)
35 CF3CH2OH CH3 CH3, CF3CH2 98.9 98.3
36 CF3CH2OH CH3CH2 CH3CH2, CF3CH2 96.1 95.9
37 CFH2CH2OH CH3 CH3, CFH2CH2 99.4 98.6
실시예 38 ∼ 5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에 대한 메틸 클로로포메이트와 1-메틸이미다졸의 몰비를 변화시키며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3 ∼ 6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응 온도를 변화시키며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메틸 클로로포메이트의 알코올에 대한 당량비 메틸이미다졸의 알코올에 대한 당량비 전환율(%) 카보네이트의 수율(%)
38 1 1 69.2 64.1
39 1 1.3 76.5 72.5
40 1 1.5 82.0 80.0
41 1 1.7 89.0 86.9
42 1 2 94.9 93.6
43 1.2 1 95.8 82.0
44 1.2 1.3 97.4 88.5
45 1.2 1.5 97.8 96.9
46 1.2 1.7 98.1 97.2
47 1.2 2 98.5 97.5
48 1.5 1 96.7 84.8
49 1.5 1.3 97.0 91.7
50 1.5 1.5 94.6 92.1
51 1.5 1.7 96.2 94.8
52 1.5 2 99.0 98.2
실시예 반응온도 (℃) 전환율(%) 카보네이트의 수율(%)
53 -20 80.0 75.6
54 -15 91.0 89.2
55 -10 94.1 93.2
56 -5 96.8 95.9
57 0 97.8 96.9
58 5 97.9 95.4
59 10 98.3 95.0
60 15 98.7 94.5
61 20 99.0 93.8
62 25 97.9 93.1
63 30 96.3 90.2
64 35 94.7 87.5
65 40 88.9 84.3
66 45 81.2 75.2
67 50 70.0 6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다졸 유도체 존재하여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와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기존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부식성 물질의 발생 요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을 뿐만아니라 반응 생성물의 분리 정제가 간편하여 공정을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반응 중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이온성 액체인 이미다졸륨 염은 실질적인 끓는점이 없으며 염의 상태이므로 부식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생성물인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섞이지 않아 분리가 용이하다. 특히, 수산화나트륨 등의 적당한 염기를 처리하면 다시 처음의 이미다졸 유도체로 회수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대량 반응은 물론 연속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8)

  1.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과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를, 다음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이미다졸 유도체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
    [화학식 4]
    Figure 112006095482851-pat00013
    상기 화학식 4에서, 상기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이다 :
    [화학식 1]
    Figure 11200609548285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8의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를 함유하는 알코올 1 몰에 대하여 클로로포메이트 유도체가 1 ∼ 1.5 몰, 이미다졸 유도체가 1.3 ∼ 2 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20 ∼ 50 ℃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중간체로서 다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륨염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Figure 112005059784800-pat00010
    상기 화학식 3 내지 5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부산물로 다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이미다졸염이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Figure 112005059784800-pat00011
    상기 화학식 1 내지 6에서, 상기 R1 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고, RF는 탄소수 1 내지 18의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 반응용액으로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후 부산물로 생성되는 다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륨염에 알칼리금속염을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이미다졸 유도체로 제조하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Figure 112006095482851-pat00012
    상기 화학식 4 또는 6에서, 상기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이고, M은 알칼리 금속이다.
KR1020050099694A 2005-10-21 2005-10-21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069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94A KR100690010B1 (ko) 2005-10-21 2005-10-21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94A KR100690010B1 (ko) 2005-10-21 2005-10-21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010B1 true KR100690010B1 (ko) 2007-03-09

Family

ID=3810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694A KR100690010B1 (ko) 2005-10-21 2005-10-21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957B1 (ko) * 2016-11-28 2018-01-25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플루오린 함유 디알킬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4456068A (zh) * 2022-02-18 2022-05-10 石家庄圣泰化工有限公司 甲基三氟乙基碳酸酯的合成方法
CN115215747A (zh) * 2021-04-21 2022-10-21 常州市天华制药有限公司 一种甲基2,2,2-三氟乙基碳酸酯的合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609A (en) 1972-10-24 1977-05-10 Ppg Industries, Inc. Herbicidal fluorinated carbonates
JPH0640951A (ja) * 1992-02-12 1994-02-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フッ素化官能性化合物の製造方法
JPH06219992A (ja) * 1992-11-18 1994-08-09 Mitsui Petrochem Ind Ltd 新規な炭酸エステル化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609A (en) 1972-10-24 1977-05-10 Ppg Industries, Inc. Herbicidal fluorinated carbonates
JPH0640951A (ja) * 1992-02-12 1994-02-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フッ素化官能性化合物の製造方法
JPH06219992A (ja) * 1992-11-18 1994-08-09 Mitsui Petrochem Ind Ltd 新規な炭酸エステル化合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957B1 (ko) * 2016-11-28 2018-01-25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플루오린 함유 디알킬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18097529A3 (ko) * 2016-11-28 2018-08-09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플루오린 함유 디알킬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EP3546443A4 (en) * 2016-11-28 2020-07-15 Samhwa Paint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FLUORINE DIALKYL CARBONATE COMPOUNDS
US10889537B2 (en) 2016-11-28 2021-01-12 Samhwa Paint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fluorine-containing dialkyl carbonate compounds
CN115215747A (zh) * 2021-04-21 2022-10-21 常州市天华制药有限公司 一种甲基2,2,2-三氟乙基碳酸酯的合成方法
CN114456068A (zh) * 2022-02-18 2022-05-10 石家庄圣泰化工有限公司 甲基三氟乙基碳酸酯的合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269B2 (en) Method for preparing dialkyl carbonate
US7728164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opylene carbonate
KR960006550B1 (ko) 알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US9334228B2 (en) Method for preparing dialkyl carbonate
JP3085722B2 (ja) 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JPWO2018211953A1 (ja) フッ素化カーボネート誘導体の製造方法
KR101158121B1 (ko) 4-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의 제조 방법
EP2744772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sevoflurane
KR100690010B1 (ko) 불소화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20120120075A (ko)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EP0372635B1 (en) Method of preparing dialkyl and diallyl dicarbonates
US6794519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lfonic esters
KR100744824B1 (ko)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N115504899A (zh) 一种n,n-二烷基-3-甲氧基丙酰胺的合成工艺
JPH04217644A (ja) 有機カーボネートの製法
JP4688427B2 (ja) (ペル)フルオロハロゲンエーテルの製造方法
US20140339096A1 (en) Method for producing perfluorosulfonic acid having ether structure and derivative thereof, and surfactant containing fluorine-containing ether sulfonic acid compound and derivative thereof
KR890005062B1 (ko) 헤미아세탈로부터 플루오랄 및 헥사플루오로아세톤의 순수한 히드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32125B1 (ko)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촉매
JPH02188541A (ja)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の製造方法
KR20190070137A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N101490013A (zh) 咪唑烷-2,4-二酮化合物的制备方法以及固体状4,5-二羟基-2-咪唑啉酮化合物的获取方法
WO1999058488A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ifluoromethyl containing derivatives
JPS63264474A (ja) α−(N−フルフリル)−アミノ酪酸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067545A (ja) 含フッ素アルキルヒドラジンおよびその中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