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167B1 -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167B1
KR100689167B1 KR1020047009510A KR20047009510A KR100689167B1 KR 100689167 B1 KR100689167 B1 KR 100689167B1 KR 1020047009510 A KR1020047009510 A KR 1020047009510A KR 20047009510 A KR20047009510 A KR 20047009510A KR 100689167 B1 KR100689167 B1 KR 10068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as
vertical
li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664A (ko
Inventor
가와시마마사히꼬
운노겐쇼
마쯔끼유따까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65D55/0818Destructible or permanently removable bands, e.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65D81/20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1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 B65D2543/00175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 B65D2543/0019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square or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09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27NO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용기에 대응할 수 있는 가스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과 밀봉용 포장 용기 및 그 포장 부재를 제공한다.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용기 및 덮개를 이용한 포장 용기에서 용기와 덮개의 모서리부가 포개어지고, 그 모서리부를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고, 상기 용기 내부를 포장 용기의 구멍을 거쳐서 가스 치환하여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그 밀봉용 포장 용기 및 그 포장 부재.
받침 용기, 덮개, 플랜지부, 모서리부, 띠형 테이프

Description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GAS EXCHANGE PACKAGE}
본 발명은,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과 밀봉용 포장 용기 및 그 포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품은 각 가정에서 식품 재료를 구입하여 이를 조리하여 먹는다고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가사를 간편하게 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슈퍼 등의 백야드나 센트럴 키친 등에서 미리 조리된 식품을 슈퍼나 편의점에서 구입하여 가정에서 먹는다고 하는 생활 스타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들 조리 완료 식품은 내용물의 개발뿐만 아니라, 포장 용기의 형상이나 디자인을 바꿈으로써 디스플레이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리기 위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특히 반찬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동일한 식품을 대량으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조리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식품을 작게 분류하여 종류의 변화를 증가시켜 판매하여, 소비자가 기호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슈퍼나 편의점 등의 반찬 판매자에게 있어서는 소량 · 다품종에 걸친 식품의 포장을 행할 때의 장치의 절환에 필요로 하는 번잡함이나 그 번잡 함에 따른 생산 효율의 저하, 소량 · 다품종의 용기 각각에 정해진 포장 기계의 부품 관리의 번잡함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으로, 소재 그 자체의 맛을 살린 조리 완료 식품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지만, 식품 첨가물량 등을 삭감한 식품은 부패가 빨라 제품 사이클이 짧으므로, 수고를 요하거나 식품 가공의 수율이 저하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상품을 장기간 보존하는 방법으로서, 식품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 등에 두고 보존함으로써, 상품 유통의 장거리화 및 보존 기간이 만료된 상품의 삭감 등 생산 효율의 상승을 도모한, 이른바 가스 치환 포장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스 치환 포장의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9-295677호 공보에는, 내용물을 보기 좋게 담은 트레이 부분과, 상기 트레이에 씌우는 덮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천정면에 가스 취입구를, 상기 덮개의 주위에 가스 배출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 포장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가스 차단성을 갖는 열수축성 필름으로 전체 둘레를 에워 싼 가스 충전 포장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가스 취입구로부터 가스를 취입하여 덮개 주위의 배기구로부터 배기되기 때문에, 덮개가 달린 트레이의 내부에 체류되어 있던 공기를 가스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4-189721호 공보에는 판형 부재에 개방된 구멍의 모서리에 발열체를 배치한 절연대판이 있고, 그 발열체에 용기의 플랜지부를 대응시켜 용기를 배치한 후에 용기에 내용물을 넣어 진공 챔버 내에서 가스 치환을 행한 후에 덮개를 씌우고, 컨베이어 장치로 반송한 후 용기 상부로부터 압박판을 하강시켜 가열된 시일 장치의 도구에 의해 용기와 덮개를 열융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 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61-103호 공보에는 합성 수지 시트로 성형된 용기에 내용물을 넣고,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 또한 시트로 덮은 후 열롤(roll)로 밀봉 필름 또는 시트 상면으로부터 용기 개구부 전체를 가열 압박하여, 개구부 주연을 열접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9-295677호 공보에서 대표되는 방법은, 상기 덮개의 천정면의 가스 취입구로부터 단순히 가스를 포장 용기 내에 플래쉬하여 가스 배출구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법이므로, 포장 용기 내의 공간부를 가스로 치환할 때의 치환율이 낮아, 내용물의 형상에 따라서는 내용물 내에 포함되는 산소를 치환 가스로 치환할 수 없다. 또한, 포장 부재 전체 둘레를 가스 차단성 열수축성 필름으로 에워 싸기 때문에, 상기 덮개의 천정면에 존재하는 가스 취입구나 가스 배출구의 절입에 의해 상기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 충전된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는 것과, 그 외에 용기와 필름의 2중 포장이므로 포장 재료가 다량 필요해져 용기 재활용법을 기초로 한 사업자 부담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남겨져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평4-189721호 공보에 개시된 가스 치환 방법은 크기나 디자인이 다른 여러 종류의 다양한 용기마다 대응하는 발열체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챔버 내의 기압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내압 사양의 시일형 도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용기마다 전용 시일형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든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61-103호 공보의 방법은 밀봉 필름 또는 시트로 용 기 개구부를 열롤에 의해 가열 압박할 때, 열에 의한 밀봉 필름 또는 시트의 변형이 발생된다. 또한, 용기의 깊이보다 내용물이 솟아 오른 경우, 상부의 필름에 내용물이 눌리거나, 용기의 플랜지부에서 필름끼리가 겹쳐져 주름이 생겨 간극으로부터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덧붙여, 용기의 형상이 다른 경우, 그에 대응한 형상의 가열형 도구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는 상기한 예와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 내의 공간부, 내용물 내의 공기를 고치환율의 가스로 치환할 수 있고, 용기 재활용법에도 합치하여 용기의 형상 및 크기의 변경이 간단한 가스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및 밀봉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은 받침 용기 및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 용기 및 덮개가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포개어짐으로써 받침 용기 상면을 덮어 그 포개어짐부를 띠형 테이프에 의해 봉함시키는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을 거쳐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탈기한 후, 공기 이외의 가스로 치환한 후 구멍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가 플라스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띠형 테이프 및 접착 라벨이 가스 차단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 용기 및 덮개의 모서리부에 개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말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연직부 및 이들 경계 부에 존재하는 모서리부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 중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가 외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보다 길고, 외측의 연직부 말단부가 접하는 부분의 내측의 연직부는 단차부를 갖고, 이 단차부를 걸쳐 띠형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치환용 구멍은 덮개 상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의 연직부는, 수평부로부터 연직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용기는, 받침 용기 및 덮개의 모서리부가 개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말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연직인 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 중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가 외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보다 길고, 외측의 연직부 말단부가 접하는 부분의 내측의 연직부에는 단차부를 가지며, 덮개의 모서리부 또는 받침 용기의 모서리부에, 또는 덮개의 모서리부와 받침 용기의 모서리부에, 연직부가 내측으로 수평부가 하방으로 각각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 말단부로부터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면을 가져도 좋다.
삭제
도1은 받침 용기 및 덮개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2는 받침 용기 및 덮개를 포개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받침 용기와 덮개를 겹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도1의 받침 용기의 플랜지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4a는 평면도, 도4b는 정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수평부 및 연직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상의 예시로, 도5a는 수평부에 있어서 삼각형상, 도5b는 반원 혹은 반타원, 도5c는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낸다.
도6은 도3a의 구성에 있어서 단차와 보강면을 형성한 구성예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받침 용기 플랜지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8은 구멍 형상 및 접착 라벨 형상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가스 치환 방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10은 실시예에 이용한 받침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실시예에 이용한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실시예에 이용한 받침 용기 및 덮개를 포개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13은 실시예의 띠형 테이프 봉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받침 용기의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봉함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a는 받침 용기 및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시계 방향으로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고, 띠형 테이프의 최후의 말단부는 받침 용기와 덮개에 접착되지 않은 밀봉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5b는 받침 용기 및 덮개에 접착되지 않은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하여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5c는 도15a의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끼리가 포개어져 있는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16a 내지 도16c는 도15a 내지 도15c와 동일한 받침 용기 및 덮개를 이용하여 띠형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부에 절입을 실시한 경우의 일예로, 도16a는 절입을 실시한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6b는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 띠형 테이프의 절입에 의해 절단이 생겨,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6c는 도16a의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상측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17a 및 도17b는 도15a 및 도15b와 동일한 받침 용기 및 덮개를 이용하여, 띠형 테이프의 폭 중앙부에 띠형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를 구비한 경우의 일예로, 도17a는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를 실시한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7b는 컷트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 띠형 테이프의 중앙부를 컷트 테이프에 의해 2개로 찢어(띠형 테이프가 찢긴 상하의 단부는 받침 용기 및 덮개에 붙어있는 상태임), 용기를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포장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포장 용기라 함은 받침 용기 및 덮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특별히 상관없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목재, 종이, 그 밖의 단일 부재 또는 상기 재료끼리의 적층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라 함은 받침 용기의 상부를 덮는 형상의 것으로, 재질은 받침 용기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하고 내용물이 보이는 것, 광택이 우수한 것, 외관미가 우수한 것, 폐기시의 분별 회수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 것 등의 이유로부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의 산일(散逸)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후술하는 가스 차단 플라스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의 볼륨감을 용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의해 발휘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받침 용기의 높이가 상부를 덮는 덮개의 높이보다도 낮게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 용기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좋고, 타원형,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정형이라도 좋다.
이 용기는 띠형 테이프에 의해 봉함, 즉 띠형의 테이프가 받침 용기와 덮개의 쌍방의 모서리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접착됨으로써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받침 용기와 덮개의 포개어짐부라 함은, 받침 용기 및 덮개의 개구면의 모서리가 중첩되어 폐쇄되는 부분을 말한다. 모서리의 형상은 양자가 중첩되어 폐쇄되는 형상이면 직선형이라도, 곡선형이라도, 또한 받침 용기의 형상에 따르지 않아도 좋다. 또한, 띠형 테이프에 의해 봉함하였을 때 용기 내부를 밀봉할 수 있으면 반드시 모서리 전체 변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지만, 전체 둘레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 용기와 덮개의 일부가 힌지 부분을 거쳐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봉함을 기계적으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면서 용기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포개어짐 부분이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포개어지는 형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플랜지부를 갖는 경우, 플랜지부 말단부, 즉 연직부의 말단 부분에 띠형의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안정된 봉함부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라 함은 받침 용기 및 덮개의 각 개구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부분 전체를 말하며, 받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지는 플랜지형의 부분(예를 들어 도1에서는 부호 11 및 21)에 해당된다. 이 플랜지부는 수평부(도1에서는 부호 12 및 22)와 연직부(도1에서는 부호 13과 23), 수평부와 연직부의 경계부에 존재하는 모서리부(도1에서는 부호 14, 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는, 받침 용기 및 덮개의 개구부 모서리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면이다. 대략 수평이면 경사져 있거나 소재의 두께 등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연직부(도1에서는 부호 13 및 23)라 함은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면이며, 실질적으로 연직선 방향이면 다소 경사져 있어도 지장은 없다. 또한 연장되는 방향은 수평부로부터 상향이거나 혹은 하향, 또는 덮개측이 상향이면서 받침 용기측이 하향인 것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포개어짐 부분으로부터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려운 점에서 덮개와 받침 용기 모두 하향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에 연직부를 구비함으로써 점착 장치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연직부에 띠형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덮개와 받침 용기의 연직부의 길이에 여분을 마련해 두면, 덮개 및 받침 용기 쌍방의 플랜지부 말단부를 걸쳐 띠형 테이프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코너부에서도 주름이 생기지 않고 띠형 테이프를 봉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연직부 중 용기의 내측에 있는 플랜지의 길이를 용기의 외측에 있는 연직부의 길이보다 길게 하면, 작업 속도가 빠른 점착 장치를 사용하여 점착 작업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즉, 연직부를 수평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시킨 경우, 받침 용기의 연직부 길이를 덮개의 연직부 길이보다 길게, 반대로 연직부를 수평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시킨 경우에는 덮개의 연직부의 길이를 받침 용기의 연직부의 길이보다 길게 하면 좋다. 상기한 용기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의 코너부에 있어서도 띠형 테이프에 주름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어 밀봉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포장 장치를 이용하여 봉함 작업을 행하는 경우, 용기의 형상이나 크기가 변경되어도 포장 장치에 설치하는 띠형 테이프의 폭이나 부착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용기마다 봉함용 부품을 모두 갖추는 등의 수고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길이가 긴 쪽의 연직부에 짧은 쪽의 연직부의 두께만큼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의 단차(도6에서는 부호 81)를 마련하면, 연직부가 평면이 되기 때문에 띠형 테이프를 평면형으로 부착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작업이 쉬워지는 데다가 포장 부재로서의 강도도 높아지고, 또한 포장 부재의 취급도 행해지기 쉬워진다.
연직부의 길이는 띠형 테이프로 걸칠 수 있으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내지 35 ㎜이면 테이프를 붙이는 경우에 덮개와 받침 용기가 어긋나기 어 렵기 때문에, 테이프의 점착 작업을 하기 쉽고 플랜지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외관미가 높아지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25 ㎜이다.
또한, 받침 용기 및 덮개의 연직부를 각각 역방향으로 연장시킨 경우에는, 플랜지부에 위치 결정을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구비시키면 좋다. 장소나 그 크기는, 띠형 테이프를 덮개와 받침 용기의 경계선에 맞추었을 때에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받침 용기 개구부 주변, 특히 받침 용기 내측의 코너부에 설치하면, 외관미나 내용물의 취출 용이함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 용기측 수평부에 오목부를, 덮개측 수평부에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 플랜지부에 오목부(도1에서는 부호 15)를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띠형 테이프를 부착할 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플랜지부가 변형될 우려가 없어, 상기 변형에 의한 외관미나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플랜지는 끼워 맞춤조를 구비해도 좋다. 끼워 맞춤조라 함은, 받침 용기와 덮개의 모서리부에 받침 용기와 덮개의 사이를 끼워 맞추기 위한 홈을 갖고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그 끼워 맞춤조의 설치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외부 끼워 맞춤과 내부 끼워 맞춤과 내외부 끼워 맞춤의 3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외부 끼워 맞춤은, 용기를 성형할 때의 금형의 정밀도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아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형상이다. 한편, 내부 끼워 맞춤은 외부 끼워 맞춤에 비 해 용기를 성형할 때의 금형 정밀도가 필요해 비용적으로 고가가 되지만 내용물이 국물을 포함하는 반찬 등인 경우, 용기 밖으로의 국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내외부 끼워 맞춤은 용기를 성형할 때의 금형의 정밀도가 요구되어 비용적으로 상당히 고가가 되지만,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 강도가 강해 다소의 충격이 가해져도 받침 용기와 덮개가 떨어지는 일이 없어 가장 고급적인 끼워 맞춤 형상이다.
포장 용기는 구멍을 갖는다. 이 구멍은 받침 용기와 덮개가 봉함된 포장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가스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일 필요가 있어, 챔버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의 가스 치환 방법인 받침 용기와 덮개의 간극과는 다르다. 또한, 크기, 형상, 개수 등은 가스가 포장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으면 좋지만, 덮개에 설치되어 있는 쪽이 가스 치환 후에 구멍을 막는 용이함이나 내용물의 유출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덮개의 천정면이다.
포장 용기의 내용량 1000 ㎤에 대해, 구멍의 개구 면적은 0.3 내지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개구 형상은 포장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구멍의 개구 형상으로서 정사각형(도8의 A), 직사각형(도8의 B), 코너부가 R을 갖고 있는 사각형(도8의 C), 다각형(도8의 D), 원(도8의 E), 반원(도8의 F), 타원(도8의 G), 반타원(도8의 H), 별형상(도8의 I), 부정형(도8의 J) 등 완전히 개구를 갖는 오려냄 형상을 들 수 있는 것 외에, 완전히 오려내지 않은 형상으로서 역ㄷ자(도8의 O), V자(도8의 P), U자(도8의 Q), C자(도8의 R), 부정형(도8의 S)의 절입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덮개를 구멍 뚫기 가공할 때에 잘라낸 부스러기가 나오지 않으므로, 이들 절입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입의 경우 구멍의 면적은 절입이 들어간 설형 부분을 접어, 구멍을 확장하였을 때에 개방되는 최대 면적으로 나타낸다. 구멍의 개구 면적은 내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포장 용기의 내용량 1000 ㎤에 대해 구멍의 개구 면적이 0.3 ㎠보다 작으면 챔버 내부에서 탈기하였을 때나 포장 용기 내에 원하는 가스를 채울 때에 단시간에 대량의 가스가 포장 용기 내외를 이동하기 때문에, 포장 용기 내외로부터의 공기나 원하는 가스의 구멍을 통과할 때의 저항이 커져, 그 저항에 의해 포장 용기의 내외에 기압차를 발생시켜 포장 용기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멍의 개구 면적이 3 ㎠를 넘으면, 탈기 및 가스 치환은 쉽게 행할 수는 있지만, 구멍을 막는 접착 라벨의 면적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포장 용기의 외관미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거나, 구멍을 걸쳐 접착되어 있는 접착 라벨의 개구부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해지는 등의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바람직한 구멍의 개구 면적은 0.3 내지 3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8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5㎠이다.
또한 구멍의 수는 가능한 한 적은 쪽이 구멍을 막을 때의 번잡함을 저감시키는 것이나 포장 용기의 외관미의 관점으로부터, 가능하면 1매의 접착 라벨로 막을 수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수의 구멍의 경우라도 작은 구멍을 한 부위에 집중시킴으로써 1매의 접착 라벨로 막을 수 있어, 접착 라벨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구멍은 성형과 다른 공정에 의해 제작되며, 그 일예를 나타낸다. 우 선, 플라스틱 시트를 가열 용융시켜 성형형에 맞추어 성형하고, 성형 부재가 연결된 시트형의 것을 제거형이라 불리우는 컷트날로 눌러 오려내는 것이다.
구멍을 막는 방법으로서 접착 라벨을 붙이는 방법, 구멍을 채우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용기의 외관미 및 간편성의 관점으로부터 접착 라벨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라벨에 인쇄 등을 실시하여 상품 차별화를 해도 좋다. 접착 라벨의 재질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일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 중, 부호 10은 받침 용기, 11, 21은 플랜지부, 12, 22는 수평부, 13, 23은 연직부, 14, 24는 모서리부, 15는 오목부, 20은 덮개, 40은 구멍, 50은 접착 라벨이다.
포장 용기는 받침 용기(10)와 덮개(20)로 이루어지며, 받침 용기(10)는 개구부에 플랜지부(11)를 갖고 덮개(20)는 상기 플랜지부(11)에 포개어지는 플랜지부(21)를 갖고 있다. 도2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받침 용기(10)에 피포장물을 수납하고, 덮개(20)를 씌워 연직부를 띠형 테이프에 의해 봉함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 중, 부호 30은 띠형 테이프, 40은 구멍, 50은 접착 라벨을 나타낸다.
받침 용기(10)의 플랜지부(11)는 받침 용기(10)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12)와, 상기 수평부(12)의 말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3)를 갖고, 플랜지부(21)는 상기 플랜지부(11)에 대응하여 수평부(22)와 연직부(23)를 갖고 있다. 또한, 받침 용기에 있어서는 모서리부(14)의 일부에 연직부(13)가 내측으로, 수평부(12)가 하방으로 각각 움푹 패인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에도 동일한 오목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평부(22)와 수직부(23)가 형성하는 모서리부(24)에 있어서 연직부(23)가 내측으로, 수평부(22)가 상방으로 각각 움푹 패이도록 형성시키면 좋다. 오목부(15)는 플랜지부(11)의 강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므로, 플랜지부의 모서리부 이외의 부분에 설치하면 좋지만, 소망에 따라서 플랜지부의 모서리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오목부(1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3a 및 도3b는 플랜지부(11, 12)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3a는 도1의 A-A' 방향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며, 연직부(13, 23)가 수평부(12, 22)의 말단부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예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내측에 위치하는 받침 용기(10)의 연직부(13)를 덮개(20)의 연직부(23)보다도 길게 형성한다. 또한, 도3b는 도3a의 예로 상술한 내외부 끼워 맞춤을 설치한 예이며, 받침 용기(10) 및 덮개(20)의 수평부(12, 22)에 개구부의 주연에 평행한 볼록조(17)와 이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27)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11, 22)를 강화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도1의 받침 용기(10)의 플랜지부(11)의 확대도이다. 도4a는 플랜지부의 평면도(수평부 상면도), 도4b는 플랜지부의 정면도(연직부의 정면도)이다. 도4b의 정면도에 있어서의 점선은, 덮개의 연직부가 겹쳐지는 부위를 나타낸다.
상기 오목부(15)의 크기는 플랜지부(11)의 크기나 강도에도 의하지만, 통상 식품의 포장 용기로서 이용되는 경우,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12) 및 연직부(13)에 있어서 직사각형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 오목부(15)의 폭(W)은 1 내지 20 ㎜, 인접하는 오목부(15)간의 거리(S)는 3 내지 20 ㎜, 연직부(13)로부터의 깊이는 수평부(12)의 폭(D)에 남겨지는 간극(d)이 1 ㎜ 이상이고 또한 D의 1/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부(12)로부터의 깊이(T)는,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덮개(20)의 플랜지부(21)의 연직부(23)의 말단부의 위치와의 간극(t)이 0.5 ㎜ 이상이고 연직부(13)의 폭(H)의 1/2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연직부(13)의 폭(H)과 깊이(T)와의 관계는, (H - T)가 충분히 띠형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는 폭을 남기도록 설정된다. 또한, 오목부(15)를 덮개(20)의 플랜지부(21)에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설정에 있어서 플랜지부(11)를 부호 21로 치환하면 된다.
오목부(15)의 형상으로서는, 도1과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12) 및 연직부(13)에 있어서 직사각형인 형상 외에,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12)에 있어서 삼각 형상,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또는 반타원,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5a의 경우에는, 수평부(12)에 있어서 꼭지각의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이고, 도5c의 경우에는 상변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이다. 어떠한 경우도 연직부(13)로부터의 깊이는, 수평부(12)의 폭(D)에 남겨지는 간극(d)이 1 ㎜ 이상이고 또한 D의 1/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직부(13)에 있어서의 폭(W) 및 인접하는 오목부(15)간의 거리(S), 수평부(12)로부터의 깊이는 도4a의 직사각형의 경우와 동일하다.
포장 용기에 있어서는 덮개(20)가 용기(10)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 용기(10) 및 덮개(20)의 플랜지부(11, 21)의 한 쪽에 다른 쪽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 다른 쪽에 상기 한 쪽의 볼록부를 받치는 오목부를 설치해도 좋다.
도6은 도3a 및 도3b의 받침 용기의 응용예이며, 내측에 위치하는 연직부(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직부(23) 말단부보다도 하방으로,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차(81)를, 또한 내측에 위치하는 연직부(13) 말단부로부터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보강면(82)을 형성한 것이다. 도7은 도6의 받침 용기의 플랜지부의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단차(81)의 폭(p1)은, 바람직하게는 덮개(20)의 플랜지부(11)의 연직부(13)의 두께 ± 2 ㎜ 이내이며, 상기 단차(81)를 마련함으로써 띠형 테이프를 부착하였을 때에 외측의 연직부(23) 말단부에 의해 테이프 표면에 형성되는 단차가 완화되어 외관미가 향상한다. 또한 상기 단차(81)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덮개(20)의 연직부(23)에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직부(23) 말단부로부터 2 ㎜ 이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면(82)의 폭(p2)은 0.5 ㎜ 미만에서는 강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고, 2 ㎜을 초과하면 외관미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의 범위에서 마련한다.
본 발명의 받침 용기 및 덮개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제작된 수지 시트를 이미 알려진 열성형 방법(압공 성형, 진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및 덮개를 수지 시트로 성형하는 경우, 이용되는 수지는 일반적으로 용기나 덮개에 사용되는 수지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가스 차단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틸렌 -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수지(EVOH 등) 등을 들 수 있다. 받침 용기나 덮개는, 이들 수지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성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층 구성의 경우, 다층으로 하는 방법으로서 공압출(共押出) 방법 및 각종 적층 방법 등이 있지만,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시트로는 필요에 따라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띠형 테이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띠형 테이프라 함은,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이며 받침 용기 및 덮개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면끼리를 걸쳐 접착함으로써 포장 용기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띠형 테이프는 용기와 접촉하는 면은 접착제가 존재하고, 그 접착제를 거쳐서 받침 용기와 덮개를 간극없이 봉(밀봉)할 수 있으면 띠형 테이프의 폭은 테이프 전체가 일정해도 좋고, 굵은 부분이나 가는 부분이 있어도 좋다.
또한, 띠형 테이프의 재질로서 종이, 금속 박막,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전자 레인지 가열시에 있어서 전자의 충돌에 의한 스파크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금속 박막이나 금속 증착 등의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또한 분별 회수의 관점으로부터 용기와 동일 재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와 받침 용기와의 간극으로부터의 가스의 산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부터 가스 차단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스 차단성 띠형 테이프로는,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 및 접착제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에는, 예를 들어 가스 차단성 수지나 무기계 물질을 층형으로 구비하고 있는 수지층을 설치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무기계 물질을 층형으로 구비하고 있는 수지층의 예로는, 가스 차단성이 부족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에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의 무기계 물질, 또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무기계 물질을 증착 처리에 의해 가스 차단성을 부여한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은 이산화탄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4935.0 ㎖/㎡/day/㎫, 산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3948.0 ㎖/㎡/day/㎫, 질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1480.5 ㎖/㎡/day/㎫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가스 투과량이 10.0 내지 4500.0 ㎖/㎡/day/㎫, 산소 가스 투과량이 10.0 내지 2500.0 ㎖/㎡/day/㎫, 질소 가스 투과량이 10.0 내지 1300.0 ㎖/㎡/day/㎫를 갖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4000.0 ㎖/㎡/day/㎫, 산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1300.0 ㎖/㎡/day/㎫, 질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1000.0 ㎖/㎡/day/㎫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1000.0 ㎖/㎡/day/㎫, 산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300.0 ㎖/㎡/day/㎫, 질소 가스 투과량이 20.0 내지 250.0 ㎖/㎡/day/㎫를 갖는 것이다.
또한,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 수지는 산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1974.0 ㎖/㎡/da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HDPE, LLDPE 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PP), 폴리부텐 - 1계 수지(PB), 폴리 - 4 - 메틸펜텐 - 1계 수지를 비롯한 폴리올레핀계 수지(PO), 또는 에틸렌 -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에틸렌 -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EMA 등), 에틸렌 -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수지(EVOH 등)를 비롯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변성물(PO 변성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함변성(含變性)] 수지(PET 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함변성) 수지(PBT) 등을 비롯한 방향족 성분을 일부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 폴리글리콜산계 수지를 비롯한 지방족 성분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EST),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PVDC), 폴리염화비닐계 수지(PVC)를 비롯한 염소계 수지, α올레핀 - 일산화탄소 공중합 수지[함동수첨(含同水添) 수지], α올레핀(에틸렌 외) - 스티렌 공중합 수지(함동수첨 수지), 에틸렌 - 환형 탄화수소계 화합물 공중합 수지(함동수첨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Ny), 카프로락톤계 수지 등으로부터 적어도 1 종류를 주체로 하여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을 단층 혹은 이들 다층 또는 이 층과 다른 수지를 적층시킨 것, 혹은 이들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신 혹은 미연신의 테이프를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및 가스 차단성의 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계 수지(특히 HDPE), 폴리프로필렌계 수지(PP), 에틸렌 -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수지(EVOH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Ny),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함변성) 수지(PET 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함변성) 수지(PBT 등)를 비롯한 방향족 성분을 일부 포함하거나, 또는 폴 리락트산계 수지, 폴리글리콜산계 수지를 비롯한 지방족 성분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EST)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防曇劑), 착색제, 윤활제 등을 혼입하거나, 공지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전자 및 플라즈마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 처리, 이온 에칭 처리 등, 염화 비닐리덴 등을 가스 차단 도포 시공 처리를 해도 좋다.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의 두께는, 이용되는 수지의 산소 가스 투과량에 따라 다르고, 전술한 산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1974.0 ㎖/㎡/day/㎫인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소 가스 투과량이 적은 에틸렌 -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수지(EVOH)의 경우, 산소 가스 투과량의 관점으로부터는 수 ㎛ 정도에서 산소 가스 투과량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띠형 테이프로서의 점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점성 갖는 수지와 적층시키면 좋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PP)가 있다. PP와 EVOH의 적층 구성인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의 경우, 산소 가스 투과량이 1.0 내지 1974.0 ㎖/㎡/day/㎫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의 두께는 띠형 테이프의 점성의 관점으로부터 15 내지 10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5 ㎛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접착은, 띠형 테이프와 받침 용기 및 덮개를 접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 강도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그 대표적인 접착제로서는 용제 타입, 핫멜트 타입, 반응성 타입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접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라면 지장은 없고, 피포장물이 식품인 경우에는 식품 위생법에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에테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나 이들 중으로부터 적어도 1 종류를 주체로 하여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접착 강도를 설정하기 쉽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에테르계 접착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이다. 또한, 용매 추출물이 적어 불순물이 적은 관점으로부터, 아크릴계 접착제가 훨씬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접착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착색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가스 치환 포장 봉함용 접착 라벨의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부분 박리를 의도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미리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에 박리 효과가 있는 실리콘 등을 인쇄하고, 접착제층이 가스 차단 베이스 부재층으로부터 박리되어 피접착체인 받침 용기 및 덮개에 남는, 이른바 개찬 방지 인쇄를 구비해도 좋다.
고무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시스 - 1, 4 - 폴리이소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고무, 스티렌 · 부타디엔 고무(SBR),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 고무, 또는 스티렌 · 부타디엔 · 스티렌 공중합 고무(SBS), 스티렌 · 이소부렌 · 스티렌 공중합 고무(SIS)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블럭 고무 등으로부터 적어도 1 종류 선택되는 접착성 엘라스토머에 상온에서 액체 또는 고체로 분자량이 수백 내지 약 1만까지의 무정형 올리고머(2량체 이상의 중분 자량 중합체)의 열가소성 수지인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석유 수지, 클로먼 · 인덴 수지 등의 접착 부여제 및 광유, 액형 폴리부텐, 액형 폴리이소부틸렌, 액형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연화제 등을 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통상 Tg가 낮은 호모폴리머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에 대표되는 접착성을 제공하는 주모노머, 저급 알킬기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 주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하고 Tg가 높아지는 응집성을 부여하는 코모노머,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 등(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나 수산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등의 접착성을 부여하여 가교점이 되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접착성 반응물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착 부여제 및 연화제 등을 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호모폴리머 또는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접착성 엘라스토머)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착 부여제 및 연화제 등을 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분자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디메틸디페닐실록산으로 대표되는 폴리머 연쇄의 말단부에 잔존 실라놀기(SiOH)를 갖는 폴리머(또는 접착성 엘라스토머)와 상기 접착 부여제 및 연화제 등을 배합한 것이 있다.
가스 차단성, 특히 가스 치환 포장의 관점에 있어서 접착 강도를 폭 넓게 설 정할 수 있고, 또한 식품 위생의 관점으로부터 합성 고무계 및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 강도는 JIS - Z - 0237의 180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 0.1 내지 15 N/㎝인 것이 접착시의 접착 강도와 박리시의 박리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3 N/㎝,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N/㎝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이용되는 접착제에 따라 다르지만 접착 강도가 0.1 내지 15 N/㎝이면 좋으며, 접착제층의 두께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무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의 경우, 접착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접착제층의 두께는 3 내지 7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5 ㎛이다.
또한, 띠형 테이프는 기계에 의해 테이프를 붙일 때의 기계적 적성의 관점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강도와 신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JIS - Z - 0237의 점착 테이프 시험법을 기초로 한 측정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10 내지 120 N/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10 N/1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5 N/10 ㎜이다. 또한, 받침 용기 및 덮개의 코너 부분에 주름 등의 가스 산일 부위(간극)를 제조하는 일 없이 띠형 테이프를 깨끗이 접착하기 위해, 띠형 테이프 자체가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속도 5 ㎜/분의 조건으로 길이 100 ㎜의 띠형 테이프(10 ㎜ 폭)를 측정한 탄성율 측정에 있어서 띠형 테이프의 받침 용기 및 덮개로의 접착 상태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0 kg/㎟이다.
또한, 띠형 테이프를 용기에 붙이는 경우 전체 둘레를 띠형 테이프에 의해 밀봉할 때, 최초의 권취 시작 부분을 1주해 온 띠형 테이프로 오버랩함으로써(도15c) 밀봉을 실현할 수 있지만, 오버랩된 띠형 테이프가 권취 시작 부분을 오버랩할 때에 권취 시작의 띠형 테이프의 두께에 의해 미소한 간극이 띠형 테이프의 폭 방향에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해 띠형 테이프를 주걱 등으로 훑어 접착층을 유동시키거나, 띠형 테이프 상으로부터 핫멜트제 및 각종 가스 차단 필름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밀봉성을 높여도 좋다.
띠형 테이프(30)에 개봉 용이성을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어, 띠형 테이프의 일부에 의도적으로 절입 등의 띠형 테이프의 폭이 좁은 곳을 제작(도16a 내지 도16c)한다. 개봉시, 상기 부분에서 띠형 테이프가 파단된다. 혹은, 띠형 테이프의 폭 중앙부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끈형의 이른바 컷트 테이프(60)를 설치한다(도17a 및 도17b). 개봉시, 용기와 덮개의 플랜지부 사이를 봉함하고 있는 띠형 테이프의 중앙부를 컷트 테이프(60)에 의해 2개로 찢는다(띠형 테이프가 찢긴 상하의 단부는 받침 용기 및 덮개에 붙어 있는 상태임). 이들에 의해 용기는 간단히 개봉된다.
접착 라벨에 대해 설명한다. 접착 라벨은 가스 차단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벨로 구멍을 막아, 포장 용기 내에 있는 원하는 가스가 산일되지 않도록 밀봉한다. 그로 인해, 접착 라벨은 받침 용기나 덮개에 밀착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접착 라벨은 밀착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으며, 밀착이라도 좋고, 접착이라도 좋고, 점착이라도 좋다.
접착 라벨의 접착 강도는 적절하게 선택되면 좋고, 원하는 접착 강도에 의해 접착제의 종류 및 도포량 등을 선택하면 좋다. 대표적인 접착제로서는, 상술한 띠형 테이프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자 레인지에서의 가열 조리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자 레인지 가열에 의한 수증기 등의 포장 용기의 내압 상승에 수반하는 파열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포장 용기 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동시에 접착 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을 갖는 수계, 유기계의 용제 타입,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라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식품 위생적으로 안전한 수계, 유기계의 용제 타입, 핫멜트 타입 접착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라벨의 형상은 구멍의 개구 형상에 관계없이, 구멍을 막을 수 있으면 지장은 없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도8의 A), 직사각형(도8의 B), 코너부가 R을 갖고 있는 사각형(도8의 C), 다각형(도8의 D), 원(도8의 E), 반원(도8의 F), 타원(도8의 G), 반타원(도8의 H), 별형상(도8의 I), 부정형(도8의 J), 기타 손잡이 부분을 부가한 원(도8의 K), 직사각형(도8의 L), 타원(도8의 M), 정사각형(도8의 M)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수지 시트로 성형되는 덮개의 경우 구멍의 주변에 요철을 제작하여 접착 라벨을 접착할 때의 덮개의 강성을 높이는 등의 고안을 해도 좋다.
또한, 접착 라벨의 재질로서 종이, 금속 박막,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전자 레인지 가열시에 있어서 전자의 충돌에 의한 스파크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금속 박막이나 금속 증착 등의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또한 분별 회수의 관점으로부터 용기와 동일 재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의 산일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가스 차단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재질, 구성, 두께, 그 성능 등에 대해서는, 띠형 테이프의 항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하면 좋다.
접착 테이프의 접착 강도는 JIS - Z - 0237의 25 ℃에 있어서의 180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 방법(JIS - Z - 0237의 180도 박리법 : 폭 25 ㎜의 테이프를 스테인레스판에 부착하여, 테이프의 일단부를 다른 한 쪽의 일단부를 향해 박리 속도 300 m/분으로 시험판으로부터 180도 방향으로 벗기는 데 필요로 하는 힘을 측정하여 이용하였음)에 있어서 0.1 내지 10 N/㎝인 것이 접착시의 접착 강도와 박리시의 박리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9.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7.5 N/㎝이다. 또한, 포장 용기의 내압 상승에 의해 접착 라벨이 자동적으로 박리되는 관점으로부터 80 ℃에 있어서의 180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치가 25 ℃에 있어서의 180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치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25 ℃에 있어서의 180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치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N/㎝인 것이 접착시의 접착 강도와 박리시의 박리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7.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5 N/㎝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이용되는 접착제에 따라 다르지만 25 ℃에 있어서의 180 도 박리법에 의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접착 강도가 0.1 내지 10 N/㎝이면 좋으며, 접착제층의 두께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무계 및 아크릴계 접착제의 경우, 접착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접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5 ㎛이다.
또한, 가스 차단성 접착 라벨은 외부로부터의 찔림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림 규격 제10조를 기초로 한 측정에 있어서, 찔림 강도가 2.0 N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N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 이상이다. 또한, 접착 라벨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개봉 용이성을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접착 라벨에 반원형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덮개로부터 상기 손잡이부를 끌어 올림으로써 간단히 개구하는 등의 개봉 용이성을 부여한 쪽이, 포장 용기의 가열시의 파열 방지라는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는 주로 가열 조리를 실시한 식품 등이 있고, 예를 들어 슈퍼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반찬(조림, 구이, 찜, 볶음) 및 도시락 등을 들 수 있지만, 가열 조리를 실시한 판매 목적으로 한 식품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포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멍(40)을 이용하여 챔버 내에 있어서 탈기 및 가스 치환을 행하고, 가스 치환 후에 상기 구멍을 막는 가스 치환 밀봉 방법을 이용하여 포장 용기 내의 공간부 및 내용물 중의 기체를 원하는 가스로 치환한다. 즉, 챔버 내를 탈기 후 불활성 가스로 가스 치환함으로써, 포장 용기에 마련된 구멍을 거쳐서 포장 용기 내도 탈기 및 가스 치환을 행하는 것이다. 챔버 내를 탈기 및 가스 치환함으로써 포장 용기 내와 챔버 내(포장 용기 밖)의 기압차가 거의 없으므로, 포장 용기가 기압차에 의해 없어 찌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치환이라 함은, 용기 내의 공기를 원하는 가스로 치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내용물의 보존성 향상이나 상품의 색 변화 방지 등의 효과를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식품 등을 불활성 가스 중에 유지시킴으로써 ① 유지(油脂) 성분의 산화 방지, ② 비타민 등의 유효 성분의 보존, ③ 곰팡이나 균류나 효모의 번식에 의한 부패 방지, ④ 색소의 변색 및 퇴색 방지, ⑤ 향기의 비산 방지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산 가스 등의 제균 작용을 갖는 가스로 치환함으로써 내용물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가스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질소, 이산화탄소(탄산 가스), 산소, 아르곤 등을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으로 곰팡이나 균류나 효모의 살균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오존이나 천연 및 합성 항균성 물질(예를 들어, 노송나무 티올 등)을 이용해도 좋다.
챔버 내에 있어서 탈기 및 가스 치환을 행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챔버식 가스 치환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가스 치환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챔버식, 가스 플래쉬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9에 본 발명의 챔버식 가스 치환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챔버식 가스 치환 방법이라 함은, 챔버(도9의 부호 70) 라 일컬어지는 공간 내에 받침 용기(10) 및 덮개(20)[구멍(40)]를 띠형 테이프(30)로 봉함한 용기를 넣고, 챔버의 내부에 있는 공기 전체를 일단 진공 상태로 탈기[도9의 (b)]하여, 그 상태에서 진공 상태의 챔버 내에 원하는 가스를 송입하고 가스 치환을 행하는 방법으로, 챔버 내부에서 접착 라벨(50)을 덮개(20)의 구멍(40)에 부착하여 용기 내 공간을 밀봉[도9의 (c)]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챔버식 가스 치환 방법은 가스 치환율이 높아 확실하게 가스 치환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가스 플래쉬식 가스 치환 방법은 간편하고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가스 치환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스 치환 방법은 상기한 가스 치환 방법의 챔버식 가스 치환 방법이며, 포장 용기 내의 공간부나 내용물에 있는 공기를 확실하게 가스 치환을 행하여 내용물의 보존성 향상이나 상품의 색 변화 방지 등의 효과를 발휘하므로, 포장 용기 내를 고치환율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받침 용기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이용하여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는 밀봉 방법의 일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직사각형 용기(도10)와 덮개(도11)를 이용하여 용기와 덮개의 모서리부를 포개고(도12), 그 모서리부를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고 있는 공정(도13)이다. 도13은 받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시계 방향으로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봉함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4는 받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봉함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띠형 테이프의 접착 방향은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봉함하거나, 반시계 방향이라도 띠형 테이프로 받 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봉함하여 밀봉할 수 있으면 지장은 없다. 이와 같이 띠형 테이프에 의해 받침 용기 및 덮개를 봉함하기 때문에, 용기 및 덮개의 형상이 다양한 경우라도 띠형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봉함하여 밀봉할 수 있어, 우수한 밀봉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봉 용이성의 일예를 도15a 내지 도17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5a 내지 도17b는 직사각형의 받침 용기 및 덮개의 모서리부에서만 포개고, 그 받침 용기 및 덮개를 접착성을 부여한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5a 내지 도17b에 이용되는 띠형 테이프에는 개봉 용이성을 얻을 수 있는 접착 방법이나 띠형 테이프 자체에 개봉 용이성의 세공을 실시하고 있다.
도15a 내지 도17b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5a는 직사각형 받침 용기 및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시계 방향으로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고, 띠형 테이프의 최후 말단부는 받침 용기와 덮개에 접착하지 않은 밀봉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5b는 용기 및 덮개에 접착하지 않은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하여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15c는 도15a의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끼리가 포개어져 있는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이 최후의 말단부만 접착성을 부여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용기의 주위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여 겹쳐지는 부분만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방법이나, 띠형 테이프의 전체면에 접착성을 부여한 것을 사용하여 최후의 말단부만을 접착면끼리를 접합하는 방법이 있지만 최후의 말단부만의 접착면끼리를 접합하는 방법이 간편하며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16a 내지 도16c는 도15a 내지 도15c와 동일한 받침 용 기 및 덮개를 이용하여 띠형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부에 절입을 실시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15a 내지 도15c와 마찬가지로, 도16a는 절입을 실시한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6b는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 띠형 테이프의 절입에 의해 절단이 생겨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16c는 도16a의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이 최후의 말단부를 인장함으로써 띠형 테이프의 말단부에 가까운 절입으로부터 띠형 테이프가 절단되어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띠형 테이프의 절입은 도16a 내지 도16c와 같이 띠형 테이프의 사이드부의 일부만 실시해도 좋지만, 띠형 테이프의 사이드부 전체면에 실시하거나 양 사이드부에 실시해도 인장하였을 때에 절단하면 지장이 없다. 또한, 도17a 및 도17b는 도15a 내지 도15c와 동일한 받침 용기 및 덮개를 이용하여 띠형 테이프의 폭 중앙부에 띠형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를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15a 내지 도15c와 마찬가지로, 도17a는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60)를 실시한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밀봉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7b는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를 실시한 띠형 테이프의 컷트 테이프의 말단부를 인장하여 띠형 테이프의 중앙부를 컷트 테이프로 2개로 찢어(띠형 테이프가 찢긴 단부는 받침 용기 및 덮개에 붙어 있는 상태임), 용기를 개봉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띠형 테이프의 폭 중앙부에 띠형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컷트 테이프를 구비하고, 받침 용기와 덮개의 모서리부 사이를 봉함하고 있는 띠형 테이프의 중앙부를 컷트 테이프로 2개로 찢어 용기를 간단히 개구하는 방법은 개봉성의 용이함이라는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컷트 테이프의 색과 띠형 테이프의 색을 바꾸거나 하여 알기 쉽게 해도 좋다.
이하, 측정 방법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산소 가스 투과량 측정
ASTM - D - 398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측정 온도 23 ℃).
(2) 용기 내 공간의 산소 조성비율 측정
PBI Dansensor 가부시끼가이샤제 체크 포인트를 이용하여 23 ℃, 50 % RH에 있어서의 용기 내 공간의 산소 조성 비율(%)을 측정하였다.
G(good) : 10일 후의 용기 내 산소 조성 비율이 1 % 미만.
M(moderate) : 10일 후의 용기 내 산소 조성 비율이 1% 이상, 2% 미만.
P(poor) : 10일 후의 용기 내 산소 조성 비율이 2% 이상.
(3) 햄버그 제작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갈아 섞어 저민 것(소 : 돼지 = 5 : 5) 1 kg과 계란 중간 크기 2개를 5 ℃ 이하로 차게 하면서 끈기가 나올 때까지 잘 섞고, 볶아 둔 양파 0.3 kg과 빵가루 0.12 kg를 첨가하여 다시 섞는다. 1개당 120 g씩 나누어 타원형으로 성형하고, 120 ℃의 오븐에 넣어 중심 온도가 70 ℃가 될 때까지 가열 조리하여 햄버그를 제작하였다.
(4) 보존 온도 측정
상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제 버튼형 쿨 메모리를 이용하여 10분마다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가열 조리 종료 식품을 포장 후,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제 오 픈 쇼케이스 EA - MS에 보존하였다(보존 온도 15 ℃).
(5) 일반 생균수 측정
햄버그 1 g을 희석수에 의해 10배 단계 희석을 차례로 행하여, 희석 시료액의 제조를 행하였다. 동일 희석 단계에 대해 2개씩의 심형 샬레를 준비하여, 각각에 각 희석 시료액을 1 ㎖씩 나누어 주입하였다. 미리 고압 증기 멸균한 후, 약 45 ℃로 유지해 둔 표준 한천 배지 15 ㎖를 무균적으로 각 샬레에 주입하여 즉시 희석 시료액과 배지가 잘 혼합되도록 가만히 혼화하고, 배지가 완전히 고화될 때까지 정치하였다. 희석 시료액을 샬레에 나누어 주입한 후 배지와 혼화하기까지의 조작은, 20분간 이내에 종료하여 배지가 응고되면 샬레를 도치하여 부화기 내에서 30분간 배지의 표면을 건조시키고, 배양은 35 ℃, 48시간 행하였다. 그 후 1평판당 30 내지 300개의 발육이 확인된 평판의 발육 취락을 계측하여, 2매의 평판의 취락수를 평균하고 희석 배수를 곱하여 식품 1 g의 생균수를 산출하였다.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
받침 용기용으로서 필러가 들어간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트 및 덮개용으로서 폴리스티렌 수지 시트에 미연신 차단 다층 필름을 폴리우레탄계 드라이 라미네이트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다층 수지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들 다층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도10(용기), 도11(덮개), 도12(덮개를 용기에 씌운 도면)에 도시한 형상으로 열성형하였다. 덮개에는 천정면에 직경 25 ㎝의 C자 구멍을 성형 후, 성형품을 뽑기 전에 중간 폰스에 의해 제작하였다. 이들 받침 용기 및 덮개의 수직인 플랜지부를 실시예에 나타내는 띠형 테이프를 이용하여 봉함하였다. 용기 내 용량은 800 ㎤였다. 이 용기를 챔버를 이용하여 진공 및 가스 치환을 행하고, 포장 용기 내를 고순도 질소 가스(순도 99.99 %)로 가스 치환을 행하고, 덮개의 C자 구멍을 직경 35 ㎝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원형 접착 라벨로 밀봉하여, 그 후 용기 내부의 가스 조성을 봉함 직후와 봉함 후 1일 및 10일 경과시에 측정하였다. 조건 및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별도로 식품의 일예로서 햄버그를 용기 실시예에 이용한 내용량 800 ㎤의 용기에 넣고,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각종 혼합 가스(1 : 1)를 이용하여 진공식 가스 치환 포장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조정한 샘플을 복수개 준비하고, 각종 온도에서 1주일 보존하여 일반 생균수를 잠시 측정하였다. 일반 생균 측정은 동일 조건으로 준비한 복수개의 샘플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조건 및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비교예)
받침 용기용으로서 필러가 들어간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트 및 덮개용으로서 폴리스티렌 수지 시트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 조건 및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챔버 내에 있어서 탈기 후 가스 치환을 행하므로, 가스 플래쉬 방식의 가스 치환 방법에 비해 포장 용기 내의 공간부 및 내용물 내의 공기를 가스로 고치환율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성 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밀봉 포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포장 자재가 적고, 당업자의 용기 재활용법을 기초로 한 사업자 부담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를 띠형 테이프로 봉함하여 용기 내부를 밀봉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경우에 용기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도 받침 용기와 덮개가 포개어진 모서리부의 높이에 맞추어, 띠형 테이프의 높이 등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대응 가능하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도 선택할 필요가 없어 개봉도 매우 용이하다.
Figure 112004026279958-pct00001

Claims (10)

  1. 받침 용기 및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 용기 및 덮개가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포개어짐으로써 받침 용기 상면을 덮고, 그 포개어짐부가 띠형 테이프에 의해 봉함되는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을 통해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탈기된 후 공기 이외의 가스로 치환된 다음에 구멍이 접착 라벨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플라스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띠형 테이프 및 접착 라벨이 가스 차단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받침 용기 및 덮개의 모서리부에 개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말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연직부 및 이들 경계부에 존재하는 모서리부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 중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가 외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보다 길고, 외측의 연직부 말단부가 접하는 부분의 내측의 연직부는 단차부를 갖고, 이 상기 단차부를 걸쳐 띠형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스 치환용 구멍은 덮개 상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연직부는 수평부로부터 연직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7. 삭제
  8. 받침 용기 및 덮개의 모서리부가 개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말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연직인 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 중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가 외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보다 길고, 외측의 연직부 말단부가 접하는 부분의 내측의 연직부에는 단차부를 가지며, 덮개의 모서리부 또는 받침 용기의 모서리부에, 또는 덮개의 모서리부와 받침 용기의 모서리부에, 연직부가 내측으로, 수평부가 하방으로 각각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 포장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중첩되는 쪽의 연직부 말단부로부터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보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 포장 용기.
  10. 삭제
KR1020047009510A 2001-12-20 2002-12-16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KR100689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8195 2001-12-20
JPJP-P-2001-00388195 2001-12-20
PCT/JP2002/013139 WO2003053809A1 (fr) 2001-12-20 2002-12-16 Procede permettant de produire un emballage sous atmosphere modifi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64A KR20040072664A (ko) 2004-08-18
KR100689167B1 true KR100689167B1 (ko) 2007-03-09

Family

ID=1918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510A KR100689167B1 (ko) 2001-12-20 2002-12-16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66840B1 (ko)
KR (1) KR100689167B1 (ko)
CN (1) CN1606525B (ko)
AU (1) AU2002366767A1 (ko)
CA (1) CA2471233A1 (ko)
DE (1) DE60236372D1 (ko)
WO (1) WO2003053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O20040307A1 (it) * 2004-11-22 2005-02-22 Coopbox Europ S P A Vaschetta in materiale plastico per il confezionamento di alimenti suscettibili di rilasciare liquidi.
CN101723138A (zh) * 2009-12-02 2010-06-09 徐晋 肉夹馍派及其包装方法
FR3005937B1 (fr) * 2013-05-24 2015-10-16 Selenium Medical Emballage, de preference medical, et ensemble d'emballages correspondant
CN108382740B (zh) * 2018-02-28 2019-07-05 山东小麦歌环保科技有限公司 卫生安全环保食品包装盒及其生产方法
CN110255462B (zh) * 2019-08-01 2020-12-01 聊城市孚德食品有限公司 一种海鲜罐头密封流水生产装置
CN115196069B (zh) * 2022-09-15 2022-11-29 沧州市金三洋塑业有限公司 一种闭合收尾式惰性气体填充型保鲜膜包装盒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2921A (en) * 1967-09-13 1969-07-01 Monsanto Co Sealed container
JPS5529407A (en) * 1978-08-03 1980-03-01 Keiichi Isotani Preservation gas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d body
JPS5962468A (ja) * 1982-10-04 1984-04-09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印刷インキを容器に充填包装する方法
US4548852A (en) * 1983-05-02 1985-10-22 Pak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perishable products in a reduced air atmosphere
EP0197073B1 (fr) * 1984-10-05 1989-05-10 Cod Inter Techniques Sa Emballage etanche, procede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 de cet emballage
DE8433828U1 (de) * 1984-11-17 1985-01-10 Marienfeld, Gerd, 6970 Lauda-Königshofen Verpackung mit Objekttraegern
JPH0266450U (ko) * 1988-11-11 1990-05-18
US5447234A (en) * 1992-11-13 1995-09-05 Eastman Kodak Company Recyclable/reusable containers for packaging graphical sheet materials
JP2000318709A (ja) * 1999-05-11 2000-11-21 Furukawa Mfg Co Ltd 真空ガス置換包装装置
JP4108881B2 (ja) * 1999-07-30 2008-06-25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運搬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6840B1 (en) 2010-05-12
EP1466840A1 (en) 2004-10-13
KR20040072664A (ko) 2004-08-18
EP1466840A4 (en) 2009-01-28
CN1606525B (zh) 2012-05-23
CN1606525A (zh) 2005-04-13
CA2471233A1 (en) 2003-07-03
WO2003053809A1 (fr) 2003-07-03
DE60236372D1 (de) 2010-06-24
AU2002366767A1 (en)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71B2 (en) Liquid sequestering container, optionally with peelably detachable layers
CA2166947C (en) Package with shrink film lidstock
US10118332B2 (en) Formed thermoplastic article having a peelable surface and smooth edges
US8697160B2 (en) Suspension packaging with on-demand oxygen exposure
AU2002364972A1 (en) Package having an inflated frame
US20110311688A1 (en) Package comprising on-demand collapsible support member
US20050233036A1 (en) Rigid reclosable bacon package
US20060172098A1 (en) Retortable/peelable film
JPH04242561A (ja) 薄く裁断された肉類用半硬質パッケージ
WO2012122427A2 (en) Liquid sequestering container, optionally with peelably detachable layers
US7165376B2 (en) Method for producing gas exchange package
KR102309363B1 (ko) 매끄러운 연부 및, 임의적으로, 박리 가능한 표면을 가지는 형성된 열가소성 물품
WO2011067305A1 (en) Self-absorbing gas-barrier receptacle for food packaging and food package obtained therefrom
KR100689167B1 (ko) 가스 치환 포장 부재의 제조 방법
JP2007528328A (ja) 真空スキン包装
US20150056342A1 (en) Package With Ridged Do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5307124A (ja) 接着テープ
JP4394874B2 (ja) ガス置換包装体の製造方法、ガス置換包装体及び密封用包装容器
JPWO2005059869A1 (ja) 接着ラベル
JP2003261844A (ja) ガスバリアー性熱収縮接着テープ
JP2003267450A (ja) ガスバリアー性接着ラベル
JP2005059904A (ja) 中皿を収納した包装容器およびその中皿
JP2003246973A (ja) ガスバリアー性接着テープ
ES2873100T3 (es) Un envase recerrable
JP2004203437A (ja) 密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