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600B1 -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600B1
KR100688600B1 KR1020000010004A KR20000010004A KR100688600B1 KR 100688600 B1 KR100688600 B1 KR 100688600B1 KR 1020000010004 A KR1020000010004 A KR 1020000010004A KR 20000010004 A KR20000010004 A KR 20000010004A KR 100688600 B1 KR100688600 B1 KR 10068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font
type
displayed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644A (ko
Inventor
신토쿠아키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각종 언어의 문자 등을 OSD표시 할 때에, 단어를 생략하거나 2행으로 나누거나 하지 않고, 보기 쉽고 밸런스 좋고, 또한 고품위한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입력신호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종류를 판별하는 입력신호 판별부(2)와, 사용자로부터의 표시언어 요구신호와 입력신호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종류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폰트의 종류 및 폰트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OSD 제어마이콤(3)과, OSD제어마이콤(3)에 의해 결정된 폰트의 종류 및 폰트의 사이즈에 따라서, OSD 표시신호를 생성하는 캐릭터 제너레이터IC(5)를 갖는다.

Description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Font control method and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를 실현하는 일 실시의 형태의 OSD신호 생성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2는 화상표시범위 내에서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제한을 오버하는 예와, 조합문자 폰트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하는 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조합문자폰트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표시언어에 의해 화상표시범위 내의 표시밸런스가 악화하는 예와, 폰트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으로 표시밸런스를 조정하는 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표시언어에 따라서 사용하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와 큰 사이즈의 폰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신호의 종류에 의해 OSD표시가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는 예와, 폰트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으로 OSD표시를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하는 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하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와 큰 사이즈의 폰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OSD 제어마이콤에 의한 폰트결정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입력신호 판별부 3. OSD 제어마이콤
4. 캐릭터 제너레이션 IC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위 OSD(On Screen Display)표시 등에 있어서의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문자 등을 관면표시할 경우는, 모든 언어(예를 들면 영어/프랑스어/독일어/이태리어/스페인어/일본어/중국어 등)의 문자 등에 있어서 동일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여, OSD 등의 표시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의 경우, 그 단어의 스펠은 문자수가 많고, 한편 예를 들면 한자 등을 사용하는 언어의 경우, 문자수는 작으나 화수는 크게 되기도 하는 등, 언어에 의해 표시문자수나 표시에 요하는 도트수(화소수) 등이 크게 다르다.
그 때문에, 각종 언어의 문자열을 OSD표시 할 경우, 이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예를 들면, 표시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화상표시범위 내에, 복수의 단어로 이루는 문장 등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느 행의 최후의 단어의 스펠의 도중에서,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에 표시가능한 문자수의 제한(1행분의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제한)을 오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는 예를 들면 이 1행 내의 단어를 생략한 스펠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 1행을 2행으로 나눠서 표시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 단어를 생략한 스펠을 사용한 경우, 이 생략한 스펠이 실제로 어느 단어를 의미하는 지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에 있어서는 의미불명의 단어가 되게된다. 또, 상기 1행을 2행으로 나눈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당히 알기 어려운 표시로 되게 된다.
(2) 예를 들면, 언어에 따라서는, OSD표시한 경우에 화면 전체의 밸런스가 좋지 않은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어느 문장 등을 영어표시로 하면 화면 가득히 표시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일본어 표시로 하면 화면의 일부에 치우친 표시가 되고, 밸런스가 나쁘게 되는 것이다. 또, 일본어나 중국어 등의 한자를 사용하는 언어의 경우, 획수가 많은 한자를 표시하는 데는 많은 도트(화소수)가 필요하게 된다.
(3) 예를 들면, 소정의 화소수로 이루는 화상표시범위 내에, 복수의 문자나 단어로 이루는 문자열 등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1행분의 문자열의 문자수가 많을 때, 입력신호의 표시규격에 따라는 그 문자열의 일부가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표시규모에는 예를 들면 소위 XGA(eXtended Graphics Array)나 VGA(Video Graphics Array), S(Super) VGA 등의 각종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이 존재하고 있고, 어느 표시규격의 경우는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에서 1행분에 들어가는 문자열이 있었다고 해도, 별도의 표시규격의 경우는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의 1행분에는 수용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는 할 수 없이 그 문자열을 구성하는 단어로 생략한 스펠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 1행을 2행으로 나눠서 표시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상술한 (1)의 문제점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상기 단어를 생략한 스펠을 사용한 경우는, 이 생략한 스펠이 실제로 어느 단어를 의미하는지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의미불명의 언어로 되게된다. 또, 상기 1행을 2행분으로 나눈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상당히 알기 어려운 표시로 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각종 언어의 문자 등을 OSD표시 할 때에, 단어를 생략하거나 1행을 2행으로 나누거나 하지 않고, 보기쉽고 밸런스좋고, 또한 고품위한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폰트 제어방법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폰트 제어방법은, 표시하여야 할 캐릭터의 종류와 입력신호의 종류를 구하고, 캐릭터의 종류 및 입력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를 결정하고,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라서 캐릭터의 표시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폰트 제어장치는 표시하여야 할 캐릭터의 종류를 판정하는 캐릭터종류 판정수단과,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입력신호 종류판별수단과, 캐릭터의 종류 및 입력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라서 캐릭터의 표시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생성수단과를 갖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를 실현하는 일실시의 형태의 OSD 신호생성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다.
이 도 1에 있어서, 단자(1)에는 예를 들면 XGA나 VGA, SVGA 등의 각종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신호가 입력신호로서 공급된다. 단자(4)에는 사용자가 표시하여야 할 캐릭터로서 요구하는 표시요구가 입력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말하는 상기 캐릭터와는, 문자나 기호, 숫자, 특수한 제어문자뿐만 아니라 소위 아이콘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로 언어(예를 들면 영어/프랑스어/독일어/이태리어/스페인어/일본어/중국어 등)을 들어서 설명하기 위해, 상기 단자(4)에 공급되는 표시요구신호를, 이하, 표시언어 요구신호라고 부르기로 한다. 상기 단자(1)로부터의 입력신호는 입력신호 판별부(2)에 보내지고, 상기 단자(4)로부터의 표시언어 요구신호는 OSD 제어마이콤(마이크로 컴퓨터)(3)에 보내진다.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2)에서는, 입력신호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 입력신호 판별부(2)에서는, 상기 입력신호와 동시에 그 판별에 의해 얻어진 입력신호 종류정보가 출력되고, OSD 제어마이콤(3)에 보내진다.
OSD 제어마이콤(3)은, 상기 입력신호 판별부(2)로부터의 입력신호 및 그 종류정보와, 단자(4)에서 공급되는 사용자로부터의 표시언어 요구신호에 의거하여, OSD 표시하여야 할 문자나 아이콘 등의 폰트의 종류와, 그 폰트의 크기 즉 폰트사이즈를 결정하고, 그들 폰트의 종류와 폰트사이즈정보를 캐릭터 제너레이터IC(5)로 보낸다.
캐릭터 제너레이터IC(5)에서는, OSD 제어마이콤(3)에서 공급된 폰트의 종류와 폰트사이즈정보에 의거하여, 화면표시용의 신호(OSD신호)를 생성하고, 단자(6)에서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화면표시부에 보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중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OSD 화면표시범위(GE) 내에, 복수의 단어로 이루는 문장 등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느 행에 표시하는 문자열이 상기 화면표시범위 GE 내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 혹은 표시문자수가 상기 화면표시범위(GE)에 표시 가능한 최대문자수 이상으로 되게될 경우,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를 들면 1행의 최후의 단어의 스펠의 도중에서 상기 화상표시범위(GE) 내에 표시가능한 문자수의 제한(1행분의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제한)을 오버하게 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합문자 폰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 2중 (b)와 같이, 그 행의 문자열을 화상표시범위(GE) 내의 1행분의 문자수의 제한 내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에는 횡방향 28문자이고 종방향 16문자(행)의 범위가 화상표시범위(GE) 내로 되어 있는 예를 들고 있고, 도 2중 (a)의 예에서는, 10행째와 13행째의 문자열이, 이 화상표시범위(GE) 내의 1행(28문자)에 표시가능한 문자수의 제한을 초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0행째의 문자열의 최후의 단어 「CEILING」와 13행째의 문자열의 최후의 단어 「REAR」가, 각각 스펠의 도중에서 화면표시범위(GE)에서 삐져 나온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 2중 (a)의 10행째와 13행째의 문자열에 대해서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합문자 폰트를 사용함으로써, 도 2중 (b)와 같이, 이들 10행째와 13행째의 문자열이 화상표시범위(GE) 내의 문자수의 제한(28문자)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중 (b)의 예에서는 10행째의 문자열 내의 「INSTALLATION:」과 「FRONT CEILING」에 조합문자 폰트를 사용하고, 16행째의 문자열 내의 「SIRCS」와 「RECEIVER」에 조합문자폰트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것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조합문자폰트와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통상의 문자가 23도트×32도트의 범위 NF 내에 1문자로서 구성되어 있다고 한 경우, 이 23도트×32도트의 범위(NF) 내에 1문자 이상의 문자를 짜넣도록 한 문자의 것이다. 도 3은 예를 들면 통상시는 2문자분이 되는 범위(NF, NF) 내에 3분자분의 「W」,「/」,「B」를 짜넣은 예를 들고 있다. 또한, 이 도 3의 예는 일례이고, 시인성이 열화하지 않는 범위라면, 예를 들면 통상시에는 1문자분의 범위(NF) 내에 2문자 이상의 문자를 짜넣도록 해도 좋고, 또 통상시에는 3문자분의 범위(NF, NF, NF) 내에 4문자 이상의 문자를 짜넣는 등, 각종의 조합문자폰트가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화상표시범위 내에, 복수의 단어로 이루는 문장 등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느 행의 문자열이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에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제한(1행분의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제한)을 오버하게 될 경우에는, 그 오버하는 행의 문자열에 대해서 조합문자폰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 행의 문자열을 화상표시범위 내의 1행분의 문자수의 제한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예의 경우는, 이와 같은 경우, 단어를 생략한 스펠을 사용하거나, 혹은 1행을 2행으로 나눠서 표시하는 일이 행해지고, 그 결과로서 사용자에 있어서 의미불명의 단어가 되게 되거나, 상당히 알기 어려운 표시로 되어 있었는데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생략한 스펠이 사용되거나, 혹은 1행이 2행으로 나눠져서 표시되는 일이 없어지고, 보기 쉽고 또한 고품위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어느 문장을 화상표시범위(GE) 내에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문장을 예를 들면 도 4중 (a)와 같이 영어로서 표시할 때에는 도 5중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폰트의 문자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 영어표시를 화상표시범위(GE)의 화면 가득히 밸런스 좋게 배치 가능하게 하고, 한편 이 문장을 예를 들면 일본어로서 표시할 때에는, 도 4중 (b)와 같이 화상표시범위(GE) 내의 화면의 일부에 치우친 밸런스가 나쁜 표시가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도 5중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함으로써, 도 4중 (c)와 같이 일본어 표시의 문장이 화상표시범위(GE) 내에서 밸런스 좋게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4중 (a) 및 (b)에는 횡방향 28문자이고 종방향 16문자(행)의 범위가 화상표시범위(GE) 내로 되어 있는 예를 들고 있고, 도 4중 (a)의 예에서는 도 5 중 (a)에 표시하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의 문자 등을 사용함으로써, 화상표시범위(GE) 내의 화면 가득히 영어표시된 문자가 밸런스 좋게 배치되어 있는데 대해, 도 4중 (b)의 예에서는 일본어로 표시된 문자를 도 5중 (a)와 동일 사이즈의 폰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보다도 문자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일본어표시의 문자가, 화상표시범위(GE) 내의 화면의 일부에 치우치게되고, 또, 획수가 많은 한자도 찌그러진 표시가 되어, 보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영어표시의 경우에는 폰트사이즈를 도 5중 (a)에 표시하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로 하는 것으로, 도 4중 (a)와 같이 이 영어표시를 화상표시범위(GE)의 화면 가득히 밸런스 좋게 배치 가능하게 하고, 한편 일본어표시를 행할 경우에는 도 5중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폰트사이즈를 크게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화상표시범위(GE)의 화면의 중앙에 표시가 되도록 그들의 표시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도 4중 (c)와 같이 일본어로 표시된 문자가 화상표시범위(GE) 내에서 밸런스 좋게 배치되고, 또한 보기 쉬운 문자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폰트사이즈를 크게 하여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화상표시범위(GE)는, 도 4중 (c)와 같이, 예를 들면 종방향 23문자로 횡방향 16문자(행)의 범위가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5중 (a)에 나타내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에는 18도트×30도트의 범위(SF) 내에서 1문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고, 도 5중 (b)에 나타내는 큰 사이즈의 폰트에는 24도트×32도트의 범위(BF) 내에서 1문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고 있으나, 이들은 일예이고, 시인성이 열화하지 않는 범위라면, 더욱 작은 사이즈의 폰트나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문자로서 일본어의 문자를 예로 들고 있는바, 예를 들면 중국어의 문자나 특수한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이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언어에 의해 OSD표시한 경우에 화면전체의 밸런스가 나쁘게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그 언어에 따른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고, 다시 표시위치의 조정도 행함으로써, 밸런스좋고 보기 쉬운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중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화소수로 이루는 소정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 내에, 복수의 문자나 단어로 이루는 문자열 등을 표시하고자 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그래픽스 표시규격과는 별도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이고 또한 1행분의 문자수가 많아지는 입력신호가 공급되고, 문자열의 일부가 상기 화상표시범위(GE) 내에 수용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도 7중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폰트의 문자 등을 사용함으로써, 도 6중 (b)와 같이 그 문자열 전체를 화상표시범위(GE)의 범위내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6중 (a)에는 횡방향 23문자이고 종방향 16문자(행)의 범위가 화상표시범위(GE) 내로 되어 있는 예를 들고 있고, 도 6중 (a)의 예에서는 이 화상표시범위(GE) 내에, 별도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입력신호에 의한 도 7중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큰 사이즈의 폰트의 문자열을 표시하고자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4행째와 8행째, 11행째, 12행째의 각 문자열이 그 화상표시범위(GE) 내의 1행(23문자)에 수용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 도 6중 (a)의 예에서는, 4행째의 문자열 「INPUT-A」과 8행째의 문자열 「1234」, 11행째의 문자열 「NO. 06」, 12행째의 문자열 「640×400」이, 각각 1행분의 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그래픽스 표시규격을 예로 들면, 예를 들면 소위 멀티스캔 디스플레이와 같이, 입력신호의 해상도가 복수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소위 XGA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 내에는 OSD표시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소위 VGA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의 경우는 그 범위내의 화소수가 적기때문에, 입력신호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에 따라서는, 그 표시문자열이 이 VGA규격의 화상표시범위(GE)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 6중 (a)와 같이, 화상표시범위(GE)내에 수용되지 않는, 별도의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입력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도 7중 (a)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폰트의 문자 등을 사용함으로써, 도 6중 (b)와 같이, 문자열 전체가 화상표시범위(GE)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보다 구체적인 그래픽스 표시규격을 예로 들면, XGA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의 경우에는 이 화상표시범위(GE)에 표시되는 폰트를 큰 사이즈로 하고, 또, 예를 들면 SVGA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의 경우에는 이 화상표시범위(GE)에 표시되는 폰트를 중간 정도의 사이즈로 하고, 또한 예를 들면, VGA규격에 대응한 화상표시범위(GE)의 경우에는 이 화상표시범위(GE)에 표시되는 폰트를 작은 사이즈로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화소수가 적은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화상표시범위(GE)로서, 도 6중 (a)와 같이 예를 들면 횡방향 23문자이고 종방향 16문자(행)의 범위를 예로 들고, 한편 화소수가 많은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화상표시범위(GE)로서, 도 6중 (b)과 같이 예를 들면 횡방향 28문자이고 종방향 16문자(행)의 범위를 예로 들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소수가 많은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화상표시범위(GE)에 사용하는 폰트 사이즈로서 도 7중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4도트×32도트의 범위(BF) 내에서 1문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고, 화소수가 작은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화상표시범위(GE)에 사용하는 폰트사이즈로서 도 7중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8도트×32도트의 범위(SF)내에서 1문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고 있다. 단, 이들은 일례이고, 시인성이 열화하지 않는 범위라면, 더욱 작은 사이즈의 폰트나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그래픽스 표시규격도 상술한 XGA나 VGA 등에 한하지 않고, 다른 표시규격이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래픽스 표시규격에 의해, 폰트사이즈를 최적화 함으로써, 어떠한 그래픽스 표시규격의 입력신호라도, 그 문자열 전체를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예의 경우는, 이와 같은 경우 단어를 생략한 스펠을 사용하거나, 혹은 1행을 2행으로 나눠서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그 결과로서, 사용자에 있어서 의미불명의 단어가 되게 되거나, 상당히 알기 어려운 표시로 되어 있었던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생략한 스펠이 사용되거나, 혹은 1행이 2행으로 나눠져서 표시되는 일이 없어지고, 보기 쉽게 또한 고품위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8에는 도 1의 구성의 OSD 제어마이콤(3)에 있어서, 상술한 입력신호의 종류와 표시언어요구에 의거한 폰트 결정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이 도 8의 처리는 OSD 제어마이콤(3)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이 도 8에 있어서, OSD 제어마이콤(3)은, 먼저 스텝(S1)으로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표시언어의 종류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표시화면 상에 복수종류의 언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용 메뉴를 표시시키고, 이들 복수의 선택용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메뉴를 선택하였는지에 의해, 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표시언어의 종류를 구한다.
다음에,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2)으로서, 입력신호의 종류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1의 입력신호 판별부(2)에서 얻어진 입력신호 종류정보에 의거하여, 단자(1)에 공급된 입력신호가 어느 그래픽스 표시규격에 해당하는지를 구한다.
다음에,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3)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표시언어의 종류가, 일본어 또는 중국어, 혹은 문자는 아니고 소위 아이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이 때의 OSD 제어마이콤(3)은, 일본어나 중국어와 같이 한자를 사용한 언어, 혹은 특수한 아이콘과 같이,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표시하지 않으면 보기 어려운 폰트의 표시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스텝(S3)의 판단에 있어서, 일본어, 중국어, 특수한 마이콤 등의 표시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5)의 처리로 진행하고, 이것 이외이라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일본어, 중국어, 특수한 마이콤 등의 표시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5)에 있어서 큰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 스텝(S5)의 처리 후는, 스텝(S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3)에서 일본어, 중국어, 특수한 마이콤 등 이외의 표시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4)에 있어서 OSD 표시하는 문자열 등이 상기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스텝(S4)에서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된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7)의 처리로 진행하고, 수용되지 않는 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 OSD 표시하는 문자열 등이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된다고 판단한 경우,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7)에 있어서 작은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 스텝(S7)의 처리 후는, 스텝(S9)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4)에서 OSD 표시하는 문자열 등이 화상표시범위 내에 수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6)에 있어서 조합문자 폰트를 사용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 스텝(S6)의 처리 후는, 스텝(S8)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S8)의 처리로 진행하면, OSD 제어마이콤(3)은 화상표시범위 내의 1행분에 표시하는 문자수를 적게 한다. 이 스텝(S8)의 처리 후는 스텝(S10)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 스텝(S9)의 처리로 진행하면, OSD 제어마이콤(3)은, 화상표시범위 내의 1행분의 표시문자수를 그대로 한다. 이 스텝(S9)의 처리 후는 스텝(S10)의 처리로 진행한다.
OSD 제어마이콤(3)은, 스텝(S10)의 처리로 진행하고, 입력신호에 의해 OSD표시가 화면의 중앙으로 오도록 표시위치를 설정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면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하여야 할 캐릭터의 종류 및 입력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사용하는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를 결정하고, 폰트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라서 캐릭터의 표시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각종의 언어의 문자 등을 OSD표시 할 때에, 단어를 생략하거나 2행으로 나누거나 하지 않고, 보기 쉽고 밸런스 좋게, 또한 고품위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화상 표시 범위가 소정의 화소수로 되는 소정 규격의 하나가 되는 입력 신호에 의거한 화상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캐릭터의 종류를 구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표시해야 할 캐릭터의 종류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캐릭터로서 사용되는 폰트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소정 문자수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범위에 대해서 소정 문자수의 캐릭터보다 많은 문자수의 캐릭터를 조합한 조합 폰트를 작성하고,
    상기 표시해야 할 캐릭터의 수와 상기 표시가능 범위에 의거하여, 상기 조합 폰트의 사용/비사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언어를 구성하는 문자이며, 상기 표시해야 할 캐릭터의 종류는, 복수 캐릭터의 조합에 의해 의미를 구성하는 제 1언어의 캐릭터인지, 단일 캐릭터로 의미를 구성하는 제 2언어의 캐릭터인지를 표시하고,
    제 1언어의 캐릭터일 때에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로 하고, 제 2언어의 캐릭터일 때에는 큰 사이즈의 폰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의 종류에 따라서 표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방법.
  13. 화상 표시 범위가 소정의 화소수로 되는 소정 규격의 하나가 되는 입력 신호에 의거한 화상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캐릭터의 종류를 판정하는 캐릭터종류 판정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입력신호종류 판별수단과,
    상기 표시해야 할 캐릭터의 종류 및 상기 입력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캐릭터로서 사용되는 폰트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소정 문자수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범위에 대해서 소정 문자수의 캐릭터보다 많은 문자수의 캐릭터를 조합한 조합폰트를 작성하고, 표시하는 캐릭터의 수와 표시가능 범위에 의거하여, 상기 조합폰트의 사용/비사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언어를 구성하는 문자이며, 상기 표시해야 할 캐릭터의 종류는, 복수 캐릭터의 조합에 의해 의미를 구성하는 제 1언어의 캐릭터인지, 단일 캐릭터로 의미를 구성하는 제 2언어의 캐릭터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제 1언어의 캐릭터일 때에는 작은 사이즈의 폰트로 하고, 제 2언어의 캐릭터일 때에는 큰 사이즈의 폰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언어의 종류에 따라서 표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범위에 치우쳐서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캐릭터로서 사용되는 폰트의 사이즈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범위에 치우쳐서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캐릭터로서 사용되는 폰트의 사이즈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제어장치.
KR1020000010004A 1999-03-03 2000-02-29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88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6109 1999-03-03
JP05610999A JP4232260B2 (ja) 1999-03-03 1999-03-03 フォント制御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44A KR20010020644A (ko) 2001-03-15
KR100688600B1 true KR100688600B1 (ko) 2007-03-08

Family

ID=1301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004A KR100688600B1 (ko) 1999-03-03 2000-02-29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57626B1 (ko)
EP (1) EP1033697A1 (ko)
JP (1) JP4232260B2 (ko)
KR (1) KR100688600B1 (ko)
CN (1) CN1174366C (ko)
TW (1) TW5085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152A (ja) * 2000-11-10 2002-05-24 Fujitsu Ltd 画像表示制御装置
US7228501B2 (en) * 2002-11-01 2007-06-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ng a font
KR20040047554A (ko) * 2002-11-27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종횡비 변환에 적응하여 폰트를 제어해서 인터렉티브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0145B1 (ko) * 2003-08-04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례 폰트를 지원하는 온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13932A (ja) * 2004-06-25 2006-01-12 Funai Electric Co Ltd Tv用液晶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ic及びその検査方法
KR100601702B1 (ko) * 2004-09-30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Osd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1621642B (zh) * 2008-06-30 2013-03-06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机及其文字显示方法
KR102178258B1 (ko) * 2013-09-27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효과 제공 방법
JP6125464B2 (ja) * 2014-05-30 2017-05-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60023B2 (en) 2014-12-31 2018-05-0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odule control in a titanium-tungsten targe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697A (en) * 1988-02-10 1991-03-19 Ibm Corp. Method to automatically vary displayed object size with variations in window size
US5167016A (en) * 1989-12-29 1992-11-24 Xerox Corporation Changing characters in an image
US5416898A (en) * 1992-05-12 1995-05-16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xtual lines layouts
US5535119A (en) * 1992-06-11 1996-07-09 Hitachi, Ltd. Character inputting method allowing inpu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haracter spec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dopting the same
AU6390994A (en) * 1993-04-05 1994-10-24 Taligent, Inc. Font selection system
DE69400276T2 (de) * 1993-04-05 1997-02-13 Taligent Inc Zeichensatzsystem für texteingabe
BR9406793A (pt) * 1993-06-07 1996-01-30 Scientific Atlanta Sistema de exibicão de um terminal de assinante para sistema de televisão por assinatura sistema de exibição para gerar um primeiro sinal de vídeo e processo em sistema de exibição para gerar um primeiro sinal de vídeo
US5533174A (en) * 1993-10-26 1996-07-0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Network font server
JPH08163457A (ja) * 1994-10-05 1996-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ンスクリ−ン表示装置及びオンスクリ−ン表示方法
BR9506773A (pt) * 1994-12-14 1997-09-30 Philips Eletronics N V Processo de transmitir e de receber dados codificados transmissor receptor sinal de imagem e suporte de armazenamento
US5675818A (en) * 1995-06-12 1997-10-07 Borland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ed sorting with national language support
US6081623A (en) * 1995-10-11 2000-06-27 Citrix Systems, Inc. Method for lossless bandwidth compression of a series of glyphs
KR19980075429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관리장치에서 위젯의 폰트 변경 방법
US6073147A (en) * 1997-06-10 2000-06-06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distributing font resources over a comput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32260B2 (ja) 2009-03-04
CN1267051A (zh) 2000-09-20
KR20010020644A (ko) 2001-03-15
US6657626B1 (en) 2003-12-02
EP1033697A1 (en) 2000-09-06
TW508563B (en) 2002-11-01
JP2000250513A (ja) 2000-09-14
CN1174366C (zh)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148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0688600B1 (ko) 폰트 제어방법 및 장치
TWI383304B (zh) 用於文字訊息傳送之裝置及方法
US20030227565A1 (en)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bitmapped on-screen display using limited computing resources
US62921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 display and entry in character processing system
KR100846157B1 (ko)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보조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96244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method, display-use signal produc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3179134B2 (ja) 表意文字テレテキスト伝送システム
KR100510145B1 (ko) 비례 폰트를 지원하는 온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7948560B2 (en) On-scre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data according to attribute data
KR100301842B1 (ko) 학습용 티브이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JP3924266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vtr一体型カメラ
JP200513470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0139232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장치의 문자표시 제어방법(a letter expression controlling me thod of osd system)
JP2823401B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7086798A (ja) 表示方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表示用信号生成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0148867B1 (ko) 폰트롬 선택회로
JPH04301886A (ja) ディスプレイ制御回路
JP2002016852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244278A (ja) メニュー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H0766258B2 (ja) ワ−ドプロセツサ
JPH07248890A (ja) 電子機器
JP2010039343A (ja) Osd回路、表示装置及びosd表示方法
JPH1028294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