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108B1 -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108B1
KR100687108B1 KR1020050045860A KR20050045860A KR100687108B1 KR 100687108 B1 KR100687108 B1 KR 100687108B1 KR 1020050045860 A KR1020050045860 A KR 1020050045860A KR 20050045860 A KR20050045860 A KR 20050045860A KR 100687108 B1 KR100687108 B1 KR 10068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ource
high power
regions
sour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102A (ko
Inventor
전광연
이태선
이정호
김종민
김준현
Original Assignee
라이톤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톤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라이톤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004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108B1/ko
Priority to TW094140153A priority patent/TWI271859B/zh
Priority to CNB200510124128XA priority patent/CN100431168C/zh
Priority to US11/300,448 priority patent/US20060267092A1/en
Publication of KR2006012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108B1/ko
Priority to US11/878,896 priority patent/US200900014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01L29/0696Surface layout of cellular field-effect devices, e.g. multicellular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1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n edge termina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01Structure
    • H01L2224/0603Bonding areas having different sizes, e.g. different heights or wid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고전력 트랜지스터 내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고전력 집적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소자는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에피텍셜 영역; 상기 제1 에피텍셜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 도전형을 갖는 다수의 바디 영역;상기 각 바디 영역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스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스영역과 중첩되며, 적어도 그 일단부가 상기 소스영역의 일단부 보다 연장된 소스전극 콘택 영역; 및 상기 이웃하는 소스전극 콘택영역 사이의 바디영역 및 에피층을 지나는 다수의 게이트를 포함한다.
전력용 반도체, MOSFET,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콘택, 소스

Description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 반도체 소자{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arasitic bipolr transostor from tuing on}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력 MOSFET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고전력 MOSFET 및 그 내부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관계를 보이는 회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종래 고전력 MOSFET 칩의 모서리 부분, 가장자리 부분 및 게이트 패드 부분에 위치하는 셀의 구조를 보이는 레이아웃.
도 3a는 도 2a의 A-A'선 및 도 2b의 J-J'선을 따른 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B-B'선, 도 2b의 I-I'선 및 도 2c의 K-K'선을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2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3d는 도 2a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a의 소스영역과 콘택영역의 개략적인 배치 및 전류의 흐름 방향을 보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SFET의 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MOSFET의 칩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도 7a는 도 6에 보이는 칩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셀의 레이아웃.
도 7b 및 도 7c는 각각 7a의 E-E'선 및 F-F'선을 따른 단면도.
도 8a는 도 6에 보이는 칩의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셀의 레이아웃.
도 8b는 도 8a 보이는 레이아웃 상의 게이트 금속전극 및 소스 금속전극 배치를 보이는 레이아웃.
도 9a는 도 6에 보이는 칩의 게이트 패드 근처에 위치하는 셀의 레이아웃.
도 9b는 도 9a 보이는 레이아웃 상의 게이트 금속전극 및 소스 금속전극 배치를 보이는 레이아웃.
도 10은 도 7a의  소스영역과 콘택영역의 개략적인 배치 및 전류의 흐름 방향을 보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ub: 반도체 기판 EL: 에피층
PB: 바디 영역 G: 게이트
S: 소오스 D: 드레인
CT: 콘택영역
본 발명은 고전력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전류밀 도(di/dt)에 대해 견고성(ruggedness)이 향상되며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턴 오프(turn off) 상태에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parasitic bipolar transistor)가 턴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전력 MOSFET에 관한 것이다.
고전력 소자는 높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낮은 온-저항(on-resistance), 빠른 스위칭 속도 즉, 낮은 스위칭 손실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비해 낮은 입력 임피던스, 빠른 스위칭 속도, 우수한안전 동작영역을 갖는 MOSFET이 고전력 소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력 MOSFET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종래 고전력 MOSFET는 드레인으로서 역할하는 p형 반도체 기판(sub), 반도체 기판(sub) 상에 형성된 n형 에피층(epitaxial layer)(EL),에피층(EL)의 표면에 형성된 p형 바디영역(body region)(PB), 에피층(EL) 및 바디영역(PB) 상에 형성된 게이트(G), 게이트(G) 양단의 바디영역(PB) 표면에 형성된 n+형 소스영역(S)을 포함한다. 도 1a에서 도면부호 'IL'은 PSG(phosphor silicate glass) 등과 같은 절연막을 나타낸다.
고전력 MOSFET의 항복전압 및 온저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도체 기판 상에 에피층(EL)을 필수적으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전력 MOSFET 내부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기생적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n+형 소스영역(S), p형 바디영역(PB), n형 에피층(EL)이 각각 에미터(emitter), 베이스(base), 콜렉터 (collector)처럼 역할하여 npn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와 같은 고전력 MOSFET 및 그 내부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관계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기생 트랜지스터가 부득이하게 턴온이 되면 래치(latch)가 발생하여 소자가 파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이 억제되도록 고전력 MOSFET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고전력 MOSFET이 턴 온(turn on)에서 턴 오프(turn off)로 전환되면 게이트(G) 아래의 채널이 닫혀진다. 따라서, 채널을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없고  모든 전류는 MOSFET의 내부 다이오드(D1)로 흐르게 된다. 즉, 전력용 MOSFET의 드레인단에 양의 전압을 가하면 n형 에피층(EL)과 p형 바디영역(PB)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다이오드(D1)에 역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게이트(G) 전압이 오프되면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에 의해 내부 다이오드(D1)의 공핍영역(depletion region)을 통하여 p형 바디영역(PB)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때, 소스영역 하부 p형 바디영역(PB)의 저항, 즉 베이스 분포 저항(Rbe)으로 인한 전압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전압변화가npn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킬 수 있는 정도, 예를 들어 0.7 V 이상이 되면, 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전류와베이스 분포저항(Rbe)의 곱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변화의 크기가 일정크기 보다 작으면 npn 기생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전류 밀도가 점점 증가하여 전압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변하면 npn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 특성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전류 가 증가해 소자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d,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고전력 MOSFET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도 2b, 도 2c는 각각 종래 고전력 MOSFET 칩의 모서리 부분, 가장자리 부분 및 게이트 패드 부분의 확대 레이아웃이다. 도 3a는 도 2a의 A-A'선 및 도 2b의 J-J'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B-B'선, 도 2b의 I-I'선 및 도 2c의 K-K'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2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d는 도 2a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칩의 링 영역과 스크라이브 레인의 하단영역에서 흘러오는 전류는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은 구조의 좌측에서부터 안쪽으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항상 소스전극 콘택영역(이하, 콘택영역이라 함)(CT) 보다 n+ 소스영역(S)을 먼저 만나게 된다. 즉, 링 영역(ring region)과 스크라이브 레인(scribe lane)에서 흘러 들어오는 전류는 n형 에피층(EL)과 p형 바디영역(PB)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오드를 통하여 흐른 뒤, 콘택영역(CT)으로 빠져나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n+ 소스 영역(S)에 의해 통로가 막힌다. 이에 따라, 전류는 n+ 소스 영역(S)의 저면을 따라서 흐르다가 도 3b와 같이 바디영역(PB)과 콘택영역(CT)이 접하는 부분에 이르러서야 콘택영역(CT)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종래 고전력 MOFET의 구조적 특성상 전류가 항상 소스영역(S) 하단 p형 바디영역(PB)의 베이스 분포저항(Rbe)을 거치게 된다. 도 3a와 같이 콘택영역(CT)과 p형 바디영역(PB)이 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콘택영역(CT)을 통하여 전류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막혀져  있어, 전류는 통로를 찾기 위해 p형 바디영역(PB) 내부를 통하여 흐르다가 도 3b 및 도 3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택영역(CT)과 p형 바디영역(PW)이 접하는 부분에 이르면, 콘택영역(CT)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전류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막혀있는 구조는, 베이스 분포저항(Rbe)에 의해 전압 변화가 일어나, npn 기생 트랜지스터의 턴온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바람직하지 않은 구조이다. 또한 도 3b와 같이, 전류가 소스영역(S)의 하단부를 거쳐 콘택영역(CT)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에서도, 역시 베이스 분포저항(Rbe)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역시 작기는 하지만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피할 수 없다.
도 4는 도 2a의 n+ 소스영역(S)과 콘택영역 (CT)의 개략적인 배치 및 전류의 흐름 방향을 보이는 평면도로서, MOSFET의 턴-오프 상태에서 소스영역(S)을 향하는 전류의 흐름 보이는 개략도이다. 콘택영역(CT)을 n+ 소스영역(S) 보다 먼저 만나는 전류(I1)는 콘택영역(CT)을 통하여 쉽게 빠져 나가기 때문에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n+ 소스영역(S)의 하단 부분을 거치게 되는 전류(I2)는 콘택영역(CT)으로 빠져나가기 전에 소스영역(S) 하부의 베이스 분포저항(Rbe)을 통하여 흐르게 됨으로써,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일으키는 전압변화의 요인이 된다.
일단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특성에 의해 전류의 밀도가 자체적으로 증가하고, 밀도가 제일 높은 부분에서 소자가 파괴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칩의 모서리 부분 뿐만 아니라, 가 장자리 부분 및 게이트 패드 부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흐르는 전류 밀도(di/dt)를 조절하여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류밀도가 높으면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소자를 파괴시킬 수 있는 확률이 증가하므로, 전류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n+ 소스영역(S) 하부에 주입되는 p형 불순물의 농도를 높여, 즉, 베이스 분포저항(Rbe)을 감소시켜 다이오드의 턴온을 억제시키고자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n+형 소스영역(S) 좌우측의 바디영역(PB) 농도에 영향을 주어 게이트(G)의 턴온 전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n+형 소스영역(S)의 농도를 낮추게 되어 채널 저항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어 소자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전력 트랜지스터 내에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전력 집적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력소자는,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에피텍셜 영역; 상기 제1 에피텍셜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 도전형을 갖는 다수의 바디 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스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스영역과 중첩되며, 적어도 그 일단부가 상기 소스영역의 일단부 보다 연장된 소스전극 콘택 영역; 및상기 이웃하는 소스전극 콘택영역 사이의 바디영역 및 에피층을 지나는 다수의 게이트를 포함하는 전력 소자를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전력소자는, 스크라이브 레인 및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내측을 따라서 형성된 링 영역을 갖는 고전력 소자에 있어서, 상기 링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에피텍셜 영역; 상기 제1 에피텍셜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 도전형을 갖는 다수의 바디 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스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스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하단부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전류에 상기 소스영역 보다 먼저 접하는 소스전극 콘택 영역; 및 상기 이웃하는 소스전극 콘택영역 사이의 바디영역 및 에피층을 지나는 다수의 게이트를 포함한다.
이하 도 5, 도 6,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MOSFET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OSFET의 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MOSFET은 드레인으로서 역할하는 p형 반도체 기판(sub), 상기 반도체 기판(sub) 상에 형성된 n형 에피층(epitaxial layer)(EL), 에피층(EL) 표면에 형성되며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p형바디영역(PB), 바디영역(PB) 표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사다리(ladder) 형상을 갖는 n+형 소스영역(S), p형 바디영역(PB) 및 n+형 소스영역(S)을 지나고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부는 이웃하는 n+형 소스영역(S)의 일단부 보다 연장 된 다수의 소스전극 콘택영역(이하, 콘택영역이라 함)(CT), 이웃하는 소스전극 콘택영역(CT) 사이의 바디영역 및 에피층을 지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다수의 게이트(G)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MOSFET 내에는 n+ 소스영역(S), p형 바디영역(PB), n형 에피층(EL)이 각각 에미터(emitter), 베이스(base), 콜렉터(collector)와 같이 역할하여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력 MOSFET의 칩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스크라이브 레인, 주활성 영역(main active area), 주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불순물 영역으로 이루어진 링 영역(RA), 상기 주활성 영역의 일측 중심부에 위치한 게이트 패드(gate pad) 및 주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버스라인(bus line)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상기 주활성 영역에는 도 5와 같은 구조의 고전력 MOSFET이 형성된다.
도 6에 보이는 칩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셀의 레이아웃인 도 7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택영역(CT)의 일단부가 n+ 소스영역(S)의 일단부 보다 연장된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MOSFET의 턴-오프 상태에서 스크라이브 레인 하단부 및 링 영역 하단부로부터 소자의 내부를 향하여 흐르는 전류(I)가 n+ 소스영역(S)을 만나지 않고 바로 콘택영역(CT)을 만날 수 있다. 즉, 전류(I)가 n+ 소스영역(S) 하부의 p형 바디영역의 저항, 즉 베이스 분포 저항을 거치지 않고 바로 콘택영역(CT)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다. 한편, 각각 도 7a의 E-E'선 및 E-F '선을 따른 단면도인 도 7b와 도 7c를 비교하여 보면, di/dt 특성면에서는 도 7c와 같은 구조가 도 7b의 구조가 보다 양호하나, n+의 소 스영역(S)의 면적이 감소하는 만큼 드레인-소스 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설계시 di/dt 특성 및 드레인-소스 저항 상호간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도 8a 및 도 9a는 각각 칩 가장자리 부분 및 게이트 패드 부분의 셀 구조를 보이는 레이아웃이다. 칩 가장자리 부분 및 게이트 패드 부분에서도 역시 소스 콘택영역(CT)의 일단부를 n+ 소스영역(S)의 일단부 보다 연장된 영역에 위치시킨다. 즉 소스 콘택영역(CT)의 일단부를 소스영역(S)의 일단부 보다 셀 가장자리 영역에 가깝게 위치시시킨다. 이에 따라, p형 바디 영역(PB)과 콘택영역(CT)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MOSFET 트랜지스터의 턴-오프 상태에서 소스영역(S)을 향하여 흐르는  전류가 먼저 소스 콘택영역으로 빠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장자리 영역의  n+ 소스영역(S)의 면적은 종래 보다 감소하지만 그에 따른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
도 8b 및 도9b는 각각 도 8a 및 도 9a와 같은 배치를 갖는 가장자리 영역 및 게이트 패드 영역 상에 게이트 전극(GM)과 소스 전극(SM)을 배치한 상태를 보이는 레이아웃이다. 도 8a에 보이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GM)과 소스 전극(SM)은 각각 핑거구조를 가지며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요철 형상을 갖는 다수의 소스 전극(SM)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역시 요철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전극(GM)의 볼록부및 오목부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전력 MOSFET의 단위 활성  셀들 내에 소스 전극 콘택영역의 일단부가 소스 영역의 일단부 보다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고전력 MOSFET의 di/d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MOSFET의 턴 오프 상태에서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가 소스 영역 바로 아래의 바디영역(베이스 분포저항)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생 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크라이브 레인 및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내측을 따라서 형성된 링 영역을 갖는 고전력 모스펫 셀로서,
    상기 링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에피텍셜 영역;
    상기 제1 에피텍셜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 도전형을 갖는 다수의 바디 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스영역;
    상기 각 바디 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소스영역과 중첩되고, 적어도 그 일단부가 상기 소스 영역의 일단부 보다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 보다 셀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하단부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전류에 상기 소스영역 보다 먼저 접하는 소스전극 콘택 영역; 및
    상기 이웃하는 소스전극 콘택영역 사이의 바디영역 및 에피층을 지나는 다수의 게이트
    를 포함하는 고전력 모스펫 셀.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영역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고전력 모스펫 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고전력 모스펫 셀.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전극 콘택영역을 통하여 상기 소스에 연결되며 연속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을 갖는 소스 전극; 및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며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스 전극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각각 맞물리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갖는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하는 고전력 모스펫 셀.
KR1020050045860A 2004-08-11 2005-05-31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KR10068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60A KR100687108B1 (ko) 2005-05-31 2005-05-31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TW094140153A TWI271859B (en) 2005-05-31 2005-11-15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arasitical bipolar transistor from turning on
CNB200510124128XA CN100431168C (zh) 2005-05-31 2005-11-25 可抑制寄生双极晶体管的高功率半导体装置
US11/300,448 US20060267092A1 (en) 2005-05-31 2005-12-15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arasitical bipolar transistor from turning on
US11/878,896 US20090001459A1 (en) 2004-08-11 2007-07-27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arasitical bipolar transistor from turning 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60A KR100687108B1 (ko) 2005-05-31 2005-05-31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102A KR20060124102A (ko) 2006-12-05
KR100687108B1 true KR100687108B1 (ko) 2007-02-27

Family

ID=3746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860A KR100687108B1 (ko) 2004-08-11 2005-05-31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60267092A1 (ko)
KR (1) KR100687108B1 (ko)
CN (1) CN100431168C (ko)
TW (1) TWI271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3529B (zh) * 2011-08-08 2016-04-2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Mos晶体管的寄生双极型晶体管的特性表征方法
KR101366228B1 (ko) * 2013-01-23 2014-02-24 주식회사 케이이씨 전력 반도체 소자
WO2015107742A1 (ja) * 2014-01-16 2015-07-23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071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파워 모스펫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8542A (ko) * 1998-07-14 2000-02-07 김덕중 파워 모스펫 및 그 제조방법
JP2001189449A (ja) 1999-12-27 2001-07-10 Toshiba Corp 横型高耐圧トランジスタ
KR20060023282A (ko) * 2004-09-09 2006-03-14 라이톤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8602U (zh) * 1987-05-25 1988-07-20 南京工学院 双栅形高压mos集成电路
US5304831A (en) * 1990-12-21 1994-04-19 Siliconix Incorporated Low on-resistance power MOS technology
US6603173B1 (en) * 1991-07-26 2003-08-05 Denso Corporation Vertical type MOSFET
US5396097A (en) * 1993-11-22 1995-03-07 Motorola Inc Transistor with common base region
EP0696054B1 (en) * 1994-07-04 2002-02-20 STMicroelectronics S.r.l.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high-density MOS-technology power devices
DE69534919T2 (de) * 1995-10-30 2007-01-25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Leistungsvorrichtung in MOS-Technologie mit einer einzigen kritischen Größe
JP3240896B2 (ja) * 1995-11-21 2001-12-25 富士電機株式会社 Mos型半導体素子
JP4198302B2 (ja) * 2000-06-07 2008-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071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파워 모스펫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8542A (ko) * 1998-07-14 2000-02-07 김덕중 파워 모스펫 및 그 제조방법
JP2001189449A (ja) 1999-12-27 2001-07-10 Toshiba Corp 横型高耐圧トランジスタ
KR20060023282A (ko) * 2004-09-09 2006-03-14 라이톤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08542 *
1318944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102A (ko) 2006-12-05
US20090001459A1 (en) 2009-01-01
CN1874002A (zh) 2006-12-06
TWI271859B (en) 2007-01-21
CN100431168C (zh) 2008-11-05
US20060267092A1 (en) 2006-11-30
TW200642079A (en)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072A (en) Static induction type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doped layers for potential modification
KR100393201B1 (ko) 낮은 온 저항과 높은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갖는 고전압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US5757046A (en) MOS type semiconductor device
US6118150A (e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155338B (zh) 使用主体区扩展的碳化硅金属氧化物半导体(mos)装置单元中的电场屏蔽
US6794719B2 (en) HV-SOI LDMOS device with integrated diode to improve reliability and avalanche ruggedness
US5621234A (en)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 with breakdown voltage improvement region
US7462911B2 (e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US7417282B2 (en) Vertical 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VDMOS) device incorporating reverse diode
US2006008191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H05243561A (ja) 電力用半導体素子
US638828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100102381A1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100687108B1 (ko)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턴온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전력반도체 소자
US5336907A (en) MOS gate controlled thyristor having improved turn on/turn off characteristics
KR100423369B1 (ko) 반도체장치
KR102392277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US10811529B2 (en) Transistor device with gate resistor
KR0163928B1 (ko) 이미터 스위치 사이리스터
JPH0750405A (ja) 電力用半導体素子
KR100297704B1 (ko) 중첩된웰영역을갖는전력용반도체소자
KR100621556B1 (ko) 전력용 반도체 소자
JP4130643B2 (ja) 半導体素子
JPH10229194A (ja) 横型絶縁ゲー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2000058833A (ja) 電力用半導体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