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661B1 -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661B1
KR100686661B1 KR1020040117802A KR20040117802A KR100686661B1 KR 100686661 B1 KR100686661 B1 KR 100686661B1 KR 1020040117802 A KR1020040117802 A KR 1020040117802A KR 20040117802 A KR20040117802 A KR 20040117802A KR 100686661 B1 KR100686661 B1 KR 10068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fixing bracket
support roller
roll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830A (ko
Inventor
박찬종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4011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661B1/ko
Priority to US11/722,830 priority patent/US7621389B2/en
Priority to CN200580045574XA priority patent/CN101094798B/zh
Priority to PCT/US2005/046882 priority patent/WO2006073904A2/en
Priority to EP05855445A priority patent/EP1833749A2/en
Priority to JP2007549521A priority patent/JP4696129B2/ja
Publication of KR2006007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661B1/ko
Priority to HK08106760.7A priority patent/HK1119140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20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레일 길이보상 장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일련의 핸드레일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핸드레일의 여유 길이 보상시 과도한 굽힘 현상을 방지하여 핸드레일의 운전 시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동시에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고정 브라켓, 지지롤러, 중심조정롤러, 스톱퍼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Curvature-Adjustable Handrail Length Compensation Device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도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a는 종래의 상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b는 종래의 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종래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드레일 2: 구동풀리
3: 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 4: 상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
5: 핸드레일 압축롤러 6: 핸드레일 구동체인
8, 12: 고정 브라켓 9: 지지롤러
10: 중심조정롤러 15: 스프링
19: 스톱퍼 20: 안내막대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1 내지 도3으로써,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풀리 구동 방식의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구동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핸드레일 구동풀리(2)는 메인 스프라켓으로부터 핸드레일 구동체인(6)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핸드레일(1)의 내부면은 구동풀리(2)와 접촉하고 외부면은 핸드레일 압축롤러(5)에 의해서 가압되어 풀리의 외주면과 핸드레일 내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핸드레일(1)이 구동된다.
핸드레일(1)은 승객이 승차하는 구간에서는 플라스틱 가이드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나, 리턴부에서는 가능한 한 주행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롤러 또는 가이드로 불연속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핸드레일 구동부의 전ㆍ후로 설치된 상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4) 및 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3)는 만곡부에서 핸드레일(1)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키면서 핸드레일이 구동풀리에 의해서 정확히 구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도2a 및 도2b는 각각 종래의 상ㆍ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구동풀리(2)에 의해서 핸드레일(1)이 구동될 때 발생하는 장력과 핸드레일(1)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핸드레일(1)의 외부면은 지지롤러(9) 상에서 낮은 마찰력을 유지하며 지지된다. 중심조정롤러(10)는 핸드레일(1)의 내부 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핸드레일(1)이 사행하지 않도록 핸드레일(1)의 동작 중 중심을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지지롤러(9)와 중심조정롤러(10)는 고정 브라켓(8, 12)에 볼트로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 브라켓(8, 12)은 볼트 고정장치(11-a, 11-b, 13-a, 13-b)에 의해서 트러스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다.
핸드레일(1)의 상향 주행(승객 승차부에서의 상향 주행을 의미하므로, 도1에서는 좌측 방향으로의 주행을 의미함) 중, 핸드레일(1)은 구동력에 의한 인장력과 핸드레일(1) 자체의 하중 때문에 상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4)의 지지롤러(9)에 접촉하여 구동된다. 그러나, 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3)에서는 구동 시 순간적으로 핸드레일(1)에 압축력이 발생하여 가요성 핸드레일(1)이 지지롤러(9)로부터 부양하게 되고, 이로써, 중심조정롤러(10)에 핸드레일(1)의 내부면이 접촉하게 되어 주행저항이 커진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하단에 핸드레일 길이조정장치(도시 생략)를 두어 순간적으로 몰리는 핸드레일(1)의 길이를 보상하도록 한다.
핸드레일(1)의 하향 주행(도1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주행) 중에는, 핸드레일(1)은 구동력에 의한 인장력과 핸드레일(1) 자체의 하중 때문에 하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3)의 지지롤러(9)에 접촉하여 구동된다. 그러나, 상부 핸드레일 가이드롤러 장치(4)에서는 구동 시 순간적으로 핸드레일(1)에 압축력이 발생하여 가요성 핸드레일(1)이 지지롤러(9)로부터 부양하게 되고, 이로써, 중심조정롤러(10)에 핸드레일(1)의 내부면이 접촉하게 되어 주행저항이 커진다. 핸드레일(1)의 상향 주행 시와는 달리, 하향 주행 시에는 에스컬레이터 하단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 치가 상부 핸드레일 길이조정 장치(4)에 몰리는 핸드레일(1)의 길이를 적절히 보상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요성 핸드레일(1)이 지지롤러(9)에서 이탈하여 중심조정롤러(10)에 과도하게 충돌하며 구동되기 때문에 핸드레일(1)의 주행저항이 커지고, 심한 경우, 핸드레일(1) 내부면에 심각한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거나 에스컬레이터가 운행 도중 갑자기 정지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3에는 다른 종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종래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도1 내지 도2b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드레일(1)의 하향 구동 시 상부에 몰리는 핸드레일의 길이를 보상하는 장치이다. 도3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서는 지지롤러들이 하나의 고정 브라켓(14)에 고정되고, 이 브라켓에 연결된 스프링(15)에 의해서 길이보상장치 전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가요성 핸드레일의 길이를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도3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서는 지지롤러들의 배치가 항상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므로, 고정 브라켓의 길이(14)에 걸쳐서 핸드레일의 늘어난 길이를 보상하기 위한 최적의 곡률에 적응할 수 없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14)에 부착된 지지롤러들 중 양 끝단의 지지롤러들(16, 17)의 위치에서 핸드레일이 불연속적으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운행이 지속될 경우, 핸드레일은 물리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드레일의 하향 주행 시 순간적으로 몰리는 여분의 핸드레일 길이가 야기할 수 있는 핸드레일 구동부와 핸드레일 사이의 이상 물림 현상, 핸드레일 구동부에서의 핸드 레일의 과도한 미끄러짐 현상, 핸드레일 내부면의 물리적인 손상 및 갑작스러운 에스컬레이터의 정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핸드레일의 길이 보상 시 핸드레일이 과도하게 꺾여서 발생하는 손상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고정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일련의 핸드레일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은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가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고정 브라켓의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안내막대 및 안내막대에 설치되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은 지지롤러와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안내막대에 끼워져서, 지지롤러를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가압한다. 안내막대의 지지롤러 반대편 단부에는 스톱퍼가 형성된다. 핸드레일 가이드들 중 일부는 지지롤러로부터 고정 브라켓 반대편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중심조정롤러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에는 바람직하게는 방사형으로 핸드레일 가이드들이 장착된다. 중심조정롤러는 지지롤러와 일체형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핸드레일 구동부의 상ㆍ하 만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a 및 도4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 는다.
본 발명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고정 브라켓(8)과 이 고정 브라켓(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핸드레일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도4a와 도4b에서는 각각 5개의 핸드레일 가이드들이 고정 브라켓(8)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고정 브라켓(8)의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안내막대(20)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8)의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막대(20)는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상하 이동을 보다 신뢰성 있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8)가 고정 브라켓(8)의 구멍과 안내막대(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8)에 삽입된 안내막대(20)의 상부 측(핸드레일 측)에 스프링(15)이 삽입되고, 핸드레일(도시 생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9)가 스프링(15)과 접촉하며 안내막대(20)에 설치된다. 즉, 스프링(15)의 하부 단부는 고정 브라켓(8)과 접촉하고, 상부 단부는 지지롤러(9)에 접촉하여, 스프링(15)은 지지롤러(9)를 고정 브라켓(8)으로부터 상부로 가압하게 된다. 안내막대(20)의 하부 측에는 스톱퍼(19)가 형성된다. 이 스톱퍼(19)는 기본적으로 안내막대(20)가 고정 브라켓(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톱퍼(19)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안내막대(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폭을 조정할 수도 있다. 고정 브라켓(8)에 설치된 일련의 핸드레일 가이드들 중 일부는 지지롤러(9) 외에도 중심조정롤러(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심조정롤러(10)는 지지롤러(9)로부터 고정 브라켓(8) 반대편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안내막대(20)에 설치되고, 핸드레일은 지지롤러(9)와 중심조정롤러(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중심조정롤러(10)는 핸드레일의 사행을 방지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롤러(9)와 일체형인 중심조정롤러(1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작동 상황에서, 핸드레일 자체의 하중과 장력에 의해서 핸드레일은 지지롤러(9)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핸드레일이 지지롤러(9)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과 스프링(15)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 지지롤러(9)가 위치하게 된다. 핸드레일의 하향 주행 시 핸드레일의 여유 길이가 순간적으로 몰리게 되는 경우, 핸드레일의 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이 지지롤러(9)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고, 지지롤러(9)는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고정 브라켓(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핸드레일이 지지롤러(9)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은 조금씩 다르다. 각각의 지지롤러(9)가 모두 별개의 스프링(15)에 의해 고정 브라켓(8)에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지지롤러(9)는 자신의 위치에서 최적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롤러(9)의 높이에 의해 이루어지는 핸드레일의 곡률은 매 상황에 맞게 적절히 변화한다. 이로써, 과도한 굽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핸드레일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핸드 레일의 상향 운전 시 순간적으로 몰리는 여분의 핸드레일 길이는 도시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 하단의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핸드레일의 하향 운전 시 순간적으로 몰리는 여분의 핸드레일 길이를 보상 하는 데 있어서, 핸드레일의 과도한 굽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곡률에 적응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핸드레일의 운전 시 안전성을 개선시키며, 동시에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일련의 핸드레일 가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핸드레일 가이드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안내막대와,
    안내막대에 설치되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안내막대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롤러를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가압하고,
    상기 안내막대의 지지롤러 반대편 단부에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가이드들 중 일부는 상기 지지롤러로부터 상기 고정 브라켓 반대편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중심조정롤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조정롤러는 상기 지지롤러와 일체형인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방사형으로 상기 핸드레일 가이드들이 장착된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는 핸드레일 구동부의 상ㆍ하 만곡부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길이보상장치.
KR1020040117802A 2004-12-31 2004-12-31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KR10068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02A KR100686661B1 (ko) 2004-12-31 2004-12-31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US11/722,830 US7621389B2 (en) 2004-12-31 2005-12-21 Curvature-adjustable handrail length compensation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moving walkway
CN200580045574XA CN101094798B (zh) 2004-12-31 2005-12-21 用于自动扶梯和移动走道的曲率可调扶手长度补偿装置
PCT/US2005/046882 WO2006073904A2 (en) 2004-12-31 2005-12-21 Curvature-adjustable handrail length compensation device for escalator
EP05855445A EP1833749A2 (en) 2004-12-31 2005-12-21 Curvature-adjustable handrail length compensation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moving walkway
JP2007549521A JP4696129B2 (ja) 2004-12-31 2005-12-21 曲率調整可能な手すり長さ補償装置
HK08106760.7A HK1119140A1 (en) 2004-12-31 2008-06-18 Curvature-adjustable handrail length compensation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moving walk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02A KR100686661B1 (ko) 2004-12-31 2004-12-31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830A KR20060077830A (ko) 2006-07-05
KR100686661B1 true KR100686661B1 (ko) 2007-02-27

Family

ID=3664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802A KR100686661B1 (ko) 2004-12-31 2004-12-31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1389B2 (ko)
EP (1) EP1833749A2 (ko)
JP (1) JP4696129B2 (ko)
KR (1) KR100686661B1 (ko)
CN (1) CN101094798B (ko)
HK (1) HK1119140A1 (ko)
WO (1) WO20060739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47341B1 (es) * 2012-09-10 2015-07-09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 A. Mecanismo de control para pasamanos de escaleras y pasillos móviles.
JP6471071B2 (ja) * 2015-09-11 2019-02-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製造方法
CN106064785A (zh) * 2016-08-24 2016-11-02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扶手带的辅轮装置
WO2018109882A1 (ja) * 2016-12-14 2018-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手摺ガイ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6792A (ja) * 1989-03-16 1990-11-13 Otis Elevator Co 乗客コンベヤ用ハンドレールのコグベルト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833Y1 (ko) * 1969-09-17 1973-03-15
US3779360A (en) * 1972-08-23 1973-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movable handrails
FI52563C (fi) * 1976-11-29 1977-10-10 Kone Oy Rullaportaan käsikaiteen veto- ja kiristyslaite.
US4134883A (en) * 1977-08-23 1979-0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Abrasion resistant polyurethane article having a high rolling coefficient of friction
JPS59138587A (ja) * 1983-01-25 1984-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の安全装置
US5117960A (en) * 1991-08-15 1992-06-02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belt handrail drive
US5188209A (en) * 1992-07-21 1993-02-23 Otis Elevator Company Handrail roller bow adjustment
US5341909A (en) * 1993-08-30 1994-08-30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wheel escalator handrail drive
US5307920A (en) 1993-09-14 1994-05-03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handrail drive
US5881859A (en) * 1996-10-10 1999-03-16 Bianchi; James N. Escalator handrail drive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6792A (ja) * 1989-03-16 1990-11-13 Otis Elevator Co 乗客コンベヤ用ハンドレールのコグベルト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3749A2 (en) 2007-09-19
HK1119140A1 (en) 2009-02-27
JP4696129B2 (ja) 2011-06-08
US7621389B2 (en) 2009-11-24
WO2006073904A2 (en) 2006-07-13
WO2006073904A3 (en) 2007-04-05
CN101094798A (zh) 2007-12-26
KR20060077830A (ko) 2006-07-05
CN101094798B (zh) 2013-06-19
US20080135377A1 (en) 2008-06-12
JP2008526643A (ja)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685B2 (en) Elevator
EP1737779B1 (en) People mover
CN205616110U (zh) 一种皮带轮的张紧机构
KR950008336A (ko) 승객용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 조립체(A drive assembly for moving a handrail on a passenger conveyor)
KR100686661B1 (ko)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JP2014213999A (ja) 乗客コンベア
JPH06171878A (ja) ハンドレールローラの弓状調整装置
US20240166473A1 (en) Automatic transport device
KR20130030726A (ko) 양방향 무빙 워크
JP6373492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流れ調整装置
KR200188189Y1 (ko) 자유하중과 고정하중을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용 더블타입 중추식 테이크-업 장치의 테이크-업 길이 조정장치
KR920007689Y1 (ko)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KR100246741B1 (ko)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JP2021187629A (ja) 乗客コンベア
CN217971124U (zh) 一种板带导向装置
JP4606821B2 (ja) 乗客コンベヤー装置
JP6334446B2 (ja) 動く歩道
KR20240076738A (ko) 자동 이송 장치
JP2023012726A (ja) 張力調整装置
KR100319941B1 (ko) 승객수송시스템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
JPS6143820Y2 (ko)
RU2506220C1 (ru) Эскалатор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20230103295A (ko) 자동화포설 루프시스템의 로프 안내장치
KR100358495B1 (ko)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KR101014515B1 (ko) 이단 테이크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