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495B1 -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495B1
KR100358495B1 KR1019990052851A KR19990052851A KR100358495B1 KR 100358495 B1 KR100358495 B1 KR 100358495B1 KR 1019990052851 A KR1019990052851 A KR 1019990052851A KR 19990052851 A KR19990052851 A KR 19990052851A KR 100358495 B1 KR100358495 B1 KR 10035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rail
length compensation
lengt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243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4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3/147End portions, i.e.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023/142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paternoster return type system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갭 발생에 따른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양 단부에서 발생되는 갭의 길이보상을 위하여 상기 레일하부터미널의 단부에 맞닿는 안내레일의 단부에 길이보상레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COMPENSATION OF RAIL LENGTH MOVING BOARD}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이하, "이동보도"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텝체인의 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 사이에서 발생되는 갭을 길이보상레일로 보상하여 이동보도의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와 움직이는 보도는 층과 층 사이, 수평 또는 경사진 보도에 설치되어 승객을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기계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보도의 예로서, 종래 에스컬레이터(50)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기계실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2)에 감속기(54)가 직결되어 있고, 이 감속기(54)에는 구동 스프로킷(56)이 있어 구동체인(58)으로 상부터미널기어(60)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터미널기어(60)에 연결된 스텝체인(62)이 스텝축으로 연결된 스텝(64) 조립품을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체인(62)에는 등간격으로 탑승객이 탑승하는 스텝(64)이 설치되어운전되며, 이 스텝(64)은 2개씩 구성된 스텝롤러, 즉 전륜롤러(66)와 후륜롤러(68)로 지지되어 1,2,3,4번 안내 레일(70)(72)(74)(76)을 따라 스텝체인(62)과 같이 움직인다.
상기와 같은 전륜롤러(66)와 후륜롤러(68)는 좌우 측의 한 쌍이 있고, 이를 지지하는 안내레일(70)(72)(74)(76)도 좌우 측의 한 쌍이 있다.
상기 안내레일(70)(72)(74)(76)은 프레임(78)에 고정된 브래킷을 매개로 고정 지지되고, 이중에서 1,2번 안내레일(70)(72)은 승객이 타고 지나는 안내레일이고, 3,4번 안내레일(74)(76)은 스텝(64)이 승객을 내려주고 복귀하는 복귀 측 안내레일로서, 이들 1,2,3,4번 안내레일(70)(72)(74)(76)은 스텝롤러(66)(68)의 좌우 이동, 즉 스텝(64)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과 에스컬레이터 전체의 안전에 도움을 주는 구조이다.
이때 스텝(64)에 설치된 전륜롤러(66)가 1번 안내 레일(70)과 4번 안내 레일 (76)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후륜롤러(68)가 2번 안내 레일(72)과 3번 안내 레일 (7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레일(70)(72)(74)(76)이 꺾이는 절곡부분에는 스텝(64)이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커버레일(80)이 있고, 이 절곡부에서는 스텝롤러(66)(68)가 안내레일(70)(72)(74)(76)과 커버레일(80)의 중간을 지나게 된다.
상기 안내레일(70)(72)(74)(76)과 레일하부터미널(82)의 연결부분은 스텝 (64)이 회전하는 부분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진동과 소음에 민감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스텝(64)이 이동하는 안내레일(70)(72)(74)(76)과 레일하부터미널(82) 연결부의 단차는 승객이 민감하게 느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50)는 두 개의 핸드레일(84)과 스텝(64)부분, 그리고 동력장치로 대별되고 있으며, 동력발생은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구동모터(52), 감속기(54)가 있고, 감속기(54)는 탑승객을 운반하도록 스텝(64)을 구동시키는 상부터미널기어(60)와 구동체인(58)으로 연결 구동된다. 하부 기계실은 별도의 구동장치는 없고 레일하부터미널(82)에는 스텝체인(62)의 늘어남(초기 늘어남 포함)에 대해 길이를 보상해주는 체인길이보상장치(86)가 설치되어 스텝체인(62)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서 스텝(64)의 진동을 억제해 준다.
상기 스텝(64)은 스텝체인(62)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하 운행을 하며, 이때 스텝(64)은 롤러(66)(68)로 지지되어 안내레일(70)(72)(74)(76)을 따라 스텝체인(64)과 같이 이송한다.
상기 안내레일(70)(72)(74)(76)은 스텝롤러(66)(68)를 지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궤적을 이루어 스텝(64)을 안내하게 된다. 1번 안내레일(70)에는 턱이 있어서 스텝(6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 의하면, 상기 안내 레일(70)(72)(74)(76)은 길이보상(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보상)수단이 없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에스컬레이터의 초기 조립 당시에는 설계 치수대로 스텝체인(62)의 길이가 맞으나, 스텝체인(62)은 초기의 늘어남(스텝체인 1유니트당 0.2㎜, 층고가 5m일 경우 약 13∼14㎜의 초기 늘어남)이 발생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다 보면 스텝체인(62)은 초기 늘어짐보다도 더 늘어나게 되어 갭(GAP)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텝체인(62)의 레일하부터미널(82)에는 스텝체인(62)의 늘어남(초기 늘어남 포함)의 길이 보상을 해주는 체인길이보상장치(86)가 있어 스텝체인 (62)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서 스텝(64)의 진동을 억제해 준다.
상기와 같이 스텝체인(62)의 길이 보상이 체인길이보상장치(86)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스텝체인(62)이 늘어난 만큼 프레임(78)의 브래킷에 고정된 안내레일 (70)(72)(74)(76)로부터 레일하부터미널(82)이 점점 벌어지게 되어 이 부분을 지나는 전륜롤러(70)와 후륜롤러(72)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은 종래 1,2,3,4번 안내레일(70)(72)(74)(76)의 끝단과 레일하부터미널(82)끝단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안내레일은 프레임(78)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고정된 상태이고 레일하부터미널(82)은 앞서 설명한 스텝체인(62)의 길이 보상을 위한 체인길이보상장치(86)가 설치되어 스텝체인(62)이 늘어남에 따라 레일하부터미널(82)이 이동하게 되어 그 결과 레일하부터미널(82)의 끝단은 안내 레일에서 점점 벌어져 갭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갭은 스텝롤러(66)(68)의 구름에 직접 영향을 끼치게 되어 스텝(64)에 이상 소음이 발생되고 이는 스텝(64)의 진동으로 이어져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82)의 단차가 맞지 않으면 그 부분을 지나는 스텝롤러(66)(68)에 무리를 주게 되어 스텝롤러(66)(68)의 표면이 벗겨지는 등 롤러에도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롤러의 교체주기도 2배 이상 빨라지게 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보수에 의한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브랜드의 이미지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 그리고 롤러가 이동하면서 롤러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력의 증가로 이어져 소비전력의 손실로 이어진다.
더욱 큰 문제점은 조립 당시의 스텝체인(62) 길이 보상에 의해서 안내레일을 교체했다고 했을 경우에도 2∼3년 구동을 하다가 스텝체인(62)이 늘어난 경우 이것을 수정하기 위해서 안내레일을 교체한다는 것은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보수비 상승은 물론 고객 측의 손해배상까지 받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스텝체인(62)의 길이가 늘어남에 대한 스텝체인(62)의 길이는 체인길이보상장치(86)로 보상을 하지만,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82) 양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갭(GAP)의 길이는 보상을 못해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갭 발생에 따른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양 단부에서 발생되는 갭의 길이보상을 위하여 상기 레일하부터미널의 단부에 맞닿는 안내레일의 단부에 길이보상레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보상레일은 길이재로써 일측이 레일하부터미널의 겹침절결단부와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절결부가 형성되고, 안내레일에 복수로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안내레일의 롤러접촉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접촉면과 이 롤러접촉면으로부터 단이진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레일에 받침되는 레일받침단턱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보상레일은 안내레일에 설치된 고정판을 볼트로 체결함으로서 안내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기계실의 구성 평면도.
도 3은 종래 스텝롤러 안내레일의 배치 사시도.
도 4는 종래 스텝롤러와 안내레일의 구성도.
도 5는 종래 스텝롤러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상세도.
도 6은 도 5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길이보상레일이 설치된 스텝롤러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포밍형 안내레일에 설치되는 길이보상레일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길이보상레일의 조립예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앵글형 안내레일에 설치되는 길이보상레일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길이보상레일의 조립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길이보상레일 12 : 고정판
14 : 볼트 70, 72, 74, 76 : 안내레일
82 : 레일하부터미널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길이보상레일이 설치된 스텝롤러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안내레일(70)과 3번 안내레일(74)에 본 발명의 길이보상레일(10)(20)이 설치되어 안내레일(70)(74)과 레일하부터미널(82) 사이의 갭을 보상하고 있다.
상기 1번 안내레일(70)은 포밍(FORMING)형 레일로 이루어지고 3번 안내레일 (74)은 앵글형 레일로 이루어져 이에 설치되는 길이보상레일(10)(20)의 외관형상은약간 상이하나 그 기능은 동일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1번 안내레일(70)에 설치되는 길이보상레일(10)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보상레일(10)은 길이재로 이루어지며, 레일하부터미널 (82)의 겹침절결단부(82a)와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으로 절결부(10a)가 형성되고, 이 길이보상레일(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70)에 복수로 형성된 슬릿(70a)에 삽입되어 안내레일(70)의 롤러접촉면(70b)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접촉면(10b)과 이 롤러접촉면(10b)으로부터 단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70)에 받침되는 레일받침단턱(10c)이 형성되고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보상레일(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 (70)에 형성된 슬릿(70a)에 길이보상레일(10)을 삽입한 다음 안내레일(70)의 양단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고정판(12)에 볼트(14)로 체결함으로서 상기 길이보상레일 (10)은 안내레일(7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길이보상레일(10)은 안내레일(70)과 레일하부터미널(82)과의 갭 크기에 따라 볼트(14)를 풀고 길이보상레일(10)을 슬릿(70a)에서 이동시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3번 안내레일(74)에 설치되는 길이보상레일(20)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보상레일(20)은 길이재로 이루어지며, 레일하부터미널 (82)의 겹침절결단부(82a)와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일측으로 절결부(20a)가 형성되고, 이 길이보상레일(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74)에 복수로 형성된 슬릿(70a)에 삽입되어 안내레일(74)의 롤러접촉면(70b)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접촉면(20b)과 이 롤러접촉면(20b)으로부터 단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74)에 받침되는 레일받침단턱(20c)이 형성되고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보상레일(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 (74)에 형성된 슬릿(70a)에 길이보상레일(20)을 삽입한 다음 안내레일(74)의 일단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고정판(12)에 볼트(14)로 체결함으로서 상기 길이보상레일 (20)은 안내레일(74)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길이보상레일(20)은 안내레일(74)과 레일하부터미널(82)과의 갭 크기에 따라 볼트(14)를 풀고 길이보상레일(20)을 슬릿(70a)에서 이동시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안내레일(70)(74)에 고정되는 고정판(12)이 1개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길이보상레일(10)(20)의 견고한 고정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보상레일(10)(20)은 슬릿(70a)에 약간 억지끼움으로 조립하여 그 자체가 안내레일(10)(20)에서 끄덕거림이 없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길이보상레일(10)(20)에 의하면, 안내레일 (70)(72)(74)(76)과 레일하부터미널(82) 사이에 갭이 발생되는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체인(62)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86)에 따른 것이다. 상기 갭의 크기에 따라 볼트(14)로 길이보상레일(10)(20)을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길이보상레일(10)(20)은 레일하부터미널(82)과 갭이 벌어진 안내레일(70)(72)(74)(76)에 간단히 부착시킴으로서 스텝체인(62)의 길이 늘어남에 대한 안내레일(70)(72)(74)(76)의 길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보상레일(10)(20)의 안내레일(70)(72)(74)(76)의 두께보다 3배 정도가 두꺼워 안내레일(70)(72)(74)(76) 연결부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보상레일에 의하여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 사이의 갭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스텝롤러가 이 구간을 지날 때 발생했던 덜컹거리는 소음을 없애고 동시에 진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고, 동시에 스텝롤러의 부드러운 동작에 의하여 구동력을 좋게 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고 보수유지비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스텝체인의 늘어남에 대한 체인길이보상장치에 따라 안내레일과 레일하부터미널의 양 단부에서 발생되는 갭의 길이보상을 위하여 상기 레일하부터미널의 단부에 맞닿는 안내레일의 단부에, 길이재로써 일측이 레일하부터미널의 겹침절결단부와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절결부가 형성되고 안내레일에 복수로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안내레일의 롤러접촉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접촉면과 이 롤러접촉면으로부터 단이진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레일에 받침되는 레일받침단턱이 형성되는 길이보상레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보상레일은 안내레일에 설치된 고정판을 볼트로 체결함으로서 안내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KR1019990052851A 1999-11-26 1999-11-26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KR10035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851A KR100358495B1 (ko) 1999-11-26 1999-11-26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851A KR100358495B1 (ko) 1999-11-26 1999-11-26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243A KR20010048243A (ko) 2001-06-15
KR100358495B1 true KR100358495B1 (ko) 2002-10-30

Family

ID=1962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851A KR100358495B1 (ko) 1999-11-26 1999-11-26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4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70U (ko) * 1986-07-21 1988-02-06
JPH0194376U (ko) * 1987-12-14 1989-06-21
JPH01176675A (ja) * 1987-12-29 1989-07-13 Meiji Natl Ind Co Ltd 蛍光灯用ソケット装置
US4958473A (en) * 1988-06-06 1990-09-25 Hitachi, Ltd. Frame, angle member for use in the frame and method of making joint portion of the angel member
JPH06144762A (ja) * 1992-11-05 1994-05-24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等のガイドレ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70U (ko) * 1986-07-21 1988-02-06
JPH0194376U (ko) * 1987-12-14 1989-06-21
JPH01176675A (ja) * 1987-12-29 1989-07-13 Meiji Natl Ind Co Ltd 蛍光灯用ソケット装置
US4958473A (en) * 1988-06-06 1990-09-25 Hitachi, Ltd. Frame, angle member for use in the frame and method of making joint portion of the angel member
JPH06144762A (ja) * 1992-11-05 1994-05-24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等のガイドレ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24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705B2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JP2828970B2 (ja) 乗客用コンベアの上部レール
KR100358495B1 (ko)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KR100402812B1 (ko) 승객 운송 장치
AU2004203529A1 (en)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EP2331445A1 (en) People mover, transmission chain and method in the use of a people mover
US7681709B2 (en) Balustrade fastening arrangement
JP5050535B2 (ja) マンコンベア
WO2008032352A1 (fr) Escalier roulant
TWI224076B (en) Conveyor device
JP5132078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CN1315714C (zh) 乘客输送设备
JP6873966B2 (ja) 乗客コンベア
JP4322374B2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3982264B2 (ja) 乗客コンベア
WO2006100851A1 (ja) 乗客コンベア
JP2008156080A (ja) 乗客コンベア
JP3563571B2 (ja) 乗客用コンベア
JP2004155558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り駆動装置および移動手摺り駆動装置の調整方法
JP2008156018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浮き上がり防止装置
JP2021187629A (ja) 乗客コンベア
JPH0340855Y2 (ko)
JP2022150915A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レール調整機構
JP5063563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JPH04371485A (ja) マンコンベアの手摺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