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511B1 -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511B1
KR100685511B1 KR1020050029493A KR20050029493A KR100685511B1 KR 100685511 B1 KR100685511 B1 KR 100685511B1 KR 1020050029493 A KR1020050029493 A KR 1020050029493A KR 20050029493 A KR20050029493 A KR 20050029493A KR 100685511 B1 KR100685511 B1 KR 10068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digital
audio
accompani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384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05002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511B1/ko
Priority to PCT/KR2006/001147 priority patent/WO2006107159A1/en
Publication of KR2006010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노래연습기 등과 같은 음향기기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디지털 음성(MP3, AAC, WMA 등)으로 표현함으로써,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노래연습기능(노래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노래연습기 등에 이용됨.
노래연습기, 음향기기, 디지털 음성, 음성 처리, 노래방

Description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Voice processing apparatus for sounder}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에서 가사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입출력 장치에 연동된 음향기기(노래연습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1 : 마이크(Mic) 32 : 음향기기(노래연습기)
33 : 오디오 출력장치 41 : 입력부
42 : 출력부 43 : 중앙처리부
44 : 저장부 45 : 반주 처리부
46 : 디지털 음성 처리부 47 : D/A 변환기
48 : 혼합기(Mixer) 61 : 스피커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연습기 등과 같은 음향기기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디지털 음성(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AAC(Advanced Audio Coding), WMA(Windows Media Audio) 등)으로 표현함으로써,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노래연습기능(노래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노래연습기(노래방기기)에는 영상 처리 기능이 있어, 이 기능을 통하여 곡명(노래 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등은 물론 각 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였다. 즉, 종래의 노래연습기(노래방기기)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발화음)과 노래연습기의 반주 처리부가 만들어내는 반주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스피커/이어폰/헤드셋)로 출력하고, 노래연습기의 영상 처리부가 만들어내는 영상 데이터(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노래연습기(노래방기기)에는 화면표시장치가 별도로 연동되어 있어, 이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노래가사나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등은 물론,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표시하기 때문에, 반드시 화면표시장치의 연동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폰트, 그림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개발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에 보다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만 했다. 또한, 화면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노래가사를 보기 위하여 화면표시장치를 응시해야만 하므로, 시선이 자유롭지 못하고,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면표시장치가 커지거나 많아져야만 한다. 특히, 흔들림이 많은 버스나 승용차내에서는 화면표시장치를 응시하기 더욱이 어려우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뛰따랐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노래에 관련된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 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전달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의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반주기의 음성 가사정보 출력장치(한국공개특허공보 1997-0008126호, 1997. 2. 24 공개)(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 함)"가 존재하는데, 상기 제1 선행기술은 음성으로 노래 가사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반주가 저장된 롬(ROM 1) 외에 음성 가사 데이터를 저장한 별도의 롬(ROM 2)을 이용하여, 음성 가사 데이터를 반주에 맞춰 별도의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로 출력함으로써, 화면표시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음성 가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별도의 롬(ROM 2)에 저장된 음성 가사 데이터는 D/A 변환기와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를 거쳐 소리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별도의 롬(ROM 2)에 저장된 음성 가사 데이터가 D/A 변환기와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를 거쳐 바로 출력되므로, MP3나 AAC, WMA 등과 같은 D/A 변환기로 직접 정보를 보낼 수 없는 변형된 음성 가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어, 직접 D/A 변환기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 형태인 PCM 데이터만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음성 가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ROM 2)의 부피가 커진다. 또한, D/A 변환기로 나가는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PCM 음성 가사 데이터만을 바이패스함), 음성 노래가사의 빠르기나 음색/음정을 바꾸는 등의 가공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음성 가사 데이터의 출력은 반주와는 별개로 출력되므로, 반주와 가사 데이터를 각각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로 듣고 노래를 불러야만 했다. 즉, 반주 데이터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고(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D/A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반주신호가 함께 혼합기로 입력되어, 국부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국부발진신호(OSC)로 FM 변조된 다음 고주파 증폭부 및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출됨), 음성 가사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를 통해서 출력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반주와 음성 가사 데이터를 동시에 표현하기 위하여 2개의 롬(ROM 1, ROM 2)을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특히, 상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반주와 음성 가사 데이터 출력이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즉, 반주와 음성 가사 데이터의 동기화), 반주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음성 가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다. 즉, 반주가 없는 경우에는 가사 데이터를 음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반주중에는 지정된 음성 가사 데이터 이외에, 노래와 관련된 임의의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표현(음성 출력)하기가 어렵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의 다른 예로, "텍스트/음성 변환 기능을 갖는 멀티코덱 플레이어(한국공개특허공보 2001-0016404호, 2001. 3. 5 공개)(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 함)"가 존재하는데, 상기 제2 선행기술에서는 TTS(Text-To-Speech)를 이용하여 텍스트로 되어 있는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음악과 함 께 재생함으로써, 음악 감상과 동시에 음악과 관련된 정보(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노래에 관한 간략한 설명)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선행기술은 노래연습기를 통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노래가사를 전달하려는 의도와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TTS를 이용하여 노래가사를 음성으로 바꾼 후 음악을 재생하기 때문에 노래가사를 음성으로 바꾸는 시간 동안 기다려야만 하고(시간지연이 존재), 실제 음성과 유사한 음성을 TTS로 만들려면 처리시간이 더욱 길어 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처리 비용이 비싸질 뿐만 아니라, 이렇게 만든 음성일지라도 실제 음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노래와 관련된 일부 정보(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노래에 관한 간략한 설명)만을 음성으로 표현하고 그 외의 각종 기능과 관련된 사항(예약 곡명 및 곡번호,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은 음성으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노래가사를 포함한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디지털 음성(MP3, AAC, WMA 등)으로 표현함으로써,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없이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노래연습기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래연습기 등과 같은 음향기기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디지털 음성(MP3, AAC, WMA 등)으로 표현함으로써,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노래연습기능(노래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기기(마이크와 일체형 혹은 분리형의 노래연습기)에 스피커를 별도로 두어, 해당 스피커를 통해 노래를 부르는 사람에게 상기 각종 정보를 별도로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 및 상기 적어도 신호합성수단과 일대일 대응되어, 해당 신호합성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별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는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주지의 노래연습기(음향기기)에서, 화면표시장치에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디지털 음성(MP3, AAC, WMA 등)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TV와 같은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주지의 노래연습기의 오디오 처리 부분에서 음성과 반주 처리 기능 외에 디지털 음성 처리 기능을 추가하여, 노래가사 읽어주기를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이를 듣고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거나, 노래제목, 가수이름 등을 알려주거나, 각종 기능들의 움직임을 알려 준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고성능 중앙처리부와 저장부, 오디오 출력 장치(33), 음성 입력 장치(마이크)(31) 등의 각종 입출력부를 가지고, 오디오 입력 장치(마이크)(31)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정보(음성신호)와 저장부가 가지고 있는 오디오 정보들(반주, 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 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을 가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로 출력함으로써, PCM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템포 변환, 음정 변환, 믹싱, 볼륨 조절 등과 같은 가공을 할 수 있으며, 마이크 음성신호, 반주 데이터, 디지털 음성 데이터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이용 가능하고, 반주가 있는 경우는 물론 반주가 없는 경우에도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 주지의 영상 노래연습기가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내용들을 소리로 표현하여 이용할 수 있다(하기의 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마이크(31)와 스피커(61,62)를 모두 갖춘 노래연습기(마이크와 일체형의 노래연습기에 스피커를 장착)(32)로 구성하여 다른 외부기기의 도움없이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하기의 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노래연습기(32)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입출력 장치(70)와의 연동을 통해서, 보조 입출력 장치(70)로도 노래연습기(32)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하기의 도 7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를 구현하기 위하여, 주지의 노래연습기(32)에서 화면표시장치(TV)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표현하도록 하는 기능(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을 추가한다. 이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MIDI, MP3, AAC, WMA 등으로 만들어진 반주 데이터나 음성신호와 함께 여러 가지 형태로 혼합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로 출력된다.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예약할 때 예약곡 이름이나 곡번호, 노래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노래제목이나 가수이름 등을 알려주고, 노래가사가 나오기 시작하면 노래가사 읽어 주기를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이를 듣고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과 각종 기능들의 움직임을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알려 준다.
여기서, 노래가사 읽어 주기는 노래가사가 시작하기 직전에 적절한 길이의 가사를 짧은 시간에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표현하여 노래가사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이며,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박자세기, 음정, 음색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노래연습기(32)에는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와 각각의 노래에서 사용할 노래제목(곡명), 가수이름, 노래가사 등과 같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와 가사 제어 정보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음성을 녹음하여 MP3, AAC, WMA 등으로 압축하여 이용한다.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일예로, 노래가사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읽어줄 노래가사를 녹음하여 가사를 읽어주는 구간만을 여러 개의 디지털 음성으로 저장하고, 이들을 출력해야 할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또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남자 목소리와 여자 목소리를 구별하여 이용함으로써 해당 노래가 남자 노래인 지 여자 노래인지를 소리로 알려주거나, 남녀 변환이나 음정의 변환에 따라 변화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음정이 변했음을 알려준다.
다음은 디지털 음성 기능의 몇가지 예로, 'nnn'은 가수 이름이고 'ttt'는 제목으로 각각의 노래에 저장된 정보이며, 'nnn'이나 'ttt'를 제외한 부분은 노래연습기(32)가 가지고 있는 정보이고, 'sss'는 노래 점수이며, 이들을 적절히 연결하여 이용한다.
"nnn가 부른 ttt입니다"
"ttt가 예약되었습니다"
"다음 곡은 ttt입니다"
"잘 불렀습니다. sss점입니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상세 구성도로서, 중앙처리부(4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반주 데이터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마이크 입력(음성신호)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혼합되어 출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부(44), 키보드나 리모콘과 같은 입력과, LCD 디스플레이나 TV와 같은 출력 장치 및 각종 장치와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부(41,42), MIDI, MP3, AAC, WMA 등으로 반주 데이터를 만드는 반주 처리부(45), MP3, AAC, WMA 등으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만드는 디지털 음성 처리부(46), 이들(45,46)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4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41)로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키보드, 버튼, 음성 등이 가능하고, 출력부(42)는 표시장치(LCD, TV)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의 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는, 오디오 입력 장치(마이크)(31)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정보(음성신호)와 저장부(44)가 가지고 있는 오디오 정보들(반주, 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을 가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로 출력한다. 이때, PCM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템포 변환, 음정 변환, 믹싱, 볼륨 조절 등과 같은 가공을 할 수 있으며, 마이크 음성신호, 반주 데이터, 디지털 음성 데이터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로 출력하고, 반주가 있는 경우는 물론 반주가 없는 경우에도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자유롭게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음성 처리 장치는,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4)와, 저장부(44)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1,33-2)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43)와, 중앙처리부(43)의 제어하에,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 처리부(45)와, 중앙처리부(43)의 제어하에,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 처리부(46)와,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31)로부터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변환기)(47-1~47-3)와,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1,33-2)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Mixer)(4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음성 처리 장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4)와, 저장부(44)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1,33-2)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43)와, 중앙처리부(43)의 제어하에,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 처리부(45)와, 중앙처리부(43)의 제어하에,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 처리부(46)와,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31)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Mixer)(48)와,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Mixer)(48)와 일대일 대응되어, 해당 혼합기(48)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오디오 증폭부 + 이어폰(EP)/헤드셋/스피커)(33-1,33-2)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변환기)(47-1,47-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4b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노래연습기)의 음성 처리 장치는, 도 4a의 구성에 있어서, D/A 변환기(47)를 혼합기(48) 후단에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3)별로 D/A 변환기(47)가 필요하다. 즉, D/A 변환기(47-1,47-2)는 오디오 출력 장치(33-1,33-2)와 동일 개수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4b에서,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는 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오디오 출력 장치(33)는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33)로의 출력은 유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3-1)는 외장형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하나로 설명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3-2)는 내장형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하나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중앙처리부(A/D 변환기 포함)(43), 반주 처리부(45), 디지털 음성 처리부(46), 혼합기(Mixer)(48) 등은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로 구성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D/A 변환기(47) 역시 DSP로 구성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는 모두 디지 털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는 중앙처리부(43)에 의해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에는 볼륨 제어, 믹싱, 음정 변환, 템포 변환, 에코, 이퀄라이저, 음장 효과 등과 같은 것들이 있다.
상기 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에서 노래가사가 진행될 때 가사를 읽어주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는 전주와 간주를 포함하여 10마디를 표현하였으며, 각각의 마디는 4박자로 구성되어 있고, 가사의 길이를 나타내는 음표가 있다. 전주의 3-4번 박자에서 "학교종이땡땡땡"이, 3번째 마디의 3-4번 박자에서 "어서모이자"가, 5번째 마디의 3-4번 박자에서 "선생님이우리를"이, 7번째 마디의 3-4번 박자에서 "기다리신다"가 디지털 음성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래를 부르기 직전에 가사를 읽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31)와 일체형으로 구현 가능하며, 이와 같이 마이크(31)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노래연습기(32)에, 혼합기(48)에서 합성된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내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2))(61,62)를 일체형으로 더 구비하여[마이크(31)와 스피커(61,62)를 모두 갖춘 노래연습기(마이크와 일체형의 노래연습기에 내장형 스피커를 장착)(32)], 다른 외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의 도움없이도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물론, 반주 오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는 외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 출력하고,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만을 내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2)(즉, 스피커(61,62))로 분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외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 출력하고,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만을 내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2)(스피커(61,62))로 분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의 구성은 상기 도 4의 노래연습기(32)에서 외부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의 출력 이외에 내장된 스피커(61,62)(33-2)를 이용하도록 하는 경우로, 별도의 오디오 출력 장치(33-1)가 없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마이크(31)와 스피커(61,62)를 모두 갖추고 있는 경우로, 마이크(31)가 사용하는 사람의 입을 향하고 있을 때에, 스피커(61,62)가 두 귀를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스피커(61,62)의 출력이 마이크(31)를 경유하여 발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31)와 스피커(61,62)의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스피커(61,62)의 출력을 줄이거나, 마이크(31)의 감도를 줄이거나, 고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치에도 발진할 수 있으므로, 노래연습기(32)는 발진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스피커(61,62)의 출력을 적절히 줄임으로써 발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진하는 경우를 검출하는 방법은, 마이크(31)로 입력된 소리를 정류하여 일정 전압이상으로 일정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마이크 음성신호,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가 외장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와 내장형 오디오 출력 장치(바람직하게는 도 6의 내장형 스피커(61,62))(33-2)에 각각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출력된다. 즉, 외장형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는 마이크 음성신호와 반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내장형 스피커(61,62)로는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하여 노래하는 사람에게만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만이 들리게 한다거나, 마이크 음성신호,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 출력하고, 내장형 스피커(61,62)로는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를 별도로 출력하여 모든 사람이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거나,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중에서도 노래제목(곡명), 가수이름 및 노래가사, 점수 등을 오디오 출력 장치(33-1)로 출력하고 나머지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등)는 내장형 스피커(61,62)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음향기기(노래연습기)(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연습기(32)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입출력 장치(70)와의 연동을 통해서, 보조 입출력 장치(70)로도 노래연습기(32)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입출력 장치(70)라 함은, 노래연습기(32)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해당 노래연습기(32)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인덱스기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70)와 노래연습기(32)의 통신을 양방향으로 하여, 노래 찾기 기능과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인덱스기 제어 기능)'을 노래연습기(32)가 하고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노래연습기(주 입출력 장치는 TV가 됨)의 입출력 기능만을 담당한다. 이때,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노래연습기(32)가 지시하 는 내용을 출력부(표시부)(74)에 표시하고, 입력부(72)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노래연습기(32)로 전송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래연습기(32)는 고유 기능 이외에 보조 입출력 장치(70)의 출력부(표시부)(74)와 입력부(72)를 이용하여 노래 찾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보조 입출력 장치(70)와 노래연습기(32) 간에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이 있는 노래연습기(32)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노래연습기(32)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서 보조 입출력 장치(70)내의 정보를 별도로 바꿀 필요가 없으며, 노래연습기(32)의 보조 입출력 장치 관련 부분(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수정하는 것만으로 즉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노래 찾기 기능을 노래연습기(32)가 하므로,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저장부(75)의 부피가 작아지고 중앙처리부(73)의 부하가 줄어들어 간단하고 절전이 가능한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노래연습기(32)에 보조 입출력 장치(7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해야 하고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노래연습기(32)가 통신부를 통해 보조 입출력 장치(7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여, 보조 입출력 장치(70)를 통해 노래 찾기 기능 등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노래 찾기 기능'을 위해서, 노래연습기(32)에는 노래 찾기 정보(노래명, 가수명 등의 메타 데이터)가 추가된다.
이와 같이 노래연습기(32)는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갖고, 양방향으로 보조 입출력 장치(70)와 통신한다. 이때, 노래연습기(32)와 보조 입출력 장치 (70) 간에는 일대일(1:1) 양방향 통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노래연습기(32)에 여러 대의 보조 입출력 장치(70)가 연동될 수 있고(1:N의 양방향 통신), 여러 대의 노래연습기(32)에 하나의 보조 입출력 장치(70)가 연동될 수도 있다(N:1의 양방향 통신).
이때, 노래연습기(32)와 보조 입출력 장치(70) 간에는 유선통신, 광통신 등도 가능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IrDA, IEEE 802. 11, 블루투스 등) 등을 통한 양방향 무선통신을 채용하고, 기기(32,70)간에 교환되는 정보는 압축을 하거나, 화면출력정보를 그림에서 문자로 바꾸어 통신하는 등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이라 함은, 노래연습기(32)에 있어서, 주 입출력 장치(TV)를 이용하지 않고도 보조 입출력 장치(70)를 이용하여, 음원 정보(곡명, 가수명, 노래가사 등) 표시, 원격제어, 설정, 장애검사, 노래연습기(32)로의 예약 및 연주지시, 보조 입출력 장치(70)에 예약 후보곡 선정시 추후 보조 입출력 장치(70)에서 노래연습기(32)로의 예약, 다수의 보조 입출력 장치(70) 연동시의 권한부여 기능 등을 말한다. 이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통해서, 노래연습기(32)는 보조 입출력 장치(70)의 입출력 기능을 제어하여 노래 찾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노래연습기(32)는 통신부를 통해 보조 입출력 장치(70)의 통신부(71)와 1:1 혹은 1:N 혹은 N:1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보조 입출력 장치(70)의 출력부(표시부)(74)에 디스플레이될 음원(노래) 정보(노래명, 가수명, 노래가사 등), 설 정정보 등의 화면표시정보, 그외 '보조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위한 통신 정보를 송출하고, 입력부(72)를 통한 사용자의 예약 및 연주지시에 따라 해당 음원(노래)을 재생한다. 이때, 노래연습기(32)는 연주시작을 소리, 영상, 그림 등으로 보조 입출력 장치(70)의 출력부(74)로 알리고, 연주중에는 노래가사 등을 화면표시정보로서 압축하여 보조 입출력 장치(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의 노래연습기(32)에 여러 대의 보조 입출력 장치(70)가 연동될 경우(1:N의 양방향 통신), 각각의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노래연습기(32)에 예약을 함에 있어서 실시간 예약 및 연주지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단말기에 예약 후보로 등록하여 필요시 예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조 입출력 장치(70)로도 노래연습기(32)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70)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노래연습기(32)가 가지고 있는 마이크(31)나 스피커(33) 이외에, 노래연습기(32)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마이크나 스피커 기능을 하는 한, 그 구성에 구애받지 않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음성을 이용하여 노래가사를 포함한 각종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소리로 표현함으로써, 작은 저장장치로 화면표시장치없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노래연습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노래가사를 보기 위하여 화면표시장치를 응시할 필요가 없어 시선이 자유롭고,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흔들림이 많은 버스나 승용차내에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연동된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할 수 있고, 반주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음성 가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반주중에 지정된 음성 가사 데이터 이외에도, 노래와 관련된 임의의 정보(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 등)를 표현(음성 출력)할 수 있어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
    을 포함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2.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주 데이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및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가공하여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반주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반주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 및
    상기 적어도 신호합성수단과 일대일 대응되어, 해당 신호합성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별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과 일대일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은,
    상기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장치로 출력하거나,
    상기 아날로그의 반주 오디오 신호와 음성신호와 상기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합성수단은,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장치별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반주 및 노래 관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변 환된 디지털 음성신호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별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는, 상기 마이크와 일체형으로 구현 가능한 노래연습기이되,
    상기 마이크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상기 노래연습기에, 상기 신호합성수단에서 합성된 아날로그의 반주 및 노래 관련 오디오 신호,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오디오 출력 장치)를 일체형으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마이크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노래연습기의 내장 스피커로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마이크 사용시 해당 사용자의 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마이크를 경유하여 발진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의 방향을 이격시켜 조정하거나,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줄이거나, 상기 마이크의 감도를 줄이거나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는,
    상기 마이크와 일체형 혹은 분리형의 노래연습기이되, 상기 노래연습기가 지시하는 내용을 출력부(표시부)에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노래연습기로 전송하는 보조 입출력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서, 상기 보조 입출력 장치로도 상기 노래연습기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관련 음성 데이터는,
    예약 곡명 및 곡번호, 노래 재생시 곡명(노래제목), 가수이름, 노래가사, 그외 사용법, 안내말, 박자세기, 음색(성별), 음정, 점수 정보와 같이 화면표시장치로 표시되는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수단, 상기 반주처리수단, 상기 디지털 음성처리수단, 상기 신호합성수단은,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로 구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는 모두 디지털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중앙처리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로 변환되며, 이러한 변환에는 볼륨 제어, 믹싱, 음정 변환, 템포 변환, 에코, 이퀄라이저, 음장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연습기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정류하여 소정 전압으로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발진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발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KR1020050029493A 2005-04-08 2005-04-08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KR10068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93A KR100685511B1 (ko) 2005-04-08 2005-04-08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PCT/KR2006/001147 WO2006107159A1 (en) 2005-04-08 2006-03-29 Voice processing apparatus for sou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93A KR100685511B1 (ko) 2005-04-08 2005-04-08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84A KR20060106384A (ko) 2006-10-12
KR100685511B1 true KR100685511B1 (ko) 2007-02-26

Family

ID=3707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493A KR100685511B1 (ko) 2005-04-08 2005-04-08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5511B1 (ko)
WO (1) WO2006107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3B1 (ko) * 2014-03-14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통합 디지털 음원 혼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6907A (en) * 1990-10-12 1994-02-1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al accompaniment information
KR0147585B1 (ko) * 1994-03-21 1998-10-15 김광호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JP2766466B2 (ja) * 1995-08-02 1998-06-18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方式、その再生方法、並びにその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媒体への記録方法
KR100296927B1 (ko) * 1998-05-22 2001-10-25 윤동현 노래연습장치
KR100379995B1 (ko) * 2000-12-08 2003-04-11 야무솔루션스(주) 텍스트/음성 변환 기능을 갖는 멀티코덱 플레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84A (ko) 2006-10-12
WO2006107159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7032B (zh) 一种可移动的便携式演唱系统
KR101058617B1 (ko)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H11242490A (ja)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JP2006317804A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KR100685511B1 (ko)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JP4182618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耳装着型電子装置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251697A (ja) カラオケ装置
JP3304852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6162778A (ja) 移動体通信端末、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H09198062A (ja) 楽音発生装置
JP4262642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4373321B2 (ja) 音楽再生装置
JP2004279718A (ja) 遊技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2005037846A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及び情報設定方法
JP2008187549A (ja) 楽器演奏アシストシステム
KR20090085778A (ko)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JP4384062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1215977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3892243B2 (ja) カラオケ機能搭載携帯電話機
JPH10319977A (ja) カラオケ演奏装置およびカラオケ用携帯型試聴端末
JP3335290B2 (ja) 声帯模写機能付き音響電気変換装置
JP294718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248317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요반주장치
JP2009008934A (ja) 楽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