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778A -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778A
KR20090085778A KR1020080011595A KR20080011595A KR20090085778A KR 20090085778 A KR20090085778 A KR 20090085778A KR 1020080011595 A KR1020080011595 A KR 1020080011595A KR 20080011595 A KR20080011595 A KR 20080011595A KR 20090085778 A KR20090085778 A KR 2009008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araoke
vibration
melody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152B1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1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1Distortion, i.e. desired non-linear audio processing to change the tone color, e.g. by adding harmonics or deliberately distorting the amplitude of an audio wave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구비하여, 이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와 연결된 노래반주기에서 재생된 노래반주곡의 멜로디 또는 박자에 맞춰 노래방 마이크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은,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선곡된 노래반주곡을 추출하여 재생하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노래반주기와,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서 분석 및 추출된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유무선통신에 의해 전송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상응하는 진동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진동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노래방 마이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11595
노래반주기, 가라오케, 마이크, 진동, 박자, 멜로디

Description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KARAOKE SYSTEM USING KARAOKE MIC HAVING VIB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구비하여, 이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와 연결된 노래반주기에서 재생된 노래반주곡의 멜로디 또는 박자에 맞춰 노래방 마이크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반주기와 노래방마이크를 구비하며, 노래반주기로부터 선곡된 노래반주곡이 재생되면,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노래방 마이크를 통하여 가창함으로써, 노래반주기에 스피커를 통하여 노래반주곡과 음성이 출력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 맞춰 가사를 부를 때, 전주후 가사도입부분과 간주후 가사도입부분 등의 일부 도입부분 표시 기능만 제공될 뿐이어서, 박자감각이 떨어지는 가창자가 노래의 박자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박자감각이 떨어지는 가창자의 박자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멜로디와 박자에 동기화된 촉감을 마이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노래반주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창자의 박자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래방 마이크에 진동기능을 내장하고, 박자 및 멜로디에 동기화된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은,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선곡된 노래반주곡을 추출하여 재생하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노래반주기와,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서 분석 및 추출된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유무선통신에 의해 전송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상응하는 진동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진동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노래방 마이크를 포함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래방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전송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분석 및 추출된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무선 송신하는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노래반 주기로부터 전송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수신하는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 상기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로부터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대응되도록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상기 변환된 진동신호를 전송받아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전송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수신하는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 상기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로부터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대응되도록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상기 변환된 진동신호를 전송받아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노래반주기는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노래반주곡 중 선곡 요청에 따라 선곡 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재생하는 노래반주제어부;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음원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멜로디정보 및 박자정보를 추출하는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상기 추출된 멜로디정보 및 박자정보를 노래반주곡별로 할당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노래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와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을 믹싱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제공받아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 어하는 믹서제어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믹서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비디오입/출력부; 상기 노래방 마이크와 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신호,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방법은,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와 유무선 연결된 노래반주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노래반주기는 외부로부터 선곡요청에 따라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재생하는 단계;(B) 상기 노래반주기에 내장되는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는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추출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전송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에 따라 멜로디와 박자에 동기화되도록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구비되는 진동발생부로부터 상기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노래반주기는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의 외부로부터 진동기능 온/오프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판단에 의해 진동기능이 활성화되면 기저장된 진동기능의 세부설정화면을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3) 디스플레이된 세부설정화면을 통하여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 주기와 진동 세기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A-2)단계는 (A-21)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D)단계는 (D-1) 노래방 마이크는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주기 또는 진동세기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 노래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에 따라 진동신호를 생성하되, 외부로부터 설정되는 진동주기 또는 진동세기에 따라 진동신호를 변환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따르면,
노래반주곡의 멜로디 또는 박자에 동기화된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가창자가 가창시 촉감으로 박자감각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박자감각이 떨어지는 가창자도 쉽게 박자를 맞출 수 있으며, 또한, 박자감각이 있는 가창자도 촉감으로 박자감각을 익힘으로써 박자감각을 맞추긴 어려운 곡을 연습하여 박자감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노래의 박자를 쉽게 놓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창자뿐만 아니라 청취자의 흥을 돋우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진동기능의 온/오프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방 마이크(10),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 및 노래반주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래방 마이크(10)는 노래반주기(30)와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을 송신하며, 진동기능을 제공하도록 노래반주기(30)로부터 생성되어 제공되는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를 유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하며, 수신된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에 상응하는 멜로디 또는 박자에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노래방 마이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한 무선 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래방 마이크(10)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11)와, 입력된 음성신호를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에 무선전송하는 음성송신부(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노래방 마이크(10)는 노래반주기(30)로부터 생성되어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로부터 중계되어 무선전송되는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를 수신하는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13)와, 수신된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에 따라 멜로디 또는 박자에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14)와, 변환된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15)를 더 포함한다.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는 노래방 마이크(10)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방 마이크(1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21)와, 노래반주기(30)와 연결되어 노래반주기(3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수신하여 노래방 마이크(10)에 무선전송하는 멜로디/박자정보 송신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래반주기(30)는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추출하여 재생하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 맞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음원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며, 추출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는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의 중계에 의해 노래방 마이크(10)에 전송된다.
또한, 노래반주기(30)는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기설정된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외부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노래반주곡과 노래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한 음성을 믹싱하여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노래반주기(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입력부(31), 믹서제어부(32), 비디오입/출력부(33), 노래반주제어부(34),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35), 메모리(36), 스피커입/출력부(37)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입력부(31)는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20)의 음성수신부(21)와 연동하여 노래방 마이크(10)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믹서제어부(32)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믹서제어부(32)는 마이크입력부(31)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노래반주제어부(34)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을 수신하여 음성신호와 노래반주곡을 믹싱하고, 외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믹서제어부(32)는 노래반주제어부(34)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기설정된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전달받아 외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도 한다.
비디오입/출력부(33)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입/출력 단자를 제공한다.
스피커입/출력부(37)는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는 입/출력 단자를 제공한다.
노래반주제어부(34)는 외부로부터 노래반주곡을 선곡 요청받아 요청된 노래반주곡을 검색 및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36)는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노래반주제어부(34)로부터 검색요청된 노래반주곡을 검색 및 추출하여 전송한다.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35)는 노래반주제어부(34)로부터 선곡 요청받아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음원을 제공받아 음원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여기에서 멜로디정보는 노래반주곡의 반주를 제외한 가사 멜로디에 대한 정보이다.
즉, 노래반주곡은 반주와 가사 멜로디가 합성된 데이터로 구성되어, 가사 멜로디부분만을 추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박자정보는 노래반주곡의 전체 빠르기에 대한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와 노래반주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는 통상의 노래반주기(200)의 리모콘 기능이 일체로 구성된 마이크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입력 부(110),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C,120), 제어부(130), 키입력부(140), 화면표시부(150), 통신부(160),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170), 진동발생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입력부(110)의 기능은 상술된 음성입력부(1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C,120)는 음성입력부(11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키입력부(140)를 통하여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정보를 노래반주기(200)에 무선전송하는 노래반주제어모듈(131)과, 음성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C,120)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통신부(160)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음성제어모듈(132)과, 노래반주기(200)로부터 생성되는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무선전송받아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170)로 전달하는 멜로디/박자제어모듈(133)를 더 구비한다.
키입력부(140)는 외부로부터 노래반주곡 검색, 선곡, 재생, 일시정지, 마디 점프, 템포 또는 진동에 대한 설정 키를 구비한다.
특히, 진동에 대한 설정은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 주기와 진동 세기를 키 입력에 따라 설정받는다.
즉, 예를 들어 설명하면, 노래반주곡 중 전주후에 가사도입부분과 간주후 가 사도입부분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설정하고, 해당 부분에 진동 주기를 초 단위로 설정하면, 노래반주곡 재생 도중 해당 부분에서 진동이 설정된 시간만큼 발생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진동 세기도 강, 중, 하 단위로 설정하여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화면표시부(150)는 키입력부(140)로부터 노래반주곡이 검색되고, 선곡요청되어 노래반주기(200)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 대한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를 노래반주기(2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며, 키입력부(140)로부터 노래반주곡 검색, 선곡, 재생, 일시정지, 마디 점프, 템포 또는 진동 온/오프 등에 대한 설정 키에 의해 설정 요청되면 해당 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설정완료되면 설정상태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노래반주기(200)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한다.
즉, 통신부(160)는 음성신호를 노래반주기(200)에 송신하고, 노래반주기(200)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및 가사정보를 수신받거나 멜로디정보 및 박자정보를 수신받는다.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170)는 멜로디/박자제어모듈(133)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전달받아 노래반주곡의 멜로디와 박자에 동기화되도록 아날로그신호 형태의 진동신호로 변환한다.
이 진동신호는 진동의 주기와 세기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으며, 진동의 주기와 세기는 키입력부(140)로부터 진동기능의 세부설정 즉,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진동발생부(180)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170)로부터 변환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노래반주기(200)는 도 2의 구성과 같이, 통신부(210), 반주기제어부(220), 믹서제어부(230), 비디오입/출력부(240), 노래반주제어부(250),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260), 스피커입/출력부(270)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의 통신부(160)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며, 특히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믹서제어부(230)에 전송하고, 재생된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를 반주기제어부(220)로부터 전달받아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주기제어부(220)는 노래반주제어부(250)와 연동하여 노래반주곡의 선곡, 재생을 제어하는 노래반주제어모듈(221),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믹서제어부(230)에 전송 제어하는 음성제어모듈(222), 노래반주제어부(250)로부터 노래반주곡의 음원을 제공받아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 및 추출하는 멜로디/박자분석모듈(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서제어부(230), 비디오입/출력부(240) 및 스피커입/출력부(270)는 상술한 믹서제어부(32), 비디오입/출력부(33), 스피커입/출력부(37) 각각에 대응되어 동일 한 기능을 수행한다.
노래반주제어부(250)도 상술한 노래반주제어부(3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메모리가 내장되어 다수의 노래반주곡 저장 및 멜로디/박자분석모듈(223)로부터 분석되어 추출된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기능이 부가된다.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260)는 스피커입/출력부(270)에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해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10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은 기본적으로 키입력부(140)에 의해 진동기능 온/오프 설정에 따라 진동기능이 온 상태에서 노래반주곡을 검색하여 선곡하면 선곡 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자동 검색하여 재생시킨다(S300).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음원은 노래반주기(200)에 내장된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에 전달되어 해당 음원으로부터 가사멜로디에 상응하는 멜로디정보와 노래반주곡의 전체 빠르기에 상응하는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S302,S304).
추출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는 진동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노래반주기(200)에 연결된 노래방 마이크(10, 100)에 전송한다(S306).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수신한 노래방 마이크는 노래반주곡에 맞춰 진동을 발생되도록 멜로디와 박자에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308).
변환된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이 노래반주곡에 동기화되어 발생된다(S310).
여기에서 동기화라 함은, 노래반주곡의 멜로디 또는 박자에 싱크로나이즈(Synchronize)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 노래방 마이크 11 : 음성입력부
12 : 음성송신부 13 :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
14 : DAC 15 : 진동발생부
20 :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 21 : 음성수신부
22 : 멜로디/박자정보송신부 30 : 노래반주기
31 : 마이크입력부 32 : 믹서제어부
33 : 비디오입/출력부 34 : 노래반주제어부
35 :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 36 : 메모리
37 : 스피커입/출력부
100 : 리모콘형 노래방 마이크 110 : 음성입력부
120 : ADC 130 : 제어부
131 : 노래반주제어모듈 132 : 음성제어모듈
133 : 멜로디/박자제어모듈 140 : 키입력부
150 : 화면표시부 160 : 통신부
170 : DAC 180 : 진동발생부
200 : 노래반주기 210 : 통신부
220 : 반주기제어부 221 : 노래반주제어모듈
222 : 음성제어모듈 223 : 멜로디/박자분석모듈
230 : 믹서제어부 240 : 비디오입/출력부
250 : 노래반주제어부 260 : DAC
270 : 스피커입/출력부

Claims (9)

  1.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선곡된 노래반주곡을 추출하여 재생하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노래반주기; 및
    외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에서 분석 및 추출된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유무선통신에 의해 전송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상응하는 진동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진동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노래방 마이크를 포함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전송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분석 및 추출된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무선 송신하는 노래방 마이크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전송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수신하는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
    상기 멜로디/박자정보수신부로부터 상기 멜로디정보와 상기 박자정보를 제공받아 멜로디와 박자에 대응되도록 동기화된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C); 및
    상기 변환된 진동신호를 전송받아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노래반주곡을 검색 및 선곡하여 재생 요청하고, 진동기능의 온/오프키를 구비하여 진동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 주기와 진동 세기를 외부로부터 설정받는 키입력부;
    상기 재생 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재생하도록 상기 노래반주기에 요청하며, 진동기능이 활성화되면, 진동기능의 세부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세부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노래반주제어모듈; 및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및 가사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세부설정화면 및 세부설정된 설정상태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는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노래반주곡 중 선곡 요청에 따라 선곡 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재생하는 노래반주제어부;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음원으로부터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멜로디정보 및 박자정보를 추출하는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
    다수의 노래반주곡을 저장하며, 상기 추출된 멜로디정보 및 박자정보를 노래반주곡별로 할당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노래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와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을 믹싱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제공받아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믹서제어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믹서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비디오입/출력부; 및
    상기 노래방 마이크와 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신호, 멜로디정보 또는 박자정 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
  6.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와 유무선 연결된 노래반주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노래반주기는 외부로부터 선곡요청에 따라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을 재생하는 단계;
    (B) 상기 노래반주기에 내장되는 멜로디/박자정보분석부는 상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노래반주기는 상기 추출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를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전송된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에 따라 멜로디와 박자에 동기화되도록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E) 상기 노래방 마이크에 구비되는 진동발생부로부터 상기 진동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노래반주기는 선곡요청된 노래반주곡의 외부로부터 진동기능 온/오프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판단에 의해 진동기능이 활성화되면 기저장된 진동기능의 세부설정화면을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A-3) 디스플레이된 세부설정화면을 통하여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 주기와 진동 세기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A-21)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노래반주곡의 가수/노래정보, 가사정보 또는 배경화면정보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노래방 마이크는 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간주후 가사도입부분별, 가 사 마디별 또는 멜로디별로 진동주기 또는 진동세기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2) 노래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멜로디정보와 박자정보에 따라 진동신호를 생성하되, 외부로부터 설정되는 진동주기 또는 진동세기에 따라 진동신호를 변환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KR1020080011595A 2008-02-05 2008-02-05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KR10092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95A KR100928152B1 (ko) 2008-02-05 2008-02-05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95A KR100928152B1 (ko) 2008-02-05 2008-02-05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78A true KR20090085778A (ko) 2009-08-10
KR100928152B1 KR100928152B1 (ko) 2009-11-23

Family

ID=4120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595A KR100928152B1 (ko) 2008-02-05 2008-02-05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8714C1 (ru) * 2016-07-07 2018-10-02 Бейдзин Сяоми Мобайл Софтвэр Ко., Лтд.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внешнее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68B1 (ko) * 2013-12-30 2015-03-31 주식회사 이엠텍 사용자 음성 중심의 음원 데이터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656091B1 (ko) 2021-01-18 2024-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촉각 음악 학습 장치 및 촉각 음악 학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00U (ja) * 1993-06-24 1995-01-24 株式会社創成電子 体感カラオ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8714C1 (ru) * 2016-07-07 2018-10-02 Бейдзин Сяоми Мобайл Софтвэр Ко., Лтд.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внешнее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US10839782B2 (en) 2016-07-07 2020-11-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xternal extended device and audio playback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152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2584A1 (en) Music composing device
CN106409282B (zh) 一种音频合成系统、方法及其电子设备和云服务器
JP5630155B2 (ja) 記憶システムおよび記憶装置
JP201306890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70999A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KR100928152B1 (ko)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KR100819775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JPH11242490A (ja)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CN102394860A (zh) 信号传送系统、方法、电脑程序产品及电脑可读取储存媒体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JP4322190B2 (ja) 電子早見本装置及びその対応付システム
JP3861381B2 (ja) カラオケ装置
KR20130064227A (ko)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453580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装置
KR101041622B1 (ko)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반주 기능을 갖는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5389A (ko) 실시간 영상합성 시스템
JP2012242431A (ja) 操作表示端末
JP4373321B2 (ja) 音楽再生装置
JP6651729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40167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200111460A (ko)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
JP3974069B2 (ja) 合唱曲や重唱曲を処理するカラオケ演奏方法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4279718A (ja) 遊技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CN210516209U (zh) 一种智能电子琴及音乐教学系统
JP2014191331A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