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585B1 -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585B1
KR0147585B1 KR1019940005578A KR19940005578A KR0147585B1 KR 0147585 B1 KR0147585 B1 KR 0147585B1 KR 1019940005578 A KR1019940005578 A KR 1019940005578A KR 19940005578 A KR19940005578 A KR 19940005578A KR 0147585 B1 KR0147585 B1 KR 014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ccompaniment
video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813A (ko
Inventor
최승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585B1/ko
Publication of KR95002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반주기가 텔레비젼에 내장된 텔레비젼에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응답기를 구비시켜서, 이 자동응답기와 상호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도록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으로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모든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자동응답기능을 수행시키는데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전 및 그 수행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컴퓨터 반주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블럭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리비젼의 마이크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블럭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 선택기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
제5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수원음 표시기능을 갖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의 구체적인 블럭도.
제6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인 점수 표기시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이용되는 마이크 신호 처리부의 개략적 블럭도.
제7도는 이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사용할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
제8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창곡만을 부르기 위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영상반주신호발생부의 구체적 블럭도.
제9도는 이 발명의 또다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베스트 텐관리를 위한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의 구체적 블럭도.
제10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하메세지 표시를 위한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의 구체적 블럭도.
제11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람을 위한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의 구체적 블럭도.
제12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이동장치의 블럭도.
제13a도 내지 d도는 제12도에 도시한 화면 이동장치를 이용한 화면상태의 모니터 표시예.
제14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악기음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제15a도 제14도에 도시된 롬 팩이 내장되는 텔레비젼의 개략적 사시도.
제15b도 내지 f도는 각종 롬 팩의 예시도.
제1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롬 팩 내장기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
제17도는 롬 팩 회로의 개략적 블럭도.
제18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록도.
제19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텔레비전 신호 선택부 24 : 영상반주신호 발생부
28 : 마이크로 컴퓨터 42 : 명령 입력부
50 : 외부 마이크 신호처리 60 : 사용시간 메모리
242 :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 244 : 반주신호 발생기
246 : 영상반주 제어기 242a : 그래픽 메모리
242b : 문자 메모리 242e : 애창곡 메모리
242f : 가요베스트 텐 메모리 242g : 축하메세지 메모리
242h : 알람 메모리 242k : 배경저장 메모리
242n : 표적저장 메모리 244a : 반주용 메모리
244b : 음원 IC 401, 403, 405, 407, 409 : 롬 팩
420 : 커넥터 430 : 선택 스위치
440 : 롬 팩 선택부 500 : 곡속도 검출부
502 : 비교부 503 : 조명등 모터
504 : 조명모터 구동부 600 : 전화기
602 : 무선부 604 : 신호처리부
606 : 훅 온/오프 제어부 612 : 자동응답기
620 : 링잉신호 감지부 630 : 합성부
640 : 스위치
이 발명은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자동응답기를 구비시켜서 전화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토록 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은 방송국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기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캠코더, 영상반주장치 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브라운관 및 스피커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젼에 설치된 조작버튼이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텔레비젼 신호 혹은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급속하게 개발, 시판되고 있는 영상반주장치는 텔레비젼 모니터와 연결하여 노래반주와 함께 가사를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크게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 시스템과, 카세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CDG 영상반주 시스템 및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 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LD 영상반주시스템은 영상과 음질이 어떤 음원보다 가장 우수하지만 1장의 레이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30여곡 정도로 제한되므로 다랑의 곡을 서비스하기 위하여는 주크박스(Juke Box)와 같은 디스크 교환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CDG 영상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와 같은 정도의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나,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채널(Sub-code channel)에 기록된 제한된 수의 정지화면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레이져 디스크에 비해 영상과 음악의 연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에 비해 영상과 음악의 연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되는 곡이 15곡 정도로 제한되므로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와 같이 디스크 교환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컴퓨터 반주 시스템은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와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를 이용한 반주 시스템에서와 같은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1,000~1,500여곡 정도의 반주정보와 가사정보를 다량으로 제공할 수 있고 곡의 선택을 고속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 제1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메모리를 이용한 컴퓨터 반주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이는 스테레오 반주신호와 가사정보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모니터와 오디오 앰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명령입력부(1)에 의해 특정한 곡이 선택되고, 반주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는 반주신호 발생부(3)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반주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는 문자신호 발생부(4)를 제어하여 지정된 곡의 가사정보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음성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합성부(6)에서 반주신호와 합성된 뒤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앰프에 제공되고, 문자신호 발생부(4)의 출력은 모니터에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반주장치는 반주신호 및 가사신호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필요로 하며, 또한 앰프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두가지의 기기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취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 영상반주장치는 자체에 명령입력부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영상반주장치의 조작과 더불어 텔레비젼 수상기를 별도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3422호에는 영상반주장치와 텔레비젼이 일체화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바, 제2도를 참도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이 텔레비젼은 영상관련 계통과 음성관련 계통으로 대별되어지며, 또한 텔레비젼과 영상반주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채널선택, 비데오 선택, 볼륨을 비롯한 조정단자들의 조정등을 모두 수행하며, 그리고 영상반주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곡선택, 음정 및 속도의 조정, 예약설정등을 모두 수행한다.
특히, 영상반주모드에서 음성신호는 영상반주장치에 의해서만 제공되나, 영상신호는 텔레비젼에 의해 형성되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 및 영상반주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그래픽 신호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의 내용에 대응하여 생동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영상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안테나(10)를 통하여 튜터(12)에 입력되는 방송신호(EF 신호)는 중간 주파신호(IF 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14)로 입력된다. 복조부(14)로 입력된 IF 신호는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 ; CVS)와 음성신호(L/R)로 형성되어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로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들도 입력되어진다. 즉, 제1 및 제2의 비데오 신호원(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신호(V1, V2)와 수퍼 VHS 신호원(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신호(S-V)가 입력된다.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비데오 신호(CVS, V1 혹은 V2)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 입력된다. 휘도/색신호 분리부(18)에서 분리된 동기신호를 포함한 휘도신호(Y+S)는 제1선택부(20)의 일측입력으로 입력되고 색신호(C)는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제1선택부(20)의 타측입력으로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의사동기신호(PS)가 입력된다. 제1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되어진 신호(Y+S 혹은 PS)는 색복조부(22)에 입력된다.
한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 수퍼 VHS 신호(S-V)가 선택된 경우에는 휘도/색신호 분리부(18)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색복조부(22)와 제1선택부(20)로 입력된다.
제1선택부(20)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그래픽 모드신호(G)에 의해 제어되며, 그래픽 모드신호(G)가 하이(HIGH)일 경우에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의사동기신호(PS)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로우(LOW) 일 경우에는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영상신호를 선택항 출력한다.
색복조부(22)에 입력된 색신호(C)와 휘도신호(Y+S)는 색차신호(R-Y, B-Y, G-Y, -Y)로 복조되어져 영상신호 합성부(26)로 입력된다. 복합동기신호가 포함된 휘도신호(Y+S)로부터 추출된 동기신호(H/V)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와 제어부(28)에 제공된다. 제어부(28)에서 색복조부(2)에 인가되는 OSD(On Screen Display)신호는 복조된 색차신호와 합성되어져 출력된다.
영상 합성부(26)의 다른 입력으로서는 영상반주신호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가 R, G, B, BLK의 형태로 입력되어 색복조부(22)에서 제공되는 색차신호와 합성되어 CRT구동부(30)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 합성부(26)에 제어부(28)에서의 블랭킹 신호(BLK-OSD) 및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블랭킹 신호(BLK)를 인가함에 의해 제어부(28)에서의 OSD 신호,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 텔레비젼 신호 선택부(16)에서의 신호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음성신호 계통의 동작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되어진 오디오 신호(SVBS, V1, V2 혹은 S-V)는 제2선택부(32)에 입력된다. 제어부(28)에 의해 텔레비젼 모드가 선택되면 제2선택부(32)에서 텔레비젼 신호선택부(16)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고, 영상반주모드가 선택되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반주신호가 선택되어져 음성출력장치로 출력된다. 즉, 제2선택부(3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잔향음 처리부(34)에 입력되어져 잔향음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가 행해진 뒤 증폭부(36)로 출력된다. 증폭부(36)에서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L, R, WOOFER)에 의해 음성출력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성신호(VOICE)는 음성합성부(38)에서 상기 영상반주신호 발생부(32)의 반주신호로서 제공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는 그래픽 신호 및 문자신호를 발생하는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 반주음을 발생하는 반주신호 발생기(244), 그래픽/문자신호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의 동작을 제어하고,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영상반주 제어기(246) 및 외부에서 제공될 수 있는 그래픽/문자정보 및 음원정보를 입력하여 그래픽/문자신호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에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는 그래픽 정보를 기억하는 그래픽 메모리, 문자정보를 기억하는 문자 메모리,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그래픽 정보와 문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문자정보를 조합하는 그래픽/문자 처리기 및 상기 그래픽/문자 처리기의 출력을 디지타/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주신호 발생기(244)는 음원정보를 기억하는 음원 메모리, 음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음원정보를 입력하고 반주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정보 처리기 및 음원정보 처리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음원 메모리에 기억되는 음원정보는 MIDI 정보이다.
한편,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반주신호 발생기(24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원격 조정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원격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및 텔레비젼 신호의 등기신호와 동등한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한편, 전치증폭부(40)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제어명령을 인터페이스하고, 명령입력부(42)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적어도 텔레비젼/영상반주모드 선택키, 반주용 영상신호 선택키, 곡선택용 숫자패드, 시작/취소키, 예약키, 음정조정키 및 속도조정키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제2도에서는 외부 마이크 신호 처리부(50)에서 처리되어 음성합성부(38)에서 반주신호와 합성됨과 동시에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와 마이크로 컴퓨터(28)에서 OSD 신호로 변환된 후 영상신호 합성부(26)로 출력되어 영상신호와 합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블럭도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그 신호 레벨이 미약하므로 증폭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치 증폭기(501)에서 후단의 구성부에서 이용가능한 레벨로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가 레벨 정보부(502)에 입력되어 레벨이 보정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보정으로서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 및 이득 게인을 조정하며 또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은 보정동작이 수행된 후 음성신호는 음성합성부(38)로 입력되는 한편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부(241)로 입력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부(241)에서 A/D 컨버터(243)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 내재된 것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45) 및 OSD부(247)는 마이크로 컴퓨터(28)에 내재된 것이다.
한편, 최근들어 시판되고 있는 전화기는 자동응답기를 탑재하거나 별도의 자동응답기를 연결함으로써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토록 한 것이 많다. 자동응답기능이란 사용자 부재시에 부재중 메세지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상대방의 전화시도시에 발생되는 링잉신호를 감지하여 저장매체에 기록된 메세지를 출력하고, 상대방은 이 메세지를 확인한 후 남기고자 하는 메세지를 말하면 이 내용이 자동으로 저장매체에 남게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응답기능을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접목시킨다면, 메세지를 영상반주를 배경음악으로 하여 메세지를 남길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부재중 전화시에 청취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록저장매체가 장치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과 전화기를 인터페이싱한다면 별도의 자동응답기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와 데이타를 상호 교환하여 영상반주신호 발생기에 자동응답기를 구성함으로써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미리 메세지를 자동응답기에 저장하고 전화신호 수신시에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재생하여 출력한 후 소정시간동안 전화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세지를 자동응답기에 저장하는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수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특징은,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신호 수신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화면과 가사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 및 상기 처리된 텔레비젼 신호 및 영상반주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 출력부와, 상기 각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구비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 유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전화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화신호 수신시 발생되는 링잉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훅 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신호처리부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훅온/오프 제어부가 구성된 전화기의 상기 신호처리부와 인터페이싱되어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응답 메세지의 기록 및 재생 출력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응답기와 ; 상기 링잉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 전화신호 송신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훅 제어신호와 자동응답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링잉신호 감지부와, 외부 마이크 입력신호와 상기 영상반주신호출력부의 출력신호증 음향반주신호가 합성된 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동응답기로 출력이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영상반주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외부 마이크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자동응답기로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전화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전화신호 수신시 발생되는 링잉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훅 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신호처리부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훅 온/오프 제어부가 구성된 전화기의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자동응답기와, 외부 마이크로의 입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자동응답기에 입력하는 스위치와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구비됨으로써 영상반주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수행방법에 있어서 ;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자동응답기에 메세지로 기록하는 제1모드와 ; 상기 전화기에 전화신호가 수신됨에 따라서 발생되는 링잉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감지함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가 통화가능상태로 설정된 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응답 제어신호가 상기 자동응답기에 입력되면,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자동응답기에 저장된 메세지를 상기 전화기를 통하여 재생출력하는 제2모드와 ; 상기 제2모드 수행 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화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세지를 상기 자동응답기에 기록하는 제3모드가 수행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에 의한 곡명 자동 선택용 노래방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상기한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마이크로 컴퓨터 주변회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입력포트(IR1)에 기능 선택키의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전치 증폭부(40)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치 증폭부(40)의 입력단에는 키매트릭스(44) 패널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다른 입력포트(IR2)에는 외부 마이크에 의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데이터화된 음성인식 명령을 출력하는 음성인식 IC(43)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 마이크를 통하여 노래곡명을 입력하면 음성인식 IC(43)는 데이터화된 음성인식 명령을 마이크로 컴퓨터(28)에 제공하여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노랫말 문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전치 증폭부(40)의 입력단에 접속된 키매트릭스(44)에 직접 노래번호를 선택하여 노랫말 문자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의 상세도인 바, 영상반주 제어기(246)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46a)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의 전체동작을 제어한다.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 반주신호 발생기(244) 및 영상반주 제어기(246)는 데이터,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선을 갖는 버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영상반주 제어기(246)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46a)는 버스를 통하여 지정된 곡에 대응한 그래픽 신호, 문자신호 및 반주신호가 발생되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동기신호 발생기(246b)는 의사동기신호를 발생한다.
인터페이스기(246c)는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원격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46a)에 전송한다.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 명령을 제4도의 마이크로 컴퓨터(28)와 제5도의 영상반주 제어부(246)에 동시에 인가된다. 다시 말하면, 원격제어 명령이 텔레비젼의 제어명령이면 마이크로 컴퓨터(28)가 동작하고, 영상반주의 제어명령이면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가 동작한다.
의사동기신호(PS)는 영상반주신호 발생부(24)에서의 그래픽 신호가 제1선택기(20)로 인가되는 경우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와 영상반주신호와의 동기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텔레비젼 신호가 출력될 경우 색복조부(22)에서 발생되는 동기신호(H/V)에 의해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의 동기가 유지된다.
반주신호 발생기(242)의 동작에 있어서, 음원정보 메모리(244a)에는 각 곡마다의 음정, 음의 장단, 음색(악기의 종류) 등의 데이터가 MIDI규격에 의해 기록되어져 있다. 음원정보 메모리(244a)에서 읽혀진 음원정보는 음원정보 처리기(244b)에 입력되어진 뒤, 스테레오 L채널과 스테레오 R채널의 직렬 데이터로서 형성되어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c)로 전송된다.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c)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스테레오 L채널과 스테레오 R채널의 신호는 음성합성부(38)에서 마이크등의 외부 음성신호와 합성되어 제2선택기(32)로 전송될 수가 있다.
한편,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4)의 그래픽 메모리(242a)에는 그래픽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문자 메모리(244b)에는 각곡에 대응하는 가사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래픽 메모리(242a)와 문자메모리(242b)에서 독출된 그래픽 정보와 문자정보는 그래픽/문자정보 처리기(242c)에서 조합되어진 뒤,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2d)로 입력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42d)에서는 R, G, B 형태의 그래픽/문자신호가 출력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반주신호 발생기(244)에는 가수의 원곡을 발생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부(244d)와, 이 컴팩트 디스크에서 재생되는 디지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e)가 구비되어 있다.
이 컴팩트 디스크부(244d)는 사용자가 가수의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가수의 원음이 기록된 다수의 디스크를 포함한다.
제6도는 2사람이 동일한 곡을 동시에 부를 경우 각각의 점수를 모니터상에 표시하기 위한 블럭도인바, 이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2개의 마이크(MIC1), (MIC2), 전치증폭기(521), (541), 레벨 증폭기(522, 542)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이크(MIC1), (MIC2)에 의해 각각 입력된 음성신호는 전치 증폭기와 레벨 증폭기를 거쳐 음성합성부(38)에서 각각 혼합된 후 음성신호로써 출력됨과 동시에 아날로그/디지틀 변환기(251), (252)에 의해 디지틀 신호로 변화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53)에 제공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53)는 이후 설명하는 바와같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254)에 각각의 점수를 표시토록 한다. 이렇게 발생되는 OSD 점수는 영상신호 합성부(26)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되 수가 있다.
제7도는 영상반주기의 작동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블럭도 구성도인 바, 제7도 중 제2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마이크로 컴퓨터(28)에는 타임 메모리(60)가 접속되어 있는바, 이 메모리(60)에는 영상반주장치를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알 수 있는 시간 데이터가 기억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기술하기로 한다.
제8도 내지 제11도는 사용자가 가장 즐겨하는 애창곡과, 영상반주장치에서 가장 많이 불려진 소위 가요베스트 텐(BEST 10), 각종 축하메세지 및 알람을 위한 영상신호 발생부의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8도의 그래픽/문자 발생기(242)에는 애창곡을 위한 문자신호를 저장하는 애창곡 메모리(242e)가 구비되어 있다. 이 메모리(242e)에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곡의 번호가 기억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28)의 제어하에서 언제든지 독출하여 모니터(CRT)에 표시될 수가 있다.
제9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래픽/문자신호 발생기(242) 내에는 가요베스트 텐을 위한 문자신호를 저장하는 가요베스트 텐 메모리(242f)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메모리(242f)에는 현재까지 부른 곡중에서 가장 많이 부른 곡중 10곡의 곡명, 횟수등이 기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0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래픽/문자 발생기(242)에는 축하메세지를 위한 문자 및 그래픽 신호를 저장하는 축하메세지 메모리(242g)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메모리에는 생일, 회갑 또는 승진축하와 다양한 문자 및 그래픽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에는 알람 메모리(242h)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아침기상시간에 소정의 노래를 자동으로 틀어줌으로써 기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반주신호 발생기(244) 내에는 알람용 오디오 메모리(244f) 및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g)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래픽/문자 발생기(242h)내에 내장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 신호는 체조를 위한 문자 또는 그래픽 신호일 수도 있고, 약속시간을 알려주는 문자 또는 그래픽 신호일 수도 있다.
제12도는 이 발명에 있어서 화면을 이동하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인 바, 제12도에 있어서 제5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도에 있어서, 시나리오 메모리(250)는 동적인 화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그림을 설명하는 메모리로서, 이 표적 및 배경이 합성부(251)에서 합성될 경우 시나리오 메모리(250)에서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어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C)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제13도는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그림을 표시한 것으로서, 모니터(CRT)에는 배경 그래픽(300)과 표적(302)을 합성한 것이 표시되는 바, 제13a도와 b도는 표적(예컨대 비행기)(320)이 이동되고, 배경화면(300)이 고정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13c도, d도는 표적(302)이 고정되고, 배경화면만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적(배경)만을 이동시키고, 배경(표적)을 고정시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제39도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4도는 이 발명에 따라 특정 악기음의 음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의 블럭도인 바, 마이크로 프로세서(246a)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악기의 음량을 조정토록 한다. 제14도에 있어서 롬(244a)에는 각 곡마다의 음색(악기의 종류)의 데이터가 MIDI 규격에 의해 기록되어져 있다.
롬(244a)에서 읽혀진 악기 데이터는 음원정보 처리기(244b)로 입력되고, 롬(400)에서 읽혀진 음성, 음의 장단등의 데이터도 음원정보 처리기(244b)에 입력된 후 스테레의 직렬 데이터로서 형성되어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c)로 전송된다.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244c)에서는 직렬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바, 롬(244a)에서 독출된 특정 악기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6a)의 제어하에서 음원정보 처리기(244b)에서 그의 음량이 조절된 후 출력됨으로써 특정의 악기음이 강조될 수가 있다.
제15도와 제16도는 이 발명의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접속가능한 다중 롬 팩장치의 상태도로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보드와 복수의 롬 팩(401, 403, 405, 407, 409)이 삽입되는 롬 팩 카틀지(44)가 접속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롬 팩(401, 403, 405, 407, 409)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롬(402, 404, 406, 408, 410)이 내장되어 있다.
제17도는 이 발명에 따른 영상반주기 텔레비젼에서의 다중 롬 팩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제17도에서 제4도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으므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7도를 참조하면, 영상, 반주곡, 게임, 프로그램, 동화, 생활 정보등을 기록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우러지는 복수의 롬 팩이 삽입가능한 롬 팩 카트리지(44)와, 상기 롬팩 카트리지(44)의 접속이 자유롭고 상기 롬 팩 카트리지(44)에 삽입된 롬 팩의 내용을 마이크로 컴퓨터(28)가 읽어내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커넥터(420)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롬 팩 카트리지(44)에 삽입된 복수의 롬 팩중 하나의 롬 팩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430)와, 상기 선택 스위치(430)와 커넥터(420)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스위치(430)의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롬 팩 카트리지(44)에 삽입된 롬 팩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8)로 억세스 가능하게 하는 롬 팩 선택부(440)가 제2도에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있어서, 영상 반주곡등이 기억된 외부 롬 팩을 1개 이상 모듈화 또는 멀티로 롬 팩 카트리지(44)에 삽입한다. 이때, 커넥터(420)는 상기 롬 팩 카트리지(44)를 영상반주 내장형 텔레비젼 보드와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접속시켜주고, 선택된 외부의 롬 팩 데이터가 마이크로 컴퓨터(28)로 입력되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한편, 선택 스위치(430)는 외부에서 조작가능하며, 복수의 롬 팩중 하나의 롬 팩을 선택한다. 따라서, 롬 팩 선택(440)는 상기 선택 스위치(430)의 선택신호에 따라 롬팩 카트리지(44)에 삽입된 복수의 롬 팩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8)로 억세스시킨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8)는 롬 팩 선택부(440)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롬 팩의 정보(예, 영상 반주곡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반주신호 발생부924)로 출력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된 제4도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때, 상기 롬 팩은 IC메모리 카드로 ㅐ체할 수 있다.
제8도는 이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자치를 구비한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블럭도인 바, 제18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부품들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 발명의 필수적인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8도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8)는 제1선택부932)와, 영상반주 제어기(246)를 영상반주모드로서 각각 제어하는 제어신호(KA1, KA2)를 발생하고, 또한, 곡의 내용이 슬픈노래인지, 경쾌한 노래인지를 감지하는 곡속도 검출부(500)와 비교부(50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KA3, KA4)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곡속도 검출부(50)는 디스크(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재생되는 반주음이 슬픈것인가, 즐거운 것인가를 곡의 속도로서 감지할 수 있으나, 리듬 또는 톤으로써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비교부(52)는 마이크로 컴퓨터(28) 및 영상반주 제어기(246)의 제어하에서 동작되어 곡속도 검출부(5)에서 검출된 곡속도 신호와 미리 설정된 곡속도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 비교부(52)는 입력되는 곡속도 검출신호가 설정된 곡속도 신호보다 작을 경우에는 조명등 구동용 모터(53)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제어하는 신호를 조명등 모터 구동부(54)에 제공하고, 곡속도 검출신호가 설정된 곡속도 신호보다 클 경우에는 조명등 구동용 모터(53)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9도는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실시예이다.
일반적인 전화기(600)의 내부 회로적인 구성요소로서는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602)와, 무선부(602)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부(604)와, 신호처리부의 신호 입력에 따라 훅을 제어하여 신호처립(604)의 동작을 제어하는 훅 온/오프 제어부(606)가 있다. 물론 일반 전화기에는 더 많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겠으나, 제19도에는 이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영상반주신호발생부(610)는 자동응답기(612)를 구비하고 또 링잉신호감지부(620)가 별도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마이크 신호와 잔향음 처리부(34)로부터 출력디는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963)는 스위치(640)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650)로부터 선택 제어신호(S1)가 스위치(640)의 제어측으로 입력되며, 스위치(640)의 출력측은 자동응답기(61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신호처리부(604)로부터 출력되는 링잉신호는 링잉신호감지부(620)로 입력되고, 링잉신호 감지부(620)의 출력측은 마이크로 컴퓨터(650)에 연결되어, 링잉신호 입력에 따른 전화신호 수신에 대한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65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650)는 링잉신호 감지부(620)로부터의 신호입력에 따라 훅 제어신호와 응답제어신호를 각각 훅 온/오프 제어부(606)와 자동응답기(612)로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훅 제어신호가 훅 온/오프 제어부(606)로 입력되면, 훅 온/오프 제어부(606)는 신호처리부(604)가 전화신호를 처리하도록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응답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동응답기(612)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그 수행모드로서 크게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수행모드는 마이크로 컴퓨터(6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우선 첫째 모드는 사용자가 자동응답 메세지를 자동응답기(612)에 저장하는 것이고, 둘째 모드는 무선부(602)를 통한 신호 입력시 발생되는 링잉신호를 감지하여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신호처리부(604) 및 무선부(602)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며, 세째 모드는 미리 저장된 메세지 출력후 무선부(602)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세지를 소정시간동안 자동응답기(612)에 저장하는 것이다.
첫째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자동응답메세지를 자동응답기(612)에 저장하기 위하여, 명령입력부(42) 또는 도시되지 않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키 신호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650)로부터 선택 제어신호(S1)와 응답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640)와 자동응답기(612)로 각각 입력된다.
여기에서 응답 제어신호가 로직 하이로 출력되면 자동응답기(612)는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로직 로우로 출력되면 자동응답기(612)는 저장된 메세지를 재생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로직 하이의 응답 제어신호가 자동응답기(612)로 입력되면, 자동응답기(612)는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선택 제어신호(S1)에 의하여 스위치(640)가 도통되면 합성부(630)의 외부 마이크 신호와 잔향음 처리부의 출력이 합성된 신호가 스위치(640)를 통하여 자동응답기(612)로 입력되고, 이에 자동응답기(612)는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한다. 이때 기록되는 신호는 메세지로서 그 내용은 사용자가 육성으로 말한 내용과 잔향음 처리부(34)로부터 출력된 배경음악이 합성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메세지를 남길때 배경음악으로서 전체적인 곡분위기가 잔잔한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반 영상반주기능을 활용하여 '월광 소나타'를 선곡한 후 영상반주기능을 동작시키면, 잔향음 처리부(34)로부터 선곡한 '월광 소나타'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에 맞춰서 외부 마이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남기고자 하는 메세지를 육성으로 말하면 상기 두 신호가 합성되어 자동응답기(612)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배경음악으로 선택가능한 범위는 영상반주가 가능한 모든 곡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메세지 저장시 사용자는 남기고자 하는 메세지의 배경으로 다양한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같이 첫째 모드에서 저장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둘째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선을 통하여 전화신호가 무선부(602)를 거쳐 신호처리부(604)에 입력되면, 신호처리부(604)는 링잉신호를 링잉신호 감지부(620)로 출력하고, 링잉신호 감지부(620)로부터 전화신호수신에 대한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650)로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650)는 훅제어신호를 훅 온/오프 제어부(606)로 출력하는 한편 로직 로우상태의 응답 제어신호를 자동응답기(612)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훅 온/오프 제어부(606)는 신호처리부(60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통화상태로 설정하고, 자동응답기(612)는 첫째 모드에서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신호처리부(604)로 재생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처리부(604)는 입력된 메세지를 변조한 후 무선부(602)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전화를 건 사람은 배경음악과 더불어 사용자의 부재중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되는 전화건 사람의 메세지를 저장하는 세째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둘째 모드에서 세째 모드로의 변환은 자동응답기(612)의 저장 메세지 출력완료후 수행된다. 즉, 자동응답기(612)는 미리 저장된 메세지 재생동작 완료 후 마이크로 컴퓨터(650)로부터 로직 하이상태의 응답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602)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건 사람의 남기고자 하는 메세지가 신호처리부(604)에서 변조된 후 자동응답기(612)로 입력된다. 이때 신호처리부(604)는 훅 온/오프(606)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계속 통화상태가 유지된다. 자동응답기(612)는 소정시간동안 입력되는 메세지를 기록한 후 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신호처리부(604)로부터 링잉신호 감지부(620)를 통하여 통화정지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650)로 입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650)로부터 훅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훅 온/오프 제어부(606)는 신호처리부(604)를 통화 중지상태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첫째 모드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마이크로 컴퓨터(650)의 동작상태를 설정한다면, 유선을 통하여 전화신호가 입력시 계속 둘째 모드와 세째 모드가 반복 수행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반주기를 이용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 메세지를 저장할 때 영상반주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메세지에 배경음악을 삽입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에 의하면, 영상반주신호발생기에 자동응답기를 구비함으로써 영상반주 내장형 텔레비젼을 이용한 자동응답기능의 수행이 가능하여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소정이 훅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전화가 걸려오면 링신호를 출력하는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 감지부와 사용자 메세지 기록명령을 인가하고,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는 명령입력부와 반주음악을 발생하는 반주발생기와 소정의 메세지를 기록/재생하는 자동응답기를 구비하고, 소정의 응답제어신호에 따라 기록/재생모드로 동작되는 영상반주신호발생부와, 외부 마이크신호와 상기 반주발생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반주신호발생부가 기록모드일 때에만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 및 상기 명령인가부 및 상기 링신호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반주신호발생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인가부로부터 사용자 메세지기록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영상반주신호발생부를 기록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반주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주음악과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메세지가 합성된 신호가 상기 자동응답기에 기록되도록 상기 자동응답기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링감지부로부터 링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반주신호발생부를 재생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자동응답기에 배경음악과 함께 저장된 사용자 메세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 메세지이 출력이 완료되면,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메세지를 기록하도록 상기 자동응답기와 스위칭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3. 전화기와 연결되어, 반주음악과 함께 음성메세지를 기록/재생하는 자동응답기 기능을 갖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에 있어,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주음악과 함께 사용자의 음성메세지를 기록하는 제1과정 ;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제1과정에서 기록된 반주음악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과정 ; 상기 재생과정이 완료되면, 상대방의 음성메세지를 기록하는 제2기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자동응답기능 수행방법.
KR1019940005578A 1994-03-21 1994-03-21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KR014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578A KR0147585B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578A KR0147585B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13A KR950027813A (ko) 1995-10-18
KR0147585B1 true KR0147585B1 (ko) 1998-10-15

Family

ID=1937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578A KR0147585B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511B1 (ko) * 2005-04-08 2007-02-26 김성규 음향기기의 음성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13A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6510B1 (ko) 선택적 신호처리기능을 가진 캠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JPH0772887A (ja) 映像伴奏器内装型テレビの映像伴奏制御方法
JPH0715678A (ja) 映像伴奏機能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325592A (ja) 映像伴奏器内装型テレビの映像伴奏制御方法
EP0806758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KR0147585B1 (ko)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KR012998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화상 메모리 및 영상반주기 일체형 텔레비젼
KR016064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KR016065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0176480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100200820B1 (ko) 영상반주기 및 시디롬 복합 텔레비젼
KR0160653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0141209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014120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KR018368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바이오 리듬 기능을 이용한 선곡방법
KR0132854B1 (ko) 음성인식에 의한 곡명 자동 선택용 노래방 텔레비젼
KR0132852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이용한 축하메세지 표시방법
KR100230241B1 (ko) 모닝콜 기능을 가진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수상기의 모닝콜 기능 수행방법
KR0135828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을 이용한 알람방법
KR0132853B1 (ko) 가요반주기의 가요 베스트 텐 관리방법
KR0132850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2인 점수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19583B1 (ko) 가요반주기의 애창곡 관리 방법
KR0135827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가사 선택 및 삭제 기능 수행방법
KR0129981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기록 제어방법
JPH09244668A (ja) 無線歌謡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