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954B1 - 중공형 회전스위치 - Google Patents

중공형 회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954B1
KR100684954B1 KR1020050128549A KR20050128549A KR100684954B1 KR 100684954 B1 KR100684954 B1 KR 100684954B1 KR 1020050128549 A KR1020050128549 A KR 1020050128549A KR 20050128549 A KR20050128549 A KR 20050128549A KR 100684954 B1 KR100684954 B1 KR 10068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tent ball
rotary switch
suppo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36Switches making use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H01H2001/0042Bistable switches, i.e. having two stable positions requiring only actuating energy for switching between them, e.g. with snap membrane or by permanent magnet
    • H01H2001/0047Bistable switches, i.e. having two stable positions requiring only actuating energy for switching between them, e.g. with snap membrane or by permanent magnet operable only by mechanical latching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 회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 형상의 측벽부(110)와, 이 측벽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13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지부(120)를 가지는 케이스(100)와; 상기 지지부(120)에 삽입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300)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1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30)을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와 함께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300)를 수용하는 커버(900)와; 상기 케이스(100)와 커버(900)의 결합체 내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회로기판(500) 및 접촉편(200)과; 상기 커버(900)에 설치되며 회전부재(300)의 요철부에 접촉하는 클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릭부재(700)는, 상기 커버(9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970)을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된 디텐트 볼(710)과, 상기 커버(900)와 디텐트 볼(7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텐트 볼(7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7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 볼(710)을 지지하여 하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97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텐트 볼(710)의 후단 또는 상기 커버(900)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7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에는, 관통구멍(930)과 교차하는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디텐트 볼(71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정지편(97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조립시 커버를 뒤집는 동작 등이 필요 없어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디텐트 볼이 일단 삽입된 후에는 좀처럼 빠져나오지 않기 때문에 서브 조립상태에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스위치, 중공형, 회전, 디텐트, 스프링, 클릭

Description

중공형 회전스위치{A ROTARY SWITCH HAVING A CENTER HOLE}
도 1은, 통상적인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디텐트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측벽부
120... 지지부
130... 케이스의 관통구멍
170... 끼움구멍
200... 접촉편
300... 회전부재
310... 중공 원통부
320... 받침부
500... 회로기판
700... 클릭부재
710... 디텐트 볼(detent ball)
720... 압축 스프링
900... 커버
910... 걸림돌기
1000... 중공형 회전스위치
본 발명은 중공형 회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후속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유격이 확보되어 조작이 부드러운 중공형 회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종래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전형적인 예가 한 국등록특허공보 제0399543호와 제37397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그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공형 회전스위치는, 평판 형상의 벽부(1a)와, 이 벽부(1a)로부터 직립하여 중심부에 관통구멍(1c)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지부(1d)를 가지는 케이스(1)와; 상기 지지부(1d)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지고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1d)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축부재(2)와; 상기 지지부(1d)에 삽입되는 관통구멍(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2)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2)이 회전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전부재(3)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1d)와 축부재(2)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c)을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와 함께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3)를 수용하는 박스체(9)와; 상기 케이스(1)와 상기 회전부재(3)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접촉편(8), 및 상기 케이스(1)와 상기 회전부재(3)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도전패턴(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와 박스체(9)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설치판(12)을 굽혀서 결합하게 되어 있다.
이때, 축부재(2)와 회전부재(3)는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2)는 제1스냅 다리부(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스냅 다리부(2b)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가 상기 축부재(2)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는 클릭기구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갖는 회전체(4)와, 이 회전체(4)에 올려지고 상기 도전패턴(6) 또는 접촉편(8)이 설치된 절연기판 (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4)의 회전에 따라 측벽(9g)를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 대응하는 클릭부재(10)가 박스체(9)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릭부재(10)는 본체부(10a)와 이 본체부(10a)로부터 직립형성된 볼록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릭부재(10)의 전방부(10c)는 가세부재(11)에 의해 회전체(4)의 요철부(4d)에 탄성이 작용되면서 눌려지며, 회전체(4)의 회전에 따라 클릭부재(10)가 요철부(4d)에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절도감 있게 넘어가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축부재(2)와 회전부재(3)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도전패턴(6)과 접촉편(8) 사이의 저항변화에 따라서 에어컨 도어 등에 대한 소정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중공형 회전스위치에서는, 가세부재(11)와 클릭부재(10)가 이탈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박스체(9)를 뒤집어서 가세부재(11)와 클릭부재(10)를 얹어놓은 상태(서브 조립)에서 후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후속 조립이 행해질 경우에도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기 때문에 조립공정중 가세부재(11)나 클릭부재(10)가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에는 클릭부재(10)가 박스체(9)의 아래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체(4)에 적절한 차단막이 형성될 필요가 있는데, 만일 이 차단막이 조립과정에서 클릭부재(10)와 지나치게 콤팩트하게 결합될 경우 상대 마찰로 인해 클릭부재(10)가 회전체(4)의 요철부(4d)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해되어 절도 있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서브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후속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유격이 확보되어 조작이 부드러우면서도 절도 있는 동작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중공형 회전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는,
평판 형상의 측벽부와, 이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지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함께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체 내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회로기판 및 접촉편과;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회전부재의 요철부에 접촉하는 클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릭부재는, 상기 커버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된 디텐트 볼과, 상기 커버와 디텐트 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텐트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가이드 홈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 볼을 지지하여 하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텐트 볼의 후단 또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커버에 형성된 돌출 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수단은, 디텐트 볼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 자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디텐트 볼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아래쪽에서 접촉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가이드 홈에는, 아래쪽 양 모서리 부분에 상기 디텐트 볼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정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회전스위치(1000)는, 케이스(100), 회전부재(300), 회로기판(500), 접촉편(200), 커버(900) 및 클릭부재(7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평판 형상의 측벽부(110)와, 이 측벽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13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지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커버(900)의 지지다리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끼움구멍(1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300)가 상기 케이스(100)의 지지부(120)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300)는 중공 원통부(310)와 이 중공 원통부(310)의 일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받침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 원통부(310)는 케이스(100)의 지지부(120)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중공 원통부(3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클릭부재(700)와 접촉하면서 절도감 있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부재(300) 사이에는 회로기판(500)과 접촉편(2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500)과 접촉편(200)은 각각 상기 케이스(100)의 측벽부(110)나 회전부재(300)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될 수 있어 상대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500)과 접촉편(200)은 적절한 위치에서 대향되게 배치되면 된다.
한편, 커버(900)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케이스(100)의 지지부(1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0)와 결합하여 함께 상기 회전부재(300)를 수용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90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9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걸림돌기(910)가 상기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구멍(170)에 밀착 결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900)에는 클릭부재(7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릭부재(700)는 디텐트 볼(710)과 압축 스프링(72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선, 상기 디텐트 볼(710)은 상기 커버(9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970)을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 스프링(720)은 커버(900)와 디텐트 볼(7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텐트 볼(710)을 커버(9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 볼(710)을 지지하여 하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973)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디텐트 볼(7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973)의 아래쪽에서 접촉하는 지지턱(714)이 형성되어 있어 디텐트 볼(710)의 자연낙하를 자연스럽게 방지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디텐트 볼(710)은 바닥과 양쪽 수직면이 있는 오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면에 지지턱(714)이 돌출되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디텐트 볼(710)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973)를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디텐트 볼(710)의 후단 또는 상기 커버(900)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7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커버(900)에 형성된 돌출 고정편(96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 스프링(720)의 후단이 상기 돌출 고정편(960)에 끼워져서 견고히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 고정편(960) 대신 스프링 자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디텐트 볼(710)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 자리(717)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720)의 선단이 상기 스프링 자리(717)에 안쪽으로 끼워져서 견고히 지지된다. 물론, 상기 스프링 자리(717) 대신 스프링이 끼워지는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조립작업시 상기 디텐트 볼(710)과 압축 스프링(720)이 낙하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커버(900)를 중간에 뒤집거나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에는, 아래쪽 양 모서리 부분에 상기 디텐트 볼(71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정지편(977)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정지편(977)은 관통구멍(930)의 근방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텐트 볼(710)을 가이드 돌기(973)의 선단과 정지편(977) 사이로 약간 경사지게 삽입한 후 그대로 밀어넣으면, 압축 스프링(720)의 탄성에 의해 디텐트 볼(710)의 지지턱(714)이 정지편(977)에 압착되면서 견고하게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정지편(977)의 상단은 반경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면, 디텐트 볼(710)의 삽입 설치작업이 보다 매끄럽게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X기술되지 않은 도면부호 400은 받침판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300)에는 램프 장착회전부(8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램프 장착회전부(800)에 설치된 램프(818)의 밝 기를 다르게 하여 냉난방의 강약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램프 장착회전부(800)의 뒤쪽에는 램프단자 접촉편(8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단자 접촉편(840)은 커버(900)에 설치된 램프 단자(830)에 접촉된다.
상기 램프 장착회전부(810)에는 손잡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디텐트 볼과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이 낙하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립시 커버를 뒤집는 동작 등이 필요 없어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홈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에 의해 디텐트 볼이 커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도 지지되기 때문에, 부품 상호간의 유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정하여 마찰을 피할 수 있어 스위치의 원활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가이드 홈에 정지편이 형성되어 있어, 디텐트 볼이 일단 삽입된 후에는 좀처럼 빠져나오지 않기 때문에 서브 조립상태에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평판 형상의 측벽부(110)와, 이 측벽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중심부에 관통구멍(13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지부(120)를 가지는 케이스(100)와; 상기 지지부(120)에 삽입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300)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1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30)을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와 함께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300)를 수용하는 커버(900)와; 상기 케이스(100)와 커버(900)의 결합체 내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회로기판(500) 및 접촉편(200)과; 상기 커버(900)에 설치되며 회전부재(300)의 요철부에 접촉하는 클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클릭부재(700)는, 상기 커버(9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970)을 따라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된 디텐트 볼(710)과, 상기 커버(900)와 디텐트 볼(7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텐트 볼(7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7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 측면에는 상기 디텐트 볼(710)을 지지하여 하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97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텐트 볼(710)의 후단 또는 상기 커버(900)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7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커버(900)에 형성된 돌출 고정편(9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디텐트 볼(710)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 자리(7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볼(7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973)의 아래쪽에서 접촉하는 지지턱(7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900)의 가이드 홈(970)에는, 아래쪽 양 모서리 부분에 상기 디텐트 볼(71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정지편(97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회전스위치.
KR1020050128549A 2005-12-23 2005-12-23 중공형 회전스위치 KR10068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49A KR100684954B1 (ko) 2005-12-23 2005-12-23 중공형 회전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49A KR100684954B1 (ko) 2005-12-23 2005-12-23 중공형 회전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954B1 true KR100684954B1 (ko) 2007-02-22

Family

ID=3810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49A KR100684954B1 (ko) 2005-12-23 2005-12-23 중공형 회전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6560A (zh) * 2018-08-31 2018-12-0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机构及电子设备
CN110492879A (zh) * 2019-08-02 2019-11-22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扭力可控的控制旋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795U (ko) * 1996-12-11 1998-09-15 조희재 로터리 스위치
KR200340570Y1 (ko) * 2003-10-22 2004-02-05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발광소자 직결형 회전식 스위치
KR200364829Y1 (ko) * 2004-07-28 2004-10-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패널의 로터리스위치
KR20050065669A (ko) * 2003-05-24 2005-06-29 프레 게엠베하 회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전기적 구성부품용 래칫장치
KR20050080122A (ko) * 2005-07-12 2005-08-11 전영환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795U (ko) * 1996-12-11 1998-09-15 조희재 로터리 스위치
KR20050065669A (ko) * 2003-05-24 2005-06-29 프레 게엠베하 회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전기적 구성부품용 래칫장치
KR200340570Y1 (ko) * 2003-10-22 2004-02-05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발광소자 직결형 회전식 스위치
KR200364829Y1 (ko) * 2004-07-28 2004-10-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패널의 로터리스위치
KR20050080122A (ko) * 2005-07-12 2005-08-11 전영환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6560A (zh) * 2018-08-31 2018-12-0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机构及电子设备
CN110492879A (zh) * 2019-08-02 2019-11-22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扭力可控的控制旋钮
CN110492879B (zh) * 2019-08-02 2024-02-09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扭力可控的控制旋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1941A (ja) 照準可能な薄型照明アセンブリ
JP3900771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298896A (ja) 給電端子内蔵モータ
KR100684954B1 (ko) 중공형 회전스위치
KR100453998B1 (ko) 스위치장치
KR20090010156U (ko) 로터리 딥 스위치
JP2007207015A (ja) 多方向入力装置
US20050061645A1 (en) Switching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witching apparatus assembled therein
KR100668717B1 (ko) 중공형 회전스위치
JP3174908B2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US20010024156A1 (en) Rotary electric part superior in click feeling
JP4530586B2 (ja) 回転操作部材のクリック機構
JP2554359Y2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034856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4299574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US20060157327A1 (en) Rotating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JP2003242860A (ja) スイッチ装置
JPH07211195A (ja) シーソー釦装置
JP2010157388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KR200384168Y1 (ko) 로터리스위치의 스토퍼
KR100341678B1 (ko)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JP3721251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2004178988A (ja) 回転式電子部品
JPH08307500A (ja) 携帯端末装置の置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