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930B1 - 구동원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구동원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930B1
KR100684930B1 KR1020050085990A KR20050085990A KR100684930B1 KR 100684930 B1 KR100684930 B1 KR 100684930B1 KR 1020050085990 A KR1020050085990 A KR 1020050085990A KR 20050085990 A KR20050085990 A KR 20050085990A KR 100684930 B1 KR100684930 B1 KR 10068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drive source
housing
input shaf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308A (ko
Inventor
헤이자부로 카토
나오유끼 야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5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이 구동원의 장착과 관련하여 발생의 우려가 있는 분진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가 가능한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구동원(11)의 구동 회전축(13)으로부터 회전전달 요소(61, 63)를 통해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41)과, 이 입력축(41)을 축지지 하는 하우징(33)을 구비한 장치(31)에, 상기 구동원(11)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이다. 한쪽 면(71a)에는 상기 구동원(11)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면(71b)에는 상기 구동원(11)의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를 수용하는 오목부(72)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72)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우징(343)에의 제1 장착면(81)이 형성된 장착판(71)과, 상기 입력축(41)이 돌출하는 상기 하우징(33)의 외벽면(33g)에, 상기 제1 장착면(81)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장착면(8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81, 83) 끼리를 서로 대면시키면서 상기 장착판(71)을 상기 하우징(33)의 외벽면(33g)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오목부(72)와 상기 외벽면(33g)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S72)에, 상기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와, 상기 회전전달 요소(61, 63)와, 상기 입력축(41)의 상기 외벽면(33g)으로부터의 돌출부분(41a)이 수용되어 있다.
구동원, 회전축, 입력축, 선단부, 오목부, 하우징, 외벽면, 장착면, 돌출부분, 장착판

Description

구동원의 장착 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DRIVING SOURCE}
[도 1]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실시형태의 구동원(1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이의 상면도이다.
[도 3]
이의 정면도이다.
[도 4]
상기 장착 구조와 관련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
도 4 중의 V-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장착판(71)의 배면도이다.
[도 6]
도 4 중의 VI-V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하우징(33)의 정면도이다.
[도 7]
도 1 중의 VII-V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8]
도 1 중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9]
도 4 중의 IX-I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0a]
제2 실시형태의 구동원(1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2중의 X-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에 상당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b]
도 10a중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2]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3a]
종래의 구동원(11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13b]
이의 정면도이다.
[도 14a]
상기 장착 구조에 사용되는 방진 커버(172)의 전개도이다.
[도 14b]
방진 커버(172)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 모터(구동원)
13 구동 회전축
13a 선단부
31 캠 기구(장치)
33 하우징
33g 외벽면
41 입력축
41a 전단부(돌출부분 )
61 제1 톱니바퀴(회전전달 요소)
63 제2 톱니바퀴(회전전달 요소)
71 장착판
71a 전면(면)
71b 후면(면)
72 오목부
81 제1 장착면
83 제2 장착면
S72 공간
본 발명은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으로부터 회전전달 요소를 통해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이 입력축을 축지지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장치에,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년, 무분진실(클린룸) 등의 고도의 청정 환경 하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집적회로 등의 전자 부품이나 정밀 기기 부품 등이다. 그리고, 그 생산 과정에 있어서는 이들 제품에의 이물질의 부착은 미립자 레벨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무분진실에는 그 실내 공기로부터 분진 등의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단지, 이러한 필터의 설치와 아울러 상기 무분진실 내에서 사용되는 생산 장치로부터의 분진 등의 누출을 처음부터 차단하도록 하면 한층 효과적이고, 이에 대해서는 생산 장치의 구동원의 장착 구조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구동원의 장착 구조는 그러한 배려가 되고 있지 않고,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서 발생한 분진을 청정해야할 무분진실 내로 누출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 일례를,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11)를 캠(cam) 기구(131)의 하우징(133)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가 나타나 있고, 도 13a는 상면도이고 도 13b는 정면도이다.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그 장착 구조로서 평판 모양의 베이스(base) 플레이 트(plate)(171)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이 베이스 플레이트(171)는 캠 기구(131)의 하우징(133)에 장착됨과 동시에, 당해 베이스 플레이트(171)에는 모터(11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111)의 구동 회전축(113)의 회전동작을 캠 기구(131)의 입력축(141)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 요소로서는, 소위 감아 걸음 동력 전달 장치(160)가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축(141)과 모터(111)의 구동 회전축(113)의 양자에는 각각 풀리(161a, 161b)가 고정되고, 이들 풀리(161a, 161b)에는 무단 벨트(162)가 걸려 돌려지고 있다. 또, 이 감아 걸음 동력 전달 장치(160)의 전체는 방진 커버(172)로 가려져 있고, 이 방진 커버(172)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방진 커버(172)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재를 접어 구부림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다. 상세하게는, 평판 모양의 금속판재로부터, 도 14a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것 같은 직사각형의 정면 패널(173)의 각 변에 각각 측면 패널(174, 174, 175, 175)이 연속하여 설치된 공백(172a)을 구멍 뚫어 성형하고, 이 공백(172a)의 각 측면 패널(174, 174, 175, 175)을 상기 정면 패널(173)의 사방에서 각각 접어 구부림 형성된 상자이고, 그 정면 패널(173)에 대향하는 면이 개구부로 되어 있다(도 14b의 사시도를 참조). 그리고, 이 방진 커버(172)는 그 개구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1)를 향하면서,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71)에 고정되어 있다(도 13a 및 도 14b를 참조).
여기서, 통상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4개의 각 변(174a, 174a, 175a, 175a)에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71)에 끼워넣기 위한 끼워넣기편(174b, 174b, 175b, 175b)이 내측으로 접어 구부림 형성되어 있고(도 14b를 참조), 이들 끼워넣기편(174b, 174b, 175b, 175b)을 베이스 플레이트(171)에 끼워넣음으로써, 어느 정도의 밀폐성을 방진 커버(172)의 내측 공간(S172)에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들 끼워넣기편(174b, 174b, 175b, 175b)은, 도 14b에 나타내듯이, 측면 패널마다 분단하고 있고, 이 분단 부분이 틈새 G로 되어, 상기 감아 걸음 동력 전달 장치(160)가 발생시키는 마모가루 등의 분진을 무분진실 내에 누출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이 구동원의 장착과 관련하여 발생의 우려가 있는 분진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가 가능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으로부터 회전전달 요소를 통해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이 입력축을 축지지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장치에,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우징에의 제1 장착면이 형성된 장착판과, 상기 입력축이 돌출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상기 제1 장착면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장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 끼리를 서로 대면시키면서 상기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벽면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 간에, 상기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와, 상기 회전전달 요소와, 상기 입력축의 상기 외벽면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하게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하게 된다.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으로부터 회전전달 요소를 통해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이 입력축을 축지지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장치에,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우징에의 제1 장착면이 형성된 장착판과, 상기 입력축이 돌출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상기 제1 장착면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장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 끼리를 서로 대면시키면서 상기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벽면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와, 상기 회전전달 요소와, 상기 입력축의 상기 외벽면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이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상기 장착판의 오목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상기 공간을 구획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1 장착면 및 제2 장착면의 양자는, 상기 오목부의 주위 전체에 걸쳐 틈새 없이 맞닿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공간내의 상기 회전전달 요소 등이 발생시키는 마모가루와 같은 분진이, 이들 제1 장착면과 제2 장착면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공간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 내의 회전전달 요소 등으로부터 발생의 우려가 있는 분진을, 상기 공간 내에 확실히 가두어 두어 장착 구조의 밖으로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은 평탄해요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은 평탄하기 때문에, 이러한 면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그 면가공의 용이성으로부터, 이들 제1 및 제2 장착면의 가공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그 결과,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벽면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의 밀폐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면의 전면에 걸쳐 제2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판의 평면 형상은 상기 외벽면과 동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제2 장착면의 면적을, 상기 하우징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최대한으로 넓고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공간의 밀폐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가 있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의 어느 한쪽 면에는, 감합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감합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감합 볼록부가 끼워 넣어지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감합 볼록부를 감합 오목부에 끼워 넣어짐에 따라, 상기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면서 확실히 고정할 수가 있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형 형상은 각 외벽면이 평탄하고 평활한 직방체이고, 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입력축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작을 소정의 회전동작으로 변환하여 출력축으로부터 출력하는 동작변환 기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고도의 청정 환경 하에서 사용 가능한 동작변환 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즉, 동작변환 기구의 하우징이 직방체이고, 그 각 외벽면이 평탄하고 평활하기 때문에, 이들 외벽면에 분진이 장착하기 하기 어려워져, 청정한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 가능하게 된다. 또, 만일 분진이 부착하여 쌓여도, 각 외벽면이 평탄하고 평활하기 때문에, 닦아내기 쉽고, 원래의 청정한 상태에 회복시키기 위한 청소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상기 한쪽 면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구동원으로 가려지는 범위에는, 이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 부재를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장착판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수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판이 하우징의 외벽면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확실히 체결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장착판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일절 노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착판의 외면에, 구멍부분과 같이 분진이 모이기 쉬운 곳을 출현하지 않게 할 수 있어 분진이 모이기 어려워지는 결과, 청정한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 가능하게 된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수나사 부재의 머리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수나사 부재의 머리 부분은, 상기 관통공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장착판에 있어서의 구동원이 고정되어야 할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원의 쪽에 수나사 부재의 머리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등이라고 하는 궁리를 하지 않아도 되어, 상기 관통공을 가리면서 상기 구동원의 장착판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수나사 부재보다 대형의 수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장착판을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즉, 하우징에 장착판이 강고하게 밀착하고 있는 경우이어도,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장착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다.
먼저, 체결 고정용의 수나사 부재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뽑은 후에, 이 관통공의 암나사에 상기 대형의 수나사 부재를 나사 넣음 한다. 그러면, 이 수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하우징에 맞닿아 더 이상의 수나사 부재의 나사 넣음이 규제되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욱 나사 넣음 하여 가면, 이 나사 넣음에 의해 잭(jack : 기중기) 작용이 생겨, 즉, 장착판에는 하우징으로부터 갈라놓아지는 방향의 힘이 수나사로부터 주어지고, 이 힘에 의해 이들 장착판과 하우징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장착판을 떼어낼 수가 있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외면은 평탄하고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이들 외면에 분진이 장착하기 하기 어려워져, 청정한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 가능하게 된다.
이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 요소는, 상기 구동 회전축에 고정된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에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입력축에 고정된 톱니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이들 톱니바퀴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동작이 구동 회전축으로부터 입력축으로 확실히 전달된다. 또, 이 맞물림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마모가루 등의 분진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벽면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에 확실히 갇혀 장착 구조의 밖으로의 누출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 제1 실시형태 ===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실시형태의 구동원(1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면도이고, 도 3은 정면 도이다. 도 4는 장착 구조와 관련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또, 도 4 중에서는 장착판(71)을 횡단면에서 보아 나타내고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각 도에 나타내듯이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각각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정의한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되는 구동원(11)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개략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당해 도시예의 구동원(11)의 장착 구조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1)를 동작변환 기구로서의 캠 기구(31)의 하우징(33)에 장착하는 경우에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장착 구조에 의해 모터(11)가 하우징(33)에 장착되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상기 하우징(33)에 축지지 된 캠 기구(31)의 입력축(41)은 소정의 회전전달 요소(61, 63)를 통해 모터(11)의 구동 회전축(13)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캠 기구(31)는 그 동작변환 기능을 발휘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입력축(41)으로 입력된 회전동작을 소정의 회전동작으로 변환하여 출력축(51)으로부터 출력 가능하게 된다.
또, 도시예에서는 회전전달 요소(61, 63)로서 소위 톱니바퀴 동력 전달 장치가 적용되어 있고, 자세하게는, 상기 입력축(41)에 고정된 제1 톱니바퀴(61)와, 이 제1 톱니바퀴(61)에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구동 회전축(13)에 고정된 제2 톱니바퀴(63)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중에서는, 이들 톱니바퀴(61, 63)의 피치(pitch) 원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장착 구조에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내는 것 같은 장착판(71)이 사용되고, 이 장착판(71)을 통해 모터(11)는 하우징(33)에 고정된다. 즉, 도 4의 분해도에 나 타내듯이, 당해 장착판(71)의 한쪽 면(71a)에는 상기 모터(11)가 고정되고, 그 반대측의 면(71b)에는 상기 모터(11)의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를 수용하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72)를 상기 입력축(41)이 돌출하는 하우징(33)의 외벽면(33g)에 대면시키면서, 당해 장착판(71)을 상기 하우징(33)에 고정함에 따라, 모터(11)를 장착한다. 단, 이 때에는 상기 오목부(72)와 상기 외벽면(33g)으로 공간(S72)을 구획 형성하고, 당해 공간(S72)에 상기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와, 이 선단부(13a)에 고정된 상기 제 2 톱니바퀴(63)와, 상기 입력축(41)의 상기 외벽면(33g)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인 전단부(41a)와, 이 전단부(41a)에 고정된 상기 제1 톱니바퀴(61)가 수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 4 중의 V-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장착판(71)의 배면도 및 도 4 중의 VI-V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하우징(33)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내지만, 도 5에 나타내듯이, 이 장착판(71)의 면(71b)에는 상기 오목부(72)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제1 장착면(81)(도 5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하우징(33)의 외벽면(33g)에는 상기 제1 장착면(81)에 대응시켜 제2 장착면(83)(도 6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이들 제1 및 제2 장착면(81, 83) 끼리는 서로 대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장착면(81) 및 제2 장착면(83)의 양자는 상기 오목부(72)의 주위 전체에 걸쳐 틈새 없이 맞닿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공간(S72)내에 수용된 상기 제1 및 제2 톱니바퀴(61, 63)의 맞물림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모가루 등의 분진이, 이들 제1 장착면(81)과 제2 장착면(83)의 사이부터 외부로 누출하는 일이 없이, 상기 공간(S72) 내에 확실하게 갇힌다.
이하, 이 구동원(11)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 중의 VII-V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 중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또, 양도 모두 일부를 상면에서 보고 또는 측면에서 보아 나타내고 있고, 또, 도 7에 있어서는 장착판(71)을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캠 기구(31)의 하우징(33)은 6개의 벽부로 이루어지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고, 즉, 전면벽부(33a), 후면벽부(33b), 상면벽부(33c), 하면벽부(33d), 우측면벽부(33e), 및 좌측면벽부(33f)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들 벽부(33a, 33b, ...3f)의 외벽면은 모두 평탄하고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벽면에는 공기 중을 떠도는 분진이 부착하기 하기 어렵고, 또, 만일 부착하여 쌓였다고 하여도 용이하게 닦아내기 가능하다.
이러한 벽부(33a, 33b, ...33f) 중에서 전면벽부(33a) 및 후면벽부(33b)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상기 입력축(41)을 축지지 하기 위한 베어링(43a, 43b)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당해 입력축(41)은 그 축심(C41)을 전후 방향으로 향해 배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후면벽부(33b)의 베어링(43b)은 당해 후면벽부(33b)의 내벽면에 형성된 오목부(44b)에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축(41)의 후단부(41b)는 하우징(33)의 외측으로는 돌출하지 않지만, 전면벽부(33a)의 베어링(43a)은 전면벽부(33a)의 관통공(44a)에 갭(gap) 부재(45)를 통해 고정되어 있어, 당해 입력축(41) 의 전단부(41a)는 전면벽부(33a)로부터 하우징(3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면벽부(33a)의 외벽면(33g)에 상기 장착판(71)을 장착하기 위한 상기 제 2 장착면(83)이 가공되어 있다(도 6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참조). 또, 이 제2 장착면(83)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면가공의 용이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이 면가공의 용이성으로부터 제2 장착면(83)의 가공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장착면(83)의 면가공 상의 특징은, 후술하는 장착판(71)의 제1 장착면(8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여기서 입력축(41)은, 도 6에 나타내듯이, 전면벽부(33a)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출력축(51)이 하우징(33)내의 우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입력축(41)의 전단부(41a)에는 상기 제1 톱니바퀴(61)가 서로의 회전 중심을 가지런히 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4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상기 장착판(71)은 그 평면 형상이 하우징(33)의 전면벽부(33a)와 동형의 직사각형판이고, 전면에 걸쳐 동일 두께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착판(71)의 6개의 외면도 전술의 캠 기구(31)의 하우징(33)의 외벽면과 마찬가지로 평탄하고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외면에는 공기 중을 떠도는 분진 등이 부착하기 하기 어렵고, 또, 만일 부착하여 쌓였다고 하여도 용이하게 닦아내기 가능하다.
도 9에 도 4 중의 IX-I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이 장착판(71)의 전면(71a)에 있어서의 우측 부분에는, 모터(11)의 장착면(87)(도 9중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고, 이하에서는 모터 장착 면이라 한다)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면의 후면(71b)에는, 도 5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모터 장착면(87)이 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것처럼, 하우징(33)의 전면벽부(33a)의 외벽면(33g)의 좌측 부분에 캠 기구(31)의 입력축(41)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모터(1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듯이, 후단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플랜지(15a)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모터 본체(15)와, 이 모터 본체(15)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고 상기 플랜지(15a)의 후단면에서 선단부(13a)가 돌출한 구동 회전축(1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상기 모터 장착면(87)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3)에 상기 구동 회전축(13)이 통과하면서, 상기 플랜지(15a)의 후단면이 상기 모터 장착면(87)에 면 맞음에 틈새 없이 맞닿은 상태인 채 상기 플랜지(15a)의 네 귀퉁이의 볼트(16)에 의해 모터(11)는 장착판(71)에 체결 고정된다.
또, 도 4,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장착판(71)의 상기 관통공(73)은 상기 오목부(72)에 연통하고, 즉 당해 관통공(73)은 오목부(7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전술의 체결 고정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장착판(71)의 오목부(72)에 수용된다. 또, 이 선단부(13a)에는 상기 회전전달 요소의 한쪽을 이루는 제2 톱니바퀴(63)가 회전 중심을 가지런히 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이 제2 톱니바퀴(63)도 상기 오목부(72)에 수용된다. 또한, 장착판(71)을 상기 하우징(33)에 장착하였을 때에 있어서는, 이 오목부(72)에는 상기 회전전달 요소의 한쪽을 이루는 상기 입력축(41)의 제1 톱니 바퀴(61)도 수용된다. 이 때문에 당해 오목부(72)는 이들 제1 톱니바퀴(61) 및 제2 톱니바퀴(63)의 양자를 수용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도 4,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장착판(71)의 우측 부분뿐만이 아니고 좌측 부분까지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오목부(72)의 크기는 이 오목부(72)의 외주 가장자리를 둘러싸서 형성되는 제1 장착면(81)의 면적을 크게 할 목적으로 수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하여야 하여, 도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72)의 평면 형상은 상기 회전전달 요소(61, 63)의 외형 형상에 따르게 하면서, 그것보다 약간 큰 형상이 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톱니바퀴(61) 및 제2 톱니바퀴(63)보다 약간 큰 2개의 원이 서로의 일부를 겹치게 하여 이루어지는 벤다이어그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이 장착판(71)의 제1 장착면(81)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감합 볼록부로서의 핀(85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내듯이, 이 제1 장착면(81)에 대응하는 하우징(33)의 외벽면의 제2 장착면(83)의 네 귀퉁이에는 감합 오목부로서의 핀 구멍(8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착판(71)의 하우징(33)에의 설치는, 도 4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그 제1 장착면(81)을 상기 제 2 장착면(83)에 대면시키면서, 상기 핀(85a)을 상기 핀 구멍(85b)에 끼워넣음으로써 행해진다.
또, 이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오목부(72)와 상기 전면벽부(33a)의 외벽면(33g)에 의해 공간(S72)이 구획 형성되고, 이 공간(S72)에 입력축(41)의 전단부(41a)에 고정된 제1 톱니바퀴(61)와 구동 회전축(13)의 선단부(13a)에 고정된 제2 톱니바퀴(63)가 수용되고, 또, 상기 오목부(72)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형성된 제1 장착면(81)과 제2 장착면(83)이 면 맞음에 틈새 없이 맞닿는다. 따라서, 상기 공간(S72)내에 수용된 상기 제1 및 제2 톱니바퀴(61, 63)의 맞물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가루 등의 분진은, 이들 제1 장착면(81)과 제2 장착면(83)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하는 일이 없이 상기 공간(S72) 내에 확실히 갇힌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33) 내에 수용되는 동작변환 기구의 일례로서의 캠 기구(3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캠 기구(31)는 상기 입력축(41)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작을 소정의 회전동작으로 변환하여 출력축(51)으로부터 출력하는 것이다. 입력축(41)은, 전술한 것처럼, 그 축심(C41)을 전후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도 7을 참조). 한편, 출력축(51)은 상기 입력축(41)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그 축심(C51)은 상기 입력축(41)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당해 출력축(51)은, 도 8에 나타내듯이,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면벽부(33c) 및 하면벽부(33d)에 설치된 한 벌의 베어링(53c, 53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 하면벽부(33d)의 베어링(53d)은 하면벽부(33d)의 내벽면에 형성된 오목부(54d)에 감합되고, 출력축(51)의 하단부는 하우징(33)의 외측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상면벽부(33c)의 베어링(53c)은 상면벽부(33c)에 형성된 관통공(54c)에 캡 부재(55)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이 관통공(54c)을 통과하여 출력축(51)의 상단부는, 상면벽부(33c)로부터 하우징(3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단부로부터 동작변환 후의 회전동작의 출력을 하우징(33)의 밖으로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캠 기구(31)에는 소위 글로보이드 캠(globoidal cam)(35)이 사용되고 있다. 이 글로보이드 캠(35)은, 도 7에 나타내듯이, 상기 입력축(41)의 외주면에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리브(36)를 본체로 하고, 이 리브(36)의 양측면(36a, 36b)이 캠 면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출력축(5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의 캠 팔로워(follower)(37)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캠 팔로워(37)가 상기 리브(36)의 양측면(36a, 36b)의 적어도 한쪽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41)이 회전동작을 하면 이들 캠 팔로워(37)는 리브(36)의 측면(36a, 36b)에 맞닿아 당해 측면(36a, 36b)을 회전 동작시키고, 그 때에 리브(36)로부터 캠 팔로워(37)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 토크가 주어지고, 순차 캠 팔로워(37)는 전후 방향으로 보내어지고, 그 결과적으로 출력축(51)은 상기 상하 방향을 향한 축심(51) 주위를 회전동작을 한다.
이 출력축(51)의 회전동작은 이 글로보이드 캠(35)의 리브(36)의 나선 형상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어, 예를 들면, 상기 리브(36)의 나선 형상의 설정에 따라서는, 입력축(41)의 연속 회전동작을 간헐 회전동작으로 변환하여 출력축(51)으로부터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백래시(backlash)에 의한 회전동작 정밀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리브(36)의 양측면(36a, 36b)에는 항상 적어도 캠 팔로워(37)가 한 개씩 맞닿도록 되어 있다.
=== 제2 실시형태 ===
도 10a,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는 도 2중의 X-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 중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도 10b 중에서는 모터(11) 및 제2 톱니바퀴(63)를 측면에서 보아 나타내고 있다.
전술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3)에의 장착판(71)의 설치를 핀(85a)의 핀 구멍(85b)에의 끼워넣음 만에 의해 행하고 있었지만,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 설치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워넣음에 더하여 볼트 고정을 하고 있다. 즉,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듯이, 장착판(71)에는 수나사 부재로서의 볼트(91)를 통과하는 관통공(93)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우징(33)에는 상기 볼트(91)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95)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장착판(71)을 하우징(33)에 체결 고정하고 있다.
단지, 이 관통공(93)이 외부에 노출하고 있으면 이 관통공(93)으로 공기 중을 떠도는 분진이 모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당해 관통공(93)의 형성 위치는, 도 10a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난 상기 모터 장착면(87)에 설정되어 있어, 당해 관통공(93)을 장착판(71)에 장착된 모터(11)의 플랜지(15a)에 의해 가리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0b에 나타내듯이, 이 관통공(93)은 수용부(94)를 가지고, 체결 고정시에는 볼트(91)의 머리 부분(91a)은 이 수용부(94)에 들어가고, 상기 플랜지(15a)의 플랜지 면과는 간섭하지 않게 배려되어 있다.
도 11a내지 도 11d에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 도 11a 내지 11d의 어느 것도 도 10b와 같은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내듯이, 이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관통공(9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91)보다 대형의 볼트(92)가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9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장착판(71)을 하우징(33)으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즉, 상기 하우징(33)의 핀 구멍(85b)에 장착판(71)의 핀(85a)이 강고하게 끼워 넣어져 있는 경우이어도, 다음과 같이 하여 용이하게 떼어내기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11a에 나타내듯이, 모터(11)를 장착판(71)으로부터 떼어내고 관통공(93)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에, 도 11b에 나타내듯이, 체결 고정용의 상기 볼트(91)를 상기 관통공(93)으로부터 뽑은 후, 도 11c에 나타내듯이, 이 관통공(93)의 암나사(96)에 대형의 볼트(92)를 나사 넣음 한다. 그리고, 소정량만 나사 넣음 하면, 이 볼트(92)는 상기 하우징(33)의 암나사(95)가 본래 나사 결합해야할 볼트(91)보다 크기 때문에, 그 선단부(92b)가 상기 암나사(95)의 내주 가장지리에 닿아 그 이상의 나사 넣음이 규제된다. 그러나,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욱 나사 넣음 해가면, 이 나사 넣음에 의해 잭(jack : 기중기) 작용이 생겨, 즉, 장착판(71)과 하우징(33)을 갈라놓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힘이 상기 핀 구멍(85b)과 핀(85a)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끼워넣는 힘에 대항하여 상기 장착판(71)과 하우징(33)의 사이에 틈새 G를 형성하여, 하우징(33)으로부터 장착판(71)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떼어냄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당해 변형예와 관련되는 암나사(96) 첨부의 관통공(93)을 복수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a와 같은 식으로 나타난 도 12의 예에 있어서는, 이들 관통공(93, 93)은 서로 모터(11)의 구동 회전 축(13)에 관해서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93, 9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들 복수의 관통공(93)의 각 암나사(96)에 볼트(9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장착판(71)을 핀(85a)의 끼워넣는 방향과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장착판(71)을 떼어낼 때에 핀(85a)을 끼워넣는 방향과 평행 이동시키면서 핀 구멍(85b)으로부터 뽑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당해 핀(85a)을 핀 구멍(85b)으로부터 뽑을 때에 생길 수 있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의 실시형태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나타내는 것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a)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동작변환 기구의 일례로서 글로보이드 캠(35)을 구비한 캠 기구(31)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41)을 하우징(33)에 가지고 있으면, 본 발명과 관련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를 적용 가능하여, 예를 들면, 상기 캠 기구(31)에 대신하여 소위 크랭크 기구 등에 대해서 적용하여도 좋다.
(b)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전달 요소의 일례로서 제1 톱니바퀴(61) 및 제2 톱니바퀴(63)로 이루어지는 톱니바퀴 동력 전달 장치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13)의 회전동작을 입력축(41)으로 전달 가능한 장치이면 좋고, 예를 들면, 전술한 감아 걸음 동력 전달 장치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c)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원의 일례로서 모터(11)를 나타내고, 그 모터(11)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투입 동력에 따라 구동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13)을 구비하는 것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력으로 구동 회전축을 회전하는 전동 모터이어도 좋고, 공기나 기름을 작동 유체로서 구동 회전축을 회전하는 공기 압력 모터나 유압 모터이어도 좋다.
(d)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장착면(81)과 제2 장착면(83)의 사이에는 아무것도 개재시키지 않고 이들 양자는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목부(72)가 구획 형성하는 상기 공간(S72)의 밀폐성을 향상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81, 83)에 실리콘 등의 페이스트체(paste material)로 이루어지는 실제(seal member)를 도포하여도 좋다. 또, 장착판(71)을 떼어낼 예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에 대신하여 접착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이 구동원의 장착과 관련하여 발생의 우려가 있는 분진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가 가능한 장착 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으로부터 회전전달 요소를 통해 회전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이 입력축을 축지지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장치에,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한 구동원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싸서 상기 하우징에의 제1 장착면이 형성된 장착판과,
    상기 입력축이 돌출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상기 제1 장착면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장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 끼리를 서로 대면시키면서 상기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벽면으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구동 회전축의 선단부와, 상기 회전전달 요소와, 상기 입력축의 상기 외벽면으로부터의 돌출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면의 전면에 걸쳐 제2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판의 평면 형상은, 상기 외벽면과 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착면의 어느 한쪽 면에는, 감합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감합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감합 볼록부가 끼워 넣어지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형 형상은 각 외벽면이 평탄하고 평활한 직방체이고,
    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입력축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동작을 소정의 회전동작으로 변환하여 출력축으로부터 출력하는 동작변환 기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상기 한쪽 면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구동원으로 가려지는 범위에는, 이 장착판을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 부재를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수나사 부재의 머리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수나사 부재보다 대형의 수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외면은, 평탄하고 평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 요소는, 상기 구동 회전축에 고정된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에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상기 입력축에 고정된 톱니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원의 장착 구조.
KR1020050085990A 2004-10-26 2005-09-15 구동원의 장착 구조 KR100684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0750 2004-10-26
JP2004310750A JP2006125428A (ja) 2004-10-26 2004-10-26 駆動源の取り付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308A KR20060051308A (ko) 2006-05-19
KR100684930B1 true KR100684930B1 (ko) 2007-02-20

Family

ID=3672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990A KR100684930B1 (ko) 2004-10-26 2005-09-15 구동원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125428A (ko)
KR (1) KR100684930B1 (ko)
CN (1) CN100397755C (ko)
TW (1) TWI281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677B (zh) * 2019-06-10 2022-10-1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出风口及包括其的车辆
CN110500305B (zh) * 2019-08-30 2022-02-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电机支架和离心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006A (ja) * 2006-08-11 2008-02-28 Nippon Soda Co Ltd アミン化合物を有する有機無機複合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209U (ko) * 1985-04-25 1986-11-05
JPS6349237A (ja) * 1986-08-14 1988-03-02 Daido Kogyo Co Ltd エマルジヨン装置
JPH0756598Y2 (ja) * 1989-09-27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歯車減速機付電動機
JPH05240232A (ja) * 1992-02-25 1993-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筐体構造
JP2894889B2 (ja) * 1992-03-16 1999-05-24 茨城日本電気株式会社 筺体連結機構
JPH0798007A (ja) * 1993-09-29 1995-04-11 Ntn Corp 部材締結構造
JP3096601B2 (ja) * 1995-02-03 2000-10-10 富士変速機株式会社 直交軸型変速機
CN2248418Y (zh) * 1995-05-22 1997-02-26 方秋贤 马达减速机的组装装置
JP4368013B2 (ja) * 1999-10-04 2009-11-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ギヤドモータ及びギヤドモータシリーズ
JP2002221101A (ja) * 2001-01-29 2002-08-09 Sg:Kk 軽質燃料を燃料とする内燃機関の燃料乳化装置
JP4836349B2 (ja) * 2001-04-23 2011-12-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2段形ウォーム減速機のシリーズ
JP4316245B2 (ja) * 2003-01-22 2009-08-19 株式会社コスメック 旋回式クランプのクランプアームの着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006A (ja) * 2006-08-11 2008-02-28 Nippon Soda Co Ltd アミン化合物を有する有機無機複合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995-4117호,
공개특허공보 제2004-500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0108A (zh) 2006-05-31
CN100397755C (zh) 2008-06-25
TWI281303B (en) 2007-05-11
JP2006125428A (ja) 2006-05-18
KR20060051308A (ko) 2006-05-19
TW200620789A (en)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120B1 (ko) 내접식 유성치차 감속기
JP5473192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US20060213318A1 (en) Axle assembly with threaded cover pan attachment and method of assembly
KR100684930B1 (ko) 구동원의 장착 구조
US11542979B2 (en) Seal arrangement, kit of parts and method
CN1676972A (zh) 用于分动箱的可维护密封件
JP2010092694A5 (ko)
US11190078B2 (en) Driv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nd a transmis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ive
JP5184852B2 (ja) 歯車装置
US6912927B2 (en) Modular-flexible wormshaft assembly
JP2006518018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ためのポンプ
JP3134827U (ja) モーター付き歯車減速機
WO2022051910A1 (en) Harmonic reducer and industrial robot
JP5064272B2 (ja) ユニット型歯車装置のグリース漏れ防止構造
JP2005180595A (ja) 樹脂歯車
JP5508126B2 (ja) 歯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3662B1 (ko) 간헐 윤활 장치를 구비한 리듀서
CN214092963U (zh) 立式行星齿轮箱
JP6049803B2 (ja) ギヤードモータ
EP1602827A2 (en) Pump pulsation damper
CN215806232U (zh) 一种易于维护的齿轮箱箱体
US5997268A (en) Positive displacement hydraulic machine having a recess receiving a spigot for sealing
CN101091077A (zh) 用于多个壳体的接合表面结构
JP5836672B2 (ja) ギヤードモータ
JP2013072546A (ja) ロボットのエンドエフェクタの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