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300B1 -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300B1
KR100684300B1 KR1020040083905A KR20040083905A KR100684300B1 KR 100684300 B1 KR100684300 B1 KR 100684300B1 KR 1020040083905 A KR1020040083905 A KR 1020040083905A KR 20040083905 A KR20040083905 A KR 20040083905A KR 100684300 B1 KR100684300 B1 KR 10068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undus
image data
fundus imag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585A (ko
Inventor
세키구치쿄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저 카메라에 의해 출력되는 안저화상에서 개구 마스크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대응하도록 개구 마스크 생성부에서 생성된 개구 마스크 화상과 안저화상을 합성한다. 개구 마스크 판정부(34)가 안저화상에서 개구 마스크 화상이 없고 부가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면, 개구 마스크 생성부(35)는 필요한 마스크를 생성하고, 개구 마스크 합성부(36)는 안저화상을 개구 마스크 화상과 합성한다.
안저화상, 개구 마스크, 화상진단, 화상합성, 화상부가

Description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FUNDUSCOPIC IMAGE PROCESSING UNIT AND METHOD}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개구 마스크 검출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히스토그램 처리의 그래프 도면이고,
도 7은 개구 마스크판이 설치된 안저 카메라의 블록도이고,
도 8은 개구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9는 개구 마스크에 따른 안저 화상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안저 카메라 32 : 안저화상 처리장치
33 : 화상 입력부 34 : 개구 마스크 판정부
35 : 개구 마스크 생성부 36 : 개구 마스크 합성부
37 : 화상 출력부 38 : 화상진단 표시장치
본 발명은 안과 및 내과에서 사용되는 안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안저화상 처리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과 및 내과에서 사용되는 안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안저화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개구 마스크(aperture mask)를 촬영하는 수단을 갖는 안저 카메라의 촬영용 카메라의 주변부를 도시한 것이다. 정지화상용 촬영 카메라(1)의 촬영면의 바로 앞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된 원형 개구(2)와 그 주변의 차광부를 갖는 개구 마스크판(3)이 배치되어 있다.
안저 카메라의 촬영 광학계로부터의 촬영 광속의 중심부에는 안저화상이 촬영되지만, 그 주변에는 플레어(flare)가 안저화상에 혼합되고, 상기 주변의 외부에는 원하지 않는 반사 등이 안저화상에 혼합되므로, 진단을 위한 유효 영역인 개구(2)는 개구 마스크판(3)에 의해 명확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개구 마스크판(3)은 마스크 경계가 흐려지지 않을 정도의 촬영 카메라(1)의 촬영면 근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촬영면의 바로 앞에 여러 가지 필터와 전환미러(4)가 배치되어 있으면, 추가로 개구 마스크판(3)을 설치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다.
구체적으로, 3P 프리즘과 같은 색분할 프리즘의 배후에 3개의 촬영센서를 갖 는 3판식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개구 마스크판(3)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개구 마스크판(3)과 안저화상을 광학적으로 재촬영해야 하고, 그 결과, 광경로를 더 길게 하고 광학계가 복잡해지고 기구의 수가 증가할 필요가 있으며, 비용 상승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비용 감소,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위하여, 광학계와 기구를 단순화시키고, 상기 설명된 개구 마스크판(3)을 제거하며, 촬영 광학계의 촬영 유효면적의 전체 화상이 촬영면에 생성되도록 하는 안저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촬영 시스템은 재촬영을 위한 광학계를 제거함으로써, 안저 카메라 자체를 소형화하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안저화상에는, 도 9a∼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개구 마스크판(3)을 사용한 안저화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9c 및 도 9d는 개구 마스크판(3)을 사용하지 않는 안저화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원형의 안저화상 Er'이고, 수직 및 수평방향 모두 동일한 시야각으로 촬영되며, 주변의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촬영한 눈 안저의 안저화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b에서, 촬영 광학계는 유효 광경로와 촬영면을 모두 유효하게 배치하고, 수평방향으로 타원이며 직사각형인 안저화상 Er'과 그 주위의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촬영한다.
도 9c에서, 촬영 광학계는 촬영 광속 내부에 모든 촬영면을 배치하고, 전체 화상면에 안저화상 Er'을 촬영한다. 도 9d는 플레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안저화상 Er'을 도시한 것이고, 플레어 F1, F2, F3가 유효한 안저화상 Er'의 외측에 순차 적으로 촬영되어 있다. 플레어 F1은 플레어와 함께 안저화상이 촬영된 영역이다. 플레어 F2에서는, 안저화상, 안저 카메라의 화상 및 플레어가 도시되어 있다. 플레어 F3에서는, 안저 카메라에서 흐려진 화상이 어둡게 도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09-206278호에는, 상기 안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안저화상에 개구 마스크 화상을 전기적 및 전자적으로 부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크 처리를 위한 수단과 일체화된 안저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건강 검사, 당뇨병성 망막증 및 녹내장의 진단을 위한 안저촬영에 안저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촬영된 안저화상에 의거한 진단이 안저 촬영과는 다른 장소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소형, 경량이면서 저렴한 제품이 안저 카메라용으로 요구되고 있고, 안저 카메라가 그 내부에 마스크 처리를 위한 수단과 거의 일체화할 수 없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이러한 검사를 위한 안저 촬영을 수행하는 병원 또는 검진 기관에는 상기 설명된 여러 가지의 신형 및 구형 안저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저화상이 혼합되면, 안저의 유효 범위를 정의하지 않은 화상 때문에 오진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경계가 없는 화상을 관찰하고 해독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이러한 화상은 화상 진단자에게 지치기 쉽다고 하는 과중한 부담을 주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안과 또는 내과에서 사용 되는 안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안저화상 처리에 적합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안저화상 처리장치는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안저화상 처리장치는, 안저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수단과,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는, 안저화상 데이터에서 개구 마스크 화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개구 마스크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수행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안저화상 처리방법은 아래의 구성을 포함한다.
즉, 안저화상 처리방법은, 안저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단계와,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는, 안저화상 데이터에서 개구 마스크 화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개구 마스크 판정단계에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 한다.
(실시예 1)
도 1은 개구 마스크를 촬영하는 수단이 없는 안저 카메라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안저 카메라는, 램프 등의 관찰용 위치맞춤 광원(11)으로부터 대물렌즈(12)에 이르는 광경로 상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집광렌즈(13), 스트로보스코프 등의 정지화상 촬영용 광원(14), 집광렌즈(15), 미러(16), 렌즈(17), 링형상 개구를 갖는 개구(18), 릴레이렌즈(19) 및, 중앙부에 개구를 갖는 개구미러(20)를 가진다.
또한, 안저 카메라는, 개구미러(20) 배후의 광경로 상에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이동 가능한 초점렌즈(21), 배율변경 기능을 갖는 촬영렌즈(22), 전환미러(23) 및, 고해상도 정지화상 촬영용 카메라(24)를 가지며, 전환미러(23)의 반사방향으로 배열된 동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고감도 카메라(25)를 가지며, 초점렌즈(21)와 촬영렌즈(22)를 구동하도록 설치된 초점노브(26)를 가진다.
관찰 및 위치맞춤 단계에서, 관찰 위치맞춤용 광원(11)으로부터 방출된 광속은, 집광렌즈(13), 정지화상 촬영용 광원(14) 및, 집광렌즈(15)를 통과한 다음, 미러(16)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고, 그 다음에, 렌즈(17), 개구(18)의 링형상 개구부 및, 릴레이렌즈(19)를 통과한 다음, 개구미러(20)에 의해 좌측으로 반사되고, 대물렌즈(12)를 통과하여 피검안 E의 동공 Ep을 통해 안저 Er를 조명한다. 이와 같이 조명된 안저 Er로부터의 반사광은, 동공 Ep, 대물렌즈(12), 초점렌즈(21) 및, 촬영렌즈(22)를 통과한 다음, 전환미러(23)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사되고, 동화상 관찰용 카메라(25)의 촬영면 위에 안저화상 Er'으로서 화상을 생성한다.
촬영자는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를 통해 안저화상 Er'을 관찰하면서 촬영부위, 위치맞춤 및 초점 상태를 확인하고, 화상이 초점에서 벗어나 있으면, 촬영자는 초점노브(26)에 대한 조작을 통해 초점렌즈(2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초점을 조절한다.
촬영 준비를 종료한 후, 검사자가 도시되지 않은 촬영 스위치를 누르면, 전환미러(23)가 광경로의 외부로 후퇴하고, 정지화상 촬영용 광원(14)으로부터 광이 방출된다. 광속은 렌즈(15)를 통과하고, 관찰 위치맞춤용 광원(11)으로부터 방출된 광속과 유사한 광경로를 통과하여 안저 Er를 조명한다. 안저 Er로부터의 반사광은 동공 Ep을 통과한 다음, 대물렌즈(12), 개구미러(20), 초점렌즈(21) 및, 촬영렌즈(22)를 통과하여 정지화상 촬영용 카메라(24)의 촬영면 위에 안저화상 Er'으로서 화상을 형성한다.
촬영면 위에 형성된 화상은 촬영된 안저화상 Er'의 플레어가 없는 중심의 유효부에만 있다. 촬영된 화상은 정지화상 촬영용 카메라(24)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다음,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안저화상 Er'은 도시되지 않은 기억장치에 기억되고, 통신 회선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도 2는 화상 처리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개구 마스크가 없는 화상을 촬영하는 안저 카메라(31)의 출력은, 안저화상 처리장치(32)에 접속되어 있다. 안저 카메라(31)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 Er'의 신호는 안저화상 처리장치(32)의 화상 입력부(33)에 접속되고, 화상 입력부(33)의 출력은 개구 마스크 판정부(34)를 통해 개구 마스크 생성부에 접속된 다음, 개구 마스크 합성부(36)를 통해 화상 출력부(37)에 순서대로 접속된다. 또한, 개구 마스크 생성부(35)의 출력은 개구 마스크 합성부(36)와 화상 출력부(37)에 접속되고, 화상 출력부(37)는 외부의 화상진단 표시장치(38)에 접속된다.
안저 카메라(31)가 안저 촬영에 사용되면, 촬영된 안저 화상은 안저화상 처리장치(32)의 화상 입력부(33)에 보내지고, 도시하지 않은 화상처리를 위한 메모리에 전개되며, 개구 마스크 판정부(34)와 개구 마스크 합성부(36)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초기화된다. 개구 마스크 판정부(34)에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개구 마스크 화상 M이 안저화상 Er'에 부가되어야 하는지가 판정된다. 안저화상 Er'이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부가를 필요로 한다고 판정되면, 필요한 마스크가 개구 마스크 생성부(35)에서 생성되고, 상기 형성된 마스크와 합성된 개구 마스크 화상 M이 개구 마스크 합성부(36)에서 생성되며, 화상 출력부(37)에서 포맷이 변환되며, 합성된 화상은 화상진단 표시장치(38)에 출력된다.
또한, 개구 마스크 생성부(35)에서 생성된 개구 마스크 화상은 화상 출력부(37)에 독립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화상진단 표시장치(38)가 중첩(overlay)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안저화상과 개구 마스크 화상이 개별적으로 입력되고, 중첩 및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실시예 2에서 몇개의 상이한 안저 카메라로 안저화상을 촬영할 경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 처리장치를 갖는 병원 외부에, 개구 마스크 화상을 갖지 않은 안저화상을 생성하는 안저 카메라(41)와, 개구 마스크를 촬영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안저 카메라(42)와, 전체 화상이 안저화상인 안저 카메라(43)가 있다. 병원(44)에는, 또 다른 안저 카메라(45)와,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화상 서버(46)와, 화상 기억부(47)가 설치되고, 서버(46)에는 안저화상 처리장치(48)가 접속된다. 화상 서버(46)에는 네트워크(49)를 통해 안저 카메라(45)와, 화상진단 표시장치(50, 51, 52)가 접속된다. 병원(44) 외부에서 안저 카메라(41, 42, 43)로 촬영된 안저화상은, 이동형 기억매체(53, 54, 55)를 통해 병원(44)의 화상 서버(46)에 입력되고, 화상 기억부(47)에서 관리된다.
안저 카메라(41, 42, 43)로 촬영된 안저화상은 도 9a∼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식으로 촬영된다. 안저화상 Er'을 표시하라는 요구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안저화상 처리장치(32)로부터 화상 서버(46)에 출력되면, 화상 서버(46)는 화상 기억부(47)에서 안저화상 Er'을 검색하여 안저화상 처리장치(48)에 보낸다. 안저화상 처리장치(48)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구 마스크 화상이 안저화상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구 마스크와 합성된 화상을 생성하며, 결과적으로 생성된 화상을 화상 서버(46)에 회신한다. 네트워크(49)를 통해 화상진단 표시장치(50, 51, 52)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필요로 하는 화상에 대하여, 처리장치(48)가 개구 마스크 화상을 적절하게 부가하여 상기 화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실시예 3에서 몇개의 상이한 안저 카메라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경우의 화상 처리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안저 카메라(61, 62, 63)의 출력은 인터넷 망(64)을 통해 단말의 화상진단 표시장치(65, 66, 67)와 화상 서버(68)에 접속되고, 또한, 화상 서버(68)에는 안저화상 처리장치(69)와 화상 기억부(70)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여러 가지 안저화상을 출력하는 안저 카메라(61, 62, 63)로 촬영된 화상이 인터넷 망(64)을 경유하여 화상 서버(68)에 일시적으로 보내지고, 화상 기억부(70)에서 기억 및 보관된다. 또한, 원격의 여러 지역 및 나라의 화상진단 표시장치(65, 66, 67)로부터 화상을 송신하라는 요구를 수신하면, 화상 서버(68)는 그 요구를 충족시키는 안저화상 Er'을 검색하여 안저화상 처리장치(69)에 보내고, 그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요구자에게 화상을 송신한다.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설명된 개구 마스크 처리가 수행되고, 정확하게 부가된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갖는 화상은 화상 요구자의 단말에 송신된다.
도 5는 각 실시예에서 수행된, 개구 마스크 화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단계 S101에서 판정이 시작되고, 검출된 화상은 단계 S102에서 메모리에 입력된다. 계속해서, 단계 S103에서 화상 처리수단 은 히스토그램 처리를 수행한다. 컬러 화상의 경우, 히스토그램 처리는 휘도정보로 변환되고 나서 수행된다.
히스토그램 처리의 결과는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수평축은 화소값을 나타낸다. 8비트 화상의 경우, 원점은 0이고 우측 말단은 255이다. 10비트 화상의 경우, 우측 말단은 1023이다. 우측 말단은 가장 높은 휘도 레벨을 도시한 것이다. 수직축은 빈도수를 도시한 것이고, 특정 레벨을 갖는 화소의 수가 높이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준다. 도 6a∼6d에서, 수직축의 피크는 배열되어 정규화되므로, 수직축 그 자체의 값이 빈도수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도 6a∼6d는 도 9a∼9d에 도시된 각 안저화상에 대한 히스토그램 처리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축은 화상값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즉, 화상값이 휘도이면, 더 큰 값이 더 높은 밝기를 나타낸다. 수직축은 그 레벨의 값을 갖는 화소의 빈도수를 나타낸다. 각 그래프 도면은 피크의 최대값에 맞도록 정규화되어 있으므로, 수직축의 높이는 그래프 도면 사이에서 서로 비교될 수 없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부에 부가된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갖는 화상에서는, 개구 마스크 화상 M이 거의 균등한 값의 밝기 레벨을 가지며, 그 결과,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피크 P1 및 P2를 도시한다.
도 6a의 레벨값 L1과 도 6b의 레벨값 L2는 레벨값 L이다. 레벨값 L에서의 차이는 촬영 카메라 사이의 블랙 레벨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판정부는,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갖는 안저화상 Er'이 소정 레벨값보다 크지 않은 위치에서 폭이 작은 날카로운 피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판정 기준으로서 사용한다.
도 6c는 전체 화상 평면에 표시된 안저화상을 위한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히스토그램은 중간 레벨에서 거의 모든 화상값(화소값)을 포함하며, 게다가, 폭이 작은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지 않는다. 도 6d에서, 안저화상은 주변부에 백색의 플레어를 가지므로, 히스토그램은 눈의 안저에서 보다 더 밝은 레벨의 피크를 가지며, 안저화상은 주변부에 추가로 어두운 화상을 가지므로, 히스토그램은 안저화상의 어두운 부분을 의미하는 낮은 레벨에서 나타나는 몇개의 피크를 가진다.
히스토그램 처리를 수행한 후에, 개구 마스크 판정부는 그 결과에 의거하여 단계 S104에서 피크 검출처리를 수행하고, 구체적으로, 상승 기울기, 정점, 하강 기울기, 피크의 높이 및 절반의 폭에 의거하여 하나의 피크를 검출한다. 판정부가 피크를 검출한 경우에 단계 S105로 진행하고, 그러한 피크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2의 판정 종료단계로 진행하여 판정단계를 종료한다.
피크를 검출하였으면, 다음으로, 판정부는 단계 S105에서, 상기 단계 S104에서 검출된 피크가 소정의 값 L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안저화상 Er'의 주변부에서 촬영된 개구 마스크 화상 M은 어둡고 낮은 레벨을 가지므로, 판정부는 판정 레벨 L로부터 화상이 개구 마스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기 레벨이 판정 레벨보다 낮으면, 판정부는 개구 마스크 화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 S106으로 진행한 다음, 단계 S112의 판정 종료단계로 진행하여 판정단계를 종 료한다.
단계 S105에서 검출된 레벨이 판정 레벨 L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판정부는 단계 S107로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판정부는 전체 화상을 산(mountain)으로 간주하면서 피크 검출의 결과로부터 전체 화상의 폭을 결정하고, 얻어진 가장 낮은 피크의 절반의 값(높이)에 의거하여 산의 폭을 결정하며, 상기 폭과 판정값 W를 비교한다. 산의 폭이 판정값 W보다 작으면, 화상의 레벨이 중앙부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단계 S108에서, 판정부는 전체 화상이 안저화상인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 S112로 진행하여 판정 단계를 종료한다. 산의 폭이 검출된 값 W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판정부는 단계 S109로 진행하고, 단계 S109에서 개구 마스크 화상 M이 없다고 판정한 다음, 화상 처리수단은 단계 S110에서 개구 마스크 화상 M의 사이즈를 연산한다.
연산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가장 밝은 피크 P9의 화소 레벨 L9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수단은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화소 레벨 L9와 대략 동일한 밝기를 갖는 위치를 적어도 2방향에서 탐색하여 결정하고, 탐색된 위치와 중심 간의 거리를 개구 마스크 화상 M의 반경으로 간주하여 마스크 사이즈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S111에서, 화상 처리수단은 결정된 마스크 사이즈에 의거하여 개구 마스크 화상 M을 부가한다. 이 단계에서, 마스크 자체의 레벨은 흑레벨 = 0으로 된다. 그 다음, 화상 처리수단은 단계 S112로 진행하여 판정 단계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저화상 처리장치는, 여러 가지 촬영방법의 안저 카메라로 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이 개구 마스크 영역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정하고, 안저화상이 안저화상의 해독에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그 영역에 해당하도록 개구 마스크와 합성된 안저화상을 생성한다. 따라서, 진단자는 오진의 두려움 없이 화상으로부터 증상을 안전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안저촬영과 화상진단의 장소가 서로 원격지인 경우, 안저화상 처리장치는 개구 마스크를 갖고 있지 않은 화상에 개구 마스크를 붙여서 화상을 송신할 때 송신하므로, 해독 의사는 특수한 화상 처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용의 표시장치로 증상을 진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과 및 내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안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안저화상 처리에 적합한 기술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매체(또는 기억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도 달성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 때,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는 그 자체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에 의해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그램 코 드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실체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등에 의한 처리에 의해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니트에 설치된 메모리에 기록된 다음, 상기 기능 확장 카드 또는 기능 확장유니트에 실장된 CPU가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에 의거하여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은 상기 처리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이 상기 설명된 기록매체에 적용되면, 상기 설명된 순서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명백하고 폭넓으며 상이한 실시예들은 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바를 제외하고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 촬영방법의 안저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안저화상이 개구 마스크 영역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정하고, 안저화상이 안저화상의 해독에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그 영역에 해당하도록 개구 마스크와 합성된 안저화상을 생성하므로, 진단 자는 오진의 두려움 없이 화상으로부터 증상을 안전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안저촬영과 화상진단의 장소가 서로 원격지인 경우, 안저화상 처리장치는 개구 마스크를 갖고 있지 않은 화상에 개구 마스크를 붙여서 화상을 송신할 때 송신하므로, 해독 의사는 특수한 화상 처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용의 표시장치로 증상을 진단할 수 있다.

Claims (8)

  1. 안저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안저화상 데이터에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34)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수단(35)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마스크 화상 데이터에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화상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개구 마스크가 촬영되어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화상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화소의 밝기와 빈도수에 관하여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처리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화상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화소의 밝기와 빈도수에 관하여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를 히스토그램 처리한 결과에 의거하여, 마스크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화상 처리장치.
  7. 안저화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안저화상 데이터에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34)와,
    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마스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단계(35)와,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마스크 화상 데이터에 상기 안저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화상 처리방법.
  8. 청구항 7에 기재된 안저화상 처리방법에서의 처리 단계들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040083905A 2003-10-24 2004-10-20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84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4399A JP4336561B2 (ja) 2003-10-24 2003-10-24 眼底画像処理装置
JPJP-P-2003-00364399 2003-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585A KR20050039585A (ko) 2005-04-29
KR100684300B1 true KR100684300B1 (ko) 2007-02-16

Family

ID=3438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05A KR100684300B1 (ko) 2003-10-24 2004-10-20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33636B2 (ko)
EP (1) EP1525841B1 (ko)
JP (1) JP4336561B2 (ko)
KR (1) KR100684300B1 (ko)
CN (1) CN100379381C (ko)
AT (1) ATE359024T1 (ko)
DE (1) DE602004005798D1 (ko)
TW (1) TWI292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2753A1 (en) * 2005-10-26 2007-04-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I453523B (zh) 2011-12-29 2014-09-21 Ind Tech Res Inst 具有自動對焦功能之診斷設備
JP5587480B2 (ja) * 2013-09-30 2014-09-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カメラ
CN106408564B (zh) * 2016-10-10 2019-04-02 北京新皓然软件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眼底图像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0448265B (zh) * 2018-05-08 2021-07-27 广西师范学院 一种双折射晶体快拍穆勒矩阵成像测偏眼底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78A (ja) * 1996-02-05 1997-08-12 Canon Inc 眼科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241A (en) * 1979-01-30 1980-08-01 Tokyo Optical Eyeground camera equipped with operation distance detector
US4715703A (en) * 1982-10-12 1987-12-29 Rodenstock Instrument Corporation Ocular-fundus analyzer
JPH03193026A (ja) * 1989-12-25 1991-08-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ES2152946T3 (es) * 1992-02-18 2001-02-16 Neopath Inc Metodo de identificacion de objetos mediante tecnicas de procesamiento de datos.
US5455644A (en) * 1992-02-28 1995-10-03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ologic apparatus having an examining system for examining the fundus of an eye
US7055955B2 (en) * 2001-02-27 2006-06-06 Canon Kabushiki Kaisha Eye fundus examin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78A (ja) * 1996-02-05 1997-08-12 Canon Inc 眼科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8578A (zh) 2005-04-27
US7333636B2 (en) 2008-02-19
EP1525841A1 (en) 2005-04-27
KR20050039585A (ko) 2005-04-29
US20050089207A1 (en) 2005-04-28
ATE359024T1 (de) 2007-05-15
JP2005124879A (ja) 2005-05-19
CN100379381C (zh) 2008-04-09
TW200518713A (en) 2005-06-16
DE602004005798D1 (de) 2007-05-24
EP1525841B1 (en) 2007-04-11
JP4336561B2 (ja) 2009-09-30
TWI292706B (en)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2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eye fundus image
US8118430B2 (en) Opthalmologic imaging apparatus and opthalmologic imaging method
US8356898B2 (en) Fundus camera and ophthalmolog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02481096B (zh) 眼科摄像设备以及眼科摄像所使用的照相机
US5214454A (en) Fundus camera
US7445337B2 (en) Ophthalmic image sensing apparatus
KR100684300B1 (ko)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JP2021104229A (ja) 眼底画像処理装置および眼底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0197608A (ja) 眼科撮影装置
US20020113939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ophthalmic image
JP2004290535A (ja) 眼底カメラ
JP5701357B2 (ja) 眼科撮像装置及び眼科撮像方法
US7264353B2 (en) Ophthalmologic image-taking apparatus
JP5383285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25208A (ja) 眼底カメラ
JPH105179A (ja) 眼科撮影装置
JP3073510B2 (ja) 眼科撮影装置
JP4208636B2 (ja) 眼科撮影装置
JP2000271088A (ja) 眼底撮影装置
JP2003210410A (ja) 眼底カメラ
JPH04220232A (ja) 眼科用カメラ
JP2003126041A (ja) 眼科撮影装置
JPH0928674A (ja) 眼底検査装置
JP2000037353A (ja) 眼科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