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912B1 -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 Google Patents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912B1
KR100683912B1 KR1020040099536A KR20040099536A KR100683912B1 KR 100683912 B1 KR100683912 B1 KR 100683912B1 KR 1020040099536 A KR1020040099536 A KR 1020040099536A KR 20040099536 A KR20040099536 A KR 20040099536A KR 100683912 B1 KR100683912 B1 KR 10068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tube
formwork
tubular body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464A (ko
Inventor
남진희
Original Assignee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9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 등에 연결되는 관체의 말단부를 기밀시키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거푸집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되는 내부거푸집부착부와; 상기 내부거푸집부착부로부터 상기 관체 측을 향해 반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거푸집과의 사이에 소정의 가압공간을 형성하는 가압공간형성부와, 상기 가압공간형성부의 전면부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상기 관체의 말단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절개접촉부를 갖는 기밀접촉부와; 상기 절개접촉부를 상기 관체의 말단부에 대해 접촉 및 이격되도록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접촉부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맨홀 등과 관체간의 설치위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가 제공된다.
맨홀, 관체, 내부거푸집, 연결부재, 탄성, 기밀접촉, 가압

Description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Unification connect for inner connecter of manhole etc and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연결부재를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내부연결부재 설치방법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연결부재를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연결부재 5 : 맨홀 등
7 : 관체 9 : 내부거푸집
10 : 내부거푸집부착부 20 : 기밀접촉부
21 : 가압공간형성부 23 : 절개접촉부
30 : 접촉부가압수단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맨홀이나 옹벽구체(擁壁具體)등에 하수관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등과 관체간의 설치위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하수나 우수 및 통신케이블 등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때는 경로의 시작부인 옹벽구체로부터 다수의 하수관(이하 "관체"라 함)을 연결하여 이동 관로를 형성하게 되며, 관로의 분기점이나 교차지점(이하 "분기점"으로 함)에서는 맨홀을 이용하여 관로를 분산시키거나 교차시킨다.
맨홀과 옹벽구체(이하 "맨홀 등"이라 함)에 관체를 결합하는 시공방법은, 우선 관체 들을 상호 연결하여 관로를 시공한 후, 맨홀 등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만든다. 그런 다음, 관체가 결합될 거푸집의 일 영역에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관체와 맨홀 등을 연결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거푸집 해체 후 관체와 맨홀 등이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는 맨홀 등에 관체를 보다 손쉽게 연결하면서 맨홀 등과 관체의 결합부위에 보강구조를 형성하여 관체가 맨홀 등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연결 시공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결합용 연결부재(101)는 맨홀 등(5)의 외측에서 관체(7)를 지지하는 외부연결부재(103)와, 맨홀 등(5)의 내측에서 관체(7)의 일 단부를 밀폐 지지하는 내부연결부재(102)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연결부재(103)는 전방에 관체(7)가 삽입되는 관삽입부(130)와, 관삽입부(130)로부터 후방으로 확경되는 확경보강부(140)와, 확경보강부(140)의 말단부에서 판상으로 외향 연장된 외부거푸집부착부(150)가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관삽입부(130)와 확경보강부(140)의 구조는 시공여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며, 외부거푸집부착부(150)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외부거푸집(8)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내부연결부재(102)는 중앙영역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기밀부와, 기밀부의 둘레영역에 판상으로 외향 연장된 내부거푸집부착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기밀부는 외부연결부재(103)에 결합된 상태에서 맨홀 등(5)의 내부를 향하는 관체(7)의 일 단부에 접하여 관체(7)를 기밀시킨다. 그리고, 내부거푸집부착부 (120)는 피스 등을 이용하여 내부거푸집(9)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101)를 이용한 맨홀 등(5)과 관체(7)의 일체 연결 시공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관체(7)들을 연결하여 관로의 시공을 완료한 후, 관로의 분기점이나 교차지점에 맨홀 등(5)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한다.
맨홀 등(5)의 거푸집 시공은 먼저, 외부연결부재(103)의 관삽입부(130)에 관체(7)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외부연결부재(103)를 관체(7)의 말단부영역에 배치한 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맨홀 등(5)의 내벽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9)을 시공한 후, 관체(7)의 말단부와 내부거푸집(9)사이에 내부연결부재(102)를 설치한다. 이때, 내부연결부재(102)의 기밀부는 관체(7)의 말단부에 접하여 관체(7)의 말단부를 기밀하게 막고, 내부거푸집부착부(120)는 내부거푸집(9)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맨홀 등(5)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8)을 내부거푸집(9)의 둘레영역에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형성하도록 시공한 후, 미리 관체(7)에 끼워져 있는 외부연결부재(103)를 외부거푸집(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연결부재(103)의 외부거푸집부착부(150)를 외부거푸집(8)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맨홀 등(5)의 거푸집시공과, 맨홀 등(5)과 관체(7)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101)의 시공을 완료한다.
맨홀 등(5)의 거푸집과 연결부재(101)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도 6과 같이, 맨홀 등(5)의 외부거푸집(8)과 내부거푸집(9)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관체(7)가 일체로 연결된 맨홀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101)에 있어서는, 미리 시공된 관로를 기준으로 맨홀 등(5)을 시공하면서 연결부재(101)를 이용하여 맨홀 등(5)과 관체(7)의 말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관체(7)와 맨홀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위치 오차(도 6의 " B")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미리 시공된 관로 상의 분기점이나 교차지점에 맨홀 등(5)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할 때, 분기되는 복수의 관체(7) 말단부와 맨홀 등(5)의 내벽면 간에 내부연결부재(102)를 개재하면서 내부연결부재(102)의 기밀부와 내부거푸집부착부(120)가 각각 관체(7)의 말단부와 내부거푸집(9) 판면에 모두 정확하게 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관로의 시공오차 등을 고려할 때, 이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되는 복수의 관체(7) 말단부 중 어느 하나의 관치와 맨홀 등(5)의 내벽면 간에 내부연결부재(102)가 정확하게 개재되더라도 타측의 관체(7) 말단부와 맨홀 등(5)의 내벽면 사이는 내부연결부재(102)가 개재되지 못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연결부재(102)가 개재되더라도 도 6의 표시부 "B"와 같이, 이격틈이 발생하여 콘크리트가 관체(7)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등과 관체간의 설치위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 등에 연결되는 관체의 말단부를 기밀시키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되는 내부거푸집부착부와; 상기 내부거푸집부착부로부터 상기 관체 측을 향해 반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거푸집과의 사이에 소정의 가압공간을 형성하는 가압공간형성부와, 상기 가압공간형성부의 전면부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상기 관체의 말단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절개접촉부를 갖는 기밀접촉부와; 상기 절개접촉부를 상기 관체의 말단부에 대해 접촉 및 이격되도록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접촉부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접촉부가압수단은 상기 가압공간형성부 내측에 수용되어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고무튜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연결부재를 이용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연결부재(1)는, 내부거푸집(9)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되는 내부거푸집부착부(10)와, 내부거푸집부착부(10)로부터 돌출되어 관체(7)의 말단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기밀접촉부(20)와, 기밀접촉부(20)를 관체(7)의 말단부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접촉부가압수단(30)을 갖는다.
내부거푸집부착부(10)는 부착되는 내부거푸집(9)의 판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맨홀 등(5)이 사각 맨홀 등의 다각형상일 경우 맨홀 등(5)의 내벽면이 평면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내부거푸집부착부(10) 역시, 이에 대응하는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맨홀 등(5)이 원형 맨홀 등일 경우 내벽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내부거푸집부착부(10) 역시, 이에 대응하는 곡면판상으로 형성된다.
이 내부거푸집부착부(10)는 피스나 못 등을 이용하여 내부거푸집(9) 판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내부거푸집부착부(10)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거푸 집(9) 판면에 상호 형상맞춤 구조를 형성하여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기밀접촉부(20)는 거의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압공간형성부(21)와, 가압공간형성부(2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절개접촉부(23)로 이루어진다.
가압공간형성부(21)는 내부거푸집(9)의 판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절개접촉부(23)는 가압공간형성부(21)의 전면부에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밀접촉부(20)는 적어도 가압공간형성부(21)의 전면부 영역 즉, 절개접촉부(23)가 형성된 영역은 평상시에는 그 형태를 유지하다가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비해 큰 외력이 가해질 때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내부연결부재(1) 전체를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료나, 고무류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접촉부가압수단(30)은 가압공간형성부(21) 내측 공간 즉, 기밀접촉부(20)와 내부거푸집(9)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고무튜브(31)로 마련된다. 이 고무튜브(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절개접촉부(23)를 관체(7) 측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고무튜브(31)의 공기주입구(33)는 내부거푸집(9) 판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밀접촉부(20)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9)의 판면에는 주입구노출공(9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부가압수단(3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스크류바아(31') 또는 슬라이딩바아(31")를 이용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1)를 이용하여 맨홀 등(5)과 관체(7)의 일체 연결 시공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관체(7)들을 연결하여 관로의 시공을 완료한 후, 관로의 분기점이나 교차지점에 맨홀 등(5)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한다.
이때, 외부연결부재(103)의 관삽입부(130)에 관체(7)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외부연결부재(103)를 관체(7)의 말단부 영역에 미리 배치한 후 거푸집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연결부재(103)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외부연결부재(103)외에 다양한 구조의 외부연결부재(103)를 사용할 수 있다.
거푸집 시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연결부재(1)의 가압공간형성부(21) 내측에 팽창되지 않은 고무튜브(31)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내부연결부재(1)의 내부거푸집부착부(10)를 관체(7)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9)의 일 영역 판면에 피스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내부거푸집(9)을 시공한다. 이때, 고무튜브(31)의 공기주입구(33)는 내부거푸집(9)의 주입구노출공(9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내부연결부재(1)의 기밀접촉부(20)가 관체(7)의 말단부와 내부거푸집(9) 사이의 공간에 개재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주입구(33)를 통해 고무튜브(31)에 공기를 주입하면 가압공간형성부(21) 내에서 고무튜브(31)가 팽창하면서 절개접 촉부(23)를 탄성적으로 확경시킨다. 이에 의해, 기밀접촉부(20)가 관체(7)의 말단부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관체(7)와 내부거푸집(9) 사이에 발생된 시공오차범위의 이격공간(도 3의 표시부 "A")이 사라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맨홀 등(5)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8)을 내부거푸집(9)의 둘레영역에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공한 후, 미리 관체(7)에 끼워져 있는 외부연결부재(103)를 외부거푸집(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연결부재(103)의 외부거푸집부착부(150)를 외부거푸집(8)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맨홀 등(5)의 거푸집시공과, 맨홀 등(5)과 관체(7)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1,103)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외부연결부재(103)의 선단부는 조임밴드(3) 등을 이용하여 관체(7)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맨홀 등(5)의 거푸집과 연결부재(1,103)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도 2 및 도 4a, 도 4b와 같이, 맨홀 등(5)의 외부거푸집(8)과 내부거푸집(9)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관체(7)가 일체로 연결된 맨홀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의 구조를 내부거푸집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되는 내부거푸집부착부와, 내부거푸집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관체의 말단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기밀접촉부와, 기밀접촉부를 관체의 말단부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접촉부가압수단을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미리 시공된 관로 상의 분기점이나 교차지점에 맨홀 등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을 설치할 때, 분기되는 복수의 관체 말단부와 맨홀 등의 내벽면 간에 발생하는 시공오차에 대응할 수 있다.
즉, 관체의 말단부와 내부거푸집 간에 이격이 발생하더라도 접촉부가압수단을 이용하여 내부연결부재의 기밀접촉부를 관체의 말단부영역에 접촉시킴으로써, 내부연결부재의 내부거푸집부착부를 내부거푸집 판면에 밀착시키더라도 관체와 내부연결부재의 기밀접촉부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관체 내부로 유입될 우려 없이 관체와 맨홀 등을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 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등과 관체간의 설치위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가 제공된다.

Claims (4)

  1.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 등에 연결되는 관체의 말단부를 기밀시키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의 일 영역 판면에 부착되는 내부거푸집부착부와;
    상기 내부거푸집부착부로부터 상기 관체 측을 향해 반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거푸집과의 사이에 소정의 가압공간을 형성하는 가압공간형성부와, 상기 가압공간형성부의 전면부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상기 관체의 말단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절개접촉부를 갖는 기밀접촉부와;
    상기 절개접촉부를 상기 관체의 말단부에 대해 접촉 및 이격되도록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접촉부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압수단은 상기 가압공간형성부 내측에 수용되어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고무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1020040099536A 2004-11-30 2004-11-30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10068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36A KR100683912B1 (ko) 2004-11-30 2004-11-30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36A KR100683912B1 (ko) 2004-11-30 2004-11-30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64A KR20060060464A (ko) 2006-06-05
KR100683912B1 true KR100683912B1 (ko) 2007-02-15

Family

ID=3715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536A KR100683912B1 (ko) 2004-11-30 2004-11-30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7357A1 (en) * 2017-10-18 2021-07-08 Willem Nel VAN STRAATEN Overflow pip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089A (ja) * 1993-05-30 1994-12-06 Sumiyoshi Seisakusho:Kk 管路接続部の管路内面樹脂被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0370A (ko) * 2001-10-10 200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4124469A (ja) 2002-10-01 2004-04-22 Shinmei Sangyo:Kk ゴム輪付きにて形成したマンホール内付け用の金属筒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089A (ja) * 1993-05-30 1994-12-06 Sumiyoshi Seisakusho:Kk 管路接続部の管路内面樹脂被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0370A (ko) * 2001-10-10 200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4124469A (ja) 2002-10-01 2004-04-22 Shinmei Sangyo:Kk ゴム輪付きにて形成したマンホール内付け用の金属筒継手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706927 *
200330370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64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78B1 (ko)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683912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603514B1 (ko) 맨홀용 지관커넥터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100975944B1 (ko)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0635484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거푸집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JPH11269901A (ja) 継ぎ手構造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JP5801677B2 (ja)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11149Y1 (ko) 맨홀연결부 틈새 밀폐구조
KR100746715B1 (ko) 파이프 부속을 이용한 맨홀시스템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346Y1 (ko) 관로 보수용 슬리브
JP4305803B2 (ja) 管路用内張り材端部の裏込め用構造
KR200339494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