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425B1 -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425B1
KR100683425B1 KR1020060045198A KR20060045198A KR100683425B1 KR 100683425 B1 KR100683425 B1 KR 100683425B1 KR 1020060045198 A KR1020060045198 A KR 1020060045198A KR 20060045198 A KR20060045198 A KR 20060045198A KR 100683425 B1 KR100683425 B1 KR 10068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bolt
ho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06004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직관형상의 제 1관과,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을 각각 감싸면서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는 한쌍의 클립부와; 상기 플랜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제 1암과; 일단에 형성된 걸이봉에 의해 상기 걸이공에 체결되며, 상기 걸이봉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꺽임봉과 상기 꺽임봉과 일체로 형성되는 직봉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제 2암과; 상기 직봉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체결돌기가 그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연이 상기 제 2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제 1관, 제 2관, 클립부, 제 1암, 제 2암, 고정부

Description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A JOINT APPARATUS FOR ABSORPTION OF IMPA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클립부의 내주연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제 1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 2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의 영향으로 이음부분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클립부의 내주연을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 1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의 영향으로 이음부분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관 200 : 제 2관
300,300': 클립부 400,400': 제 1암
500 : 제 2암 600,600': 고정부
본 발명은 관 연결시공에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관을 제 2관과 일체로 형성된 소켓부에 삽입하고, 클립부, 제 1암, 제 2암 및 고정부로 구성된 이음장치에 의해 제 1관과 제 2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소켓부의 연동공간 및 제 1암, 제 2암의 연동에 의해 제 1관과 제 2관의 이음부분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재하중 등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하는 PVC관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관 하나 하나를 배관 이음관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관은 다수 존재하며, 그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9년 등록실용신안 15745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관을 협지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하고, 단순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관체를 내삽입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 된 이음관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은 이음관에 어떠한 가변구조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 연결 시공후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이음부분의 강성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이음관 또는 관 부분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 하중 등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직관형상의 제 1관과,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을 각각 감싸면서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는 한쌍의 클립부와; 상기 플랜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제 1암과; 일단에 형성된 걸이봉에 의해 상기 걸이공에 체결되며, 상기 걸이봉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꺽임봉과 상기 꺽임봉과 일체로 형성되는 직봉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제 2암과; 상기 직봉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체결돌기가 그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연이 상기 제 2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플랜지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체결공이 구비되고, 각각의 플랜지 간에 대향하는 제어돌기를 형성하여 플랜지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제 1암의 일단이 힌지결합 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 1암이 상기 공간부에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는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며, 상기 꺽임봉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직관형상의 제 1관과,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연에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연이 상기 제 2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체결돌기에 힌지 결합되어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제 1암과;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을 각각 감싸면서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에 상기 걸이공이 체결되는 한쌍의 클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체결공이 구비되고, 각각의 플랜지 간에 대향하는 제어돌기를 형성하여 플랜지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1암의 걸이공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 상기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는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볼트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는 소켓부 밑단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소켓부 내부에 삽입된 제 1관의 일단이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의 내주연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제 1관의 외주연에서 미끄럼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에는 걸림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관의 소켓부 내 주연에는 상기 걸림테두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클립부의 내주연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제 1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 2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의 영향으로 이음부분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클립부의 내주연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 1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의 영향으로 이음부분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직관으로 구성된 제 1관, 소켓부가 구비되어 제 1관이 연결되는 제 2관, 제 1관에 체결되는 클립부, 클립부와 체결되는 제 1암, 제 1암과 체결되는 제 2암, 제 2암이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를 구성요소로 하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 이다.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관형상의 제 1관(100)과, 직관형상의 제 2관(200)으로서 일단에 소켓부(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100)의 일단이 상기 소켓부(2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관(100)의 외주연에는 걸림테두리(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관의 소켓부(210)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테두리(110)가 삽입되는 걸림홈(211)이 구성되어 상기 제 1관(100)의 일단을 상기 소켓부(210)에 강제 삽입하여 상기 걸림테두리(110)가 상기 걸림홈(211)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테두리(110) 및 상기 걸림홈(211)의 위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삽입된 제 1관(100)의 일단이 상기 소켓부(210)의 밑단에 접하지 않고 일정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일정공간이 형성됨으로서 상재하중 등에 의해 관 이음부위가 절곡되는 경우에도 제 1관(100)의 일단이 소켓부(210)에서 연동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2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부 밑단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소켓부(210) 내부에 삽입된 제 1관(100)의 일단이 제 1관(100)의 외주연과 상기 소켓부(210)의 내주연이 이루는 각도만큼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립부(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원형태로서 제 1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장착부(320)와 상기 장착부(320) 양단에 형성되어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31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310)에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볼트체결공(311)이 구비되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립부(300)가 제 1관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조립되고, 각각의 플랜지(310)가 대향하도록 하여 볼트결합(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플랜지(310)에는 대향하는 제어돌기(312)를 형성하여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310)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부의 형성으로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313)에 이하에서 설명할 제 1암(400)의 연결봉(410)이 각각의 관통공(313)에 삽입되어 힌지결합 되고 상기 제 1암(400)이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연결봉(410)을 축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 1암(400)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에 의해 제 1관과 제 2관의 이음부분이 절곡되는 경우라도 상기 제 1암(400)이 연동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부(320)의 내주연에는 복수의 돌기(321)를 구성함으로서 제 1관(100)과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강결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암(400)은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 힌지결합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그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봉(420)에 일체형으로 직각방향의 연결봉(410)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봉(410)의 양단을 상기 관통공(31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직봉(420)에는 상기 연결봉(410)과 반대방향으로 걸이공(430)이 구성된 다. 상기 걸이공(430)은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곡률처리가 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주연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 2암(500)의 꺽임봉(520)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공(430)의 내주연에는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며, 상기 꺽임봉(5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스토퍼(4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440)의 구성으로 상기 꺽임봉(520)의 슬라이드 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440)가 부러지도록 구성됨으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꺽임봉(520)이 최대한 슬라이드 되어 결국 제 1관(100)과 제 2관(200)의 이음부분이 최대한으로 절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암(500)은 일단에 걸이봉(510)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봉(510)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공(430)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공(430) 상면과 상기 걸이봉(510) 하면이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암(500)은 상기 걸이봉(510)과 직각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꺽임봉(520)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공(430)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꺽임봉(520)에는 상기 걸이봉(510)의 반대방향으로 타단에 일체형으로 절곡된 직봉(530)이 형성되며 직봉(530)의 끝단은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부(60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직봉(530)을 상기 고정부(600)에 고정, 장착하는 방식은 공지기술로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그 일예로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부(540)를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부(600)에 형성된 체결공(621) 을 관통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너트로 고정,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600)는 내부에 중공(610)을 형성하여 그 내주연에 제 2관(200)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60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10)의 구성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소켓부(210)의 밑단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600)에는 그 외주연의 양단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620)를 구성하고, 상기 체결돌기(620)에는 체결공(621)을 구성하여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540)에 너트(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고, 상기 나사부(540)를 상기 체결공(621)에 삽입한 상태에서 또 다른 너트(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여 상기 제 2암(500)이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걸이공(430)에 형성된 스토퍼(440)에 의해 제 2암(500)의 꺽임봉(520)의 슬라이드가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440)의 강성보다 큰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440)가 부러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이에 상기 꺽임봉(520)이 상기 걸이공(430)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됨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10)가 밑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소켓부(210)에 삽입된 제 1관(100)의 일단이 일정범위에서 자유로운 연동이 가능하여 결국 제 1관(100)과 제 2관(200)의 이음부분이 절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에 의해 상재하중 등의 충격이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직관으로 구성된 제 1관, 소켓부가 구비되어 제 1관이 삽입되는 제 2관, 제 1관에 체결되는 클립부, 클립부와 체결되는 제 1암, 제 1암과 체결되며 제 2관에 체결되는 고정부를 구성요소로 하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관과 상기 제 2관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상기 고정부(600')는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고정부(6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외주연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621')에 있어서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 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에 체결공(621')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제 1암(400')의 연결봉(410')의 양단이 상기 체결공(621')에 삽입되어 힌지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암(400')은 앞서 실시 예에서 언급한 제 1암(4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410')이 걸이공(430')과 직각방향으로 직봉(4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암(400')에도 스토퍼(440')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440')는 이하에서 설명할 볼트체결공(311')을 통해 체결된 볼트(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클립부(300')는 앞서 실시예에서 언급한 클립부(3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300)에 구성된 관통공(313) 이 생략되어 있으며, 타 구성요소와 결합관계에 있어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310')에 볼트체결공(311')이 구비되어 한 쌍의 클립부(300')가 제 1관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조립되고, 각각의 플랜지(310')가 대향하도록 하여 볼트결합(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플랜지(310')에는 대향하는 제어돌기(312')를 형성하여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310')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부의 형성으로 상기 플랜지의 볼트체결공(311')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걸이공(430')이 삽입되어 상기 걸이공(430')의 내주연은 볼트의 외주연 상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걸이공(430')의 내주연이 볼트의 외주연 상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에 의해 제 1관과 제 2관의 이음부분이 절곡되는 경우라도 상기 제 1암(400')의 연결봉(410')을 축으로 연동 및 걸이공(430')의 볼트 외주연에서 슬라이드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걸이공(430')에 형성된 스토퍼(440')에 의해 상기 체결공(621') 및 상기 걸이공(430')에 삽입된 볼트의 외주연상에서 상기 걸이공(430')의 슬라이드가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440')의 강성보다 큰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440')가 부러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이에 상기 걸이공(430')이 상 기 체결공(621') 및 상기 걸이공(430')에 삽입된 볼트의 외주연상에서 슬라이드 됨에 따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10)가 밑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소켓부(210)에 삽입된 제 1관(100)의 일단이 일정범위에서 자유로운 연동이 가능하여 결국 제 1관(100)과 제 2관(200)의 이음부분이 절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에 의해 상재하중 등의 충격이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관 이음 시공에 있어 제 1관을 제 2관의 소켓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립부의 체결만으로 관 이음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특히, 소켓부의 형상, 제 1암 및 제 2암의 자유로운 연동에 의해 제 1관 및 제 2관의 이음부분의 절곡이 가능하므로 연약지반 등에서 상재하중, 열팽창에 의한 신축 등을 자연스럽게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직관형상의 제 1관과,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연에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연이 상기 제 2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체결돌기에 힌지 결합되어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제 1암과;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을 각각 감싸면서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에 상기 걸이공이 체결되는 한쌍의 클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체결공이 구비되고, 각각의 플랜지 간에 대향하는 제어돌기를 형성하여 플랜지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1암의 걸이공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 상기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이공의 내주연에는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볼트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소켓부 밑단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소켓부 내부에 삽입된 제 1관의 일단이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내주연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제 1관의 외주연에서 미끄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의 외주연에는 걸림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관의 소켓부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테두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KR1020060045198A 2006-05-19 2006-05-19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KR10068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98A KR100683425B1 (ko) 2006-05-19 2006-05-19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98A KR100683425B1 (ko) 2006-05-19 2006-05-19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425B1 true KR100683425B1 (ko) 2007-02-22

Family

ID=3810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98A KR100683425B1 (ko) 2006-05-19 2006-05-19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32B1 (ko) 2017-02-28 2017-10-17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918A (ja) * 1994-09-14 1996-04-02 Sankei Seisakusho:Kk 管継手
JPH08338576A (ja) * 1995-06-12 1996-12-24 Kubota Corp 離脱防止具および離脱防止継手
JPH09280441A (ja) * 1996-04-10 1997-10-31 Sekisui Chem Co Ltd 管接続構造
JP2002005356A (ja) 2000-06-27 2002-01-09 Kubota Corp 離脱防止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918A (ja) * 1994-09-14 1996-04-02 Sankei Seisakusho:Kk 管継手
JPH08338576A (ja) * 1995-06-12 1996-12-24 Kubota Corp 離脱防止具および離脱防止継手
JPH09280441A (ja) * 1996-04-10 1997-10-31 Sekisui Chem Co Ltd 管接続構造
JP2002005356A (ja) 2000-06-27 2002-01-09 Kubota Corp 離脱防止金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32B1 (ko) 2017-02-28 2017-10-17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WO2018159927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588B2 (en) Rebar coupler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CN101855462B (zh) 面板紧固件
EP3256765B1 (en) Pipe clamp
KR20160003644U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US6508441B1 (en) Sway brace
KR100683425B1 (ko)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KR200392312Y1 (ko) 체결구
KR200430113Y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0931951B1 (ko)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KR100675065B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1008205B1 (ko) 편수관
JP2010013862A (ja) ビーム接続構造
KR20150049307A (ko) 배관너트 풀림방지용 클립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0470890Y1 (ko)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WO2008143501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KR101910951B1 (ko)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KR101011395B1 (ko) 선박 내의 파이프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JP6493892B2 (ja) 他物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