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113Y1 -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 Google Patents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113Y1
KR200430113Y1 KR2020060016696U KR20060016696U KR200430113Y1 KR 200430113 Y1 KR200430113 Y1 KR 200430113Y1 KR 2020060016696 U KR2020060016696 U KR 2020060016696U KR 20060016696 U KR20060016696 U KR 20060016696U KR 200430113 Y1 KR200430113 Y1 KR 200430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revention ring
ring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2020060016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16L21/04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the members passing through the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이음시공에 사용되는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부 내주연에 거치되는 이탈방지링 및 패킹의 구성으로 타관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만으로 관 이음시공이 완성되며,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한 인장력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관의 일단에 소켓부를 형성하여 타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과,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며 내주연에 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소켓부, 이탈방지링, 패킹, 안치홈, 경사면

Description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A JOINT APPARATUS WITH RING FOR PREVENTION OF SEPER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이탈방지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이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역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켓부 110 : 안치홈
120 : 거치대 121 : 경사면
122 : 제어테두리 130 : 제어턱
140 : 연동공간부 150 : 패킹홈
200 : 이탈방지링 210 : 가압돌기
220 : 곡면 230 : 평면
300 : 패킹
본 고안은 관 이음시공에 사용되는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부 내주연에 거치되는 이탈방지링 및 패킹의 구성으로 타관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만으로 관 이음시공이 완성되며,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한 인장력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하는 PVC관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 되어 있는 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관 하나 하나를 배관 이음관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관은 다수 존재하며, 그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9년 등록실용신안 15745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관을 협지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하고, 단순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관체를 내삽입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 된 이음관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은 이음관에 어떠한 가변구조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 연결 시공 후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이음부분의 강성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이음관 또는 관 부분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 부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관의 일단에 소켓부를 형성하여 타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과,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며 내주연에 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은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삽입되는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삽입되는 타관의 끝단과 대향하는 면은 곡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는 타관이 삽입되는 측에 제어테두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테두리와 연결하여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그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 내주연에는 제어턱이 형성되어 타관의 삽입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턱과 상기 안치홈 사이에는 타관의 끝단이 연동될 수 있는 연동공간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의 내주연에는 패킹홈이 더 구성되어 패킹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의 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이탈방지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 구성요소인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이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고안에 있어 타관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역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10)의 일단에 소켓부(100)를 일체로 형성하여 타관(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부(100) 내주연에는 그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110)이 구성된다.
상기 안치홈(110)에는 거치대(120)가 부착되어 지는데, 상기 거치대(1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이 상기 안치홈(110)에 부착되고, 그 내주연에 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20)에는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관이 삽 입되는 측으로 경사면(121) 끝단에 제어테두리(122)가 구비되어 이탈방지링(200)의 슬라이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안치홈(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123)이 구성되는데, 상기 돌출단(123)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가압의 경우 외주연 상으로 삽입되고,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본래의 돌출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단(123)이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120)가 안치홈(110)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단(1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120)의 경사면(121)에서 슬라이드 되는 이탈방지링(200)에 압력이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결국 이탈방지링(200)의 내주연과 접하는 타관(20)과의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120)는 상기 경사면(121)이 형성됨으로 인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부(100) 입구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깊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링(200)이 타관의 삽입 전에는 소켓부(100) 내주연 상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 타관의 삽입으로 자연스럽게 이탈방지링(200)이 경사면(121) 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이탈방지링(200)의 내경이 커지고 그 내주연에 타관(20)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120)는 플라스틱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타관의 삽입에 의해 이탈방지링(200)의 가압을 상기 거치대(120)가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부(100) 내주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100)의 끝단에 제어턱(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어턱(130)의 구성으로 타관(20)의 삽입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턱(130)과 상기 안치홈(110) 사이에는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턱(130)과 제어벽(111)에 의해 형성되는 연동공간부(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동공간부(140)의 형성으로 관이음 시공 후 상재하중 등의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삽입된 타관(20)이 상기 연동공간부(140)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관 이음부분에 작용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일 측이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내주연의 확장,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00)의 단면형상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돌기(210)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대(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켓부(100) 입구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경사끝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타관의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된 타관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 삽입 되는 경우에는 가압돌기(210)의 마찰력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링(200)에 있어 타관(20)의 끝단과 대향하는 면은 곡면(2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타관(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220)의 반대면은 평면(230)으로 구성하여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관(20)의 삽입에 따라 이탈방지링(200)이 상기 거치대(120)의 경사면(121)에서 슬라이드 되어 안치홈(110)의 제어벽(111)에 상기 평면(230)이 접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탄성력을 부여함은 물론 수분과 접촉 시에도 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
상기 소켓부(100)의 내주연에는 패킹홈(150)이 더 구성되어 패킹(3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30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단면형상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타관(20)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제어돌기(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어돌기(310)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킹홈(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켓부(100) 입구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경사끝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타관의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된 타관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 삽입 되는 경우에는 제어돌기(310)의 마찰력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타관의 삽입 전에는 상기 이탈방지 링(200)이 상기 경사면(121)과 상기 제어테두리(122)의 접합부위에 거치된 상태로서 소켓부(100)의 내주연 상에서 상기 이탈방지링(200)이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어떠한 힘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외경이 상기 경사면(121)과 상기 제어테두리(122)의 접합부위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이탈방지링(200)의 너비는 상기 경사면(121)과 상기 제어테두리(122)의 접합부위에서 소켓부(100)의 내주연의 표면까지의 너비보다 크게 구성하여야 한다.
이어 타관(20)이 삽입되는 경우 이탈방지링(200)의 곡면(220)과 타관(20)의 경사면(21)이 먼저 접하게 되고, 타관(20)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거치대(120)에 형성된 경사면(121)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타관(20)의 외주연과 이탈방지링(200)에 형성된 가압돌기(210)가 접하게 된다. 이렇게 이탈방지링(200)에 형성된 가압돌기(210)와 타관의 외주연이 접한 상태에서 타관의 삽입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벽(111)과 이탈방지링(200)의 평면(230)이 접할 때까지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슬라이드 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지 타관의 삽입만으로도 상기 이탈방지링(200)에 형성된 가압돌기(210)의 가압 및 패킹홈(130)에 안치된 패킹(300)의 가압에 의해 관 이음작업은 수밀을 유지하며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설치되어 도 7b에서와 같이 관이음이 된 상태에서 상재하중, 온도변화 등에 의해 타관에 인장이 작용하여 역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관(20)과 이탈방지링(200)이 이탈방지링(200)에 형성된 가압돌 기(210)의 마찰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된다. 이렇게 됨으로서 타관(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자연스럽게 수용하여 타관 또는 이음부분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와 같이 타관(20)의 역삽입을 어느 정도 수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타관(20)이 상기 소켓부(10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방지되어야 할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타관과 이탈방지링(200)이 어느 정도 동시에 슬라이드 되다가 경사면(121)의 구성으로 자연스럽게 이탈방지링(200)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돌기(210)가 타관(20)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서 가압돌기(210)와 타관(20)의 마찰력으로 인해 타관(20)의 역 삽입이 제어되어 타관(20)이 상기 소켓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가압돌기(210)의 가압 뿐 아니라 패킹(300)에 형성된 제어돌기(310)에 의해서도 타관(20)이 소켓부(100)에서 이탈됨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언급한 바와 같이 시공 후 온도변화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타관에 인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해 이음부분에서 인장력을 흡수하여 관 이음부분 및 관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삽입된 타관의 신장을 인가하더라도 이탈방지링(200), 거치대(120)의 경사면(121) 및 패킹(300)의 구성으로 인해 타관(20)이 소켓부(10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이 관 이음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이탈방지링의 구성으로 인해 관 이음의 체결력이 주어지며,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 상재하중(사하중, 활하중), 온도변화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축을 이음된 타관이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관(10)의 일단에 소켓부(100)를 형성하여 타관(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0)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110)과;
    상기 안치홈(110)에 안치되며 내주연에 타관(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121)이 형성된 거치대(120)와;
    상기 거치대(120)의 경사면(121)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이탈방지링(2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삽입되는 타관(20)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형성되며, 삽입되는 타관(20)의 끝단과 대향하는 면은 곡면(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0)에는 타관(20)이 삽입되는 측에 제어테두리(122)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테두리(122)와 연결하여 경사면(1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0)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그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1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0) 내주연에는 제어턱(130)이 형성되어 타관(20)의 삽입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턱(130)과 상기 안치홈(110) 사이에는 타관(10)의 끝단이 연동될 수 있는 연동공간부(14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0)의 내주연에는 패킹홈(150)이 더 구성되어 패킹(3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2020060016696U 2006-06-21 2006-06-21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200430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96U KR200430113Y1 (ko) 2006-06-21 2006-06-21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96U KR200430113Y1 (ko) 2006-06-21 2006-06-21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778A Division KR100675065B1 (ko) 2006-06-21 2006-06-21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113Y1 true KR200430113Y1 (ko) 2006-11-10

Family

ID=4177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96U KR200430113Y1 (ko) 2006-06-21 2006-06-21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1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062B1 (ko) * 2017-09-06 2018-05-29 미래화학 주식회사 내진용 연결형 파이프
CN112283474A (zh) * 2020-11-11 2021-01-29 徐文罗 一种生物制药用管道的快速连接装置
CN112977346A (zh) * 2019-12-13 2021-06-18 北京宝沃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液体加注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102311112B1 (ko) * 2020-12-10 2021-10-08 박춘웅 깊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 장치 및 연결 방법
KR102507064B1 (ko)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티지에프 합성수지 관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062B1 (ko) * 2017-09-06 2018-05-29 미래화학 주식회사 내진용 연결형 파이프
CN112977346A (zh) * 2019-12-13 2021-06-18 北京宝沃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液体加注装置和具有其的车辆
CN112283474A (zh) * 2020-11-11 2021-01-29 徐文罗 一种生物制药用管道的快速连接装置
KR102311112B1 (ko) * 2020-12-10 2021-10-08 박춘웅 깊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 장치 및 연결 방법
KR102507064B1 (ko)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티지에프 합성수지 관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113Y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0675065B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US20030034651A1 (en) Corrugated plastic pipe arrangement
KR100879122B1 (ko) 기밀용 패킹수단과 이를 구비한 관로 연결장치
US6089618A (en) Sealing device for pipes
KR101008205B1 (ko) 편수관
KR100261854B1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KR102100056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915524B1 (ko) 이중벽관 이음관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20220169328A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100864053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2134970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KR100820939B1 (ko) 기밀용 패킹수단과 이를 구비한 관로 연결장치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102397246B1 (ko)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
KR102442772B1 (ko)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KR101431071B1 (ko) 상,하수관용 패킹
KR101022341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864054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0899383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JP5462042B2 (ja) 継手
WO1999024752A1 (en) A pipe joint, especially for plastic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