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772B1 -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 Google Patents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772B1
KR102442772B1 KR1020220057819A KR20220057819A KR102442772B1 KR 102442772 B1 KR102442772 B1 KR 102442772B1 KR 1020220057819 A KR1020220057819 A KR 1020220057819A KR 20220057819 A KR20220057819 A KR 20220057819A KR 102442772 B1 KR102442772 B1 KR 10244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pe
cap
circumferential surface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22005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의 연결구 본체에 원통 형상의 파이프 관로가 연결될 때,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예로 수직으로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연결할 때, 본체의 상하부로 파이프 관로를 삽입한 후 상기 본체의 상부에 캡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캡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밀링이 상기 파이프 관로의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접되어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캡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캡이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풀림방지턱에 걸려 상기 캡의 풀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Connector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watertightness using anti-loosening jaws and water-tightness}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과 같이 원통 형상의 파이프 관로가 연결될 때,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예로 수직으로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연결할 때, 본체의 상하부로 파이프 관로를 삽입한 후 상기 본체의 상부에 캡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캡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밀링이 상기 파이프 관로의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접되어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캡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캡이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풀림방지턱에 걸려 상기 캡의 풀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중벽 또는 삼중벽을 이루는 하수관과, 압출에 의해 성형되는 수도관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오수관, 우수관 등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관은 연속해서 성형되는데, 이동 및 보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동시에 연결부분에 플랜지식, E/F시트, 열수축시트, KP식, 편수관, 소켓방식 등과 같이 연결방법 또한 다양한 구조가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플랜지식과 KP식 및 편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체결에 장시간이 걸리게 되고, 체결시 전체면에서 균일한 힘으로 체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의 결합부분이 쉽게 깨어지며, 연결구의 후가공 부위가 약화되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고 패킹이 두꺼운 경우 파이프의 삽입이 곤란하며, 패킹이 얇은 경우에는 결속력이 약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수축시트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을 한바퀴 감아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으로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E/F시트는 시트와 합성수지관을 용융시킨 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성능은 좋은 반면에 아침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비가 오는 경우나 합성수지관의 외부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작업 후에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함께 융착기를 소유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켓방식은 양측 또는 일측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시킨 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용융시키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소켓과 합성수지관의 구경이 일치하지 않고 많은 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부분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연결소켓은 내주면 중앙부를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밀림 방지턱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종단부에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패킹이 끼워진 파이프를 양측 개구부로 삽입시켜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종래의 연결소켓은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패킹에 의한 수밀 기능이 상실되면서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파이프가 쉽게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패킹을 고정시킨 후에 연결소켓에 결합시킬 때 패킹이 연결소켓의 개구부 내주면과 마찰에 의해 비틀리면서 결합되게 되어 부분적으로 틈이 발생하게 되고, 비틀림이 심한 경우에는 패킹의 일부분이 파손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상기 밀림 방지턱과 패킹 사이의 미세한 공간까지 미치게 됨에 따라 상기 패킹의 수밀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 상기 파이프가 연결소켓의 양측 개구부 쪽으로 밀려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5682호(2012.07.09.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파이프 관로를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즉, 연결구는 파이프 관로의 종단부에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패킹이 밀려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여 수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의 연결구 본체의 상부 내측에 수밀링의 하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밀링의 상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로의 외주연에 밀접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로의 삽입이 원활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캡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밀링의 상부가 관로의 외주연에 보다 견고하게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캡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외주연 상부에 상기 캡이 결합된 후 상기 풀림방지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 관로(1)(2)가 삽입되는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환형으로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결합홈(14)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수밀링(2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밀링(20)을 하부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되는 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외주면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말단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풀림방지턱(32)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는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면 내측이 상부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밀링(20)은 상기 결합홈(14)에 내입되는 하단부(22);와
상기 하단부(22)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하부면이 밀접되는 지지부(24); 및 상기 지지부(24)의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제1기밀편(26a)이 돌출형성되고, 내주면 상부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제2기밀편(26b)이 돌출형성되고, 내주면 중앙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미세기밀편(26c)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4)의 상부에 외주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캡(30)은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압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에 삽입되는 관로의 외주연에 수밀링을 설치하지 않고 본체의 상부 내측에 수밀링을 결합하여 상기 본체에 관로의 삽입시 상기 수밀링의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밀링의 상부 내주면에 복수 개의 기밀편을 형성하고, 상기 기밀편을 상부 대각선 방향 또는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와 하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밀링의 외주면 상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의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밀링의 상부가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되어 우수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에 의해 관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3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캡의 결합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밀링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과 같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 관로(이하, '관로(1)(2)'라 한다.)가 상호 연결될 때,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하여 수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관로(1)(2)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된 결합홈(14)에 수밀링(20)을 설치하여 상기 관로(1)(2)의 삽입에 따른 수밀링(20)의 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캡(30)을 나사결합시켜 상기 수밀링(20)이 상기 관로(1)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캡(30)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상부에 상기 캡(3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풀림방지턱(32)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16)가 형성되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의 구성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와 하부에 관로(1)(2)가 삽입되는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환형으로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결합홈(14)에 하단부(22)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수밀링(2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밀링(20)을 하부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되는 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외주면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말단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풀림방지턱(32)과 풀림방지턱(32)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는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면 내측이 상부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밀링(20)은 상기 결합홈(14)에 내입되는 하단부(22);와 상기 하단부(22)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하부면이 밀접되는 지지부(24); 및 상기 지지부(24)의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제1기밀편(26a)이 돌출형성되며, 내주면 상부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제2기밀편(26b)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내주면 중앙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미세기밀편(26c)이 돌출형성되는 기밀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밀부(26)는 외주면 상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캡(30)은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압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는 수직으로 관로(1)(2)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본체(10)의 상부와 하부로 관로(1)(2)가 삽입된 후 용접되거나, 열융착되도록 하여 상기 관로(1)(2)와 본체(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겨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본체(10)는
상부와 하부에 관로(1)(2)가 삽입되는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환형으로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12)에 각각 관로(1)(2)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4)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수밀링(20)의 하부가 내입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수밀링(2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홈(14)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수밀링(20)의 하부가 끼움결합되어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2)를 통해 관로(1)가 삽입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는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상부면이 내측과 외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면 내측이 상부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이 상부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수밀링(20)의 내측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밀링(20)의 내주면 상부가 삽입된 관로(1)의 외주면에 보다 많은 면적으로 밀접되어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10)는 외주면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나사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말단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풀림방지턱(32)과 인접한 풀림방지턱(32)의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유체과 통과하면서 발생되거나 지진등에 의한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캡(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16)의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말단은 상부면이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캡(30)의 나사결합되어 완전히 결합될 때, 풀림방지턱(32)의 사이로 원활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걸림부(16)는 하부방향으로 탄성력을 갖을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캡(30)이 본체(10)에 나사결합될 때, 풀림방지턱(32)의 사이로 보다 원활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는 내주면 중단부에 형성되는 밀림방지턱(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부와 하부로 삽입되는 관로(1)(2)의 말단이 상기 밀림방지턱(18)에 걸려 더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는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파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파지돌기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캡(30)의 결합시 작업자에 의한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밀링(20)은
상기 결합홈(14)에 하단부(22)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2)로 관로(1)가 삽입된 후 상기 관로(1)의 외주연에 내주면 상부가 밀접되어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밀링(20)은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4)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하단부(22)와, 상기 하단부(22)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하부면이 밀접되는 지지부(24) 및 상기 지지부(24)의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제1기밀편(26a)이 돌출형성되며, 내주면 상부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제2기밀편(26b)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내주면 중앙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미세기밀편(26c)이 돌출형성되는 기밀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부(22)는 앞서 본체(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4)에 끼움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24)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하부면이 밀접되어 기밀부(26)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단부(22)와 지지부(24)는 관로(1)의 외주면에 밀접되는 기밀부(26)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2)에 관로(1)가 삽입될 때, 상기 기밀부(26)가 하부방향으로 밀려 모양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이후에 캡(30)이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관로(1)의 외주면에 상기 기밀부(26)의 내주면이 밀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기밀부(26)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기밀편(26a)과 제2기밀편(26b) 및 미세기밀편(26c)을 통해 보다 우수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1기밀편(26a)은 내측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10)와 관로(1)의 사이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유체가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기밀편(26b)은 본체(10)와 관로(1)의 사이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는 유체 또는 빗물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미세기밀편(26c)은 상기 제1기밀편(26a)과 제2기밀편(26b)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기밀편(26a)과 제2기밀편(26b)이 관로(1)의 내주면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접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2중으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기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밀부(26)는 내주면 중앙에 형성되되, 상기 미세기밀편(26c)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미세기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미세기밀편을 통해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는 유체를 2중으로 차단함으로써, 더욱더 우수한 기밀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기밀편(26a)은 내측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2)에 삽입되는 관로(1)가 삽입될 때, 상기 관로(1)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기밀편(26a)이 형성되는 방향 특성에 의해 상기 관로(1)의 삽입시 상기 관로(1)의 외주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밀려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기밀부(26)는 외주면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 즉,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캡(30)이 본체(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캡(30)의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34)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압되어 상기 기밀편들이 관로(1)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접되어 기밀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밀부(26)의 외주면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캡(30)의 가압돌기(34)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압돌기(34)의 내주면이 상기 기밀부(26)의 외주면 상부부터 하부까지 자연스럽게 접촉되며 가압하여 상기 기밀부(26)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부(26)는 상부면에 제2기밀편(26b)과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홈(26d)과, 외주면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홈(26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홈(26d)과 제2홈(26e)에 의해 가압될 때, 파손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관로(1)의 외주면과 밀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캡(3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밀링(20)을 하부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밀링(20)에 의한 수밀성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풀림방지턱(32)에 상기 본체(10)의 걸림부(16)가 걸리도록 하여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30)은 내주면에 상기 본체(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관로(1)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캡(30)은 내측 상부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압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돌기(34)는 상기 캡(30)이 본체(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앞서 수밀링(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상기 수밀링(20)의 기밀부(26)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수밀링(20)의 내주면에 관로(1)의 외주면에 밀접되도록 하여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34)는 본 발명의 캡(30)이 본체(10)에 와전히 나사결합됨에 따라 하부면이 수밀링(20)의 지지부(24) 상부면에 밀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수밀링(20)의 기밀부(26)가 하부 내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지지부(24)가 본체(10)의 상부면 내측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캡(30)은 상기 가압돌기(34)에 의해 수밀링(20)의 기밀부(26)를 하부 내측면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수밀링(20)의 지지부(24) 또한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관로(1)와 수밀링(20) 사이에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캡(3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됨에 따라 앞서 설명된 본체(10)의 걸림부(16)의 말단이 풀림방지턱(32)의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도면부호 미표시)에 위치되어 상기 풀림방지턱(32)에 걸림으로써, 지진 또는 외부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캡(3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이나 우수관과 엘보관, T형관, 45도관 등 방향 전환관에 사용되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는 캡(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과 본체(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부(16)를 통해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캡(30)의 풀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기밀편이 형성되고, 외주연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수밀링(20)과 상기 캡(30)의 가압돌기(34)를 통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수밀링(20)이 가압되어 우수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2 : 관로 10 : 본체
12 : 삽입구 14 : 결합홈
16 : 걸림부 18 : 밀림방지턱
20 : 수밀링 22 : 하단부
24 : 지지부 26 : 기밀부
26a : 제1기밀편 26b : 제2기밀편
26c : 미세기밀편 26d : 제1홈
26e : 제2홈 30 : 캡
32 : 풀림방지턱 34 : 가압돌기

Claims (4)

  1. 상부와 하부에 관로(1)(2)가 삽입되는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상부면 내측에 환형으로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외주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결합홈(14)에 하부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수밀링(2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밀링(20)을 하부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풀림방지턱(32)이 형성되는 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외주면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말단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풀림방지턱(32)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부(16);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면 내측이 상부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수밀링(20)은
    상기 결합홈(14)에 내입되는 하단부(22);와
    상기 하단부(22)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내측에 하부면이 밀접되는 지지부(24); 및
    상기 지지부(24)의 말단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제1기밀편(26a)이 돌출형성되고, 내주면 상부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제2기밀편(26b)이 돌출형성되고, 내주면 중앙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미세기밀편(26c)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4)의 상부에 외주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되, 내주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압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KR1020220057819A 2022-05-11 2022-05-11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KR10244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19A KR102442772B1 (ko) 2022-05-11 2022-05-11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19A KR102442772B1 (ko) 2022-05-11 2022-05-11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772B1 true KR102442772B1 (ko) 2022-09-14

Family

ID=8327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819A KR102442772B1 (ko) 2022-05-11 2022-05-11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938A (ja) * 2010-05-07 2011-11-24 Miyata Kogyosho:Kk 管継手
KR101165682B1 (ko) 2012-03-28 2012-07-18 조은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
KR101253480B1 (ko) * 2012-01-16 2013-04-11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패킹링의 이탈이 방지되는 관 연결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관 연결장치
KR20190073237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배관 연결용 패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938A (ja) * 2010-05-07 2011-11-24 Miyata Kogyosho:Kk 管継手
KR101253480B1 (ko) * 2012-01-16 2013-04-11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패킹링의 이탈이 방지되는 관 연결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관 연결장치
KR101165682B1 (ko) 2012-03-28 2012-07-18 조은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
KR20190073237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배관 연결용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2B2 (ja) 管継手
US3998478A (en) Joint construction with sealing gasket for joints with plastic or other pipes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502B1 (ko) 그루브 조인트 어댑터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KR20190108157A (ko)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KR100995105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442772B1 (ko) 풀림방지턱과 수밀링을 활용한 안정성과 수밀성을 향상한 연결구
JP2001187996A (ja) 管接続部用補強継手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100675065B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JP4980146B2 (ja) ハンドホール設置構造
KR100310659B1 (ko)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KR102018818B1 (ko) 삽입제한 및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JPH082134B2 (ja) 地中埋設される波付管の端末固定装置
KR200456187Y1 (ko) 케이블 방수용 패킹 장치
KR100754864B1 (ko) 기밀용 패킹수단 및 이를 구비한 뉴틸리티식 pe 수도관의관로 연결장치
EP1049897A1 (en) A pipe joint, especially for plastic pipes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KR101803076B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부단수밸브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