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41B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41B1
KR101022341B1 KR1020100074811A KR20100074811A KR101022341B1 KR 101022341 B1 KR101022341 B1 KR 101022341B1 KR 1020100074811 A KR1020100074811 A KR 1020100074811A KR 20100074811 A KR20100074811 A KR 20100074811A KR 101022341 B1 KR101022341 B1 KR 10102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synthetic resin
connection
spir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10007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16L47/1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maintained in place by addition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내주면 일측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어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 및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밴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plastic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합성수지관 연결을 위한 작업공수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합성수지관의 특성상 외부 환경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피치와 직경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수밀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4333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4333호에 개시된 종래의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은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2)의 나선을 따라 나사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면에 나선형 내향돌조(3)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나선형 외향돌조(4)가 대향지게 형성되며, 그 나선형 외향돌조와(4) 나선형 내향돌조(3)의 선단부에 접착제 충전홈(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을 사용하여 한 쌍의 나선관(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을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나선관(2) 중 일측에 위치한 나선관(2)에 나사식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타측 끝단부가 일측에 위치한 나선관(2)의 타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한 후 상기 일측에 위치한 나선관(2)의 타측 끝단부에 타측에 위치한 나선관(2)의 일측 끝단부를 맞댄 다음, 상기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측에 위치한 나선관(2) 측으로 나사식으로 이동시켜 서로 연결된 나선관(2)의 연결부에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외부에 고정 밴드(7)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나선관(2)을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은 나선형 외향돌조(4)와 나선현 내향돌조(3)의 선단부에 접착제 충전홈(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착제 충전홈(5)이 형성됨에 따라 빈 공간이 생기게 됨으로써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외부에 고정 밴드(7)를 체결할 시에 상기 고정 밴드(7)에 의하여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이 가압되면, 상기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접착제 충전홈(5)의 형태가 변형되어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접착제 충전홈(5)이 납작하게 됨으로써 수밀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4951호에 종래기술로 개시된 나선관 연결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나선관 연결 방식은 나선관(2)의 일측 단부에 패킹(1)을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패킹(1)의 후단부가 나선관(2)의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2)의 선단부를 패킹(1)이 끼워진 나선관(2)과 그 중심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양 나선관(2)의 나선이 접속부에서 일치하도록 조정한 다음 패킹(1)을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중심이 나선관(2)의 접속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나선관(2)을 연결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관 연결 방식에 사용되는 패킹(1) 또한 서로 연결된 나선관(2)의 수밀을 위하여 나선관(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나선관(2)의 외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한다 하더라도 나선관(2)의 외주면과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1)의 내주면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30m 이상을 원형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 및 이동되는 나선관(2)의 특성상 권취된 나선관을 푼다 하더라도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때문에 나선관(2)의 일측 단부에 패킹(1)을 끼워 회전시켜 패킹(1)의 후단부가 나선관(2)의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2)의 선단부를 패킹(1)이 끼워진 나선관(2)과 그 중심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양 나선관(2)의 나선이 접속부에서 일치하도록 조정한 다음 패킹(1)을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중심이 나선관(2)의 접속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선관(2)을 연결하는 작업시간 또한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c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4769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4769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은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10)의 나선홈(11)을 따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 내향돌조(21)가 나선부로 이어지고 나선 내향돌조(21)의 외측에는 나선 연결부보다 돌출되는 나선 외향돌조(23)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 내외향돌조(21)(23) 및 연결부(22)가 1회이상 권회되는 형상을 가지는 패킹(20)을 양측 나선관(10)의 단부에 나사맞춤으로 각각 고정하고 양측 패킹(20)의 외측에는 원통상 연결관(30)을 끼워 양측 연결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나선 외향돌조(23) 사이의 연결부(22)에 그 연결부(22)가 양측 나선관(10)의 나선 중공돌조(12)의 외면에 압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나선 외향돌조(23) 사이의 나선홈(24)을 타고 흐르는 누수를 차단하는 다수개의 누수차단 돌편(25)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d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710호에 개시된 나선관 연결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710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은, 연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 접속되는 나선관의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을 형성함에 있어, 양측단에 걸림턱(3a')이 절곡 형성된 감합대(3a)의 양선단을 서로 어긋나게 하여 그 사이에 나합 돌출부(3b)를 일체로 연설시켜서 감합대(3a)가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나선형을 이루는 감합대의 상면에 돌기부가 일체로 돌설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선관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됨으로써 나선관을 압출성형에 의하여 뽑은 후 냉각시킬 시에 외부 온도 등과 같은 환경에 의하여 피치와 외경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나선관의 피치와 외경에 공차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나선관은 제작사마다 피치나 외경이 서로 다르게 제작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4769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710호에 개시된 나선관 연결용 패킹(20)(3)의 경우 양측 패킹의 원통상에 연결관(30)(2)을 끼워 나선관 연결용 패킹(20)(3)이 선단에 장착된 한 쌍의 나선관을 연결하게 됨으로써 나선관의 공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한 쌍의 나선관의 선단에 끼워진 나선관 연결용 패킹(20)(3)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나선관 연결용 패킹(20)(3)의 외주면과 연결관(30)(2)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완벽한 수밀성을 유지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피치 이상 나선관 연결용 패킹(20)을 나사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윤활제를 도포하지 않으면 조립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나선관 연결용 패킹(20)은 단순히 소켓 형태의 원통상 연결관(3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된 것으로서 수밀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관 연결용 패킹(3)은 단순히 1피치만 나선관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이 또한 패킹(3)이 단순히 소켓으로 연결됨으로써 수밀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e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4951호에 개시된 콜게이트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4951호에 개시된 콜게이트관 연결구조는, 콜게이트관(11)의 연결 대상 접속부상에 콜게이트관 외주면 요홈부(11a) 사이로 삽입되는 돌조(12a)가 적어도 하나이상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주름부(12b)가 구비된 신축성 튜브패킹(12)이 씌워지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에 양측단부상에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13a)이 구비된 밴드(13)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콜게이트관 연결구조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위치한 콜게이트관(11)에 튜브패킹(12)의 일측을 확장시켜 튜브패킹(12)의 돌조(12a)가 콜게이트관(11)의 요홈부(11a)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상기 일측에 위치한 콜게이트관(11)에 일측이 결합된 튜브패킹(12)의 타측을 일측 방향으로 젖힌 후, 상기 일측에 위치한 콜게이트관(11)에 다른 콜게이트관(11)을 맞댄 다음, 상기 젖혀진 튜브패킹(12)의 타측을 다시 펴서 한 쌍의 콜게이트관(11)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튜브 패킹(12)은 내주면에 돌조(12a)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요홈부(11a)가 링 형태로 형성된 콜게이트관(11)에는 적용 가능하나, 요홈부가 나선형태로 돌출 형성된 나선관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튜브패킹(12)의 내주면에 돌조가 돌출 형성되어 튜브패킹(12)의 두께가 두꺼움으로써 상기 튜브패킹(12)을 콜게이트관(1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확장시켜 접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 또는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형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 연결작업의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피치와 직경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수밀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관 연결부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 일측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어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 및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은 내부면에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삽입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겸용 수밀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과 합성수지관 사이에는 연결 소켓이 더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홈에는 고정밴드의 체결 시 삽입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가 더 삽입 체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나선형 홈에 삽입 체결된 가압부재의 외주면부는 나선형 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다수개가 체결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두께는 합성수지관의 산부의 높이 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의 내부면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산부에 다수개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구의 외주면 끝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와 제 1 접속부용 패킹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체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산부의 높이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수밀패킹; 내주면 일측 끝단부에 상기 수밀패킹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탈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겸용 수밀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 및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구의 외주면 끝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밴드와 제 1 접속부용 패킹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이 더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과 합성수지관 사이에는 연결 소켓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나선형 돌기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산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 2 접속부용 패킹;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과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결합된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고무 소켓; 및 상기 고무 소켓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소켓의 양측 끝단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손잡이가 일정간격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나선형 돌기는 내경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밴드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밴드와 고무소켓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패킹을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에 제 1 접속부용 패킹을 결합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합성수지관의 일측 끝단부에 제 2 접속부용 패킹을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고정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일측 끝단부를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삽입 결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 또는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형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2 접속부용 패킹이 합성수지관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제 2 접속부용 패킹을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압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합성수지관, 특히 파형 합성수지관의 특성상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피치에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관 접속부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4333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4951호에 종래기술로 개시된 나선관 연결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 1c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4769호에 개시된 나선관 접속부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d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88-0003710호에 개시된 나선관 연결용 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e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4951호에 개시된 콜게이트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한 쌍의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한 쌍의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나선형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한 쌍의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한 쌍의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제 2 접속부용 패킹(11), 고정밴드(1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내주면 일측에 나선형 돌기(100)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 연결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나선형 돌기(100)가 돌출 형성된 일측을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나선형 돌기(100)에는 실리콘이나 윤활제를 도포한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나선형 돌기(100)는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경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일측 끝단부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나선형 돌기(100)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100a)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삽입 연결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에 나선형 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12)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내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12)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서 나선형 돌기(10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끝단부에는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14)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나선형형태의 파형합성수지관(2a)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을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 사이에 연결 소켓(14)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11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111)에는 고정밴드(12)의 체결 시 삽입 연결부(10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13)가 더 삽입 체결되고,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나선형 홈(111)에 삽입 체결된 가압부재(13)의 외주면부는 나선형 홈(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삽입 체결을 완료하였을 시 상기 삽입 연결부(101)에 의해 가압부재(13)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연질의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가압부재(13)는 경질의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 홈(101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골부에 다수개가 체결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두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산부의 높이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의 내주면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콜게이트관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골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 돌기(103)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113)가 더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산부에 다수개가 체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외주면에도 다수개의 수밀돌기(113)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구(101)의 외주면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손잡이(104)가 일정간격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밴드(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120)이 다수개의 고정부재(12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밴드(12)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122)가 더 부착될 수 있고, 상기 고정밴드(12)의 한 쌍의 결합판(1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밴드(12)가 미끄러져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밴드(12)와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12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수밀패킹(15),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제 2 접속부용 패킹(11), 고정밴드(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수밀패킹(15)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골부에 체결되며, 상기 수밀패킹(15)의 두께는 상기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산부의 높이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밀패킹(15)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150)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내주면 일측 끝단부에 상기 수밀패킹(15)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골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 돌기(102)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 연결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 돌기(102)가 돌출 형성된 일측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연결하고자 하는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12)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서 이탈 방지돌기(102)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끝단부에는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끝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14)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구(101)의 외주면 끝단부에는 손잡이(104)가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과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 사이에는 연결 소켓(14)이 더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120)이 다수개의 고정부재(12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밴드(12)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122)가 더 부착될 수 있고, 상기 고정밴드(12)의 한 쌍의 결합판(1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밴드(12)가 미끄러져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밴드(12)와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12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과 나선형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 다수개의 제 2 접속부용 패킹(11), 고무소켓(16) 및 고정 밴드(1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나선형 돌기(100)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나선형 돌기(100)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100a)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113)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소켓(16)은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결합된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이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무 소켓(16)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걸림턱(160)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 소켓(16)의 양측 끝단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손잡이(104)가 일정간격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밴드(12)는 상기 고무 소켓(1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120)이 다수개의 고정부재(121)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나선형 돌기(100)는 내경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12)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122)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12)의 한 쌍의 결합판(1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밴드(12)가 미끄러져 조여질 수 있도록 고정 밴드(12)와 고무소켓(16)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12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고무 소켓(16)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태의 합성수지관(2a)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합성수지관(2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접속부용 패킹(10)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결합된 합성수지관(2a)(2b) 또한 고무 소켓(16)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2a)(2b) 중 일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일측을 결합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선형 돌기(100)가 돌출 형성된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먼저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골부에 먼저 수밀패킹(15)을 결합한 후 상기 수밀패킹(15)의 외주면에 이탈 방지돌기(102)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일측을 결합하며, 여기서 상기 수밀패킹(15)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골부에 체결됨으로써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 돌기(102)의 두께를 수밀패킹(15)의 두께 만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확장시켜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2a)(2b) 중 일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을 결합한 다음에는 상기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2a)(2b)중 타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 일측 끝단부에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결합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선형 돌기(110)가 돌출 형성된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타측에 위치한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골부에 결합되고, 도 5 및 도 9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산부에 결합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원형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될 원형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연결소켓(14)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연결 소켓(14)에 결합하였을 시에는 상기 연결 소켓(14) 내부에 연결될 원형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2a)(2b) 중 타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b)의 일측 끝단부에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결합한 다음에는, 손잡이(104)를 잡고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확장시켜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일측 외주면과 삽입 연결부(101)의 외주면이 서로 접하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과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을 서로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골부에 체결됨으로써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 돌기(103)의 두께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두께 만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확장시킨 다음에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이 수평하게 되도록 일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a)의 타측 끝단부에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결합된 타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b)의 일측 끝단부를 맞댄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a)(2b)를 서로 맞댄 후에는 일측에 위치한 합성수지관(2a)에 결합된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B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상기 삽입 연결부(101)가 가압부재(13a)가 외주면에 결합된 제 2 접속부용 패킹(10)을 둘러쌓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경우에는 상기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B방향으로 원상 복귀시키기 전에 나선형 홈(11)에 가압부재(13)를 체결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손잡이(104)를 잡고 고무소켓(16)을 화살표 A방향으로 잡아당겨 확장시킨 후 상기 고무소켓(16)의 내부에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이 결합된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결합된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을 삽입한 후 상기 고무소켓(16)을 화살표 B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고무소켓(16)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둘러싸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를 화살표 B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삽입 연결부(101)가 제 2 접속부용 패킹(10)을 둘러쌓도록 하거나 고무소켓(16)을 화살표 B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고무소켓(16)이 제 1 접속부용 패킹(10)과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둘러싸도록 한 다음에는,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 또는 고무소켓(16)을 감싸도록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a)(2b)의 연결부에 고정밴드(12)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밴드(12)의 한 쌍의 결합판(12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밴드(12)가 미끄러져 조여질 수 있도록 고정밴드(12)와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사이에 밴드 조임용 보조판(123)을 개재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12)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동 방지부재(122) 또한 상기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a)(2b)의 골부에 끝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밴드(12)와 제 1 접속부용 패킹(10) 사이에 밴드 조임용 보조판(123)을 개재한 다음에는, 상기 고정밴드(12)의 결합판(120)을 다수개의 고정부재(121)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부재(121)를 사용하여 고정밴드(12)의 한 쌍의 결합판(120)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밴드(12)의 조임력에 의하여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나선형 돌기(100)가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과 긴밀하게 밀착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은 이탈 방지돌기(102)가 가압되어 수밀돌기(150)가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a)의 골부와 긴밀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고정밴드(12)에 의해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이 가압되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가압되어 나선형 돌기(110)가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이탈 방지돌기(103)에 의해 가압되어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골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2b)의 산부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은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의 외주면과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12)가 긴밀하게 밀착되며,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의 이탈 방지겸용 수밀돌기(122)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서 이탈 방지돌기(102)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2 접속부용 패킹(11) 외부로 원통 형태의 합성수지관(2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패킹을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a)에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을 결합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합성수지관(2b)의 일측 끝단부에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이 결합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b)의 일측 끝단부를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삽입 결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2a)(2b)과의 사이에서 매우 큰 마찰력이 발생되는 접속부용 패킹을 파형 합성수지관에 나사 결합한 후 상기 파형 합성수지관에 나사 결합된 접속부용 패킹의 중심부가 양 파형 합성수지관의 접속부와 일치하도록 접속부용 패킹을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합성수지관 특히 파형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2 접속부용 패킹(10)(11)이 합성수지관(2a)(2b)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합성수지관(2a)(2b) 접속부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10)의 삽입 연결부(101)에 제 2 접속부용 패킹(11)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로서, 압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합성수지관(2a)(2b)의 특성상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a)(2b)의 외경과 피치에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서로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합성수지관(2a)(2b) 접속부의 수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관(2a)(2b) 접속부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제 1 접속부용 패킹 (11) : 제 2 접속부용 패킹
(12) : 고정밴드 (13) 가압부재
(14) : 연결소켓 (15) : 수밀패킹
(16) : 고무소켓 (101) : 삽입 연결부
(100)(110) : 나선형 돌기 (111) : 나선형 홈
(120) : 결합판 (121) : 고정부재
(122) : 이동 방지부재 (123) : 밴드 조임용 보조판

Claims (25)

  1. 내주면 일측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어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내부면에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홈에는 고정밴드의 체결 시 삽입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가 더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용 패킹의 나선형 홈에 삽입 체결된 가압부재의 외주면부는 나선형 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수밀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8. 내주면 일측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삽입되게 끝단부 내부면에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된 일측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접속부용 패킹;
    링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외주면 끝단 골부에 다수개가 체결되되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산부 높이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형성된 이탈방지 돌기에 외주면이 밀착되어,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에 콜게이트관 형태의 파형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함께 삽입 결합되는 제 2 접속부용 패킹; 및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판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 2 접속부용 패킹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삽입 연결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수개의 이동 방지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와 제 1 접속부용 패킹 사이에는 밴드 조임용 보조판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나선형 돌기는 내경이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일측 끝단부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용 패킹의 나선형 돌기에는 다수개의 수밀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00074811A 2010-08-03 2010-08-03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02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11A KR101022341B1 (ko) 2010-08-03 2010-08-03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11A KR101022341B1 (ko) 2010-08-03 2010-08-03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789A Division KR101255990B1 (ko) 2010-12-28 2010-12-28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341B1 true KR101022341B1 (ko) 2011-03-22

Family

ID=4393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11A KR101022341B1 (ko) 2010-08-03 2010-08-03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30B1 (ko) * 2012-01-31 2014-05-07 (주) 영남메탈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55Y1 (ko) * 1991-04-19 1993-09-13 주식회사 금호화학 나선관 접속구의 구조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JP2007064267A (ja) * 2005-08-29 2007-03-15 Totaku Industries Inc 雌雄継手体
KR100901002B1 (ko) * 2008-07-16 2009-06-04 (주) 삼정디씨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55Y1 (ko) * 1991-04-19 1993-09-13 주식회사 금호화학 나선관 접속구의 구조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JP2007064267A (ja) * 2005-08-29 2007-03-15 Totaku Industries Inc 雌雄継手体
KR100901002B1 (ko) * 2008-07-16 2009-06-04 (주) 삼정디씨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30B1 (ko) * 2012-01-31 2014-05-07 (주) 영남메탈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0972B2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CN104272003A (zh) 管接头
JP4953463B2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JP4860965B2 (ja) 雌雄継手体
JP5498617B1 (ja) 管継手
KR101022341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WO2010021323A1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JPS5913430Y2 (ja) 管継手
KR101255990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438887Y1 (ko)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7370571B2 (ja) 樹脂管用管継手
KR200387801Y1 (ko) 나선형 휨 주름관의 연결구
JP6715097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構造
JP5234940B2 (ja) 管継手
KR0177851B1 (ko) 파형관의 관이음구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JP2008014456A (ja) 管体接続継手
EP0486962A1 (en) Multi-purpose flexible sleeve
KR101539407B1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KR101323175B1 (ko) 플라스틱 주름관의 방수 연결구
JP7096894B2 (ja) 蛇腹管連結装置、及びその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