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851B1 - 파형관의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파형관의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851B1
KR0177851B1 KR1019940003512A KR19940003512A KR0177851B1 KR 0177851 B1 KR0177851 B1 KR 0177851B1 KR 1019940003512 A KR1019940003512 A KR 1019940003512A KR 19940003512 A KR19940003512 A KR 19940003512A KR 0177851 B1 KR0177851 B1 KR 0177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corrugated pipe
holder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031A (ko
Inventor
야스히로 다나까
노리오 기시
Original Assignee
도모마쓰 겐고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모마쓰 겐고,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모마쓰 겐고
Publication of KR94002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목적]
수밀성이 높고, 그리고 파형관의 인발강도가 크고, 게다가 작업성이 양호한 파형관용의 관이음매를 제공한다.
[구성]
이 나선파형관의 접속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통상체(16) 와, 이통상체(16)의 내측과 이 파형관의 접속단부의 외면 주위와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패킹(18)과, 이 통상체(16)의 내측에서 그리고 이 패킹(18)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홀더(20)와, 이 통상체(16)의 1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 통상체(16)와 이 나선파형관을 고정시켜 조이는 칼라(20)를 구비하고 있는 나선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매.

Description

파형관의 관이음구
제1도는 본 발명의 관한 관이음구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2도는 실시예2의 관이음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3(a)도는 패킹의 정면도.
제3(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4(a)도는 홀더의 정면도.
제4(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5(a)도는 칼라의 정면도.
제5(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6(a)도는 통상체의 정명도.
제6(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7(a)도는 패킹의 개변예 1의 정면도.
제7(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8(a)도는 칼라의 개변예의 정면도.
제8(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9(a)도는 통상체의 개변예의 정면도.
제9(b)도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10도는 실시예 6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2개의 파형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종래의 관이음구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관이음구(1) 12 : 관이음구(2)
13, 13' : 파형관의 파형 14, 15 : 파형관
16 : 통상체 17 : 스토퍼부
18 : 패킹 19 : 홀더
20 : 칼라 22 : 지름이 작은 단면
23 : 테이퍼면 24 : 지름이 큰 단면
26, 26' : 패킹의 나선상 파형 28 : 홀더의 단면
30, 30' : 홀더의 괘지부(걸어두는부) 32 : 후육부 (두께가 두꺼운 부분)
36 : 패킹 수용부 38 : 홀더 수용부
40 : 원통부 42 : 단면
43 : 개구부 50 : 패킹 개변예 1
52 : 지름이 작은 단면 54 : 환상 볼록부
60 : 칼라 개변예 62 : 돌기부
70 : 평활관의 접속부 80 : 통상체 개변예
82 : 돌기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나선상의 파형이 형성된 파형관을 길이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관의 접속부를 수밀하게 봉지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으며, 또한 접속된 파형관의 인발강도가 큰파형관의 접속부를 부여하는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나선상 파형관이란, 나선상 파형이 외면에 형성된 관을 말하고, 가요성의 합성수지제의 관에 나선상의 파형을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나선상파형관(이하, 간단히 하기 위하여 파형관이라고 약칭한다)은, 지중에 전선, 케이블 등의 선재, 또는 배관 등의 관재를 매성하는 경우, 그 파형관내에 이들선재 또는 관재를 수용함으로써 그것들을 보호하는 보호관으로서 사용되는 일이 많다.
파형관은, 제조상의 제약 때문에, 또한 수송상의 편의 등 때문에, 통상 묶어 말아서 공장 출하되거나, 또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장으로부터 출하된다. 긴 구간에 걸쳐 전선, 케이블 등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그 길이에 맞추어서 소정 길이의 파형관끼리 또는 다른 피접속물 등과 길이방향으로 접속할 필요가 시공현장에서 발생한다.
시공현장에서 파형관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 전형적으로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접속수단에 의해 파형관을 접속하여 왔다.
[종래예 1]
제11도에 표시한 파형관의 접속수단에서는, 접속할 파형관(14,15)의 파형(13,13')과 대략 상사형인 파형이 형성된 파형 슬리브 이음구(A)를 준비하고, 이 파형 슬리브 이음구(A)를 한쪽의 파형관(14)단부에 비틀어 넣고, 이어서, 양 파형관(14,15)의 단부 끼리 맞닿게하고, 이후 파형 슬리브 이음구(A)를 파형관(15)의 방향으로 되돌아 가도록 돌려서 그의 양단부상에 걸쳐지도록 나사식으로 부착시킨다.
이어서, 파형관(14,15)이 파형 슬리브 이음구(A)로부터 뽑아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파형관(14,15)과 파형 슬리브 이음구(A)와의 사이를 수밀하게 봉지하기 위하여, 파형 슬리브 이음구(A)의 양단부와 파형관(14,15)의 포개진 부분 부근에 수종류의 테이프 B,C 및 D를 눌러감는다.
눌러감는 데는, 먼저 미가황 고무제의 점착성 실링 테이프(B)에 의한 비교적 좁은 폭의 눌러감기를 실시하고, 다시 그 위로 폭이 넓은 고무 테이프(C)에 의한 눌러감기를 행한다.
이어서, 고무 테이프(C)로 감은 부분의 양단 부분을 그 위로부터 염화비닐 테이프(D)로 눌러감는다.
이와 같이 포개서 눌러감는 것은, 파형 슬리브 이음구(A)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종류가 다른 테이프를 적층하여 감음으로써,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받았을 경우라도 간단히 테이프 봉지가 파단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종래예2]
제12도에 표시한 접속구조는, 일본국 실개소 62-54390호 공보에 제안된 구조이다. 이 접속구조에서는,, 관 (14)에 패킹(118)을 부착하고 이것을 본체(116)내에 삽입하여 칼라(12)를 본체(116)에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접속하고 있다.
[종래예 1의 문제점]
파형관(14,15)은, 가요성을 가졌기 때문에, 묶어 말을 수가 있고, 장척의 부설에 적합한 반면, 묶어 말아 있는 것 때문에 파형관의 단말부에 만곡된 말리는 습성이 남는다. 파형관의 밀리는 습성 때문에, 파형 슬리브 이음구(A)의 파형을 파형관(14,15)보다 큰 파형(피치가 같고, 파고가 작음)으로 하지 않으면, 파형 슬리브 이음구(A)를 파형관(14,15)에 비틀어 넣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큰 파형의 파형 슬리브 이음구(A)를 사용한 경우, 이하에 기술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먼저 제1의 문제로서, 파형관(14,15)과 파형 슬리브 이음구(A)의 양단부와의 포개진 부분에서는 파형 슬리브 이음구(A)의 파형이 파형관(14,15)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아무래도 파형관(14,15)과 파형 슬리브 이음구(A)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고, 그 틈을 완전히 폐쇄하도록 테이프로 눌러감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극히 어려웠다.
또한, 지중에 파형관을 매설할 경우, 파형관 표면이 물, 기름으로 젖는 일이 많고, 또한 진흙으로 더렵혀지는 일도 많으므로, 그와 같은 경우, 테이프를 파형관 및 파형 슬리브 이음구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눌러감는다는 것은 점점 어려운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에 의한 봉지(封止)는, 테이프를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수밀성이 떨어지고 작업성이 나쁘며, 게다가 파형관의 인발강도가 작기 때문에 파형곤이 서로 분리되는 일도 많았었다.
제2의 문제로서,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외력에 약하고, 게다가 파형관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형관의 접속을 행한후, 토사를 그 위에 투입하여 다시 매설을 행할때에, 토사 투입으로 인한 손상을 받는 일이 자주 있었다. 또한, 접속부분의 온도가 높아지면, 실링 테이프(B)는 연화하고 늘어져서 형태를 허물어뜨리고, 더 나아가서는 녹아서 흘러내리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깊은 지하의 비교적 온도가 높은 매설 개소에서 종래의 접속수단에 의해 파형관을 접속한 경우, 높은 온도 때문에 녹아서 흘러내린 실링 테이프(B)가 파형관 내부로 흘러 들어가 접속구조가 파괴되는 위험도 있었다.
또한, 파형관의 접속을 행하는 시공현장은, 지면에 판 도랑 혹은 구덩이, 혹은 지중에 판 터널 등의 작업구역이 좁은 장소가 많고, 테이프에 의한 눌러감는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형관의 접속부에 테이프를 감는다는 것 자체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는 근본적인 문제도 있었다.
[종래예 2의 문제점]
또한, 제 12도의 접속구조에서는, 본체(116)나 관(14)이 기울어져 있는 나쁜 자세에서 칼라(120)를 조여 넣으면, 패킹(118)이 본체(116)내에 경사지게 들어간 상태에서 걸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 수밀성이 높은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없는 불만이 있었다.
또한, 패킹(118)을 압축, 압압하기 위하여, 본체(116)의 단부로부터 패킹(118) 단면을 돌출시키고 있으나, 이 때문에 본체(116)와 칼라(120)와의 사이에 틈(121)이 생겨, 패킹(118)이 이틈(121)으로 향하여 변형함으로써 패킹(118)에 가한 조여넣는 힘이 감소되어, 수밀성을 충분히 높일수가 없는 불만도 있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밀성이 높고, 또한 인발강도가 크고, 더욱이 작업성이 양호한 파형관의 관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파형관을 접속하는 시공현장의 작업환경으로 보아서, 접속부의 수밀성, 작업성 및 인발강도를 개선하는 데는, 종래의 파형 슬리브 이음구와 테이프와의 조합에 대신하는 접속부를 채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구는, (a) 나선 파형관의 접속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통상체(16)와, (b) 통상체(16)의 내측과 파형관의 접속단부의 외면주위와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패킹(18)과, (c) 통상체(16)의 내측에서 또한 패킹(18)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홀더(19)와 (d) 통상체(16)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 통상체(16)와 나선 파형관과를 고정시켜 조이는 칼라(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통상체(16) 내측에는, 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환상의 스토퍼(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의 내경은, 파형관내에 전선, 케이블 등을 통선할때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접속시키는 파형관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큰 치수로 한다.
상기 통상체의 내경은, 패킹 및 홀더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이면 되나, 밀봉성을 좋게하기 위하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킹의 외주면과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상체(16)의 내주면은, 통상체(16)의 내경이 이 통상체(16)의 단면으로부터 그의 중앙으로 향해서 점차 작게되도록 경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상체(16)의 내주면은, 홀더(19)가 수용되는 부분의 경사가 패킹(18)이 수용되는 부분의 경사보다도 완만한 것이 바림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통상체(16)의 내주면은, 그의 단면으로부터 홀더(19)가 수용되는 부분까지는 통상체(16)의 내경이 일정하고, 또한 패킹(18)이 수용되는 부분에서는 통상체(16)의 내경이 중앙으로 향해서 점차 작게되어 있도록 경사시켜 형성된다.
상기 홀더(19)는 , 그의 내주면에 파형관의 골부에 걸리는 괘지부(3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괘지부는 내면의 전주(全周)에 걸쳐 설치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을 내면의 적소에 설치한다. 괘지부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괘지부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 의해 형성한 파형관의 접속부에 충분히 큰 인발강도를 갖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속부는, 홀더가 파형관의 파형에 걸리고, 칼라가 홀더를 조임으로써, 통상체를 통하여 견고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파형관의 접속이 느슨해져서 파형관이 관이음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19)의 축방향의 길이는,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의 1피치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길이로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에 의한 가이드의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괘지부(30)를 설치하더라도, 홀더에 설치한 관통공의 중심과 외주면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관과 홀더와 통상체와 둘레방향의 위치관계를 맞출 필요가 없게되는 이점이 있다.
홀더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통상이며, 그의 외경은 통상체의 홀더수용부의 내면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된다. 이 경우, 홀더는 양단면의 지름이 같거나 그의 외주면이 상기 패킹의 외주면보다 완만한 경사로 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과 홀더와의 통상체내에서의 지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비교한 경우, 상기와 같은 외주면을 갖는 홀더를 사용하면 패킹보다 홀더측의 쪽이 보다 규제된 상태로 되므로, 후술하는 홀더에 의한 가이드의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는 이점이 있다.
이 홀더의 외면에는, 위치결정용 혹은 가이드용의 돌기나 홈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상체의 내면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홈 혹은 돌기를 설치한다. 상기 패킹(18)의 축방향의 길이는,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의 1피치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길이로 하면, 패킹에 설치한 관통공의 중심과 외주면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관과 패킹과 통상체와 둘레방향의 위치관계를 맞출 필요가 없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킹(18)은, 그의 내주면에 연속하여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에 대응, 더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나선상 파형(26)을 갖는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밀봉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패킹의 외주면에는, 패킹의 외경이 그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여 점차로 작게 되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패킹(18)의 외주면의 테이퍼와 통상체(16)의 내주면의 테이퍼를 맞추고, 또한 패킹의 외주면보다 통상체(16)의 내주면의 상대치수를 약간 작게 설정하면 좋다. 이러한 테이퍼가 형성된 패킹은 그의 외경이 작은편의 단면을 파형관의 접속단측으로 하여 사용된다.
또한, 패킹의 재질은, 지수성(止水性)이 발현되는한 제한은 없으나, 쇼어 경도 HS가 20 ∼ 60의 범위에 있는 수지 또는 고무제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가황 고무제가 좋으나, 수팽창성 고무제라도 좋다.
상기 칼라(20)는, 확실성, 작업성의 관점에서, 통상체(16)의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칼라와 통상체와의 걸림수단으로서, 돌기부와 나선상 홈의 결합, 칼라로부터 통상체에 관통하는 핀을 삽입하는 등의 상용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홀더, 칼라 및 이음구 통상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내식성 및 가공성의 견지에서 적합하기로는 경질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는, 나선상의 파형이 외면에 형성된 파형관끼리 또는 다른 피접속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속시키기위한 이음구로서, 파형관의 외형이 나선상 파형으로 인해, 모든 나선상 파형관에 적응할 수 있다. 즉, 파형의 형상 및 파형관의 재질에 관계없이 또한 내면 형상이 평활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관이음구로 접속되는 관은, 파형관 끼리어도 좋으나, 파형관과 평활관 혹은 다른 부재이어도 좋다. 또한, 파형관 끼리를 접속하는 경우, 그것들은 상이한 지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는, 칼라에 의한 조임에 의해, 홀더와 패킹을 통상체의 오부에 밀어넣고, 패킹의 내면을 파형관의 외면에, 더 나아가서는 패킹의 외주면을 통상체의 내벽면에 각각 압접시킨다. 이에 의해, 완전히 수밀 봉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서는, 홀더도 통상체의 안으로 집입한다. 이 진입시, 홀더는 통상체의 내주면에 안내되어서 그의 중심축에 거의 평행으로 진입한다. 이 때문에, 접속작업시, 통상체에 수용된 패킹은 홀더에 의해서 통상체내로 곧장 밀어넣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 의하면, 통상체나 파형관이 기울어진 나쁜 자세로 접속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될때라도, 수밀성이 좋은 접속을 확실히 실시할 수가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서는, 홀더를 통상체내에 진입시키므로, 패킹을 통상체내에 완전히 수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서는, 패킹에 가하여진 조여넣은 힘이 효율적으로 통상체와의 압착력으로 전환되어, 고도한 수밀성을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구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2개의 나선상 파형관을 접속한 상태(실시예 1)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이음구를 사용하여 나선상 파형을 가진 파형관과 염화비닐관, 금속관 등의 외면이 평활한 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측면도이다.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패킹, 홀더, 칼라, 통상체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시예 1]
제1도에 표시한 관이음구(11)는, 길이방향으로 나선상의 파형(13,13')이 형성된 파형관(14,15)을 길이방향으로 접속하기위한 관이음구이다. 관이음구(11)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환상의 스토퍼부(17)를 중앙에 가진 통상체(16)와, 이 통상체(16)내의 스토퍼부(17)의 양측에 각각 장착한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2개의 패킹(18,18')과, 그의 양측에 각각 장착한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2개의 홀더(19,19')와, 통상체(16)의 양단부의 외측에 각각 나사틀어 넣어서 조이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칼라(20,20')로 이루어지는 부품의 조합체이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패킹(18)은, 한쪽의 단면(22)의 외경이 다른 쪽의 단면(24)의 외경보다 작고, 외주가 테이퍼면(23)인 원추대상으로 형성된, 쇼어 경도 HS가 30인 가황 고무 제품이다. 그의 양단면(22,24)은 상호 평행이며 또한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고, 외경이 작은 쪽의 단면(22)은, 후술하는 통상체(16)의 스토퍼부(17)와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패킹(18)의 폭은,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제1도참조)의 1피치 길이에 대략 같고, 원추대의 중심선에 따라 붙어서 파형관(14,15)을 통하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그의 관통공의 벽면에는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과 합치되고 또한 1피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나선상 파형(26,26')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한 홀더(19)는, 패킹(18)의 외경이 큰편의 단면(24)의 외경이 같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체(16)의 홀더(19)를 수용하는 부분의 내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외경으로 되어 있다. 이 홀더(19)는, 경질 플라스틱제이며, 그의 길이는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제1도 참조)의 1피치 길이에 대략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홀더(19)는 양단면(28,28)이 상호 평행이며 동시에 원통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고 있으며, 원통의 중심선에 따라 파형관을 통하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의 벽면에는,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에 나사맞춤할 수 있는 괘지부(30,30')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간격을 둔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괘지부(30,30,30)는, 홀더(19)의 길이방향으로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과 대략 같은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파형관의 삽입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홀더(19)의 관통공의 괘지부(30,30')의 높이는 , 파형관(14,15)의 나선상 파형(13,13')의 골의 깊이보다 작다.
제1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상체(16)는, 강도상의 이유 때문에, 벽두께의 두꺼운 후육부(32)를 중앙에 가진 대략 원통상의 경질 플라스틱제 부품이다. 후육부(32)의 내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환상의 스토퍼부(17)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체(16)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칼라(20)의 나사산(44)과 나사맞춤하는 나사산(44)이 설치되어 있다.
파형관(14,15)을 접속한 후에 파형관내에 전선, 케이블 등을 통선할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스토퍼부(17)의 내경은, 파형관(14,15)의 단면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토퍼부(17)의 양측의 면은,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로 파형관(14,15)을 접속하고, 패킹(18, 18')의 지름이 작은 단면(22,22)과 각각 밀착한다. 그 때문에, 스토퍼부(17)의 양측의 면은, 통상체(16)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직교하고 있으며, 패킹(18)의 단면(22)과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 되어 있다.
스토퍼부(17)의 양측에는, 패킹(18)의 테이퍼상의 외주면(23)의 윤곽과 흡사하며, 또한 상대 내경치수가 테이퍼면(23) 보다 약간 작은 벽면을 가지며, 패킹(18)을 압축상태에서 수용하는 패킹 수용부(36)와, 또한 그것에 인접하여 홀더(19)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진 원통공상의 홀더 수용부(38)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19)는 이 홀더 수용부(38)에 길들여져서 잘 수용된다.
패킹 수용부(36)는 길이방향으로 크게 경사되어 있으나, 홀더 수용부(38)는 평탄, 또는 성형에 필요한 최저한의 경사로 되어 있다.
스토퍼부(17)의 패킹(16)과의 접촉면으로부터 통상체(16)의 단면까지의 길이는, 패킹(18)과 홀더(19)의 길이방향의 길이의 합계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스토퍼부(17)의 패킹(18)과의 접촉면으로부터 통상체(16)의 단면까지의 길이가, 패킹(18)과 홀더(19)의 길이방향의 길이의 합계보다 길면, 후술하는 칼라(20)에 의해 조이는 효과가 감쇄되기 때문이다. 즉, 패킹 수용부(36)와 홀더 수용부(38)에 각각 패킹(18)과 홀더(19)를 밀접시켜 수용한 상태에서 홀더(19)의 일단이 본체(16)의 단면보다 조금 노출되어 있도록 한다.
제1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칼라(20)는 원통부(40)와 단부(42)로 이루어지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부품이다. 이 칼라(20)는 원통부(40)에서 통상체(16)와 나사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단벽(42)은 파형관(14,15)을 통하게 하기 위하여, 파형관(14,15)의 최대 외경, 즉 파형(13,13')의 산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개구부(43)를 가졌다. 그리고, 칼라(20)는, 패킹(18) 및 홀더(19)를 조일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졌다.
다음에, 제1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를 사용하여 파형관(14,15)을 접속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칼라(20)를 파형관(14)에 통하게 한다. 그때, 칼라(20)의 원통부(40)가 파형관(14)의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홀더(19)를 비틀어 넣어 파형관(14)에 장착시키고, 파형관(14)의 단부 근방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패킹(18)을 파형관(14)에 나사식으로 틀어넣고, 패킹(18)의 단면(22)이 파형관(14)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외경이 작은 단면(22)을 파형관(14)의 단추측으로 한다. 이어서, 패킹(18)의 다른 쪽의 단면에 상기 홀더(19)를 맞닿게 한다.
또한, 한쪽의 파형관(15)에도 상기 순서로 동일하게 하여 칼라(20'), 홀더(19') 및 패킹(18')을 장착시킨다.
다음에, 홀더(19) 및 패킹(18)을 씌운 파형관(14)에 통상체(16)의 우측 부분을 씌워서, 스토퍼부(17)가 파형관(14)의 단면에 맞닿을때까지 밀어 넣는다. 동일하게 하여, 홀더(19'), 패킹(18')을 씌운 또 한쪽의 파형관(15)에도 통상체(16)좌측 부분을 씌워서, 스토퍼부(17)가 파형관(15)의 단면에 맞닿을때까지 밀어 넣는다.
다음에, 2개의 칼라(20, 20')를 통상체(16)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식으로 틀어 넣고, 홀더(19,19')를 통상체(16)내의 오부에 밀어넣는다.
이로써, 홀더(19)의 패킹(18)을 통상체(16)내로 곧장 밀어 넣어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면(22)이 스토퍼부(17)의 면에, 파형(26)이 파형관(14,15)의 외면의 파형(13,13')에, 또한 테이퍼면(23)이 통상체(16)의 내벽면에 압착하여, 완전히 수밀 봉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부(17)는 본체(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중앙부에 구멍이 뚫린 원판을 스토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동 지름의 파형관(14,15)끼리를 접속시킬때에는, 스토퍼부(17)가 없는 통상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패킹(18)이 일단 밀착된 후에, 물이 칼라(20)와 통상체(16)와의 빈틈으로부터 침입하여 패킹(18)의 단면(24)에 수압을 가하더라도,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은 패킹(18)을 통상체(16) 및 파형관(14,15)에 한층 밀착시키는 방향이므로, 칼라(20)에 의한 조임이 당초 느슨하더라도, 높은 수밀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는, 홀더(19)의 괘지부(30,30')가 파형관(14,15)의 파형(13,13')(골부)을 걸고, 그의 홀더(19)를 칼라(20)가 조이므로, 파형관(14,15)이 관이음구(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이 매우 크다.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는, 파형관(14,15)을 접속시킴에 있어, 단순히 소수의 성형 부품, 즉 패킹(18), 홀더(19), 칼라(20) 및 통상체(16)를 사용하여, 나사식으로 틀어넣는 작업만으로 완결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에 숙련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경험을 요하며, 동시에 작업성이 나쁜 테이프로 눌러감는 작업이 없으므로, 작업성이 높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로 사용하는 통상체(16)를 짧은 구조로 할 수 있는 한편, 패킹(18)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제11도에 표시한 종래의 파형 슬리브 이음구(A)와 달리, 파형관(14,15)의 단부에 말리는 숩성이 남아있다고 하더라도, 곤란없이 그것들의 부품을 파형관(14,15)에 나사식으로 틀어 넣을수가 있다.
또한, 이 관이음구에서는, 홀더(19)가 통상체(16)내에 수용되므로, 홀더(19)가 통상체(16)내에 수용되므로, 홀더(19)가 통상체(16)내로 진입할때에는, 통상체(16)의 내면에 안내되어서 거의 중심축 방향에 따라서 평행으로 진입한다. 이 때문에 접속작업시, 통상체(16)에 수납된 패킹(18)은 홀더(19)에 의해서 통상체(16)내로 곧장 밀어넣어진다. 따라서, 이 관이음구에 의하면, 통상체(16)나 파형관(14,15)이 기울어진 나쁜자세로 접속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될때에도, 수밀성이 양호한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관이음구에서는, 홀더(19)를 설치함으로써 패킹(18)을 통상체(16)내에 완전히 수납할 수가 있으므로, 패킹(18)에 가하여진 조여넣는 힘이 효율좋게 통상체(16)와의 압착력으로 전환되어, 고도한 수밀성을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2]
제2도는 관이음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관이음구(12)는, 길이방향으로 나선상의 파형(13)이 형성된 파형관(14)과 외면 평활관을 길이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구로서, 실시예 1의 한쪽 측의 접속구조를 외면 평활관과의 접속부(70)에 치환하고 있다.
[실시예3]
제7도는, 패킹(18)의 개변에 1 인 패킹(50)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7(a)도는 패킹(50)의 반체의 정면도, 제7(b)도는 패킹(50)의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패킹(50)은, 패킹(50)과 마찬가지로 원추대상이나, 지름이 작은 단면(52)에 개구 지름이 파형관(14,15)의 내경에 대략 같은 환상 볼록부(54)를 갖고 있다.
패킹(50)을 파형관(14,15)에 나사식으로 틀어 넣었을 때, 파형관(14,15)의 단면이 환상 볼록부(54)에 맞닿은 곳에서, 패킹(50)은 정지한다. 따라서, 칼라(20)로 조였을때, 패킹(50)의 지름이 작은 단면(52)이 확실하게 통상체(16)의 스토퍼부(17)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4]
제8도는, 칼라(20)의 개변예인 칼라(6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8(a)도는 칼라(60)의 반체의 정면도, 제8(b)도는 칼라(60)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칼라(60)는 칼라(60)를 통상체(16)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틀어 넣을때에, 외주를 파지하는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 방지용의 돌기부(62)를 외주의 적당한 개소에 가지고 있다.
[실시예 5]
제9도는, 통상체(16)의 개변예인 이음구 통상체(8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9(a)도는 통상체(80)의 반체의 정면도, 제9(b)도는 제9(a)도에 표시한 이음구 통상체(80)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통상체(80)는 칼라(20)를 통상체(80)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틀어 넣을때에, 외주를 파지하는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 방지용의 돌기부(62)를 외주의 적당한 개소에 가지고 있다.
이상, 파형관(14,15)은 같은 치수로 같은 형상의 파형이 형성된 같은 파형관인 것으로 하여, 본 실시예의 관이음구(11)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였으나, 관이음구(11)의 각 부품의 치수, 형상, 특히 패킹 파형 및 홀더의 괘지부 형상을, 접속하는 각각의 파형관의 파형에 맞춤으로써, 관 지름이 다소 상이하고, 또한 파형이 다소 상이한 파형관 끼리 접속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의 관이음구는,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의 일단측이, 맨홀, 전선 박스 등의 상자상체의 측벽(75)에 부착되는 피고정부(76)로 된 것이다.
이 피고정부(76)는, 본체(16)의 타단부측보다 소경인 삽입부(77)와 이 삽입부(77)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맞춤하는 너트(78)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관이음구의 타단부측은, 상기 실시예 2(제2도 참조)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관이음구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는, 칼라에 의한 조임에 의해서 홀더가 패킹을 통상체내의 오부로 밀어넣고, 통상체의 벽과의 협동에 의해 패킹의 단면을 통상체의 스토퍼부의 면에, 관통공의 파형면을 파형관의 파형면에, 더 나아가서는 외주면을 통상체의 내벽면에 각각 압접시켜서, 파형관의 접속부를 수밀 봉지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는, 홀더가 파형관을 걸고, 칼라가 홀더를 통상체내로 조이고 있으므로, 파형관을 관이음구로부터 뽑아내려고 하는 힘에 대한 내성이 크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는, 테이프에 의한 봉지는 아니고, 이미 성형된 비교적 두꺼운 패킹과 짧은 통상체로 이루어진 조합 부품을 사용하여 파형관의 접속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현장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높고, 또한 감기는 습성이 남아있는 파형관에도 부착하기 쉽고, 또한 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서는, 홀더가 통상체 내면에 안내되어서 중심축에 거의 평행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접속작업시, 통상체에 수용된 패킹은 홀더에 의해서 통상체내로 곧장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통상체나 파형관이 경사진 나쁜 자세로 접속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될때라도, 수밀성이 좋은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관이음구에서는,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패킹이 통상체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가 있으므로, 패킹에 가하여진 조여넣는 힘이 효율좋게 통상체와의 압착력으로 전환되어, 고도한 수밀성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0)

  1.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로서, 이 관이음구는 (a) 상기 나선 파형관의 접속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는 통상체(16)와, (b) 통상체(16)의 내측과 파형관의 접속단부의 외면주위와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패킹(18)과, (c) 통상체(16)의 내측에서 그리고 상기 패킹(18)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홀더(19)와, (d) 상기 통상체(16)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통상체(16)와 상기 나선 파형관과를 고정시켜 조이는 칼라(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16)는, 통상체(16)의 내측에 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시킨 환상의 스토퍼(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16)의 내주면은 통상체(16)의 내경이 통상체(80)의 단면으로부터 그의 중앙으로 향해서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16)의 내주면의 경사는 홀더(19)가 수용되는 부분에서는 패킹(18)이 수용되는 부분에 있어서 보다도 완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16)의 내주면은, 그의 단면으로부터 홀더(19)가 수용되는 부분까지는 통상체(16)의 내경이 일정하며, 그리고 패킹(18)이 수용되는 부분에서는 통상체(16)의 내경이 중앙으로 향해서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9)는 그의 내주면에 상기 파형관의 골부에 걸리게 하는 괘지부(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피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9)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의 1피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8)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의 1피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8)은 그의 내주면에 연속하여 상기 파형관의 외측 나선상 파형에 대응하는 나선상 파형(26)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20)는 상기 통상체(16)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관이음구.
KR1019940003512A 1993-02-26 1994-02-25 파형관의 관이음구 KR0177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7693 1993-02-26
JP93-12676 1993-02-26
JP93-67397 1993-12-17
JP1993067397U JP2599480Y2 (ja) 1993-02-26 1993-12-17 波付管の管継ぎ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31A KR940020031A (ko) 1994-09-15
KR0177851B1 true KR0177851B1 (ko) 1999-02-18

Family

ID=2634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512A KR0177851B1 (ko) 1993-02-26 1994-02-25 파형관의 관이음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99480Y2 (ko)
KR (1) KR0177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5840A (ja) * 2008-05-15 2009-11-26 Furukawa Jushi Kako Kk 管継手、管接続構造および管接続方法
JP5379879B2 (ja) * 2012-04-09 2013-12-25 古河樹脂加工株式会社 管継手、管接続構造および管接続方法
KR102571556B1 (ko) * 2021-09-27 2023-08-29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소방 감지기의 플렉시블 튜브 연결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31A (ko) 1994-09-15
JPH0680315U (ja) 1994-11-08
JP2599480Y2 (ja)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304A (en) Hose coupler for spiral wire reinforced hoses
US5799703A (en)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US6659510B1 (en) Pipe-end-connecting joint
US4625998A (en) Swivel hose couplings
US7111873B1 (en) Slide coupling fitting for connecting conduits
JP2006118704A (ja) 差込み型継手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US7048561B1 (en) Liquid tight connector
KR0177851B1 (ko) 파형관의 관이음구
US4400021A (en) Reusable type hose end fitting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US6558044B1 (en) Optical fiber inner tube connector
KR100674497B1 (ko)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JP3779037B2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JP5218924B2 (ja) 差込み型継手
JPH0752464Y2 (ja) 異種管接続用継手
EP0051419B1 (en) Pipe joint
JP3664320B2 (ja) コルゲート管の継ぎ手
JPH0429185Y2 (ko)
JP2001208251A (ja) 螺旋波形管用パッキンとその取付け構造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US4258942A (en) Threaded ferrule hose coupling
JPH071579Y2 (ja) 螺旋管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101022341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2001173861A (ja) 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