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045B1 -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 Google Patents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045B1
KR100682045B1 KR1020050026547A KR20050026547A KR100682045B1 KR 100682045 B1 KR100682045 B1 KR 100682045B1 KR 1020050026547 A KR1020050026547 A KR 1020050026547A KR 20050026547 A KR20050026547 A KR 20050026547A KR 100682045 B1 KR100682045 B1 KR 10068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iver
bloo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405A (ko
Inventor
정두수
Original Assignee
정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두수 filed Critical 정두수
Priority to KR102005002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04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045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경변의 원인이 되는 간섬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위모 3 내지 5중량부, 모려분 3 내지 5중량부, 백렴 3 내지 5중량부, 제조 3 내지 5중량부, 인진 1 내지 3중량부, 택사 1 내지 3중량부, 섬수 1 내지 3중량부, 사간 1 내지 3중량부, 편축 0.5 내지 1.5중량부, 나복자 0.5 내지 1.5중량부, 울금 0.5 내지 1.5중량부, 승마 0.5 내지 1.5중량부, 백복령 0.5 내지 1.5중량부, 비파엽 0.5 내지 1.5중량부, 감초 0.5 내지 1.5중량부, 정력자 0.1 내지 1중량부 및 고백반 0.1 내지 1중량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간경화, 간섬유화, 위모, 모려분, 백렴, 제조, 혈중 AST, 혈중 ALT

Description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Herbal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epatic fibrosis}
본 발명은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간경변의 원인이 되는 간섬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약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간경변은 간염 등으로 인한 간세포의 지속적인 파괴와 반복적인 미만성 간손상과 이에 따른 섬유화 현상(liver fibrogenesis) 및 재생결절(nodule)로 간이 굳어지고 간의 모양이 일그러지며, 간소엽의 구조가 대부분 파괴되어 문맥역과 중심정맥의 입체적 위치관계가 파괴되는 병증으로, 약 20 내지 40%가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다양한 장애가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간에 가해진 결과로서 생기며, 모든 형태의 만성간질환에서 야기될 수 있다. 만성간질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진행하면 결과적으로 조직학적 양상은 같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염의 경우, 간의 염증이 소멸되면 간기능이 회복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간경변의 경우는 일단 섬유 화가 진행되면 정상간으로 복원될 수 없는 특징이 있으며, 만성간질환 및 간경변에 의한 사망률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간손상으로 인한 섬유화는 간세포 괴사 이후에 나타나고, 또한 영역 1(zone 1)의 문맥-문맥 섬유상 가교(portal-portal fibrous bridges)를 일으키는 경계면 간염이 생긴 이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경변 등으로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는 한약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복용에 의한 간섬유화를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경변의 원인이 되는 간섬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은, 위모 3 내지 5중량부, 모려분 3 내지 5중량부, 백렴 3 내지 5중량부, 제조 3 내지 5중량부, 인진 1 내지 3중량부, 택사 1 내지 3중량부, 섬수 1 내지 3중량부, 사간 1 내지 3중량부, 편축 0.5 내지 1.5중량부, 나복자 0.5 내지 1.5중량부, 울금 0.5 내지 1.5중량부, 승마 0.5 내지 1.5중량부, 백복령 0.5 내지 1.5중량부, 비파엽 0.5 내지 1.5중량부, 감초 0.5 내지 1.5중량부, 정력자 0.1 내지 1중량부 및 고백반 0.1 내지 1중량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은, 위모 3 내지 5중량부, 모려분 3 내지 5중량부, 백렴 3 내지 5중량부, 제조 3 내지 5중량부, 인진 1 내지 3중량부, 택사 1 내지 3중량부, 섬수 1 내지 3중량부, 사간 1 내지 3중량부, 편축 0.5 내지 1.5중량부, 나복자 0.5 내지 1.5중량부, 울금 0.5 내지 1.5중량부, 승마 0.5 내지 1.5중량부, 백복령 0.5 내지 1.5중량부, 비파엽 0.5 내지 1.5중량부, 감초 0.5 내지 1.5중량부, 정력자 0.1 내지 1중량부 및 고백반 0.1 내지 1중량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위모는 간의 어혈 제거 및 항암작용을 한다. 위모는 한의학에서 화살나무를 일컫는 이름이다. 동의보감에서 ‘위모는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고독, 시주, 중악으로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사기나 헛것에 들린 것, 가위 눌리는 것을 낫게 하며, 뱃속에 있는 충을 죽인다. 월경을 잘하게 하며, 징결을 헤치고, 붕루, 대하, 산후어혈로 아픈 것을 멎게 하며 풍독종(風毒腫)을 삭히고 유산시킨다. 일명 귀전(鬼箭)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에서 난다. 그 줄기에 3개의 깃이 달려 모양이 화살깃과 비슷하다. 음력 8월, 11월, 12월에 베어 껍질과 깃을 벗겨서 쓴다. 또한, 귀전우(鬼箭羽)라고도 하는데, 민간에서는 태워서 좋지 못한 기운을 없앴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위모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 총량에서 3 내지 5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에서 모려분은 몸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알칼리화 및 위궤양의 치료 등 의 작용을 한다. 상기 모려분은 한의학에서 굴껍질의 가루를 일컫는 이름이다. 동의보감에서 ‘모려는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 대소장을 조여들게 하고, 대소변이 지나치게 나가는 것과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유정, 몽설, 적백대하를 치료하며 온학을 낫게 한다. 굴조개껍질은 굳은 것을 물러지게 하고, 수렴작용하는 약제[收斂之劑]인데, 약 기운은 족소음경(足少陰經)으로 들어간다. 동해에 있는데 아무 때나 잡는다. 음력 2월에 잡은 것이 좋다. 배쪽의 껍질을 남쪽으로 향하게 들고 보았을 때 주둥이가 동쪽으로 돌아가 있는 것을 좌고모려(左顧牡蠣)라고 한다. 혹 대가리가 뾰족한 것을 좌고모려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 대체로 큰 것이 좋다. 먼저 소금물에 2시간 정도 끓인 다음, 불에 구워 가루 내어 쓴다’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백렴은 종기, 옹종, 음종 제거의 작용을 한다. 백렴의 다른 이름은 가위톱이다. 동의보감에서 ‘백렴은 성질은 평(平)하고(서늘하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없다. 옹저, 창종(瘡腫), 등창[發背], 나력, 장풍(腸風), 치루(痔瘻)와 얼굴이 부르터서 허는 것, 다쳐서 상한 것, 칼이나 화살에 상한 것 등을 낫게 한다. 새살이 살아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종독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데 바른다. 덩굴로 뻗어 나가며 가지 끝에 5개의 잎이 달리고, 뿌리는 천문동과 비슷한데, 한 그루 밑에 10여 개의 뿌리가 있으며, 껍질은 검붉은색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제조는 살균, 간장의 영양 보충의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 독이 있다. 악혈(惡血), 어혈[血瘀], 비기(痺氣), 눈의 군살, 청예, 백막(白膜) 및 뼈가 부스러졌거나 부러졌거나 삐인 것, 쇠붙이에 다쳐 속이 막힌 것을 치료하고 젖을 잘 나게 한다. 집 근처의 두엄더미 속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도 좋은데 뒤집어져서 다니는 것이 좋다. 이 벌레는 등으로 다니는 것이 다리로 다니는 것보다 더 빠르다[본초]. 뽕나무나 버드나무 속에서 사는데 겉과 속이 흰 것이 좋다. 두엄더미 속에 있는 것은 창저(瘡疽)에만 바를 수 있다. 잡아 그늘에서 말린 다음 찹쌀과 함께 넣고, 쌀이 누렇게 되도록 볶아 꺼내서 입이나 몸뚱이에 있는 검은 티를 버리고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인진은 황달제거, 열 제거, 이뇨 작용 향상의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열이 몰려 황달이 생겨 온몸이 노랗게 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면서 발광하는 것, 머리가 아픈 것과 장학을 낫게 한다. 여러 곳에서 자란다. 다북떡쑥(蓬蒿) 비슷한데, 잎이 빳빳하고, 가늘며, 꽃과 열매가 없다. 가을이 지나면 잎이 마르고, 줄기는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는다. 다시 묵은 줄기에서 싹이 돋기 때문에 이름을 인진호라고 한다. 음력 5월과 7월에 줄기와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리는데 불기운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족태양경(足太陽經)에 들어간다. 뿌리와 흙을 버리고 잘게 썰어서 쓴다[입문].’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택사는 붓기 제거, 갈증 제거, 이수(소변) 작용 향상의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짜며[鹹], 독이 없다. 방광에 몰린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치료하고, 방광의 열을 없애며,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멎게 한다. 택사는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8월,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족태양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습을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聖藥]이다. 그러나 신기(腎氣)를 사하므로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을 수 없다. 『신농본초경』에는 많이 먹으면 눈병이 생기게 된다고 하였다[탕액]. 약에 넣을 때에는 술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볕에 말려 쓴다. 중경이 쓴 팔미환(八味丸)에는 술로 축여 싸서 쓴다고 하였다[입문].’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섬수는 창독 제거, 살균 작용을 한다. 두꺼비 독을 밀가루와 반죽한 것으로서, 외관(外觀)은 광활(廣闊)하고, 반투명상(半透明狀),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곧 유백색(乳白色)으로 변하며, 이것을 핥으면 마비감(麻痺感)이 있는 것이 좋다고 한다. 산동성(山東省)산을 `동수`라고 하며 품질이 좋다고 한다. 성온(性溫), 감신미(甘辛味), 유독(有毒)하고, 해독(解毒), 산종(散種),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강심(强心), 진통(鎭痛),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소아의 오감(五疳), 치아출혈(齒牙出血), 악종(惡腫), 후비(喉痺), 심장질환(心臟疾患) 등에 응용한다고 한다.
상기에서 사간은 어혈 제거, 옹종 및 간옹 제거의 작용을 한다. 달리 범부채라고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후비(喉痺)와 목 안이 아파 물이나 죽물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낫게 한다. 오랜 어혈이 심비(心脾)에 있어서 기침하거나 침을 뱉거나 말을 할 때 냄새가 나는 것을 낫게 하고, 뭉친 담을 없애고 멍울이 진 것을 삭게 한다. 곳곳에 있는데, 잎은 좁고, 길며, 옆으로 퍼져, 새의 날개를 펴 놓은 모양과 같기 때문에, 일명 오선(烏扇)이라고도 한다. 뿌리에 잔털이 많고, 껍질은 검누른색이며, 살은 노라발간빛[黃赤]이다. 음력 3월, 9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 다음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쓴다[본초].’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편축은 가려움증 제거, 혹과 같은 덩어리를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퍼진 옴, 가려운 증, 옹저, 치질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인다. 회충을 없애고, 열림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곳곳에 있는데 싹은 패랭이꽃(구맥)과 비슷하고, 잎은 풀빛이고, 대잎 비슷하며 가늘다. 마디짬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잘다. 음력 5월에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쓴다. 물가에서 자라며, 자줏빛 꽃이 피는 것이 좋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경험].’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나복자는 해수(기침) 치료, 부어있는 배를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무씨의 다른 이름이다.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는 것과 적취를 치료하는데, 5장을 고르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가루 내어 미음에 타서 먹으면 풍담(風痰)을 토하게 되는데 효과가 아주 좋다고 한다.
상기에서 울금은 혈이 뭉친 것을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차며[寒],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혈적(血積)을 낫게 하며, 기를 내리고, 혈림과 피오줌을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과 혈기로 가슴이 아픈 것[心痛]을 낫게 한다[본초]. 울금은 몹시 향기롭지 않으나, 그 기운이 가볍고, 날쌔어[揚], 술기운을 높은 데로 올라가게 하고, 신(神)을 내려오게 한다. 옛사람들은 몰리고 막혀서 잘 헤쳐지지 않는데 울금을 썼다. 곳곳에 있는데, 모양이 매미배 같은 것이 좋다. 물에 씻어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승마는 위 기능 향상, 해독, 몸의 기운을 위로 올리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 氣)를 물리친다. 그리고 고독(蠱毒)과 풍으로 붓는 것[風腫], 여러 가지 독으로 목안이 아픈 것, 입이 허는 것 등을 치료한다[본초]. 산이나 들판에서 자라는데, 그 잎이 삼과 같으므로 이름을 승마라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서 볕에 말려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가늘고 여윈 것이 닭의 뼈 같고 푸른 빛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수, 족양명경의 풍사를 치료하고, 겸하여 수, 족태음경의 살 속의 열을 없앤다[입문]. 족양명경의 약인데 또한 수양명경과 수태음경으로 간다. 만일 원기가 부족한 사람이 이것을 쓰면 음속에 양기를 이끌어 위로 가게 하므로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단심].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사람은 반드시 써야 한다. 만일 발산시키려면 생으로 쓰고 중초를 보하려면 술로 축여 볶아 쓰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을 발라 볶아 쓴다[입문].’고 한다.
상기에서 백복령은 이뇨, 제담(가래 제거), 몸의 막힌 구멍을 뚫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복령은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우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비파엽은 술독 제거, 토하는 것 및 딸꾹질 제거의 작용을 한다. 잎은 크고 회록색이며, 찢어졌거나, 부서지지 않은 것이 좋다고 한다. 광동산은 광파엽(廣杷葉) 이라고 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고 한다. 조주산은 소파엽(蘇巴葉) 이라 하며 산출량 최대라고 한다. 성평(性平), 맛은 쓰다고 한다. 청폐화위(淸肺和胃), 강기화담(降基化痰)효능이 있다고 한다. 진해(鎭咳), 거담, 이뇨, 건위, 진구제(鎭嘔劑)로서 구해(久咳), 더위 먹은데, 부종(浮腫), 구갈, 해수천식, 만성기관지염 등 증세에 이용한다고 한다.
상기에서 감초는 모든 약 성분을 중화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온갖 약의 독을 풀어 준다. 9가지 흙의 기운을 받아 72가지의 광물성 약재와 1,200가지의 초약(草藥) 등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국로(國老)라고 한다. 5장 6부에 한열의 사기[寒熱邪氣]가 있는데 쓰며, 9규(竅)를 통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잘 돌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살찌게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려서 딴딴하고 잘 꺾어지는 것이 좋다. 꺾을 때 가루가 나오기 때문에 분초(粉草)라고 한다[본초]. 감초는 족삼음경(足三陰經)에 들어가며, 구우면 비위를 조화시키고, 생으로 쓰면 화(火)를 사(瀉)한다[탕액]. 토하거나, 속이 그득하거나, 술을 즐기는 사람은 오랫동안 먹거나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정전]. 중국으로부터 들여다가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에 심었으나, 잘 번식되지 않았다. 다만 함경북도에서 나는 것이 가장 좋았다[속방].’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정력자는 소변 통하게 하고, 폐의 덩어리를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꽃다지씨의 다른 이름이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매우며, 쓰고[辛苦], 독이 없다. 폐옹(肺癰)으로 숨결이 밭고,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며, 숨이 찬 것을 진정시키고, 가슴 속에 담음을 없앤다. 피부 사이에 있던 좋지 못한 물이 위로[上] 넘쳐나서 얼굴과 눈이 부은 것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곳곳에 있는데 싹과 잎이 냉이와 비슷하고, 음력 3월에 약간 노란꽃이 피고, 꼬투리가 달린다. 그 속에 씨는 납작하면서, 작은 것이 마치 기장알과 비슷하며, 빛이 누르다. 입하 후에 씨를 훑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성질이 급(急)하며, 물을 잘 몰아낸다. 쓰고 단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쓴 것은 세게 설사시키고, 단것은 좀 완화하다[탕액]. 종이 위에 펴고, 고소하게 닦든가, 혹 쪄서 쓴다. 이 약은 성질이 급(急)하여, 설사시키는 데 효력이 크며, 쓴 것은 더욱 심하고, 단것은 조금 완하하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에서 고백반은 모든 독을 해독하는 작용을 한다. 고백반[枯白礬, burnt alum]은 명반, 즉 칼륨명반 KAl(SO4)2·12H2O를 가열하여 탈수시킨 것을 칭한다. 명반과 마찬가지로 지혈제(止血劑), 수렴제 등 의약품으로 사용되는데, 수분을 빼앗는 성질이 있으므로 명반보다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또 주류(酒類)를 비롯하여 착색 액체의 청징(淸澄)에도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을 상기 함량의 범위로 혼합한 것으로서, 열수추출한 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 후, 용제를 제거하여 분말화한 형태의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열수추출은 통상의 한약재를 달이는 방식으로 달여서 우려낸 액을 걸러내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추출은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을 이용하여 가열한 후, 용제를 휘발, 제거시켜 알코올 중에 용해된 성분을 분말상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생화학적 검사
간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생화학적 검사는 간 및 담도계 질환의 검색 및 병의 경과 관찰 등에 그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간경변증의 경우는 AST가 ALT보다 높으며, 대개 AST가 ALT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삼열, 임상병리해석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1, p39, 44, pp. 51-51, pp. 60-64를 참조하시오.).
디메틸니트로스아민(DMN ; dimethylnitrosamine, 이하 ‘DMN'이라 함)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발암물질로서 음식, 흡연, 공업화된 환경과 관련이 있다. 알콜 및 사염화탄소(CCl4) 등이 생체 내(in vivo)에서 간손상 유발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지만, DMN은 간섬유화의 유발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물질이다. DMN으로 유발된 간경화 모델은 사염화탄소 모델에 비하여 매우 빠르게 세포외 그물망(ECM ; extracellular matrix) 단백질을 간에서 침착시키며, 특히 콜라겐(collagen)과 심 각한 간세포 괴저(hepatocellular necrosis)는 섬유화 억제 약물의 검색에 유용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DMN을 이용한 간섬유화 동물 모델을 구축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조성물이 간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사용하여 한약조성물 투여군이 간조직의 섬유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혈청 중의 생화학적 지표, 콜라겐 및 병리조직학적 비교 관찰을 실시하였다.
재료 및 동물
1. 동물
실험동물은 200± 20g 내의 7주령의 위스타(wistar)계 수컷 흰쥐(대한민국 소재 중앙동물실험에서 구입)를 고형사료(대한민국 소재 삼양유지사료의 상품 삼양 배합사료 실험동물용)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7일간 실험실 환경(온도 22± 2℃, 습도 55± 5%, 명/암 12시간씩)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약재
위모 40g, 모려분 40g, 백렴 40g, 제조 40g, 인진 20g, 택사 20g, 섬수 20g, 사간 20g, 편축 10g, 나복자 10g, 울금 10g, 승마 10g, 백복령 10g, 비파엽 10g, 감초 10g, 정력자 5g 및 고백반 5g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약조성물을 사용하였다.
3. 시약 및 기기
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p-디메틸니트로스아민(DMN), 4-하이드록시프롤린(4-hydroxyproline), 아세트산 나트륨 3수화물(sodium acetate trihydrate), 트리소듐 시트레이트(trisodium citrate), 시트르산 일수화물(citric acid monohydrate), 클로라민 티(chloramin T.), AST 및 ALT 킷트들은 미합중국 소재 시그마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이소프로판올은 독일국 소재 머크(Merck)사 제품을, 그리고 염산, 에탄올 및 과염소산(pechloric acid)은 대한민국 소재 덕산(Ducsan)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기기는 환류추출기(대한민국 소재 덕산 제품),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일본국 소재 아일라 제품), 동결건조기(freeze dryer, 일본국 소재 아일라 제품), pH 측정기(미합중국 한나-8417(Hanna-8417), 자외선 분광분석기(미합중국 소재 몰레큘라 디바이시즈(Molecular devices) 제품) 등 이었다.
실험방법
1. 시료의 조제
본 발명에 따른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125.5g을 분쇄기로 분말화하여 70% 에탄올 1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초음파기(sonicator, 미합중국 소재 브랜슨(Branson) 제품)로 10분간 추출하여 상청액을 포집하였다. 이렇게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상청액을 포집한 후, 그 침전물에 대하여 다시 85% 에탄올로 추출하여 상청액을 포집하고, 그 침전물에 대하여 100% 에탄올로 추출하여 상청액을 포집하는 방법으로 추출한 후, 상청액을 모두 혼합하였다. 거즈로 여과한 여액을 회전증발기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lyophilizer, 일본국 소재 아일라 제품)로 동결건조시켜 건조추출물 27.32g(수율 21.77%)을 수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한약추출물’이라 한다). 동결건조한 본 발명의 한약추출물들을 일정량의 증류수에 용해한 후 경구투여하는 것으로 실험하였다.
2. 실험군
DMN으로 유발된 간섬유화에 미치는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 당 흰쥐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정상군(정상군), DMN 투여군(대조군), DMN 및 본 발명의 한약추출물 100㎎/㎏ 병행 투여군(투약군)으로 나누었다.
3. 간경화 유발 및 시료 투여
실험 동물은 1주일의 적응 기간이 지난 후, 간경화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DMN 40㎎/㎏의 용량을 복강 내에 1회 주사하였다. 1주일이 경과한 날부터 투약군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약추출물 100㎎/㎏을 7일간 매일 1회씩 경구투여 하였다. DMN 투여군은 같은 양의 증류수 2㎖를 7일간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7회 경구투여한 후, 흰쥐를 에테르(ether)로 가볍게 마취하여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실온에서 약 30분간 방치한 후, 원심분리기에 넣고, 2,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간기능 측정
1. 간장 및 체중의 변화
체중은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심장 채혈 후, 각 개체들로부터 간장을 적출한 즉시 전자저울(미합중국 소재 매틀러(Mettler) 제품)로서 중량을 측정하였다.
2.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1) 혈중 AST 함량 측정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의 활성은 1㎖의 L-아스파르테이트(L-aspartate) 20mM, 2-옥소글루타레이트(2-oxoglutarate) 12mM, 말레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malate dehydrogenase) 600단위/ℓ, NADH(nicotineamide adenine dinucleotide) 0.25mM이 함유된 헤페스(Hepes) 완충용액(pH 7.8)에 100㎕의 혈청을 더하여 340㎚에서의 흡광도의 시간 당 감소율로 측정하였다. 사용시약은 AST 키트를 사용하여 자외선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2) 혈중 ALT 함량 측정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활성은 1㎖의 L-알라닌 400mM, 2-옥소글루타레이트(2-oxoglutarate) 12mM,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lactate dehydrogenase) 2,000단위/ℓ, NADH 0.25mM이 함유된 헤페스(Hepes) 완충용액(pH 7.4)에 100㎕의 혈청을 더하여 340㎚에서의 흡광도의 시간 당 감소율로 측정하였다. 사용시약은 ALT 키트를 사용하여 자외선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3) 혈중 총 빌리루빈(T-Bil) 함량 측정
혈중 빌리루빈(bilirubin)의 측정은 A.A.B.법(이삼열, 임상병리검사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pp. 269-271, 1996을 참조하시오.)에 의하여 자외선 분광분석기로서 빌리루빈 측정용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총 빌리루빈의 경우, 혈청에 완충액 1㎖과 다이피린시액 1㎖을 넣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페링시액 1㎖을 첨가하여 600㎚의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표준혈청 20㎎/㎖을 시액블랭크로 설정하였다. 이 방법은 혈청 중의 간접 빌리루빈을 다이피린시액에 의하여 디아조 시액과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디아조 시액을 가하여 총빌리루빈을 측정하는 것이다.
(4) 혈중 알부민(albumin) 함량 측정
혈중 알부민의 측정은 B.C.G.법(김정천, 김정만, 임상검사법 제요, 고문사, pp. 490-492, 499-501, 435-437, 423-425, 476-478, 392-393, 43-441, 505-506, 1993을 참조하시오.)에 의하여 자외선 분광분석기로서 알부민 측정용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20㎕를 정색시약과 함께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시약 블랭크를 대조로 하여 630㎚에서 측정하여 표준액의 검정선에 의하여 알부민 양을 계산하였다. 이 방법은 알부민이 pH 4.0 부근에서 BCG와 반응하여 알부민 양에 비례하여 녹색을 나타내므로 파장 63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알부민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5)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LDH ; lactate dehydrogenase) 함량 측정
혈중 LDH의 측정은 효소법(젖산 기질법 ; 김정천, 김정만, 임상검사법 제요, 고문사, pp. 490-492, 499-501, 435-437, 423-425, 476-478, 392-393, 43-441, 505-506, 1993을 참조하시오.)에 의하여 자외선 분광분석기로서 LDH 측정용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질액 500㎕와 정색시약 500㎕를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방치한 후, 혈청 50㎕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방치하고, 희석반응정지액 3㎖을 첨가한 뒤, 혼합하여 570㎚에서 시약 블랭크를 대조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혈청 중의 LDH는 젖산을 탈수소화시켜 피루빈산을 생성하는데 이때 보효소 NAD는 환원되어 NADH로 된다. 이때 생성된 NADH는 1-메톡시 피엠에스(PMS)의 존재하에 니트로테트라졸리움 블루(NTB ; nitrotetrazolium blue)를 환원시켜 디프로마잔을 생성한다. 이 디프로마잔의 정색을 비색정량하여 LDH의 활성을 측정한다.
3. 콜라겐 함량 측정(hydroxyproline levels in the liver)
하이드록시프롤린의 함량을 간장의 콜라겐 양의 기준으로 하였다(George J. and Chandrakasan G.,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dimethylnitrosamine induced fibrotic liver collagen, Biochim. Biophys. Acta 1996;1292:215-222를 참조하시오.). 적출된 간장으로부터 0.2g의 조직을 채취하여 6N 염산 용액 4㎖과 함께 균질화 시켰다. 이를 테프론 처리된 시험관에 넣고, 110℃에서 18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켰다. 이것을 50㎕씩 시험관에 나누어 65℃에서 4시간 동안 증발시켰다. 이소프로판올 1.2㎖을 각각 넣고, 0.56% 완충 클로로아민-티(chloroamine-T) 용액을 0.2㎖씩 첨가하였다. 10분이 경과한 후, 1.0㎖의 에를리히 용액(Ehrlich's solution)을 각각 넣었다. 각각을 충분히 혼합하고, 50℃에서 90분간 배양하여 발색시켰다. 자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558㎚에서 증류수를 대조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병리조직학적 관찰
각 실험군에서 부검한 흰쥐의 간장 조직을 육안으로 관찰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이들 고정된 조직은 파라핀 포매 과정을 거쳐 로타리 마이크로톰으로 4㎛ 두께로 조직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 앤드 에오신(H-E ; hematoxylin & Eosin) 및 마손 트리크롬(Masson trichrom)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통계처리
실험성적은 평균치±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스튜던트 티-테스트(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 간장 및 체중의 변화
DMN 투여 후, 실험동물의 체중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일부 동물은 2주 동안 생존하지 못하였다. DMN 투여로 인한 체중 감소는 본 발명의 한약추출물 투여에 의하여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간장과 체중의 비율은 정상군에 비하여 DMN 투여 대조군이 증가하였다. 투약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구 분 흰쥐의 수 체중(g) 간장중량(g) 간장/체중(*100)
정상군 9 331.9±9.1 11.5±1.1 3.47±0.31
대조군 8 255.5±17.2 9.1±1.4 3.53±0.34
투약군 9 275.4±3.7 10.3±1.1 3.75±0.35
상기 수치들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음. # ; 정상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1) * ; 대조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5, ** ; p<0.01)
2.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결과
1) 혈중 AST(GOT) 함량 측정 결과
정상군의 혈중 AST 함량 108.6± 9.9U/I에 비하여 대조군은 151.9± 33.6U/I(n=6, p=0.029)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투약군에서는 122.7± 15.3U/I(n=6, p<0.05)으로 AST 상승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하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AST(U/I) ALT(U/I) T-Bil(㎎/㎗) 알부민(g/㎗) LDH(IU/ℓ)
정상군 108.6± 9.9 55.7± 8.5 0.23± 0.12 3.49± 0.16 1069.60± 433.94
대조군 151.9± 33.6# 74.5± 30.1 0.36± 0.09 3.54± 0.46 753.14± 427.68
투약군 122.7± 15.3* 78.0± 8.9 0.44± 0.33 3.80± 0.16 779.29± 429.91
상기 수치들은 6회 실험의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음. # ; 정상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5, ## ; p<0.01, ### ; p<0.001) * ; 대조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5, ** ; p<0.01)
2) 혈중 ALT(GPT) 함량 측정 결과
정상군의 혈중 ALT 함량 55.7± 8.5U/I에 비하여 대조군은 74.5± 30.1U/I로 상승을 보였고, 투약군에서는 78.0± 8.9U/I로 상승억제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 결과를 상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3) 혈중 총 빌리루빈 함량 측정 결과
정상군의 혈중 총 빌리루빈 함량 0.28± 0.16㎎/㎗에 비하여 대조군은 0.36± 0.11㎎/㎗으로 상승을 보였고, 투약군에서는 0.44± 0.33㎎/㎗로 상승억제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 결과를 상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4) 혈중 알부민 함량 측정 결과
정상군의 혈중 알부민 함량 3.47± 0.19g/㎗에 비하여 대조군은 3.46± 0.54g/㎗으로 감소를 보였고, 투약군에서는 3.80± 0.16로 상승억제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 결과를 상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5) 혈중 LDH 함량 측정 결과
정상군의 혈중 LDH 함량 1069.60± 433.94IU/ℓ에 비하여 대조군은 753.14± 427.68IU/ℓ으로 감소를 보였고, 투약군에서는 779.29± 429.91IU/ℓ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상기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3. 콜라겐 함량의 감소
간섬유화를 유발한 흰쥐의 간조직에서 콜라겐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하이드록시프롤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의 하이드록시프롤린 수준은 0.1048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0.1198로 발현이 증가되었다. 투약군에서는 발현정도가 0.1178로서 대조군 보다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하기 표 3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하이드록시프롤린(O.D.) 백분율(%)
정상군 0.1048± 0.005 -
대조군 0.1198± 0.007# 100
투약군 0.1178± 0.003 60.1
상기 수치들은 10회 실험의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음. # ; 정상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5) * ; 대조군 값과 명백하게 다름(* ; p<0.05)
4. 조직생리학적 변화 결과
간섬유화를 유발한 흰쥐에서 헤마톡실린 앤드 에오신 및 마손 트리크롬 염색으로 간조직을 관찰하였다.
정상군에서는 간소엽의 입체구조가 잘 유지되었고, 문맥 주위 및 중심정맥 주위의 섬유화 및 간세포 괴사나 염증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H-E 염색). 마손-트리크롬 염색 결과 콜라겐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간소엽의 입체구조가 소실되었고, 문맥주위와 중심정맥 주위로 심한 정도의 섬유화가 관찰되었다. 간조직 전반에 걸쳐 간세포 괴사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문맥주위 및 중심정맥 주위로 비교적 많은 콜라겐이 관찰되었다.
투약군에서는 간소엽의 입체구조가 소실되었고, 문맥주위와 중심정맥 주위로 섬유화가 관찰되었다. 간조직 전반에 걸쳐 간세포 괴사는 관찰되지 않았고, 염증반응이 경미하게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문맥주위 및 중심정맥 주위로 콜라겐이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호전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하기 표 4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섬유형성 육아종 괴사 핵변화 분열증 친중성 림프종
정상군 - - - - WNL - -
대조군 ++ +++ - ++ + ++ +
투약군 ++ + - + + + +
섬유형성 : -(정상 연결조직), +(문맥), ++(문맥주위), +++(격벽), ++++(간경변증) 기타 ; -(없음), +(경미), ++(중등), +++(심각)
실험결과의 고찰 및 결론
앞서의 실험의 결과, DMN으로 간손상이 유발된 대조군에서 AST의 함량이 151.9± 33.6U/I로서 ALT의 함량 74.5± 30.1U/I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하여 간섬유화로 인한 간경변증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AST의 함량에서 투약군에서 유의성 있는 상승저하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ALT의 함량은 투약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소량 상승하였으나,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빌리루빈은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인 헴(heme)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포합, 배설되는데 간질환이 있으면 정체되어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총 빌리루빈 함량은 투약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알부민은 간이 심하게 손상되면 알부민,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및 여러 단백의 생성이 감소된다. 알부민은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고, 만성질환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된다. 본 실험에서 알부민 함량은 투약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LDH는 해당작용(glycolysis system)의 최종 단계에서 작용하는 효소로서, L-락테이트를 피루베이트로 전환하는 가역반응을 촉매한다. 간질환에서 LDH의 증가는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minotransferase) 활성치만큼 예민하지는 않지만, 중독성 간염의 경우에는 10배 이상의 증가를 보인다. 본 실험에서 LDH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 및 투약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간섬유화를 유발한 흰쥐의 간조직에서 콜라겐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하이드록시프롤린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간조직의 섬유화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투약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하이드록시프롤린 수준이 감소하여 간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괴사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유화 및 염증반응이 관찰되었으며, 비교적 많은 콜라겐이 관찰되었다. 특히 심한 육아종(granuloma)가 관찰되었다. 투약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서 나타난 육아종 소견은 경미하게 관찰되었고, 염증반응도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투약군은 DMN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간섬유화에 대하여 특히 혈중 AST 함량을 유의성 있게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간조직에서 하이드록시프롤린 수준을 감소시켜 간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경변의 원인이 되는 간섬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위모 3 내지 5중량부, 모려분 3 내지 5중량부, 백렴 3 내지 5중량부, 제조 3 내지 5중량부, 인진 1 내지 3중량부, 택사 1 내지 3중량부, 섬수 1 내지 3중량부, 사간 1 내지 3중량부, 편축 0.5 내지 1.5중량부, 나복자 0.5 내지 1.5중량부, 울금 0.5 내지 1.5중량부, 승마 0.5 내지 1.5중량부, 백복령 0.5 내지 1.5중량부, 비파엽 0.5 내지 1.5중량부, 감초 0.5 내지 1.5중량부, 정력자 0.1 내지 1중량부 및 고백반 0.1 내지 1중량부의 17종의 복합 생약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7종 복합 생약 분말을 물로서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7종 복합 생약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켜 제조되는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KR1020050026547A 2005-03-30 2005-03-30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KR10068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547A KR100682045B1 (ko) 2005-03-30 2005-03-30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547A KR100682045B1 (ko) 2005-03-30 2005-03-30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405A KR20060104405A (ko) 2006-10-09
KR100682045B1 true KR100682045B1 (ko) 2007-02-12

Family

ID=3763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547A KR100682045B1 (ko) 2005-03-30 2005-03-30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85A (ko) 2018-12-19 2020-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20B1 (ko) 2007-04-09 2008-11-1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보호, 또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CN102716378A (zh) * 2012-06-28 2012-10-10 陈慧婷 治疗鼓胀的赤芍中药制剂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67A (ko) * 2000-03-02 2001-09-15 박대규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310979B1 (ko) * 1999-03-25 2001-10-17 김상조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40043707A (ko) * 2002-11-16 2004-05-27 김상태 인진쑥, 애엽, 유근피, 적양, 오가피, 대두 lph펩타이드, 백석목, 메밀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제거, 간염, 간암 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40067546A (ko) *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코리바이오라이프 항종양활성, 간염억제활성, 항산화성 및 면역증강활성을갖는 한약재 추출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979B1 (ko) * 1999-03-25 2001-10-17 김상조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10086667A (ko) * 2000-03-02 2001-09-15 박대규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20040043707A (ko) * 2002-11-16 2004-05-27 김상태 인진쑥, 애엽, 유근피, 적양, 오가피, 대두 lph펩타이드, 백석목, 메밀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제거, 간염, 간암 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40067546A (ko) *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코리바이오라이프 항종양활성, 간염억제활성, 항산화성 및 면역증강활성을갖는 한약재 추출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85A (ko) 2018-12-19 2020-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405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bie et al. Fijian medicinal plants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30047778A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hangkija Folk medicinal plants of the Nagas in India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03897B1 (ko)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82047B1 (ko)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CN106942133A (zh) 一种斗鸡的养殖方法
KR100682045B1 (ko)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 추출물
CN102579701A (zh) 复方蒲公英煎剂
KR20180104516A (ko)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CN106889116A (zh) 一种花生根结线虫诱杀剂及其制备方法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7424A (ko) 와송 추출물이 포함된 효소조성물
CN107029181A (zh) 用于结节性甲状腺肿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和应用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6875B1 (ko) 어성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5129A (ko) 함초,오가피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Turner The food/medicine/poison triangle: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systems of indigenous peoples of British Columbia, Canada
Chandra et al. Gastroprotective evaluation of Medicago sativa L.(Fabaceae) on diabetic rats
KR20030005127A (ko)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KR20030079289A (ko)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Sunar et al. Impact Of Disturbance On Phytodiversity In Undisturbed and Disturbed Catchment Areas Of Serlui River In Vicinity of Serlui-B Hydel Project, Mizoram, North-East India
CN106879503A (zh) 一种防草鱼鱼鳃病的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