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725B1 -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725B1
KR100680725B1 KR1020050113533A KR20050113533A KR100680725B1 KR 100680725 B1 KR100680725 B1 KR 100680725B1 KR 1020050113533 A KR1020050113533 A KR 1020050113533A KR 20050113533 A KR20050113533 A KR 20050113533A KR 100680725 B1 KR100680725 B1 KR 100680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s
air conditioner
inertia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의 지붕 위에 설치된 증발기에서 열교환 된 냉기가 에어컨 턱트로 토출되기 위해 연장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양 측면에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롤러를 양측에 구비하여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조절판과, 상기 공기 조절판의 상면에 버스의 가 감속에 따른 관성에 의해 상기 공기 조절판이 전, 후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그 내부에 액체가 충입된 유동구로 구성된 것이다.
버스 에어컨, 에어컨 덕트, 풍량 장치, 냉방시스템,

Description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Windflow regulator for airconditioner to bus}
도 1은 종래의 버스 에어컨 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버스 에어컨의 냉기가 관성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증발기 11: 블로어
12: 에어컨 덕트 13: 조절구
20: 에어컨 덕트 21: 토출구
30: 가이드 홈 40: 롤러
50: 공기 조절판 60: 유동구
61: 액체 70: 스프링
80: 분배판
본 발명은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조절구를 통해 토출되어진 냉기를 버스의 가감속에 의해 전방으로만 에어컨의 냉기가 몰려 냉방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에는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 차량의 내부를 공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컨장치가 설치되는바, 에어컨 장치를 구동하면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o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e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공기조절기인데, 이러한 에어컨이 버스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도 1에서 보듯이, 현재 버스에 장착되는 에어컨은 대부분 상부냉방장치이며 에어컨 장치를 구동하면 증발기(10)에서 생성된 냉기를 블로어(11)를 통하여 에어컨 덕트(12)에 강제로 공급하게 되고, 강제로 공급된 냉기는 조절구(13)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어 진다.
이렇게 토출되어진 냉기는 상온의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데, 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관성을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인 바람, 역시 질량이 있기에 이 법칙을 따른다. 따라서 버스가 출발했을 때 우리 몸이 뒤로 움직이듯이 토출된 냉기 역시 버스의 운동에 따라 관성을 갖게 된다. 버스가 출발시에는 공기의 관성에 의해 뒤로 이동할 것이고 정지시에는 반대로 앞쪽으로 휘게 된다. 그런데 그 관성의 크기인 관성력은 뉴턴의 운동법칙에 의해 가속도에 비례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버스 운행시 가속도 보다는 감속시에 속도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버스 에어컨을 작동한 상태에서 가감속을 반복하다 보면 낙하하던 공기는 관성에 의해 화살표의 방향인 차량의 앞쪽으로 모이게 되고, 정지시 공기의 관성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에어컨의 냉기가 차량의 앞쪽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버스를 운행하다 보면 앞쪽보다는 뒤쪽의 냉방이 덜 이루어져,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버스의 앞쪽 승객은 춥다고 느끼고,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한 승객은 냉기가 앞 방향으로만 쏠리는 이유로 인해 냉방이 앞쪽보다 덜 이루어져 쾌적한 감을 덜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절구를 통해 토출되어 유입되는 에어컨의 냉방 공기 양을 버스의 가속과 감속시 앞, 뒤 다르게 조절하여 에어컨 작동에 따라 토출되는 에어컨 바람의 양을 버스의 앞, 뒤 부분에 일정하게 공급하여 공기의 관성에 의한 차내 온도 불평형을 막아 냉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는, 버스의 지붕 위에 설치된 증발기에서 열교환 된 냉기가 에어컨 턱트로 토출되 기 위해 연장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양 측면에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롤러를 양측에 구비하여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조절판과, 상기 공기 조절판의 상면에 버스의 가 감속에 따른 관성에 의해 상기 공기 조절판이 전, 후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그 내부에 액체가 충입된 유동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전, 후방면에는 상기 공기 조절판이 버스의 가 감속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그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절판의 하면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에어컨 덕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버스의 전, 후방으로 다르게 분배될 수 있게 분배판이 설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듯이, 버스의 지붕 위에 설치된 증발기에서 열교환 된 냉기가 블로어를 통하여 에어컨 턱트(20)로 강제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냉기는 상기 에어컨 덕트(20)로 토출되기 위해 이 에어컨 덕트(20)와 연장 형성된 토출구(21)가 마련된다.
상기 토출구(21)의 양 측면의 하단부에는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30)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0)에 끼워지는 롤러(40)를 양측에 구비하여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에어컨 덕트(20)로 가는 냉기의 양이 조절되기 위해 공기 조절 판(5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조절판(50)의 상면에는 버스의 가 감속에 따른 관성에 의해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전, 후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그 내부에 액체(61)가 충입된 유동구(60)로 구성되어, 차량의 유동에 따라 상기 액체(61)의 관성에 의해 출발시에는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후방으로 움직이고, 감속 및 정지시에는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버스의 앞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21)의 전, 후방면에는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버스의 가 감속에 의한 속도의 변화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그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스프링(7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절판(50)의 하면에는 상기 토출구(21)에서 에어컨 덕트(20)로 토출된 공기의 양이 버스의 전, 후방으로 다르게 분배될 수 있게 돌출되게 분배판(80)이 설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알아본다.
도 4a에서 보듯이, 버스가 출발하게 되면 토출구(21)에 설치되어 버스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공기 조절판(50)이 상기 토출구(21)의 내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30)을 따라서 버스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공기 조절판(50)의 상부에 설치된 유동구(60)에 의한 것인데, 이 유동구(60)의 내부에 충입된 액체(61)가 버스의 유동에 의한 관성의 힘에 따라 버스의 후방 쪽으로 밀려나는 힘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버스의 가속에 의해 공기 조절판(50)이 버스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 앞쪽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킬 것이다.
반대로,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버스가 감속하게 되면 공기 조절판(50)은 버스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버스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에어컨 작동시 공기의 관성에 의한 차내 온도 불평형을 막아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에 따르면, 차량 감속시에는 평판 구조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뒤쪽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키고 차량 가속시에는 평판구조가 뒤로 이동하여 앞쪽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증대 시키는 효과로 에어컨 작동시 공기의 관성에 의한 차내 온도 불평형을 막아 냉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온도 차이에 의한 불쾌감 또한 줄일 수 있으며 과다한 에어컨 작동을 막아 냉방시스템상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버스의 지붕 위에 설치된 증발기에서 열교환 된 냉기가 에어컨 턱트(20)로 토출되기 위해 연장 형성된 토출구(21);
    상기 토출구(21)의 양 측면 하단에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30);
    상기 가이드 홈(30)에 끼워지는 롤러(40)를 양측에 구비하여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조절판(50);
    상기 공기 조절판(50)의 상면에 버스의 가 감속에 따른 관성에 의해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전, 후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그 내부에 액체(61)가 충입된 유동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21)의 전, 후방면에는 상기 공기 조절판(50)이 버스의 가 감속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그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게 스프링(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판(50)의 하면에는 상기 토출구(21)에서 에어컨 덕트(20)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버스의 전, 후방으로 다르게 분배될 수 있게 분배판(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KR1020050113533A 2005-11-25 2005-11-25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KR10068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33A KR100680725B1 (ko) 2005-11-25 2005-11-25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33A KR100680725B1 (ko) 2005-11-25 2005-11-25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725B1 true KR100680725B1 (ko) 2007-02-08

Family

ID=3810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533A KR100680725B1 (ko) 2005-11-25 2005-11-25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84B1 (ko) 2006-08-07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20B1 (ko) 2001-09-05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에어컨 덕트의 풍량조절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20B1 (ko) 2001-09-05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에어컨 덕트의 풍량조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84B1 (ko) 2006-08-07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4929B2 (ja) 車両用空調装置
EP2562017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CN102862459B (zh) 用于车辆的空调
JP2677966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MXPA05005304A (es) Control de capacidad con rendimiento de energia para un sistema acondicionador de aire.
JP7095419B2 (ja) 空調装置
WO2018211958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8150735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80725B1 (ko)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JP2000289430A (ja) オーバーヘッド型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4506825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207438742U (zh) 空调器室内机
CN107842932B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KR20160091227A (ko) 냉난방 모듈
KR102507011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RU2006109502A (ru) Движущееся тело
JP46614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012573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877343B1 (ko) 차량용 디포깅 장치 및 방법
WO2020121737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711246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756664A (en)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 for automobiles
US2747385A (en) Refrigerating apparatus
CN220262945U (zh) 一种小型车载制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