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584B1 -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 Google Patents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584B1
KR100737584B1 KR1020060074377A KR20060074377A KR100737584B1 KR 100737584 B1 KR100737584 B1 KR 100737584B1 KR 1020060074377 A KR1020060074377 A KR 1020060074377A KR 20060074377 A KR20060074377 A KR 20060074377A KR 100737584 B1 KR100737584 B1 KR 10073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er
driver
switch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접점 상태에 따라 온수밸브가 유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운전석히터와 승객석히터로 온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실에 탑승한 승원 및 운전자가 히터를 빈번하게 가동 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됨은 물론, 히터를 가동 시 운전석과 승객석 중 난방을 필요로 하는 부위로만 온수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유량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500)에 설치되어 있는 써모스탯(510)을 통해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밸브(100)와, 상기 온수밸브(100)의 개폐상태에 따라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와, 상기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워터펌프(600)를 통해 엔진(7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로 구성되어 지는 것은 것에 있어서,
상기 온수밸브(100)에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온수가 공급되는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와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량전환기(150) 및 온수개폐기(160)의 작동상태에 따라 작동 가능하게 온수밸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량전환기(150)와 온수개폐 기(160)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를 작동시키는 운전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의 접점상태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라디에이터, 써모스탯, 온수밸브, 운전석히터, 승객석히터, 승객석온수공급로, 운전석온수공급로, 온수개폐밸브, 유량전환기

Description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a heater system for a passenger cars}
도 1은 종래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의 온수흐름도
도 2는 종래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용 온수밸브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용 온수밸브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와 승객석히터스위치가 온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와 승객석히터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는 온되고 승객석히터스위치는 오프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는 오프되고 승객석히터스위치는 온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온수밸브 110 : 운전석온수공급로
120 : 승객석온수공급로 130 : 공급량조절밸브
140 : 온수개폐밸브 150 : 유량전환기
160 : 온수개폐기 300 : 운전석히터
400 : 승객석히터 500 : 라디에이터
510 : 써모스탯 600 : 워터펌프
700 : 엔진 800 : 유입용 유로연결기
900 : 히터콘트롤 스위치 910 : 운전히터스위치
920 : 승객석히터스위치
본 발명은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접점 상태에 따라 온수밸브가 유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운전석히터와 승객석히터로 온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실에 탑승한 승원 및 운전자가 히터를 빈번하게 가동 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됨은 물론, 히터를 가동 시 운전석과 승객석중 난방을 필요로 하는 부위로만 온수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유량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히터시스템(난방장치)은 자동차의 실내를 따뜻하게 하 는 장치로, 엔진 폐열(냉각수)을 이용하여 차실의 내부를 난방 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승용차의 경우에는 크러쉬패드 내부에 내장된 히터유닛로 냉각수가 순환하여 차량난방에 필요한 온풍을 공급하고, 버스와 같이 여러 사람이 탑승하는 다인승 차종인 승합차의 경우에는 실내 공간이 커서 히터유닛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500)에 설치되어 있는 써모스탯(510)을 통해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밸브(100)와, 상기 온수밸브(100)의 개폐상태에 온수를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거주공간(A)과 승객이 거주하고 있는 승객거주공간(B)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분배시키는 공급용 유로연결기(200)와, 상기 공급용 유로연결기(200)를 통해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워터펌프(600)를 통해 엔진(7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은 온수밸브(100)를 조작하여 유로를 개방시켜주면 엔진(700)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써모스탯(510)을 통해 공급용 유로연결기(20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용 유로연결기(200)로 공급된 온수는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분배가 이루어지면서 공급되어지는 것에 의해 차실 내부를 난방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를 통해 워터펌프(600)로 유입되고, 상기 워터 펌프(600)로 유입된 냉각수는 엔진(700)으로 재 공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은 온수밸브(100)를 필요시마다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히터를 빈번하게 가동 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엔진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밸브(100)를 조작시 작업자가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온수밸브(100)를 조작하여 유로를 개방시켜 준 상태에서 히터를 가동시키게되면 운전석과 승객석 양쪽으로 모드 순환되어 운전석이나 승객석만 히터를 가동시키고자 할 경우 필요 없는 유량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에서 공급용 유로연결기(200)의 운전석과 승객석 유량 배분비율이 양 65% : 35%인 관계로 일부 차종에서는 공급용 유로연결기(200)내에 오리피스를 인위적으로 설치하여 강제로 운전석으로 가는 유량이 줄어들도록 하고도 있으나, 이역도 오리피스 자체의 압력손실에 의해 전체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접점 상태에 따라 온수밸브가 유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운전석히터와 승객석히터로 온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히터를 빈번하게 가동 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됨은 물론, 히터를 가동 시 운전석과 승객석중 난방을 필요로 하는 부위로만 선택해서 사용자가 온수를 공 급하여 불필요한 유량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500)에 설치되어 있는 써모스탯(510)을 통해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밸브(100)와, 상기 온수밸브(100)의 개폐상태에 따라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와, 상기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워터펌프(600)를 통해 엔진(7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로 구성되어 지는 것은 것에 있어서,
상기 온수밸브(100)에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온수가 공급되는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와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량전환기(150) 및 온수개폐기(160)의 작동상태에 따라 작동 가능하게 온수밸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량전환기(150)와 온수개폐기(160)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를 작동시키는 운전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의 접점상태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용 온수밸브를 보인 구성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용 온수밸브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와 승객석히터스위치가 온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와 승객석히터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는 온되고 승객석히터스위치는 오프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히터시스템용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운전석히터스위치는 오프되고 승객석히터스위치는 온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은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500)에 설치되어 있는 써모스탯(510)을 통해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밸브(100)와, 상기 온수밸브(100)의 개폐상태에 따라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와, 상기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워터펌프(600)를 통해 엔진(7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온수밸브(100)에는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온수가 공급되는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 기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와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량전환기(150) 및 온수개폐기(160)의 작동상태에 따라 작동가능하게 온수밸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량전환기(150) 및 온수개폐기(160)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를 작동시키는 운전석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의 접점상태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량전환기(150)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조수석온수공급로(120)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는 상기 유량전환기(150)가 초기 작동 시 운전석온수공급로(110) 보다는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설치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운전석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는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900)에 설치되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히터콘트롤 스위치(90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수밸브(100)의 유로가 개방되면서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온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공급되어 지게 됨을 밝혀 둔다.
이러한 승합차의 히터시스템은 차실에 탑승한 승원 및 운전자가 운전석히터(300)나 승객석히터(4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석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온"시키면 온수개폐기(160)가 작동되면서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됨과 동시에 유량전환 기(150)도 동시에 작동되면서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공급량조절밸브(130)는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콘트롤 스위치(900)의 운전석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온수개폐기(160)가 작동되면서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로가 차단되도록 작동됨과 동시에 유량전환기(150)도 동시에 작동되면서 공급량조절밸브(130)가 최초 설치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되어지게 됨으로써, 운전석온수공급로(110) 및 승객석온수공급로(120) 방향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이 중단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운전석히터스위치(910)는 "온"시키고 승객석히터스위치(920)는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온수개폐기(160)가 작동되면서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됨과 동시에 유량전환기(150)도 동시에 작동되면서 승객석온수공급로(120)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이동되어,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운전석온수공급로(110)로만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운전석히터스위치(920)는 "오프"시키고 승객석히터스위치(920)를 "온"시키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온수개폐기(160)가 작동되면서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됨과 동시에 유량전환기(150)도 동시에 작동되면서 운전석온수공급로(110)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이동되어,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의 접점 상태에 따라 온수밸브가 유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운전석히터와 승객석히터로 온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실에 탑승한 승원 및 운전자가 히터를 빈번하게 가동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됨은 물론, 히터를 가동시 운전석과 승객석중 난방을 필요로하는 부위로만 온수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유량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 이다.

Claims (3)

  1. 라디에이터(500)에 설치되어 있는 써모스탯(510)을 통해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밸브(100)와, 상기 온수밸브(100)의 개폐상태에 따라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와, 상기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워터펌프(600)를 통해 엔진(700)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유입용 유로연결기(800)로 구성되어 지는 것은 것에 있어서,
    상기 온수밸브(100)에 운전석히터(300)와 승객석히터(400)로 온수가 공급되는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와 온수가 공급 및 차단되도록 유로를 개폐시키는 온수개폐밸브(140)가 유량전환기(150) 및 온수개폐기(160)의 작동상태에 따라 작동 가능하게 온수밸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량전환기(150)와 온수개폐기(160)는 운전석히터(300) 및 승객석히터(400)를 작동시키는 운전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의 접점상태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전환기(150)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 동되면서 운전석온수공급로(110)와 조수석온수공급로(120)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량조절밸브(130)는 상기 유량전환기(150)가 초기 작동 시 운전석온수공급로(110) 보다는 승객석온수공급로(120)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히터스위치(910)와 승객석히터스위치(920)는 차실에 설치된 히터콘트롤 스위치(90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KR1020060074377A 2006-08-07 2006-08-07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KR10073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377A KR100737584B1 (ko) 2006-08-07 2006-08-07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377A KR100737584B1 (ko) 2006-08-07 2006-08-07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584B1 true KR100737584B1 (ko) 2007-07-10

Family

ID=3850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377A KR100737584B1 (ko) 2006-08-07 2006-08-07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520A (ja) 1983-12-26 1985-07-24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温水式ヒ−タ
JPH01160722A (ja) * 1987-12-17 1989-06-2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暖房装置
KR100680725B1 (ko)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520A (ja) 1983-12-26 1985-07-24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温水式ヒ−タ
JPH01160722A (ja) * 1987-12-17 1989-06-2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暖房装置
KR100680725B1 (ko)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에어컨 풍량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572476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00057178A (ko) 공기 조화가 가능한 차량 시트
JPH1044756A (ja) シート温調装置
KR1013135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20371401A1 (en) Automatic air outlet system having various ventilation situations
KR100737584B1 (ko) 승합차의 히터시스템
KR102663207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20667B2 (en) Dedicated floor blee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90008007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23159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0607650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56518B1 (ko) 차량용 냉방 및 난방시트
KR0134412B1 (ko) 자동차의 시트 온도조절장치
JP2551830Y2 (ja) 自動車用暖房装置
KR201300194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9166530A (ja) 車両用補助暖房装置
KR1016039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90021517A (ko) 좌우독립 온도 조절식 공조 유니트
KR200279970Y1 (ko) 자동차의 냉난방 겸용 시트커버
JP384317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70039739A (ko) 차량용 후석공조장치
KR0120122Y1 (ko) 차량용 히터회로
JPH01201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