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350B1 - 스페어 휠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스페어 휠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350B1
KR100680350B1 KR1020050104374A KR20050104374A KR100680350B1 KR 100680350 B1 KR100680350 B1 KR 100680350B1 KR 1020050104374 A KR1020050104374 A KR 1020050104374A KR 20050104374 A KR20050104374 A KR 20050104374A KR 100680350 B1 KR100680350 B1 KR 10068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are
anchor plate
chain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10Emergenc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5Protective coverings for spa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 휠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가이드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는,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크로스 멤버의 중앙 하단에 설치되어 체인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스페어 휠 캐리어와; 대략 원통 형상의 바디와, 상단에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후크와, 하부 휠의 강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앵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안착부에 하부 휠을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상부 휠을 안착시킨 후 상기 체인을 상기 휠 캐리어에 감아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동시에 장착하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로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상단 및 하단의 내경이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에 형성된 강성부재의 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통 형상의 휠 가이드를 구비하여,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페어 휠 장착구조{SPARE WHEEL SET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휠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페어 휠 캐리어 20 : 상부 휠
21 : 강성부재 30 : 하부 휠
31 : 강성부재 40 : 앵커 플레이트
41 : 후크 42 : 바디
43 : 안착부 50 : 크로스 멤버
60 : 휠 가이드 61 : 홀
62 : 휠 가이드 상단 63 : 휠 가이드 하단
본 발명은 스페어 휠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특히 주행 중에 예기치 못하게 타이어가 펑크되거나 손상되어 더 이상 안전주행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를 교체해주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페어 휠을 자동차에 싣고 다니게 되는 데, 통상 스페어 휠을 보관하는 장치는 특별히 고안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스페어타이어를 자동차에 싣고 다닐 때에 자동차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해 트렁크 룸 내에 수납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대형트럭과 같은 자동차에서는 차체의 일측에 행거를 이용하거나 취부에 고정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부 휠(20)과 하부 휠(30)이 앵커 플레이트(40) 및 체인(70)에 의하여 크로스 멤버(50)에 형성된 스페어 휠 캐리어(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부 휠(20)보다 하부 휠(30)의 지름이 더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경우 전방 휠이 후방 휠보다 크게 구성되므로,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은 각각 후방 휠 및 전방 휠에 해당된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종래의 스페어 휠(20, 30)을 장착하는 작업 순서 를 살펴보면, 우선 앵커 플레이트(40)를 지면에 놓고 하부 휠(30)을 앵커 플레이트(40)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부 휠(20)을 하부 휠(30)의 위에 올려놓고, 체인(70)을 앵커 플레이트(40)에 형성된 후크(41)에 걸어서,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70)을 감아올림으로써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을 크로스 멤버(50)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나듯이, 종래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는 상부 휠(20)과 하부 휠(30)이 서로 구속되지 못하고, 상부 휠(20)이 단순히 하부 휠(30) 위에 얹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부 휠(20)이 하부 휠(30)에 대하여 한 쪽으로 편심될 수 있고, 특히 상부 휠(20)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변위가 쉽게 발생하여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칠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무게중심이 편심된 상태로 체인(70)을 감아 올리면 휠(20, 30)이 수평한 상태로 올라가지 않고 경사진 상태로 올라가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체인(70)이 완전히 감겼을 때 크로스 멤버(50)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주변 부품에 손상을 주거나, 배기 파이프에 근접한 경우에는 타이어에 열해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킬 수 있는 휠 가이드의 구성을 구비하여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하여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크로스 멤버의 중앙 하단에 설치되어 체인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스페어 휠 캐리어와; 대략 원통 형상의 바디와, 상단에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후크와, 하부 휠의 강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앵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안착부에 하부 휠을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상부 휠을 안착시킨 후 상기 체인을 상기 휠 캐리어에 감아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동시에 장착하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로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상단 및 하단의 내경이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에 형성된 강성부재의 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통 형상의 휠 가이드를 구비하여,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휠 가이드는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여, 앵커 플레이트 및 상부 휠이 하부 휠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크로스 멤버(50)의 중앙 하단에는 스페어 휠 캐리어(10)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스페어 휠 캐리어(10)는 체인(70)이 감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체인(70)을 통하여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이 스페어 휠 캐리어(10)에 장착된다.
앵커 플레이트(40)는 대략 원통형상의 바디(42)와, 바디(42)의 상단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인 후크(41)와, 바디(42)의 하단에 넙적한 원판 형상의 안착부(43)를 구비한다.
체인(70)은 앵커 플레이트(40)의 후크(41)에 일측이 고정되고, 스페어 휠 캐리어(10)에 감기게 되며, 장착시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체인(70)의 타측을 감아올림으로써 휠(20, 30)이 크로스 멤버(50)에 장착된다.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의 내부에는 강성부재(21, 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강성부재(21, 31)를 이용하여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을 앵커 플레이트(40)에 안착시키게 된다.
앵커 플레이트(40)에는 휠 가이드(60)가 설치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휠 가이드(6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앵커 플레이트(40)의 바디(42)가 삽입될 수 있는 홀(61)을 구비하고,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62)의 내경이 하단(63)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이는 상부 휠(20)의 강성부재(21)와 하부 휠(30)의 강성부재(31)의 내경에 각각 맞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휠 가이드(60)의 상단(62)은 상부 휠(20)의 강성부재(21)의 내경에 맞게 삽입되고, 하단(63) 또한 하부 휠(30)의 강성부재(31)의 내경에 맞게 삽입된다.
그리고 휠 가이드(60)의 내측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4)이 구비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걸림턱(64)은 앵커 플레이트(40)의 바디 (42)의 일부와 맞닿으면서, 앵커 플레이트(40) 및 상부 휠(20)이 하부 휠(30)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앵커 플레이트(40)를 지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하부 휠(30)을 앵커 플레이트(40) 위에 올려놓고, 휠 가이드(60)를 하부 휠(30)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부 휠(20)을 휠 가이드(60)에 맞게 끼워 올려놓은 후, 체인(70)을 앵커 플레이트(40)의 후크(41)에 걸고 공구를 이용하여 체인(70)을 감아올림으로써,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을 크로스 멤버(50)에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휠 가이드(60)를 구비한 스페어 휠 장착구조는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을 적층할 경우, 어떤 조건에서 작업하더라도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휠 가이드(60)는 상부 휠(20)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휠 가이드(60)가 상부 휠(20) 및 하부 휠(30)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며, 체인(70)을 감아올릴 때에도 휠(20, 30)이 수평한 상태로 움직이므로 작업성이 매우 쉬워지고, 체인(70)이 완전히 감겼을 때에도 휠(20, 30)이 크로스 멤버(50)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므로 주변 부품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확보되고, 스페어 휠(20, 30)의 편심에 의한 주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어 휠 장착구조는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고정시켜 그 무게중심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휠을 장착하는 작업성 을 향상시키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 크로스 멤버의 중앙 하단에 설치되어 체인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스페어 휠 캐리어와; 대략 원통 형상의 바디와, 상단에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후크와, 하부 휠의 강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앵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안착부에 하부 휠을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상부 휠을 안착시킨 후 상기 체인을 상기 휠 캐리어에 감아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을 동시에 장착하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로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상기 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상단 및 하단의 내경이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에 형성된 강성부재의 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원통 형상의 휠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가이드는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휠 장착구조.
KR1020050104374A 2005-11-02 2005-11-02 스페어 휠 장착구조 KR10068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74A KR100680350B1 (ko) 2005-11-02 2005-11-02 스페어 휠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74A KR100680350B1 (ko) 2005-11-02 2005-11-02 스페어 휠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350B1 true KR100680350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374A KR100680350B1 (ko) 2005-11-02 2005-11-02 스페어 휠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9806A (zh) * 2014-07-23 2014-11-1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备胎升降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9806A (zh) * 2014-07-23 2014-11-1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备胎升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350B1 (ko) 스페어 휠 장착구조
KR20100114780A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JP2020104684A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KR20110003395U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CN101259838B (zh) 汽车机械式千斤顶的固定方法
RU2708874C2 (ru) Узел запасной шины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2018012445A (ja) スペアタイヤ保持機構
KR20070062322A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120140542A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조
CN211642373U (zh) 一种便利型备胎托盘
JP3922502B2 (ja) タイヤカバーの取付構造
JP4849440B2 (ja) スペアタイヤ搭載装置
KR101667408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CN210189761U (zh) 车用工具盒
JP2009154829A (ja) 滑り止めチェーンの収納構造
CN210936562U (zh) 一种电梯立梁矫正器
KR100353196B1 (ko) 자동차용 비상보조휠
KR100457075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
JP5303431B2 (ja) 作業車両の後部灯火器の固定構造
JP4079002B2 (ja) スペアタイヤ収納構造
JP4236041B2 (ja) エアスプリング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0457866B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체결장치
KR20060033258A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20130030591A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구조
KR20140025944A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체인 손상 및 백래시 방지를 위한 받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