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539B1 -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에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539B1
KR100679539B1 KR1020050020910A KR20050020910A KR100679539B1 KR 100679539 B1 KR100679539 B1 KR 100679539B1 KR 1020050020910 A KR1020050020910 A KR 1020050020910A KR 20050020910 A KR20050020910 A KR 20050020910A KR 100679539 B1 KR100679539 B1 KR 10067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air
case
cleaner case
outle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351A (ko
Inventor
타카시 이마니시
토모노리 오야마다
요시유키 아카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4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1Arrangements of air flow meters in or on air cleaner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다른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를 장착한 경우에도, 공통의 에어 플로우 센서 부착 위치와 공통의 컨트롤 유닛에서 엔진의 흡입 공기류량의 편차를 적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를 동일 내경 그대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엘리먼트의 축방향 길이의 10∼25%의 길이로 한다.
에어 클리너

Description

에어 클리너{AIR CLEANER}
도 1은 싱글 엘리먼트를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한 경우의 개략도,
도 2는 더블 엘리먼트를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한 경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가 부착된 엔진의 흡배기계통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싱글 엘리먼트가 장착된 경우의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더블 엘리먼트가 장착된 경우의 개략도.
[부호의 설명]
1 : 에어 클리너 케이스 2 : 출구 덕트
3 : 싱글 엘리먼트 4 : 더블 엘리먼트
5 : 에어 클리너 케이스 커버 6 : 에어 플로우 센서
7: 입구 덕트 8 : 엘리먼트 전실
9 : 엘리먼트 후실 31 : 실린더
32 : 피스톤 33 : 배기 터보차저(turbocharger)
34 : 급기 인터쿨러 35 : EGR 쿨러
36 : EGR 밸브 37 : EGR 밸브구동장치
38 : 급기 매니폴드 39 : 배기 매니폴드
4O : 에어 클리너 41 : 흡기관
42 : 배기관 43 : 급기 온도센서
44 : 급기 압력센서 50 : 컨트롤 유닛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의 후류(後流)에서 흡입 공기류량이 측정될 경우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에서는 차기 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흡입 공기유량에 따라서 EGR(배기가스 재순환) 양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에어 클리너의 후류에 에어 플로우 센서를 배치해서 흡입 공기류량을 측정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나 덕트의 형상이 다르면 공기류의 장애나 편류의 상황이 바뀌고, 에어 플로우 센서의 출력에는 노이즈가 생겨서 정확한 계측을 할 수 없게 된다.
동일한 엔진에서 동일한 흡입 관계(管系)에서도, 엔진의 용도에 따라서 다른 에어 클리너의 엘리먼트를 사용할 경우가 있다. 즉, 카고 트럭(cargo truck)이나 버스에는 싱글 엘리먼트를 사용하고, 먼지가 많은 환경을 운행할 일이 많은 덤프 트럭에는 더블 엘리먼트가 사용된다. 이 경우, 비용 절감 때문에 에어 클리너의 케이스 및 공기류량 측정장치는 공통으로 하는 일이 많다. 이러한 경우에, 싱글 엘리먼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 4에 도시하고, 더블 엘리먼트가 장착된 경우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4, 5에 있어서, 1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 2'는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출구 덕트이며 상기 덕트(2')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흡기관에 연결된다. 3은 싱글 엘리먼트, 4(4a,4b)는 더블 엘리먼트, 5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1)에 부착되는 케이스 커버이다. 상기 엘리먼트(3 혹은 4)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커버(5)를 통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1)에 고정된다.
상기 덕트(2')에는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1)보다도 후류측, 즉 상기 흡기관측에 에어 플로우 센서(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는 입구 덕트(7)로부터 에어 클리너 케이스(1) 내에 흡입되어서 엘리먼트 전실(前室)(8)에 인입되고, 엘리먼트(3 혹은 4)를 지나서 엘리먼트 후실(後室)(9)에 인입되고, 출구 덕트(2')를 지나서 흡기관쪽으로 흐른다.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1)을 공통으로 한 경우, 상기 싱글 엘리먼트(3)가 장착된 도 4에서는 덕트(2')의 내경과 엘리먼트(3)의 내경 사이에는 반경으로 G1의 단차가 생기고, 더블 엘리먼트(4)가 장착된 도 5에서는 단차 G2가 생긴다. 이와 같이, 공기통로인 엘리먼트 내경과 덕트 내경 사이에 단차가 있으면, 단차부에서 흐 름에 장애가 생긴다.
이 장애는 후류에 전해지고, 장애가 소멸하는 것은 상당히 후류에 이르러부터이다. 그러나, 자동차용 엔진의 경우, 탑재 스페이스의 관계상, 상기 출구 덕트(2')의 입구로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6)의 중심(6a)까지의 거리(A)를 길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에어 플로우 센서(6)는 장애의 영향 범위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다.
또, 에어 플로우 센서의 출력 노이즈를 저감하는 유량측정장치로서 주공기 통로의 이외에 상기 장애나 편류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부공기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부공기 통로에 에어 플로우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9-26925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흐름의 저항이 증대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싱글 엘리먼트 사용시와 더블 엘리먼트 사용시의 에어 플로우 센서에 의한 측정값과 실제의 유량의 관계를 미리 실험으로 구해 두고, 에어 플로우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교정하면 좋은 것이지만, 그렇게 하면 교정식을 미리 입력한 컨트롤 유닛을 싱글 엘리먼트용과 더블 엘리먼트용의 2종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고, 비용상승 및 부품관리상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통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다른 에어클리너 엘리먼트 를 사용할 경우에도, 공통의 컨트롤 유닛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를 동일 내경 그대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연장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연장되는 부분의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는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엘리먼트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케이스 내벽간 거리의 10∼25%까지 연장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까지 연장함으로써 출구 덕트의 입구로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까지의 거리를 증대할 수 있으므로, 에어 플로우 센서부에 있어서의 흐름의 장애를 상당히 완화할 수 있고, 싱글 엘리먼트 장착시와 더블 엘리먼트 장착시의 유량 측정값의 차이를 감소할 수 있다. 출구 덕트의 에어 클리너 내로의 연장을 여유있게 길게 하면 공기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후실에 인입되는 통과면적이 줄어드므로, 엘리먼트 통과저항이 증대하고, 흡입저항이 증대해서 엔진 성능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그 길이에 대해서는 한도가 있고, 실험 결과에서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엘리먼트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케이스 내벽간 거리의 10∼25%까지 연장하는 것이 적당했다.
그리고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도 3 혹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의 유량 측정값의 편차가 ±6.8%이었던 것에 대해, 출구 덕트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까지 연장한 경우의 측정값의 편차는 3.8%로 감소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싱글 엘리먼트를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한 경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더블 엘리먼트를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한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클리너가 부착된 엔진의 흡배기계통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1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 2는 출구 덕트, 3은 싱글 엘리먼트, 5는 케이스 커버, 6은 에어 플로우 센서, 6a는 에어 플로우 센서의 중심, 7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 입구 덕트, 8은 엘리먼트 전실(前室), 9는 엘리먼트 후실(後室)이다.
도 1은 상기 출구 덕트(2)가 종래의 출구 덕트(2')보다 직경이 축소되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1) 내부까지 연장되고 있는 것 외는, 도 4의 종래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같다. 상기 입구 덕트(7)로부터 흡입된 외기는 엘리먼트 전실(8)에 인입되고, 엘리먼트(3)를 통과해서 엘리먼트 후실(9)에 인입된다. 거기에서 흡입 공기는 상기 엘리먼트 후실(9)에까지 연장되고 있는 상기 출구 덕트(2)의 입구(2a)로부터 덕트(2)에 인입되고,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6)부를 통과해서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흡기관쪽으로 흐른다.
출구 덕트(2)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1) 내에 LD의 길이만큼 진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덕트(2)의 입구(2a)로부터 에어 플로우 센서(6)의 중심(6a)까지의 거리는 (A+LD)가 되고, 종래의 경우의 A에 대하여 LD만큼 증대하므로, 상기 입구(2a)에서 생기는 흐름의 장애는 (A+LD)의 거리를 진행하는 사이에 완화된다. LD를 여유있게 길게 하면 엘리먼트 전실(8)로부터 후실(9)에 인입되어서 출구 덕트(2)의 입구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므로, 이 길이(LD)는 제한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2는 더블 엘리먼트가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더블 엘리먼트(4) 외는 도 1과 같고, 같은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먼트 4a와 4b로부터 이루어지는 더블 엘리먼트(4)의 내측 엘리먼트(4b)의 내경은 상기 출구 덕트(2)의 외경과 대략 같다. 특히 이 경우는, 상기 내측 엘리먼트(4b)의 내주가 상기 출구 덕트(2)의 외주로 차단되는 부분에서는 엘리먼트(4)를 가로 질러서 엘리먼트 후실(9)에 인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그 만큼 엘리먼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효 통과면적이 감소하므로, 상기 출구 덕트(2)의 케이스(1) 내로의 연장부 길이(LD)는 제한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여러가지 실험의 결과, 엘리먼트(4)의 축방향 길이(L)에 대한 LD의 비율은, 0.1∼0.25로 하는 것이 적당한 것을 알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클리너가 부착된 엔진의 흡배기계통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同)도에 있어서, 31은 실린더, 32는 피스톤, 33은 배기 터보차저(turbocharger), 34는 흡기 인터쿨러(intercooler), 35는 EGR 쿨러, 36은 EGR 밸브, 37은 EGR 밸브구동장치, 38은 급기 매니폴드(manifold), 39는 배기 매니폴드, 40은 에어 클리너, 41은 흡기관, 42는 배기관, 43은 급기 온도센서, 44는 급기 압력센서이다.
상기 에어 클리너(40)는 도 1, 2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1)에 엘리먼트가 장착된 에어 클리너이고, 6은 에어 플로우 센서이다. 50은 컨트롤 유닛이고,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6)의 출력이 입력되어서 흡입 공기류량을 계산한다. 상기 컨트롤 유닛(50)에는 급기 온도센서(43)의 출력, 급기 압력센서(44)의 출력, 및 도시하지 않았지만 엔진 회전수, 크랭크각 등이 입력되어 상기 흡입 공기류량과 합쳐져서 적절한 EGR 유량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의 신호를 상기 EGR 구동장치(37)에 보내 상기 EGR 밸브(36)의 개도(開度)를 제어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그 엔진이 탑재되는 차량의 종류ㆍ용도에 의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공통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공통의 에어 플로우 측정장치(에어 플로우 센서와 교정 프로그램이 입력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를 사용해서 편차가 적은 공기류량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배가스의 감소를 도모하면서 비용저감과 부품관리의 용이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 그 엔진이 탑재되는 차량의 종 류ㆍ용도에 의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공통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공통의 에어 플로우 측정장치(에어 플로우 센서와 교정 프로그램이 입력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를 사용해서 편차가 적은 공기류량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비용 저감과 부품관리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엔진으로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를 동일 내경 그대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로 연장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의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연장되는 부분의 외주와의 사이에 공간을 개재하도록 싱글 엘리먼트 또는 더블 엘리먼트의 외측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고,
    상기 공간은 더블 엘리먼트의 내측 엘리먼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더블 엘리먼트의 내측 엘리먼트의 내경과 동일하고,
    에어 클리너 후류에 배치된 에어 플로우 센서부에 있어서의 공기류의 장애를 완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출구 덕트의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엘리먼트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케이스 내벽간 거리의 10∼25%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KR1020050020910A 2004-03-19 2005-03-14 에어 클리너 KR10067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1349A JP2005264880A (ja) 2004-03-19 2004-03-19 エアクリーナ
JPJP-P-2004-00081349 2004-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351A KR20060044351A (ko) 2006-05-16
KR100679539B1 true KR100679539B1 (ko) 2007-02-06

Family

ID=3483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910A KR100679539B1 (ko) 2004-03-19 2005-03-14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0344B2 (ko)
EP (1) EP1577534A2 (ko)
JP (1) JP2005264880A (ko)
KR (1) KR100679539B1 (ko)
CN (1) CN1670357A (ko)
TW (1) TW2005353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880A (ja) 2004-03-19 2005-09-2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アクリーナ
JP4644628B2 (ja) * 2006-04-26 2011-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装置
JP2009085195A (ja) * 2007-10-03 2009-04-23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二輪車
DE102008049806A1 (de) * 2008-09-30 2010-04-01 Man Nutzfahrzeuge Ag Anordnung einer Luftmassen-Durchflussmesseinrichtung in einem Ansaug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1015018B4 (de) 2011-03-25 2020-07-02 Audi Ag Rundfilterpatrone mit Luftmassenmesser für einen Trocken-Luftfilter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12202364A (ja) * 2011-03-28 2012-10-22 Kubota Corp エアクリーナ
JP5719656B2 (ja) * 2011-03-29 2015-05-20 株式会社クボタ エアクリーナ
CN103987438B (zh) 2011-10-31 2016-10-12 唐纳森公司 空气过滤器组件
SE536415C2 (sv) 2012-03-01 2013-10-15 Scania Cv Ab Filterhus och filterenhet
US10400715B2 (en) 2016-11-23 2019-09-03 Caterpillar Inc. Air filter with fluted media and stand-alone preform shell
CN108036833A (zh) * 2017-12-28 2018-05-1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空气滤清器流量测量结构及发动机总成
CN110469435A (zh) * 2019-09-12 2019-11-19 中国北方车辆研究所 可测试的装甲车辆空气滤清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216A (ja) * 1992-03-16 1993-10-05 Hitachi Ltd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KR970062857A (ko) * 1996-02-27 1997-09-12 김광호 도난방지장치를 갖는 일체형 컴퓨터
JPH10331732A (ja) * 1997-06-03 1998-12-15 Toyota Motor Corp エアクリーナ
JP2000110676A (ja) 1998-10-02 2000-04-18 Toyota Motor Corp 流量計を備えた流体配管及びエアクリーナ
JP2000303921A (ja) 1999-04-22 2000-10-31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内燃機関用空気清浄器
JP2005264880A (ja) 2004-03-19 2005-09-2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アクリー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251A (ja) 1996-04-02 1997-10-14 Hitachi Ltd 発熱抵抗体式空気流量測定装置
US6167862B1 (en) * 1999-05-12 2001-01-02 Siemens Canada Limited Air cleaner system
US6899081B2 (en) * 2002-09-20 2005-05-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ow condit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216A (ja) * 1992-03-16 1993-10-05 Hitachi Ltd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KR970062857A (ko) * 1996-02-27 1997-09-12 김광호 도난방지장치를 갖는 일체형 컴퓨터
JPH10331732A (ja) * 1997-06-03 1998-12-15 Toyota Motor Corp エアクリーナ
JP2000110676A (ja) 1998-10-02 2000-04-18 Toyota Motor Corp 流量計を備えた流体配管及びエアクリーナ
JP2000303921A (ja) 1999-04-22 2000-10-31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内燃機関用空気清浄器
JP2005264880A (ja) 2004-03-19 2005-09-2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アクリーナ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331732
20199700628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0344B2 (en) 2006-11-28
EP1577534A2 (en) 2005-09-21
KR20060044351A (ko) 2006-05-16
CN1670357A (zh) 2005-09-21
JP2005264880A (ja) 2005-09-29
US20050217632A1 (en) 2005-10-06
TW200535331A (en)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539B1 (ko) 에어 클리너
US7281511B2 (en) Air intake for motor vehicles
US7654134B2 (en) Air flow measuring device
US6899081B2 (en) Flow conditioning device
US5892146A (en) Heating resistor type air flow meter with a measuring module inside the main air flow passage body
US20130025353A1 (en) Air Mass Flowmeter
US6920784B2 (en) Flow conditioning device
US7984612B2 (en) Exhaust-gas turbochar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084193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flow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18994A (en) Temperature sensitive flow sensor having plate-like straightening members on the metering pipe
KR101770359B1 (ko) 공기 유량 센서 파이프
JPH10205416A (ja) 内燃機関の吸気系及びそれを備える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JPH10331732A (ja) エアクリーナ
US7770382B2 (en) Secondary air supply system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for secondary air supply system
JPS623223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1114419A (ja) 内燃機関の吸気系ダクト
US20090064968A1 (en) Configuration of air intake parts applied to thermal type air flow measuring instrument
JP2009215988A (ja) エアクリーナ装置
US11774310B2 (en) Pressure sensor system for charge air load control
JP2013076364A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装置及び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2418371B1 (en) Egr contro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126611A (ja) 空気流量計および空気流量計を備えた内燃機関
KR20110023655A (ko) 자동차의실내환기배출구조
JP2002021587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3328878A (ja) 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