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129B1 -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129B1
KR100679129B1 KR1020050003653A KR20050003653A KR100679129B1 KR 100679129 B1 KR100679129 B1 KR 100679129B1 KR 1020050003653 A KR1020050003653 A KR 1020050003653A KR 20050003653 A KR20050003653 A KR 20050003653A KR 100679129 B1 KR100679129 B1 KR 10067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ib
weight
hydraulic cylin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022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to KR102005000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1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210)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231)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2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211)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24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G)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위치조절장치(200)와, 상기 포스트(B)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331)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3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311)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34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브프레임(D)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350)으로 이루어지는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300)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지브핀과 부시의 교체작업시 웨이트와 지브프레임의 높이와 좌,우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브핀과 부시의 교체작업시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과 교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16m이상의 높이에서 지브핀과 부시를 교체함에 있어서 발생되던 전도 공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리클레이머, 스태커, 지브핀, 핀, 부시, 유지, 보수, 교체

Description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Jib pin exchange apparatus of reclaimer}
도 1 - 종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 - 종래 리클레이머에 있어서 지브핀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 - 종래 리클레이머에 있어서 지브핀의 분리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지브핀 교체장치가 설치된 리클레이머의 정면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웨이트 위치조절장치만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6 -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만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8 -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웨이트 위치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10 - 본 발명에 있어서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11- 본 발명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100: 본 발명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이하 지브핀 교체장치라 한다)
200: 웨이트 위치조절장치
210: 지지프레임 211: 유압실린더
212: 브라켓
220: 가이드레일 221: 걸림턱
222: 브라켓
230: 하부프레임 231: 바퀴(Wheel)
240: 유압실린더 250: 상부프레임
251: 지지턱
300: 지지프레임 위치조절장치
310: 지지프레임 311: 유압실린더
312: 브라켓
320: 가이드레일 321: 걸림턱
322: 브라켓
330: 하부프레임 331: 바퀴
340: 유압실린더 350: 상부프레임
351: 지지턱
400: 보조프레임 410: 웨이트 지지프레임
A: 리클레이머(Reclaimer) B: 포스트(Post)
C: 힌지브라켓 D: 지브프레임
E: 지브핀(Jib pin) F: 부시(Bush)
G: 웨이트(Weight) H: 버킷(Bucket)
본 발명은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클레이머의 일측에 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브프레임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브핀 교체작업의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클레이머(스태커를 포함한다)는 제철소 및 발전소 등에 설치되어 야적장이나 부두에 쌓여 있는 광석이나 석탄을 하역시키기 위한 장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B)와,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광석을 담아서 상,하역하기 위한 버킷(H)과,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브프레임(D)과, 상기 지브프레임의 끝단에 형성되어 무게중심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G)와, 상기 포스트와 지브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지브핀(E)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브프레임(D)과 웨이트(G)는 상기 지브핀(E)을 축으로 높낮이 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약200ton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와 지브프레임의 물리적인 하중이 상기 지브핀(E)에 집중되게 되므로, 상기 지브핀(E)은 잦은 마모와 파손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작업이 자주 중단되어지며, 상기 지지핀(E)의 파손으로 인해 웨이트(G)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약2000ton의 중량물인 리클레이머(A)가 전도(顚倒)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G)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Support)프레임으로 구성된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1)를 사용하여 상기 웨이트(G)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브프레임(D)을 유압잭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지브핀(E)과 부시(F)의 교체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1)는 웨이트(G)를 단순히 지지하는데만 필요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용이한 지브핀(E)의 교체를 위해서는 힌지브라켓(C)과 지브프레임(D)의 결합공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여야 하는데 종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1)는 지브프레임(D)과 웨이트(G)의 높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도 구비하지 못한 것이어서 작업자들에게 매우 위험하고 힘든 작업으로 인식될 수 밖에 없고, 또한 상기 지브프레임(D)의 높이를 수작업에 의해 유압잭으로 조절하게 됨으로 힌지브라켓(C)과 지브프레임(D)의 결합공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힘든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지브프레임(D)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약 16m이상의 높이임을 감안하면 작업자가 전도사고에 대한 불안감으로 작업효 율의 저하됨은 물론, 추락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큰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를 보다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스트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지브프레임을 지지함과 동시에 지브프레임의 높이와 좌우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를 형성하고, 웨이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웨이트의 높이와 좌우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 위치조절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와 웨이트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상기 지브프레임과 웨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브핀 교체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100)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게 상기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231)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2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211)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24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G)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위치조절장치(200)와,
상기 포스트(B)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331)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3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311)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34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브프레임(D)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350)으로 이루어지는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30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10,310)의 내부와 외부에는 상기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의 물리적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가로와 세로 및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을 형성하여 물리적 하중을 분산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10)은 상기 지브프레임(D)의 상부 일측면에 용접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지브프레임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220,320)의 양측에는 걸림턱(221,32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는 바퀴(231,331)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퀴(231,331)의 내부에는 물리적인 하중과 마찰 및 마모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중 지지력과 회전효율이 높은 베어링(미도시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 조심 로울러 베어링(Spherical Roller Bearings)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211,311)는 상기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의 위치를 좌,우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일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212,312)에 결합되어진 상태이며, 타측의 로드부분은 상기 하부프레임(230,330)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222,322)에 결합되므로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하부프레임(230,330)을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의 좌,우 이동은 상기 유압실린더(211,311)의 구동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230,330)의 양측에 형성된 바퀴(231,331)와 가이드레일(220,320)을 통해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실린더(240,340)는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을 지지하고 있는 상부프레임(250,3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로 인해 작업자가 지브핀(E)의 교체작업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들은 모두 공지기술인 유압구동유니트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250,350)의 상부 양측에는 지지턱(251)이 형성되는데, 이는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을 상기 상부프레임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 흔 들림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압실린더(240,340)의 동작으로 상기 상부프레임(250,350)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를 들어올리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상기 지브핀(E)과 부시(F)를 교체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G)와 지브프레임(D)의 높이와 좌,우 거리를 상기 유압실린더들의 작동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지브프레임(D)과 힌지브라켓(C)의 결합공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작업자가 크게 힘들이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브핀(부시 포함)의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브핀(E)과 부시(F)의 교체작업에 있어서, 리클레이머(A)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안전사고 및 설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400)을 형성하여 버킷(H)의 붐프레임을 지지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포스트(B)와 웨이트(G)사이에 웨이트 지지프레임(410)을 볼트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웨이트의 위치조절작업시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400)과 웨이트 지지프레임(410)의 설치위치 및 개수는 리클레이머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작업시 웨이트 위치조절장치와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웨이트와 지브프레임의 높이와 좌,우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브핀의 교체작업시 보다 손쉬우면서도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16m이상의 높이에서 지브핀과 부시를 교체함에 있어서 발생되던 전도사고에 대한 공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의 향상 및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웨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공지의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위치조절장치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브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브프레임 위치조절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 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KR1020050003653A 2005-01-14 2005-01-14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KR10067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653A KR100679129B1 (ko) 2005-01-14 2005-01-14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653A KR100679129B1 (ko) 2005-01-14 2005-01-14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80U Division KR200380964Y1 (ko) 2005-01-17 2005-01-17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022A KR20060083022A (ko) 2006-07-20
KR100679129B1 true KR100679129B1 (ko) 2007-02-05

Family

ID=371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653A KR100679129B1 (ko) 2005-01-14 2005-01-14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0903B (zh) * 2013-11-30 2015-12-23 天津格林兰机械装备有限公司 斗轮堆取料机拉杆铰接可调节式配重臂
CN110406987A (zh) * 2019-06-24 2019-11-05 太重(天津)滨海重型机械有限公司 堆取料机
CN111646232B (zh) * 2020-04-22 2022-02-15 武汉三作全盛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斗轮堆取料机的重锤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022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547B1 (en) Crane, especially a self-propelled crane
CN110369697A (zh) 铸造用的自动压箱装置
KR100679129B1 (ko)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EP1084984B1 (de) Hafenkran, insbesondere Hafenmobilkran für Normal- und Schwerlastbetrieb
CN111994820A (zh) 一种新能源汽车检修平台
CN103787203B (zh) 用于安装预制梁千斤顶的支撑架
CN110759232A (zh) 一种四辊式轧机下支撑辊阶梯板吊装工装及吊装方法
KR200380964Y1 (ko)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CN210908088U (zh) 铁水浇注装置
CN216265795U (zh) 棒磨机更换衬板辅助设备
CN204381313U (zh) 一种金属模具就位安装机构
CN212292668U (zh) Rh精炼炉钢包顶升装置
CN213011191U (zh) 一种起重机钢丝绳更换支架
CN110526131A (zh) 一种钢厂冶金专用液压起吊浇铸装置
CN216809578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材料输送施工平台
CN210150676U (zh) 一种新型建筑用防摇摆升降机
CN216460856U (zh) 一种立辊轧机万向轴更换装置
CN205774648U (zh) 一种铁水脱硫扒渣装置
CN210176031U (zh) 一种瓷砖码垛机
CN210286554U (zh) 一种钢桥专用回转吊机自助找平滑移轨道系统
CN220999175U (zh) 作业平台具有安全性伸缩结构的阀厅作业车
CN212832571U (zh) 一种铆焊设备的检修装置
CN212639713U (zh) 可移动轻便龙门式吊装装置
CN219116944U (zh) 一种六辊轧机压上油缸吊运工装
KR200402249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