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59B1 -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59B1
KR100677559B1 KR1020050005405A KR20050005405A KR100677559B1 KR 100677559 B1 KR100677559 B1 KR 100677559B1 KR 1020050005405 A KR1020050005405 A KR 1020050005405A KR 20050005405 A KR20050005405 A KR 20050005405A KR 100677559 B1 KR100677559 B1 KR 10067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amount
toner
light
toner remai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633A (ko
Inventor
안형진
권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59B1/ko
Priority to US11/294,437 priority patent/US20060159473A1/en
Publication of KR2006008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2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91Optical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발광부, 토너 저장공간의 제1 내지 제n 구분 셀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n 발광부에서 발산된 광을 각각 반사하는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에서 반사된 광들을 각각 수광하는 제1 내지 제n 수광부 및 제1 내지 제n 수광부의 수광 결과들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토너 잔량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도트 카운트(Dot Count) 방식에서 생성되는 측정오차를 여러 단계에 걸쳐 보정해 줌으로써, 정확한 토너 잔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residual quantity of a to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토너 잔량을 검출할 경우에 나타나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토너 교반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잔량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토너 저장공간
120, 122, 124, 126: 제1 내지 제4 구분셀
130, 132, 134, 136: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
140, 142, 144, 146: 제1 내지 제4 발광부
150, 152, 154, 156: 제1 내지 제4 수광부
160: 토너 잔량 보정부
200: 잔량 유무 결정부
220: 토너 잔량 결정부
240: 보정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서 화상형성 매체인 토너의 사용 후 잔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 매체로 토너를 사용한다. 이때, 화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토너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화상형성장치는 감소하는 토너량을 감지하는 장치를 갖는다. 종래의 측정방식은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포토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토너 저장 공간의 양 측면에 포토 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를 각각 장치하여, 토너가 공간에 채워져 있을 때는 빛을 차단 하고, 토너를 완전히 소모하게 되면 빛을 통과시켜 센서가 작동하게 된다. 이 방법은 토너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며, 단지 현상기의 교체 시기를 알려 줄 뿐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트 카운트(Dot Count) 방식이 있다. 이는 현상기에 노광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의 레이저 신호를 분석하여 토너 잔량을 계산해 내는 방식이다. 레이저 신호가 주사되는 시간은 토너 사용량과 어느 정도 비례 관계를 갖으며, 실험을 통해 얻은 경험적인 보정 변수를 추가하여 토너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형성장치에서, 토너 사용량은 많은 환경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같은 입력신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환경에 따라 토너 사용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기존의 방식과 같이 입력신호에서 역으로 토너 사용량을 계산해 내는 방식은 측정 정확도 및 정밀도 면에서 한계를 갖는다. 토너 저장 공간에 직접 센서를 장치하는 방식은 직접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연속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토너 잔량을 검출할 경우에 나타나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토너 잔량이 실제 잔량(①)보다 적게 검출되면(②) 사용자가 주어진 토너를 다 사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토너교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미리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정된 토너 잔량이 실제 잔량(①)보다 많게 검출되면(③) 실제 토너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도 토너 잔량이 아직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센서를 통해 단계적으로 얻어지는 신호와 도트 카운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토너 잔량정보를 조합하여 연속적이고 정확한 토너 잔량을 제시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센서를 통해 단계적으로 얻어지는 신호와 도트 카운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토너 잔량정보를 조합하여 연속적이고 정확한 토너 잔량을 제시하는 토너 잔량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보정장치는 광을 발산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발광부, 토너 저장공간의 제1 내지 제n 구분 셀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n 발광부에서 발산된 광을 각각 반사하는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에서 반사된 광들을 각각 수광하는 제1 내지 제n 수광부 및 제1 내지 제n 수광부의 수광 결과들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토너 잔량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보정방법은 토너 잔량 보정부가 토너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수광부 중 제k(여기서, k는 1보다 크고 n 이하의 양의 정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는가를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제k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면,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상기 제k 수광부의 수광 결과와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제1 내지 제n 수광부 모두로부터 광들을 수광하였는가를 검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현상롤러(100), 토너 저장공간(110),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 및 토너 잔량 보정부(160)로 구성된다.
현상롤러(100)는 토너 저장공간(110)에 저장된 토너를 공급받아서 화상을 현상한다.
토너 저장공간(110)은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로 구성된다.
토너 저장공간(110)은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에서 반사된 광들을 투과할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은 토너 저장공간(110) 내에 구비되어 토너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가, 순차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100)에 공급한다. 즉, 제1 구분 셀(120)에 저장된 토너는 제2 구분 셀(122)로 전달되고, 제2 구분 셀(122)에 저장된 토너는 제3 구분 셀(124)로 전달되며, 제3 구분 셀(124)에 저장된 토너는 제4 구분 셀(126)로 전달되어 결국 현상 롤러(100)에 공급된다.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은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에서 반사된 광들을 투과할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는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 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는 각각 현상롤러(100)로 토너를 넘겨주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토너 교반부(13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너 교반부(130)는 제1 구분 셀(120)에 거의 밀착되어 제1 구분 셀(120)에 저장된 토너를 제2 구분 셀(122)로 넘겨준다. 이때, 제1 토너 교반부(130)의 굴곡진 부분이 제1 발광부(140)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여 반사하고, 반사된 광을 제1 수광부(150)로 출력한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는 후술할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에서 발산된 광을 각각 반사한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은 각각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에서 각각 발산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토너가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에 어느 정도 이상 남아 있을 때에는,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가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에서 발산된 광을 토너로 인해 수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는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에서 발산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는 폴리에틸 렌(Polyethylene) 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에서 반사된 광은 각각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로 출력된다.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는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로 각각 광들을 발산한다.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는 발광을 위해 각각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비소화갈륨(GaAs)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이다.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는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에서 반사된 광들을 각각 수광한다.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는 수광을 위해 각각 수광 다이오드들을 사용한다. 수광 다이오드는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반도체다이오드이다. 수광 다이오드로서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다이오드의 p-n접합을 역방향으로 바이어스해 두고 접합부에 빛을 닿게 하면, 발생한 전자와 양공(陽孔)이 접합부의 전기장을 따라서 이동하여 광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빛의 강도에 거의 비례한 출력전압이 발생한다.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는 수광한 결과를 각각 토너 잔량 보정부(160)로 출력한다.
토너 잔량 보정부(160)는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의 수광 결과들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 잔량을 보정한다.
토너 잔량 보정부(160)는 제1 내지 제4 수광부 중 어느 하나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을 때마다 검출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잔량 보정부(16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잔량 유무 결정부(200), 토너 잔량 결정부(220) 및 보정부(240)로 구성된다.
잔량 유무 결정부(200)는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 중 어느 하나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1 내지 제4 구분 셀 중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에 대응하는 구분 셀에 대해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토너 교반부(1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제1 수광부(150)로부터 입력받으면, 잔량 유무 결정부(200)는 제1 구분 셀(120)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2 토너 교반부(13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제2 수광부(152)로부터 입력받으면, 잔량 유무 결정부(200)는 제2 구분 셀(122)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3 토너 교반부(134)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제3 수광부(154)로부터 입력받으면, 잔량 유무 결정부(200)는 제3 구분 셀(124)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4 토너 교반부(136)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제4 수광부(156)로부터 입력받으면, 잔량 유무 결정부(200)는 제4 구분 셀(126)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잔량 유무 결정부(200)의 결정된 결과에 응답하여, 토너잔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구분 셀(120)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잔량 유무 결정부(200)로부터 입력받으면,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토너 잔량이 75[%]가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충전된 토너량 중에서 25[%]의 량을 저장하고 있는 제1 구분 셀(120)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75[%] 정도의 토너가 남아있는 것이다. 또한, 제2 구분 셀(122)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잔량 유무 결정부(200)로부터 입력받으면,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토너 잔량이 50[%] 정도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제2 구분 셀(122)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제1 구분 셀(120)에도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5[%]의 토너량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제1 구분 셀(120) 및 제2 구분 셀(122)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50[%] 정도의 토너가 남아있는 것이다. 또한, 제3 구분 셀(124)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잔량 유무 결정부(200)로부터 입력받으면,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토너 잔량이 25[%] 정도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제3 구분 셀(124)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제1 구분 셀(120) 및 제2 구분 셀(122)에도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5[%]의 토너량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제1 구분 셀(120), 제2 구분 셀(122) 및 제3 구분 셀(124)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25[%] 정도의 토너가 남아있는 것이다. 또한, 제4 구분 셀(126)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잔량 유무 결정부(200)로부터 입력받으면,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토너 잔량이 남아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제4 구분 셀(126)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제1 구분 셀(120), 제2 구분 셀(122) 및 제3 구분 셀(124)에도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5[%]의 토너량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제1 구분 셀(120), 제2 구분 셀(122), 제3 구분 셀(124) 및 제4 구분 셀(126)에 모두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이 남아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보정부(240)는 토너 잔량 결정부(220)에서 결정된 토너 잔량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한다. 결정된 토너 잔량을 토너 잔량 결정부(220)로부터 입력받으면, 보정부(240)는 이전에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과 결정된 토너 잔량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한다. 만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토너 잔량이 토너 잔량 결정부(220)에서 결정된 토너 잔량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정부(240)는 토너 잔량 결정부(220)에서 결정된 토너 잔량을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잔량으로 설정하는 보정을 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제1 시각(t1)은 제1 수광부(150)에서 광을 수광함에 따라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시각이다. 또한, 제2 시각(t2)은 제2 수광부(152)에서 광을 수광함에 따라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시각이다. 또한, 제3 시각(t3)은 제3 수광부(154)에서 광을 수광함에 따라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시각이다. 또한, 제4 시각(t4)은 제4 수 광부(156)에서 광을 수광함에 따라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토너 잔량을 보정하는 시각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제 토너 잔량(①)에 대해 토너 잔량 보정부(160)에 의해 보정된 토너 잔량(②) 사이에는 종래와 달리 커다란 오차가 발생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제1 시각(t1), 제2 시각(t2), 제3 시각(t3) 및 제4 시각(t4)마다 토너 잔량을 보정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장치발명은 제1 내지 제4 구분 셀(120, 122, 124 및 126), 제1 내지 제4 토너 교반부(130, 132, 134 및 136), 제1 내지 제4 발광부(140, 142, 144 및 146) 및 제1 내지 제4 수광부(150, 152, 154 및 156)로 구성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구분 셀, 토너 교반부, 발광부 및 수광부는 각각 4개의 유닛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예에 따라 유닛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토너 잔량 보정부(160)가 토너 잔량을 검출한다(제300 단계). 검출 토너 잔량은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00 단계 후에, 토너 잔량 보정부(160)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수광부 중 제k(여기서, k는 1보다 크고 n 이하의 양의 정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는가를 검사한다(제302 단계).
만일, 제k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면, 토너 잔량 보정부(160)는 제k 수광부의 수광 결과와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 잔량을 보정한다(제304 단계).
제1 내지 제n 수광부 중 어느 하나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을 때마다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싱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제k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으면, 잔량 유무 검출부(140)는 토너 저장공간의 제1 내지 제n 구분 셀 중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제400 단계). 제k 수광부가 광을 수광하였다는 것은 제k 수광부에 광을 반사한 제k 구분 셀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400 단계는 제k 수광부로부터 수광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제400 단계 후에,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 결과에 따라, 토너 잔량 결정부(220)는 토너잔량을 결정한다(제402 단계). 예를 들어, 도 2를 가지고 설명하자. 제k 구분 셀이 전술한 제1 구분 셀(120)이라 하고 제1 구분 셀(120)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402 단계는 토너 잔량이 75[%]가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k 구분 셀이 전술한 제2 구분 셀(122)이라 하고 제2 구분 셀(122)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402 단계는 토너 잔량이 50[%] 정도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k 구분 셀이 전술한 제3 구분 셀(124)이라 하고 제3 구분 셀(124)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402 단계는 토너 잔량이 25[%] 정도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또한, 제k 구분 셀이 전술한 제4 구분 셀(126)이라 하고 제4 구분 셀(126)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입력받으면, 제402 단계는 토너 잔량이 남아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제402 단계 후에, 보정부(240)는 결정된 토너 잔량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한다(제404 단계). 이전에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과 결정된 토너 잔량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한다. 만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토너 잔량이 결정된 토너 잔량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결정된 토너 잔량을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잔량으로 설정하는 보정을 행한다.
한편, 제304 단계 후에, 제1 내지 제n 수광부 모두로부터 광들을 수광하였는가를 검사한다(제306 단계). 제1 내지 제n 수광부 모두로부터 광들을 수광하지 않았다면, 아직 토너 잔량이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300 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n 수광부 모두로부터 광들을 수광하였다면, 토너 잔량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므로, 더 이상 토너 잔량의 보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과정을 종료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가장 필수적인 데이터인 토너 사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은 기존 도트 카운트(Dot Count) 방식에서 생성되는 측정오차를 여러 단계에 걸쳐 보정해 줌으로써,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은 센서를 통해 단계적으로 얻어지는 신호와 도트 카운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토너 잔량정보를 조합하여 연속적이고 정확한 토너 잔량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소모품 교체시기와 현재 사용정도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2)

  1. 광을 발산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발광부;
    토너 저장공간의 제1 내지 제n 구분 셀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n 발광부에서 발산된 광을 각각 반사하는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
    상기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에서 반사된 광들을 각각 수광하는 제1 내지 제n 수광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수광부의 수광 결과들과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토너 잔량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발광부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수광부는
    각각 수광 다이오드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잔량 보정장치는
    상기 토너 저장공간이 상기 제1 내지 제n 토너 교반부에서 반사된 광들을 투과할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수광부 중 제k(여기서, k는 1보다 크고 n 이하의 양의 정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내지 제n 구분 셀 중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잔량 유무 결정부;
    상기 잔량 유무 결정부의 결정된 결과에 응답하여, 토너잔량을 결정하는 토너 잔량 결정부;
    상기 결정된 토너 잔량과 상기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수광부 중 어느 하나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을 때마다 상기 검출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장치.
  8. 삭제
  9. (a) 토너 잔량 보정부가 토너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b)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수광부 중 제k(여기서, k는 1보다 크고 n 이하의 양의 정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는가를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제k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면,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상기 제k 수광부의 수광 결과와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가 제1 내지 제n 수광부 모두로부터 광들을 수광하였는가를 검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방법.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k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으면,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에 구비된 잔량 유무 검출부가 토너 저장공간의 제1 내지 제n 구분 셀 중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k 구분 셀에 토너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에 구비된 토너 잔량 결정부가 토너잔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토너 잔량 보정부에 구비된 보정부가 상기 결정된 토너 잔량과 상기 도트 카운트 방식에 의해 검출된 검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수광부 중 어느 하나의 수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였다는 수광 결과를 입력받을 때마다 상기 검출 토너잔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보정방법.
KR1020050005405A 2005-01-20 2005-01-20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67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05A KR100677559B1 (ko) 2005-01-20 2005-01-20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US11/294,437 US20060159473A1 (en) 2005-01-20 2005-12-06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detected amount of remaining t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05A KR100677559B1 (ko) 2005-01-20 2005-01-20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633A KR20060084633A (ko) 2006-07-25
KR100677559B1 true KR100677559B1 (ko) 2007-02-02

Family

ID=366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405A KR100677559B1 (ko) 2005-01-20 2005-01-20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59473A1 (ko)
KR (1) KR100677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209B2 (ja) * 2005-03-07 2011-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
JP6391224B2 (ja) 2013-08-30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4241837U (zh) * 2014-12-10 2015-04-01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成像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101A (en) * 1995-03-16 1996-06-11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Materials, Inc. Toner dispensing cartridge having a nonrotatable toner cup and a rotatable sleeve-cap
US5794094A (en) * 1997-05-08 1998-08-11 Hewlett-Packard Company Accurate toner level feedback via 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JP3780171B2 (ja) * 2000-03-03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81444A (ja) * 2003-12-16 2005-07-0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59473A1 (en) 2006-07-20
KR20060084633A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7206B2 (en) Tape edge monitoring
US3835332A (en)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s in a web
US8576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bidity measurement
US8076648B2 (en) Partial discharge measuring apparatus using UV sensor array and method thereof
TWI633294B (zh)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KR100677559B1 (ko) 토너 잔량 보정장치 및 방법
US91164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toring sampling values and method therefor
JP2000267369A (ja) 画像形成装置の濃度測定装置
CN102680097B (zh) 分光特性测量方法以及分光特性测量装置
US20120320378A1 (en) Optical Density Sensor Calibration and Self Fixing
US74804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toner mass on a photoreceptor
JP2005321788A (ja) プリンタにおけるハーフトーン濃度の校正
JP2001297799A (ja) 電解液漏れ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0335597B1 (ko) 광학식거리측정장치및방법
US20230057540A1 (en) Photoelectric sensor and threshold setting method
US88799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12417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検出センサ汚染管理プログラム
CN107921785B (zh) 图像形成装置
JP201806690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濃度検出方法
JPH0572145A (ja) 異物検査装置
JP2013205541A (ja) 濃度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00355551A1 (en) Absorption spectroscopic system,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an absorption spectroscopic system and absorbance measurement method
CN117871462A (zh) 基于tdlas检测系统的气体浓度补偿方法
JP5414922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並びに印刷装置
JPH1119466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