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44B1 -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44B1
KR100677544B1 KR1020040115032A KR20040115032A KR100677544B1 KR 100677544 B1 KR100677544 B1 KR 100677544B1 KR 1020040115032 A KR1020040115032 A KR 1020040115032A KR 20040115032 A KR20040115032 A KR 20040115032A KR 100677544 B1 KR100677544 B1 KR 10067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unction
multifunction apparatus
state information
multifunction device
chec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566A (ko
Inventor
박동채
홍정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은, (a) 제1 복합기는 제2 복합기에게 설정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1 복합기의 환경설정에 적용하여 수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정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2 복합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를 호스트 없이도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진단 및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Remote diagnosing method of multi-function peripher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를 호스트(host) 없이도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진단 및 처리할 수 있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소비자가 사용시 문의사항이 발생하거나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면 A/S요원이 일일이 복합기가 위치한 장소로 방문하여 복합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조작하여야 하므로 서비스 비용상승 및 서비스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 복합기는 통신선로를 통해 원격진단 및 단순 수리기능까지 부가하여 서비스 비용절감 및 서비스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RDC(Remote Diagnostic Control: 원격진단제어)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RDC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합기에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일반전화교환망)을 통해 접속된 호스트(서버, PC 등)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복합기를 진단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호스트, 및 호스트에서 작동할 수 있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를 호스트 없이도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진단 및 처리할 수 있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은, (a) 제1 복합기는 제2 복합기에게 설정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1 복합기의 환경설정에 적용하여 수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정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2 복합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상기 제1 복합기의 환경설정에 적용하는 단계; (b2) 상기 적용된 설정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3) 상기 제1 복합기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정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제1 복합기는 자신의 설정정보를 백업하는 단계, 및 상기 (c)단계 후에 백업된 설정정보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은, (a) 제1 복합기는 제2 복합기에게 점검기능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상기 점검기능리스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점검기능리스트를 상기 제1 복합기의 점검기능리스트와 매핑하는 단계; 및 (c) 상기 매핑된 점검기능리스트중 어느 한 점검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점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제2 복합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점검기능의 선택은 미리 설정된 단축키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복합기(100), 제2 복합기(110) 및 PSTN(120)으로 이루어진다.
복합기(100 및 110)는 일반적으로 팩시밀리, 프린터, 스캐너 및 복사기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기기들이 하나의 복합적인 장치로 통합되어 구성되는 다기능 단말 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팩시밀리를 포함하여야 한다. 복합기간의 통신은 소정의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복합기(100)는 제어부(210), 메모리(220), 조작패널(230), 스캐닝부(240), 프린팅부(250), 모뎀(260) 및 NCU(Network Control Unit: 네트워크 제어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2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진단을 제어한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1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조작패널(230)은 다수의 키를 가지는 키입력부(231)를 구비하며 소정의 키 누름에 따른 키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인가하고,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2)에 디스플레이한다.
스캐닝부(240)는 원고의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디지털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프린팅부(250)는 제어부(2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모뎀(260)은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제어부(210)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형태의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NCU(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PSTN의 통화 루프를 형성하고 모뎀(260)과 일반전화망의 신호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팩스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의 제1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의 사용자가 제2 복합기(110)에게 다이얼링하여 접속을 요청한다. S305 단계에서 제2 복합기(110)가 접속을 수락하면, S31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 자신의 설정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S315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는 제2 복합기(110)에게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S320 단계에서는, 제2 복합기(11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210)는 제2 복합기(110)의 상태정보를 제1 복합기(100)의 환경설정에 적용한다. S32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232)상에 제2 복합기(110)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S33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환경설정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수정한다.
S335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는 수정된 상태정보를 제2 복합기(110)에게 전송한다. 제2 복합기(110)는 수정된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환경설정에 적용한다. 이 때, 제2 복합기(110)는 제1 복합기(100)에게 다시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제1 복합기(100)는 제2 복합기(110)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상태정보의 수정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S330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는 다른 유닛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수정한다. 예를 들어, 제2 복합기(120)의 프린팅부의 상태정보를 수정하였으면, 스캐닝부의 상태정보를 수정한다. 수정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즉 제2 복합기(120)의 프린팅부, 스캐닝부 등 모든 유닛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수정하였으면, S345 단계에서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1 복합기의 상태정보를 복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팩스를 지원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의 제2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S40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의 사용자가 제2 복합기(110)에게 다이얼링하여 접속을 요청한다. S405 단계에서 제2 복합기(110)가 접속을 수락하면, S41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는 제2 복합기(110)의 점검기능리스트를 요청한다. 점검기능리스트는 복합기 자체가 지원하는 프린팅부, 스캐닝부 등 각종 유닛의 고장진단 및 처리기능의 리스트를 말한다. S410 단계에서는, 제1 복합기(100)는 제2 복합기(110)로부터 수신된 점검기능리스트를 제1 복합기(100)의 점검기능리스트와 매핑한다. S420 단계에서 매핑이 안되는 점검기능이 있으면, S430 단계에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S43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의 사용자가 점검기능의 단축키를 선택한다. 점검기능의 단축키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S435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는 제2 복합기(110)에게 선택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점검기능코드를 전송한다. 점검기능코드란 사용자가 선택한 점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에 해당하는 코드를 말한다. 제2 복합기(110)는 수신된 점검기능코드에 따라 점검기능을 수행하고, 이 결과를 제1 복합기(100)에게 전송한다. S440 단계에서 제1 복합기(100)가 수행결과를 수신하면, S450 단계에서 그 수행결과를 디스플레이부(232) 또는 프린팅부(250)로 출력한다.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량에 따라, 데이터량이 작으면 디스플레이부(232)에 디스플레이하고 데이터량이 많으면 프린팅부(25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를 호스트 없이도 팩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진단 및 처리할 수 있다.

Claims (5)

  1. (a) 제1 복합기는 제2 복합기에게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를 상기 제1 복합기의 환경설정에 적용하여 수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정된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복합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를 상기 제1 복합기의 환경설정에 적용하는 단계;
    (b2) 상기 적용된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3) 상기 제1 복합기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태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제1 복합기는 자신의 상태정보를 백업하는 단계, 및 상기 (c)단계 후에 백업된 상태정보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4. (a) 제1 복합기는 제2 복합기에게 점검기능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제2 복합기로부터 상기 점검기능리스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점검기능리스트를 상기 제1 복합기의 점검기능리스트와 매핑하는 단계; 및
    (c) 상기 매핑된 점검기능리스트중 어느 한 점검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점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제2 복합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점검기능의 선택은 미리 설정된 단축키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KR1020040115032A 2004-12-29 2004-12-29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KR10067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32A KR100677544B1 (ko) 2004-12-29 2004-12-29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32A KR100677544B1 (ko) 2004-12-29 2004-12-29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566A KR20060076566A (ko) 2006-07-04
KR100677544B1 true KR100677544B1 (ko) 2007-02-02

Family

ID=3716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032A KR100677544B1 (ko) 2004-12-29 2004-12-29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612B2 (en) 2019-10-04 2024-0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e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612B2 (en) 2019-10-04 2024-0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e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566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54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H0215365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
US90661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evice specific service documentation to a mobile platform
KR100677544B1 (ko) 복합기의 원격진단방법
JP2006332890A (ja) 通信端末装置
JPH071476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7274473B2 (en) Device error archive
US20040268086A1 (en) Operating external application through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7367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mote setting by vo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6369903B1 (en) Technique for debugging scanning and printing system
KR10050133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 형성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548222B1 (ko) 자동테스트 요청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자동테스트요청 방법
JP395086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GB2303762A (en) Maintenance/repair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0130887B1 (ko) 팩시밀리의 동작 에러 표시 방법
JP336744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KR100474680B1 (ko)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JP359111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方法
EP1067759A2 (en)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medium
JP342827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遠隔操作方法,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遠隔操作用コンピュータ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JP283439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5123843A (ja) 通信装置
JPH06178036A (ja) 遠隔データ登録システム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