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680B1 -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680B1
KR100474680B1 KR1019970023555A KR19970023555A KR100474680B1 KR 100474680 B1 KR100474680 B1 KR 100474680B1 KR 1019970023555 A KR1019970023555 A KR 1019970023555A KR 19970023555 A KR19970023555 A KR 19970023555A KR 100474680 B1 KR100474680 B1 KR 10047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software generation
input
histor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567A (ko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68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00076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복합기에서 조회시에 소프트웨어의 생성이력을 표시하도록 한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복합기에서 문제발생시 소프트웨어의 생성이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품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될 시 소프트웨어 생성일자 및 모델명과 체크섬을 표시하여 제품에 적용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복합OA기기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
본 발명은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기에서 문제발생시 소프트웨어의 생성이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제품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합기와 같은 단말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의 핵심인 소프트웨어의 이력관리에 해당되는 내용은 특별히 외관적으로 표시하지 않는 한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앙처리장치를 갖는 프로세스에서는 ROM(Read Only Memory)에 적용된 체크섬 데이터로 소프트웨어의 이력상태를 구별하고 있으며, 보통의 팩시밀리장치 등은 특정모드에 적용된 소프트웨어의 버전만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적용된 소프트웨어 체크섬 데이터로서는 각국마다 상이한 통신규격 및 거래선 요청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각국 수출을 위해서는 한 종류의 소프트웨어로 공통적용하기가 불가능하며, 아울러 소프트웨어 버전관리로 많은 소프트웨어의 생성 및 관리를 할 수 없다. 또한 관리가 되더라도 관계된 자료가 분실되는 경우 복구가 불가능하며, 버전관리를 체계적으로 하더라도 모델시리즈에 대해서 구체적인 해결책이 마땅히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장치를 구동시켜 키조작등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특정모드에서 소프트웨어가 생성한 일자와 소프트웨어버전, 동일한 계열군에서 모델별 세분화를 표시장치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소프트웨어생성 이력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될 시 소프트웨어 생성일자 및 모델명과 체크섬을 표시하여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제어부 1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관리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 12는 롬과 램으로 이루어지며, 롬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램은 소프트웨어의 생성일자와 소프트웨어버전 등을 저장한다. OPE 14는 키입력부과 표시부로 구성된다. 상기 OPE 14의 키입력부는 각종 기능을 설정하거나 명령하기 위한 키 신호 및 다이얼키의 데이타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OPE 14의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 10에서 각 모드를 수행할 시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타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캐너 16은 입력되는 원고를 이동시키며 원고의 화상을 스캔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 출력한다. 프린트부 18은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를 받아 수신모드 및 복사모드 수행시 수신되는 화상데이타나 상기 스캐너 16으로부터 스캔되는 화상데이타를 프린트용지에 프린트한다. 모델 20은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를 받아 송신모드시 송신 형태의 화상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모드시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복조 수신하며,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공중교환망 PSTN의 라인 및 LIU 22를 통해 입력되는 링백톤(ring back tone) 및 비지톤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0에 전달한다. LIU(Line Interface Unit) 22는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tip, ring)과 모델 20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101단계에서 제어부 10은 OPE 14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키신호가 입력되면 1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예를들어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는 FUNCTION + # + 1 + 9 + 3키가 될 수 있으며, 키입력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이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아니면 104단계로 진행하여 에러비프음을 발생하고 109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입력된 키신호가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이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의 시작어드레스로부터 끝어드레스까지 헥사(HEX)값을 가산하여 캐리가 발생하면 상위 바이트를 1씩 증가시켜 전체 체크섬을 구한다. 그리고 106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상기 체크섬을 메모리 12의 램영역에 저장한다. 그런후 107단계에서 제어부 10은 OPE 14의 표시부에 상기 테스트 결과 및 체크섬값을 표시하고 108단계로 진행한다. 예를들어 ROH TEST OK, CHKSUM = 7B/V23과 같이 표시한다. 상기 108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 검사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1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9단계에서 제어부 10은 OPE 14의 키입력부로부터 다운(DOWN)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다운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108단계로 돌아가 설정된 시간내에 다운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다운키신호가 입력되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 10은 OPE 14의 표시부에 소프트웨어 생성일자와 모델명 및 체크섬값을 표시한다. 예를들어 1997. 01. 23 (7BH)(4200) 7BH/V23등과 같이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108단계에서 설정된 시간내에 다운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113단계로 진행하여 스탠바이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111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설정된 표시시간이 경과되었는가 검사하여 설정된 표시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설정된 표시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1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2단계에서 제어부 10은 OPE 14의 키입력부로부터 정지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정지키가 입력되면 113단계로 진행하여 스탠바이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각국 통신규격이 다른 국가로 수출할 경우 국가 별로 서로다른 소프트웨어등의 버전관리체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에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수출을 한 국가에서 문제가 발생될 시 직접 사람이 방문하지 않고 전화를 하여 제품에 대한 이력을 조사하여 즉시 문제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Claims (2)

  1.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될 시 소프트웨어 생성일자 및 모델명과 체크섬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여 소프트웨어 생성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
  2.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조회키가 입력될 시 프로그램 시작 어스레스부터 끝 어드레스까지 헥사값을 가산하여 체크섬을 구하는 과정과,
    테스트 결과 및 상기 구한 체크섬 값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테스트 결과 및 체크섬 값을 표시부에 표시한 후 다운키가 입력될 시 소프트웨어 생성일자 및 모델명과 체크섬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성이력 관리방법.
KR1019970023555A 1997-06-09 1997-06-09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KR10047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55A KR100474680B1 (ko) 1997-06-09 1997-06-09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55A KR100474680B1 (ko) 1997-06-09 1997-06-09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67A KR19990000567A (ko) 1999-01-15
KR100474680B1 true KR100474680B1 (ko) 2005-07-07

Family

ID=3730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555A KR100474680B1 (ko) 1997-06-09 1997-06-09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3677A (ja) * 1987-01-14 1988-07-18 Nec Corp プリンタの履歴記憶回路
JPH06350791A (ja) * 1993-06-08 1994-12-2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KR950035282A (ko) * 1994-05-21 1995-12-30 김광호 팩시밀리에 있어서 시간 및 요일 표시 방법
KR960030629A (ko) * 1995-01-28 1996-08-17 김광호 팩시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등록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3677A (ja) * 1987-01-14 1988-07-18 Nec Corp プリンタの履歴記憶回路
JPH06350791A (ja) * 1993-06-08 1994-12-2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KR950035282A (ko) * 1994-05-21 1995-12-30 김광호 팩시밀리에 있어서 시간 및 요일 표시 방법
KR960030629A (ko) * 1995-01-28 1996-08-17 김광호 팩시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등록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67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680B1 (ko) 복합기에서소프트웨어생성이력관리방법
JPH071476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0175451B1 (ko) 팩시밀리의 원격진단 제어방법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329147B1 (ko) 팩스 메세지 전송결과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KR014316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호출방법
JP336744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KR0130887B1 (ko) 팩시밀리의 동작 에러 표시 방법
KR100274628B1 (ko) 팩스데이터전송방법
KR950003831B1 (ko) 화상데이타 송수신시스템의 교신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및 프린팅하는 방법
KR100205594B1 (ko) 인터넷 팩시밀리장치에서 인터넷 팩시밀리 서브에자동 연결방법
KR19980083094A (ko) 통신장치에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280176B1 (ko) 네트워크작동상태표시장치및방법
KR100338067B1 (ko) 팩시밀리의 송/수신 모드 변경방법
KR100265126B1 (ko) 팩시밀리에서 송수신 리포트 관리방법
KR0175591B1 (ko) 팩시밀리장치의 데이터 표시방법
KR0149536B1 (ko) 온라인 스텝을 갖지 않는 팩시밀리장치의 원고자동 송신장치 및 방법
KR100233714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멀티 패스워드 송신 잠금 방법
KR100452683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수신팩시밀리데이터처리방법
JP283439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05281B1 (ko) 팩시밀리의 전송 데이타 상태 표시 방법
JPH07254956A (ja) データ通信機器
JP2004135033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56572A (ko) 복합기 관리자 호출방법
JPH09186717A (ja) ファクシミリメ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