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127B1 -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127B1
KR100677127B1 KR1020040059195A KR20040059195A KR100677127B1 KR 100677127 B1 KR100677127 B1 KR 100677127B1 KR 1020040059195 A KR1020040059195 A KR 1020040059195A KR 20040059195 A KR20040059195 A KR 20040059195A KR 100677127 B1 KR100677127 B1 KR 10067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switching
order
memory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476A (ko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127B1/ko
Priority to US11/189,844 priority patent/US20060026350A1/en
Priority to CN2005100875593A priority patent/CN1728075B/zh
Publication of KR2006001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15Address space extension
    • G06F12/0623Address space extension for memor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2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initialisation or re-initialisation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8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75Print workflow management, e.g. defining or changing a workflow, cross publi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관리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은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동시에 각각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메모리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중인 메모리카드를 메모리카드 슬롯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메모리카드를 빈번하게 삽입하고 분리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메모리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memory card in multi-functio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메모리카드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메모리카드 슬롯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자동 스위칭 모드에서의 메모리카드의 FA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수동 스위칭 모드에서의 메모리카드의 FA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복합기, 10...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2...제어부, 14...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
16...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
18...검출부, 20...메모리카드.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관리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장치들이 널리 보급됨과 동시에 각 장치들이 갖는 고유 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더욱 고성능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및 팩시밀리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기 또는 프린터, 예를 들어 포토 프린터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어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복합기를 통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복합기에 구비된 메모리카드 슬롯에 메모리카드를 삽입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복합기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지원하기 위해 각각의 메모리카드에 대응하는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고는 있지만, 다수의 메모리카드와의 액세스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어떤 복합기는 2개 이상의 메모리카드가 각각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메모리카드가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 다른 메모리카드를 대응하는 카드 슬롯에 삽입하는 경우, 복합기의 사양에 따라 먼저 삽입된 메모리카드 또는 새로이 삽입한 메모리카드를 카드 슬롯으로부터 제거하라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따라서, 복합기가 다른 메모리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 삽입되어 있던 메모리카드를 카드 슬롯에서 분리한 후, 다른 메모리카드를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를 여러 번 삽입하고 분리하는 경우, 메모리카드가 손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어떤 복합기는 2개 이상의 메모리카드가 각각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하지만,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 중에서 하나의 메모리카드만을 이용할 수 있고, 다른 메모리카드로 스위칭하여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없거나 용이하지 않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0-0044295호는 다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여 메모리카드 선택키를 눌러 사용하고자 하는 메모리카드를 선택하는 프린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프린터 장치에서는, 사용중인 메모리카드에서 다른 메모리카드로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키를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관리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관리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을 통해 선택된 메모리카드의 내용을 인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에 의 해 선택된 메모리카드의 내용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10)를 포함하는 복합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복합기(1)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10)를 포함한다. 복합기(1)는 또한 복합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작부(30), 프린트부(32), 스캐너부(34), 모뎀부(36) 및 메모리(3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30)는 복합기(1)의 각종 동작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키들을 구비하고, 복합기(1)의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부를 구비한다.
프린트부(32)는 메모리카드(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복합기(1)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메모리(38)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스캐너부(34)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38) 또는 메모리카드(20)에 전송한다. 모뎀부(36)는 외부의 팩시밀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38)부는 제어부(12)의 동작 프로그램,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부(12)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8)부는 인쇄할 데이터 또는 스캐닝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10)는 제어부(12),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14),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16) 및 검출부(18)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기(1)는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미도시)을 구비한다.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16)는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한다.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16)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순서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16)는 복합기(1)가 다시 켜지는 경우, 최근에 사용빈도가 높은 순서로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재배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복합기(1)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한다. 한편, 복합기(1)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2)는 사용자로 하여금 복합기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예를 들어 조작부(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리카드를 직접 선택하도록 허용하고, 다른 메모리카드로 스위 칭하지 않고 상기 선택된 메모리카드만을 액세스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어부(12)는 상기에서와 같이 스위칭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카드의 내용을 인쇄 출력하도록 복합기(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14)는 새로이 선택된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14)는 또한 현재 선택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 file allocation table)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사용자가 복합기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예를 들어 조작부(30)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 할당표에 정렬된 파일의 최초 또는 최종 파일로부터 상기 파일 할당표를 벗어나도록 다음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14)는 또한 다음에 선택된 메모리카드로부터 메모리카드 자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14)는 또한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를 재구성할 수 있다.
검출부(18)는 카드 슬롯별로 I/O 단자를 할당하여 메모리카드가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이 관리된다(단계 S10). 상기 이력 관리 단계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순서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복합기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가 아닌 경우, 과정이 종료된다. 단계 S12에서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14).
한편, 현재 선택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14에서, 사용자가 상기 파일 할당표에 정렬된 파일의 최초 또는 최종 파일로부터 상기 파일 할당표를 벗어나도록 다음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4에서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과정이 종료된다. 단계 S14에서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이 수행된다(단계 S16). 이때,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는 초기화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가 송수신된다(단계 S18). 예를 들어,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메모리카드 자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 모리카드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에 따른 제어 방법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를 포함하는 메모리카드의 자체 정보는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재 사용중인 카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가 재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합기의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인쇄출력하거나 복합기에 접속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메모리카드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된다(단계 S20). 상기 검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카드를 검출하는 I/O단자가 슬롯별로 각각 할당되어 있어야 한다. 메모리카드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마다, 예를 들어, 1초마다 I/O단자를 체크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인터럽트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과정이 종료된다. 단계 S20에서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단계 S22). 따라서,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메모리카드 이력이 관리된다(단계 S24). 예를 들어,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에 의해 상기 검출된 메모리카드를 메모리카드 이력 파일에 배열한다. 상 기 메모리카드 이력 파일은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에 따라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순서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메모리카드 슬롯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리카드 슬롯부(100)는 메모리카드 슬롯들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메모리카드 슬롯(110, 120, 130)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고, 제4 메모리카드 슬롯(140) 및 다른 메모리카드 슬롯(150)에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카드는 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 카드(CF; Compact Flash card), 시큐어 디지털(SD; Secure Digital), 스마트 미디어(SM; Smart Media), 및 메모리 스틱(MS; Memory Stick)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110 내지 150)은 각각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카드 슬롯에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있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카드의 이력이 관리된다.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가 제1 메모리카드, 제2 메모리카드, 제3 메모리카드 순으로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예를 들어, 제1 메모리카드에서 제2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2 메모리카드에서 제1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여 자동 스위칭 모드에서의 메모리카드의 자동 스위칭 예를 설명한다. 도 5a는 자동 스위칭 모드에서의 메모리카드의 파일 할당표(FA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메모리카드의 파일 할당표(FAT)(112, 122, 132)는 각각 제1 내지 제3 파일, 제4 내지 제6 파일, 제7 내지 제9 파일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제1 메모리카드의 FAT의 최종 파일인 제3 파일에서 복합기에 구비된 아래 방향키를 눌러 다음 파일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카드에서 제2 메모리카드로 스위칭이 수행되고 제2 메모리카드의 FAT이 재구성된다. 상기 FAT에는 파일명의 알파벳 순서 또는 파일 생성 시간 순서로 파일이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일 정렬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음 파일 선택 요청에 따라, 제2 메모리카드의 FAT의 최초 파일인 제4 파일이 선택된다. 한편, 제2 메모리카드의 FAT의 최초 파일인 제4 파일로부터 사용자가 복합기에 구비된 위로 방향키를 누르는 경우, 제2 메모리카드로부터 제1 메모리카드로 스위칭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때, 제1 메모리카드의 FAT이 재구성되고 제1 메모리카드의 FAT의 최종 파일인 제3 파일이 선택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메모리카드의 제9 파일에서 아래 방향키가 눌려지는 경우, 제1 메모리카드의 제1 파일이 선택되도록 제3 메모리카드로부터 제1 메모리카드로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는 하나의 메모리카드만을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합기의 현재 모드를 수동 스위칭 모드로 선택한다. 도 5b는 수동 스위칭 모드에서의 메모리카드의 FA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메모리카드만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카드의 FAT(112)의 제3 파일로부터 사용자가 아래 방향키를 누르는 경우 제1 파일이 선택된다. 즉, 제1 메모리카드로부터 제2 메모리카드로의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2 메모리카드의 FAT(122) 또는 제3 메모리카드의 FAT(132)에서의 파일 선택도 해당 메모리카드 내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다른 메모리카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메모리카드를 직접 선택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프린터, 예를 들어 포토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순서를 관리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동시에 각각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메모리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중인 메모리카드를 메모리카드 슬롯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메모리카드를 빈번하게 삽입하고 분리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메모리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합기의 현재 모드를 수동 스위칭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메모리카드를 직접 선택하여 원하는 메모리카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로부터 수신되는 메모리카드 자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카드가 어떤 메모리카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메모리카드의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고, 메모리카드 슬롯을 메모리카드의 보관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 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계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순서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선택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 file allocation table)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파일 할당표에 정렬된 파일의 최초 또는 최종 파일로부터 상기 파일 할당표를 벗어나도록 다음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단계는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메모리카드 자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단계는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을 통해 선택된 메모리카드의 내용을 인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9. 복수의 메모리카드 슬롯을 구비하는 복합기에서 메모리카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의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이력을 관리하는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력에 포함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현재 메모리카드에서 다음 메모리카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순서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는 또한 현재 선택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 file allocation table)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파일 할당표에 정렬된 파일의 최초 또는 최종 파일로부터 상기 파일 할당표를 벗어나도록 다음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는 또한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메모리카드 자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의 종류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는 또한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로부터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파일의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할당표(FAT)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기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인 경우, 메모리카드의 스위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기의 현재 모드가 자동 스위칭 모드가 아닌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메모리카드를 직접 선택하도록 허용하고, 다른 메모리카드로 스위칭하지 않고 상기 선택된 메모리카드만을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메모리카드가 메모리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 이력 관리자는 상기 복합기가 다시 켜지는 경우, 최근에 사 용빈도가 높은 순서로 메모리카드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카드의 내용을 인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장치.
KR1020040059195A 2004-07-28 2004-07-28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067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195A KR100677127B1 (ko) 2004-07-28 2004-07-28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US11/189,844 US20060026350A1 (en) 2004-07-28 2005-07-27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switch memory cards in a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removable disc driver
CN2005100875593A CN1728075B (zh) 2004-07-28 2005-07-27 在多功能设备中自动切换存储卡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195A KR100677127B1 (ko) 2004-07-28 2004-07-28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76A KR20060010476A (ko) 2006-02-02
KR100677127B1 true KR100677127B1 (ko) 2007-02-02

Family

ID=3592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195A KR100677127B1 (ko) 2004-07-28 2004-07-28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127B1 (ko)
CN (1) CN1728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6142B (zh) * 2011-09-14 2014-08-1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媒体设备扫描方法、系统及媒体设备
CN106569752B (zh) * 2016-12-27 2019-07-02 哈尔滨安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合并磁盘分区的系统及方法
CN112006339B (zh) * 2018-02-09 2023-07-0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发热丝识别装置、方法、电子烟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137A (ja) 1999-01-12 2000-07-28 Kowa Co 情報記憶装置
KR20030033029A (ko) * 2000-08-17 2003-04-26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호스트와 직렬 통신하는 다중 착탈식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JP2004046498A (ja) * 2002-07-11 2004-02-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4206499A (ja) 2002-12-26 2004-07-22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137A (ja) 1999-01-12 2000-07-28 Kowa Co 情報記憶装置
KR20030033029A (ko) * 2000-08-17 2003-04-26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호스트와 직렬 통신하는 다중 착탈식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JP2004046498A (ja) * 2002-07-11 2004-02-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4206499A (ja) 2002-12-26 2004-07-22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8075A (zh) 2006-02-01
CN1728075B (zh) 2010-05-12
KR20060010476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4952C (zh) 扫描仪及其操作菜单的显示控制方法
CN102404473B (zh) 画面控制装置和图像形成装置
EP2575343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system
US8046756B2 (en) Multifunc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240766A1 (en) Image forming device
US75090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55870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03903A (ja) 画像処理装置と管理装置
US20060026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switch memory cards in a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removable disc driver
JP5326944B2 (ja) 画像形成装置、画面表示方法、プログラム
US8516570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program
KR100677127B1 (ko) 복합기에서의 메모리카드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JP2004234195A (ja) 自動プログラム登録機能
JP3922371B2 (ja) 印刷システム
JP5041022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402307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2073241A (ja) 表示言語切替装置
JP431366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5269203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ペリフェラル装置
US94059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103167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435962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202101865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US20240056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5577968A (zh) 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