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099B1 -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099B1
KR100676099B1 KR20050063748A KR20050063748A KR100676099B1 KR 100676099 B1 KR100676099 B1 KR 100676099B1 KR 20050063748 A KR20050063748 A KR 20050063748A KR 20050063748 A KR20050063748 A KR 20050063748A KR 100676099 B1 KR100676099 B1 KR 10067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field
frame
stereo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172A (ko
Inventor
요시노리 스즈키
충 셍 분
츠토무 호리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5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방법은 톱 필드(top field)와 바텀 필드(bottom field)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이며, 톱 필드와 바텀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필드를 복호하여, 2개의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2개의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2개의 복호 필드를 동시에 출력한다.
동화상 복호방법, 복호 필드, 출력, 톱 필드, 바텀 필드

Description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a record medium having a moving picture decoding program thereon,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 record medium having a moving picture encoding program thereon, and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부호화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 차트.
도 2는 부호화된 동화상(스테레오 영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복호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 차트.
도 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부호화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 차트.
도 5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복호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 차트.
도 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 복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복호의 처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플로 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면.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부호화 방식인 H.264 확장 방식의 드래프트 규격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에 있어서의 좌안용(左眼用)으로 준비된 화상(왼쪽 화상) 및 우안용(右眼用)으로 준비된 화상(오른쪽 화상) 각각을 인터레이스(interlace) 신호(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있어서의 홀수라인 필드 및 짝수라인 필드 중 어느 하나로서 부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가 스테레오 영상에 관계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스테레오 비디오 필드 메시지(스테레오 정보)가 정의되어 있다.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스테레오 비디오 필드 메시지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더는 복호된 각 필드가 스테레오 영상의 좌안 또는 우안 화상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예를 들면, Text of ISO/IEC 14496-10:2003/FPDAM1(AVC Professional Extensions), 2004년 3월을 참조). 또, 여기에서 말하는 필드란 동화상을 구성하는 화상이며, 1장의 화상인 프레임에 있어서의 홀수라인의 주사선에 의해 형성된 화상(홀수라인 필드) 및 짝수라인의 주사선에 의해 형성된 화상(짝수라인 필드)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다.
한편, H.264 방식에서는 동화상의 재생의 단위인 재생 픽처(픽처란 프레임, 필드 및 2개의 필드의 페어(이하, 2필드 페어(pair)라고 부른다)의 총칭이다)의 출력 시각의 상대관계를 픽처 오더 카운트(POC; Picture order count)라는 정보로 정의하고 있고, 또한 톱 필드(Top field)와 바텀 필드(Bottom field)의 POC를 톱 POC, 바텀 POC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 톱 필드와 바텀 필드를 같은 프레임 또는 2필드 페어로 하는 경우(2개의 필드에 같은 프레임 번호를 부여함)에는 톱 POC와 바텀 POC 중 작은 값을 POC라고 정의한다. 그 때문에, 2개의 필드의 POC치가 같은 값이 된다. 톱 필드와 바텀 필드를 개별의 필드로 하는 경우(2개의 필드에 다른 프레임 번호를 부여함)에는 2필드의 POC치는 다르다. 이 정보는 각 픽처간의 시간방향의 상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화상간의 예측 처리 등에 사용된다. 또한, H.264 방식에서는 재생 픽처의 타임 스탬프의 부호화가 규정되어 있다. H.264 방식의 상기 타임 스탬프의 정보를 유지하는 픽처 타이밍 메시지에 있어서는 픽처 타입 정보(picture_struct)로, 부호화하는 타임 스탬프의 수(프레임은 1개, 필드는 1개, 2필드 페어는 2개 등)를 지정할 수 있다. 또, 영상 및 음성을 통합하는 시스템 데이터로 시각 정보를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타이밍에 관해서 규정되어 있지만, 상기한 규격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을 포함하여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스테레오 영상으로서 재생하여 출력되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스테레오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면, 좌우 화상이 다른 시각에서 어긋나 출 력되어,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방법은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으로,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픽처와 제 2 픽처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화상 복호방법에 의하면, 취득한 스테레오 정보에 근거하여 각 픽처의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며,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와,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픽처와 제 2 픽처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복호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키고, 출력 처리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장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픽처와 제 2 픽처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생성하는 복호수단과,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출력수단은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픽처와 제 2 복호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방법은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이며,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과,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며,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처리와,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로,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과,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픽처를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방법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서로 대응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출력 스텝에서의 판단에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의 스테레오 정보의 취득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의 취득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동화상 복호방법에 의하면, 취득한 스테레오 정보에 근거하여 각 필드의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로 이루어지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와,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서로 대응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복호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키고, 출력 처리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장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서로 대응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수단과,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출력수단은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출력 스텝에 있어서,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다른 시각에 출력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방법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과,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한다」고 하는 것에는 부호화한 필드 등과 스테레오 정보를 다중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방법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과,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시각 정보 부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방법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복호하여 취득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 취득 스텝을 더욱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출력 타이밍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출력 타이밍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화상 복호방법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복호하여 취득하는 출력 시각 정보 취득 스텝을 더욱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출력 시각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출력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 타이밍 정보는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시각의 정보에 대응한 시각을 출력 시각으로 한다는 취지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 타이밍 정보는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에 할당된 출력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의 대소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 레오 정보 부가 처리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며,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처리와,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시각 정보 부가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로,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과,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로, 제 1 필드와 제 2 필드가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2장의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 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과,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동시에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시각 정보 부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방법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이며,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방법은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스테레오 화상으로서의 대응관계에 관한 대응관계 정보를 복호하는 대응 정보 복호 스텝을 더욱 포함하고, 출력 스텝에 있어서, 대응 정보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대응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 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며,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와,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복호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키고, 출력 처리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복호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수단과, 복호수단에 의해 복호된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출력수단은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하여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방법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이며,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과,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방법은 프레임의 스테레오 화상으로서의 대응관계에 관한 대응관계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대응 정보 부가 스텝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며,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처리와,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을 부호 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로, 인터레이스 주사 화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이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과,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타이밍 정보, 또는 프레임을 스테레오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 출력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정보 부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H.264 확장 방식의 데이터 구조, 즉, 스테레오 비디오 필드 메시지(이하에서는 스테레오 정보) 및 픽처 타이밍 메시지(이하에서는 시각 정보)와 H.264 확장 방식의 부호화방법(프레임/필드/프레임·필드 적응)을 베이스로 한 예로, 본 발명의 출력 타이밍 정보, 출력 시각 정보의 부호화 및 복호 처리 및 그것을 실현하는 부호화 및 복호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출력 타이밍 정보는 제 1 필드와 제 2 필드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유지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한다.
[제 1 실시예]
부호화 및 복호 처리의 제 1 실시예로서 출력 타이밍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프로그램 처리를 예로 들어 부호화 및 복호 처리를 설명한다.
도 1에, 출력 타이밍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 처리의 플로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에 대응하는 2필드 페어를 출력 처리하는 타이밍을 2개의 필드 각각의 출력 시각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지시 정보(출력 타이밍 정보)를 준비한다. 이 지시 정보를 스테레오 영상에 포함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하면, 스테레오 정보의 부호화 순서만의 추가에 의해, 다른 부호화 처리를 변경하지 않고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가 가능해진다.
부호화 처리 개시 프로그램이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호출되는 것 등에 의해 처리가 개시된다(S301). 부호화 프로그램은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대하여 메모리의 확보 등의 부호화 준비를 하게 하는(도시하지 않음) 동시에, 스테레오 정보(11)를 생성시킨다(S302,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레오 정보(11)는 부호화된 데이터(10)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도 2b에 스테레오 정보(11)의 포맷을 도시한다. 스테레오 정보 타입(21)은 스테레오 정보의 개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이며, 데이터 복호시에는 이 정보의 검출에 의해, 스테레오 정보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필드 구성 정보(22)는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서로 대응하는 톱 필드(제 1 필드) 및 바텀 필드(제 2 필드)의 어느 쪽의 필드로서 부호화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한 정보(23)는 톱 필드와 바텀 필드의 부호화방법에 제한을 부여하는 플래그이며, 톱 필드와 바텀 필드간의 참조를 금지하고, 편안(片眼)) 화상을 단독으로 복호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게 하는 것이다. 출력 타이밍 정보(24)는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필드를 동시에 출력 처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복호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이 정보가 "톱 필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필드를 톱 필드의 출력 시각에 동시에 출력 처리하 고(또는 톱 POC를 기준으로 하여 출력 처리하고), "바텀 필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필드는 바텀 필드의 출력 시각에 출력 처리한다(또는 바텀 P0C를 기준으로 하여 출력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302에서는 필드 구성(22)으로,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각각 톱 필드와 바텀 필드에 할당하고, 또한 출력 타이밍 정보(24)로 톱 필드를 출력 타이밍으로 지정한 것을 가정한다(톱 POC를 출력 시각의 기준치로 함). 다음에, 부호화 프로그램은 스테레오 화상 1장을 입력시키고(S303), 이것을 부호화 대상의 2개의 필드에 입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킨다(S304).
또한, 부호화 프로그램은 필드의 부호화 방식을 선택시킨다(S305). H.264 방식에서는 프레임 부호화, 필드 부호화, 프레임/필드 적응 부호화의 3종류의 부호화 방식이 있지만, 본원의 포인트인 시각 정보에 관해서는 프레임 부호화와 프레임/필드 적응 부호화에서는 마찬가지로 처리되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프레임 부호화와 필드 부호화만을 생각한다. 부호화 방식의 선택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보드 또는 미리 준비된 부호화 조건의 GUI가 사용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선택수단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드를 2종류 방법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 효율이 높은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 필드간의 통계적인 상관을 계산하여 임계치 처리에 의해 선택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음에, 부호화 프로그램은 선택한 부호화 조건으로, 각 픽처를 부호화시킨다. 여기에서, 픽처란 프레임과 필드의 총칭이다. 필드 부호화에서는 부호화 프로그램은 우선, 톱 필드의 출력 시각(tT)을 설정시키고, 이것을 부호화시킨다(S311,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 이와 같이 부호화된 시각 정보는 각 픽처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정보(12)는 픽처 데이터(13)에, 시각 정보(14)는 픽처 데이터(15)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2c에 시각 정보의 포맷을 도시한다. 시각 정보의 개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하는 시각 정보 타입(31)으로부터 시작되어, 픽처 타입(32), 타임 스탬프(33)로 이어진다. 픽처 타입은 그 픽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그 구조에는 프레임, 필드(톱 필드/바텀 필드), 필드 페어(2개의 필드를 프레임 부호화 또는 프레임/필드 적응 부호화로 처리) 등이 있다. 타임 스탬프는 출력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픽처 타입이 프레임 또는 필드인 경우는 1개, 필드 페어의 경우는 2개(각 필드의 출력 시각)의 출력 시각 정보(타임 스탬프)를 부호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프로그램은 픽처 타입(32)을 필드로서 부호화하고, 타임 스탬프의 형식으로 tT를 부호화한다.
다음에, 부호화 프로그램은 톱 필드의 부호화 처리를 실시시킨다(S312,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 마찬가지로, 부호화 프로그램은 바텀 필드의 출력 시각(tB(tB=tT+1/60초))의 부호화(S313,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 및 바텀 필드의 부호화 처리를 계속해서 행하게 한다(S314,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 또, H.264에서는 이 때, 2개의 필드에 같은 프레임 번호를 부여하여 두면, POC치가 같은 값이 되고, 복호 처리에 있어서 유효하다. POC치가 같은 2개의 필드의 복호 화상은 복호측에서는 같은 프레임의 데이터로서 관리되기 때문에, 동시 출력이 용이 해진다. 이와 같이, 2개의 필드가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보존되는 구조를 갖는 부호화 방식에서는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가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보존되도록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복호 처리에 있어서의 동시 출력 처리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는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가 복호 처리로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보존되도록, 2개의 필드에 같은 픽처 번호를 부여하는 부호화방법을 포함한다.
한편, 프레임 부호화에서는 부호화 프로그램은 우선, 2개의 필드의 출력 시각(tT와 tB)을 부호화시킨다(S321). 픽처 타입(32)을 프레임으로 하여, 2개의 출력 시각을 2개의 타임 스탬프(33)로 부호화시킨다. 그리고, 2필드 페어를 프레임 부호화한다(S322).
다음에 부호화 프로그램은 부호화한 각 요소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구성시킨다(S306, 스테레오 정보 부가 스텝,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스텝). 도 2a는 비트 스트림(부호화 데이터(10))의 예를 도시한다. 비트 스트림은 시퀀스 헤더 등의 시퀀스 전체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시작되어(도시하지 않음), 각 픽처의 정보가 이어진다. 스테레오 정보(11)는 시퀀스 전체에 관계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비트 스트림의 최초의 픽처보다도 앞에 배치한다. 또한, 비트 스트림의 도중에서 복호하는 경우 등도 고려하여, 랜덤 액세스 단위의 선두부에도 수시 배치한다(도시하지 않음). 시각 정보(12, 14)는 기본적으로 각 픽처 데이터(13, 15)의 앞에 배치한다. 또, 스테레오 정보나 시각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정리하는 시스템 데이터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그 경우에 도, 복호 순서의 위치관계는 같다. 이하, 부호화 프로그램은 S303으로부터 S306까지의 처리를 반복 처리시키고, 입력 픽처가 종료한 시점(S307)에서 부호화 처리를 종료시킨다(S308).
이어서, 스테레오 영상의 복호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출력 타이밍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복호 처리의 플로를 도시한다. 복호 처리 개시 프로그램이, 동화상 복호장치에서 호출되면(S40l), 복호 프로그램은 동화상 복호장치에 대하여, 입력 부호화 데이터의 선두부로부터 시퀀스 전체의 처리에 관계되는 정보를 복호하여, 메모리의 확보 등의 부호화 준비를 한다(도시하지 않음). 이 때에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여, 참조시키고(S402,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 복호 화상이 스테레오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시킨다(S403, 출력 스텝). 또, S403에 있어서의 판단은 S402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S402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부호화 데이터가 스테레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스테레오 정보의 요소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한 출력 타이밍 정보(24; 도 2b 참조)로 지정되는 페이즈의 필드를 출력 타이밍 기준으로 하여 설정시킨다(S450, 출력 타이밍 정보 취득 스텝). 본 실시예에서는 톱 필드의 출력 시각과 동시에 2개의 필드를 출력시킨다고 한다는 취지의 정보가 출력 타이밍 정보(24)에는 포함되어 있고, 그와 같이 설정한다(톱 POC를 출력 시각의 기준치로 함).
다음에, 복호 프로그램은 다음에 출력하는 픽처의 시각 정보를 복호시키고(S404), 픽처 타입에 의해 프레임이 필드인지를 판정시킨다(S405). 그리고, 픽처 타입이 프레임인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시각(t1과 t2; 수치는 복호순)을 각각 tT와 tB로 하고(S408, 출력 스텝),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프레임을 취득시킨다(S452, 출력 스텝). 픽처 타입이 필드인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t를 tT로 한 후에(S406, 출력 스텝), 픽처 데이터를 복호시키고, 복호 톱 필드(복호 필드)를 취득시킨다(S451, 복호 스텝). 또한, 시각 정보를 복호시키고(S404, 출력 스텝),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시킨 t를 tB로 하는 동시에(S407, 출력 스텝), 픽처 데이터를 복호시켜 복호 바텀 필드(복호 필드)를 취득시킨다(S451, 복호 스텝).
다음에, 복호 프로그램은 S450에서 출력 타이밍으로 설정한 필드 페이즈(phase)의 정보에 따라서, 출력 시각을 수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타이밍 설정이 톱 필드인지 바텀 필드인지를 판정하여(S453, 출력 스텝), 톱 필드인 경우에는 tB의 값을 tT로 재기록하고(S454, 출력 스텝), 바텀 필드인 경우에는 tT의 값을 tB로 재기록시킨다(S455, 출력 스텝).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타이밍을 톱 필드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tB=tT가 되고, 그 결과,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에 대응하는 2개의 필드의 출력 시각 설정이 동시각이 된다. 그 후, 복호 프로그램은 복호 프레임과 출력 시각(이 실시예에서는 tT)과 필드 구성(22)을 표시 처리에 주고받게 하고, 상기한 시각에 근거하여 각 필드를 동 시각에서 출력시킨다(S410, 출력 스텝). 여기에서, 표시 처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좌우 화상을 표시 버퍼(표시장치에 출력 하기 전의 표시 화상을 보존하는 버퍼)나 프리젠테이션 버퍼(표시 처리용의 버퍼(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는 것도 포함함))에 동시 출력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H.264 방식에서는 같은 POC치를 가지는 2개의 필드는 같은 프레임 메모리(복호 처리부 내의 버퍼)에 기록된다. 그 때문에, 부호화 처리에서,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가 같은 POC치를 가지도록, 좌우 화상에 대응하는 2개의 필드에 같은 프레임 번호를 부여하여 두면 좋다. 또한, 별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좌우 화상을 버퍼에 각각의 타이밍으로 출력하여, 표시장치에서의 실제의 표시를 할 때에 좌우 화상을 동시에 표시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하, S404로부터 S410까지의 처리를 부호화 데이터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하고(S411), 부호화 데이터를 전부 복호한 시점에서, 복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403에서 부호화 데이터가 스테레오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우선, 복호 프로그램은 다음 픽처의 시각 정보를 복호시키고(S404), 픽처 타입이 프레임이 필드인지를 판정시킨다(S405). 그리고, 픽처 타입이 프레임인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시각(t1과 t2; 수치는 복호순)을 각각 tT와 tB로 시킨다(S408). 픽처 타입이 필드인 경우에는 또 톱 필드인지 바텀 필드인지를 픽처 타입으로 판정시키고(S405), 톱 필드인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t를 tT로 시키고(S406), 바텀 필드인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t를 tB로 시킨다(S407). 시각 정보의 복호 및 출력 시각의 설정 후, 1장의 픽처 데이터를 복호시키고, 복호 프레임 또는 복호 필드를 취득시킨다(S409). 그 후, 복호 프로그램은 복호 픽처와 출력 시각을 표시 처리에 주고받게 한다(S410). 이하, S404로부터 S410까지의 처리를 부호화 데이터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하고(S411), 부호화 데이터를 전부 복호한 시점에서, 복호 처리를 종료한다. 또, 부호화 데이터가 스테레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는 S404로부터 411까지의 처리가 없어도 좋다. 또는 별도의 처리로 바꿔 두어도 좋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시각 정보를 각 픽처에 부가하고 있지만, 매 픽처에 반드시 지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시각 정보의 지정이 없는 픽처에서는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픽처의 타임 레퍼런스(reference(H.264에서는 POC))와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픽처의 타임 레퍼런스의 관계로부터, 입력 화상의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에 기초하여 타임 스탬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출력 타이밍 정보를 이용한 스테레오 부호화의 경우에는 또 서로 대응하는 2개의 필드에 대하여 1개의 출력 시각 정보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스테레오 정보의 출력 타이밍을 출력 시각의 환산을 하기 위한 기준 필드로서 이용한다. 예를 들면, 기준 필드가 톱 필드인 경우에는 시각 정보(tT)가 부가되어 있는 톱 필드의 톱 POC와,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필드 페어에 있어서의 톱 POC의 관계로부터 tT를 계산하고, 이것을 스테레오 화상의 출력 시각으로 하면 좋다. 또한, POC 와 같은 픽처 번호와 복호 처리부의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여 표시 처리를 하는 복호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호 처리에서 규정되는 프레임 버퍼의 관리법칙에 근거하여, 픽처 번호의 순서에 프레임 버퍼 내의 프레임 메모리의 데이터가 표시 버퍼(또는 프리젠테이션 버퍼)에 출력되어 표시 처리된다. 이 때, 같은 픽처 번호를 가지는 2필드 페어는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되기 때문에, 동시에 표시 버퍼에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부호화 및 복호 처리의 제 2 실시예로서 출력 시각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 처리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프로그램 처리를 예로 들어 부호화 및 복호 처리를 설명한다.
도 4에, 본 실시예의 출력 시각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 처리의 플로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의 출력 타이밍 정보를 사용한 방법과의 상위점은 부호화방법이 필드 부호화인지 프레임 부호화인지에 상관없이, 2개의 필드의 페어, 즉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동시에 출력 처리하는 시각으로서 1개의 타임 스탬프(tFR)를 부호화하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및 복호방법에 있어서의 시각 정보의 순서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있지만, 제 1 실시예의 플로와 비교(도 1과 도 4, 도 3과 도 5)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공정수가 제 1 실시예보다도 적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도 1)와의 상위점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4)에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S311, S313 및 S321 대신에, 판정 분기 처리(S305) 전에 S309를 실시한다. S309에 있어서, 부호화 프로그 램은 양안(兩眼) 화상의 시각 정보로서, 프레임을 단위로 한 타임 스탬프(tFR)를 부호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테레오 정보로 스테레오 데이터인 것을 식별하는 경우에 관해서만, 시각 정보의 픽처 타입을 프레임으로 하여, 1개의 타임 스탬프를 부호화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타임 레퍼런스(H.264에서는 톱 P0C나 바텀 P0C)가 다른 2개의 필드를 동시에 출력 처리하기 위한 출력 시각을 지정할 수 있다.
또, 도 4에서 도시하는 부호화 처리에서는 출력 시각 정보의 부호화(S309)를 분기 판단(S305) 전에 실시하였지만, 변형예로서, 이것을 각 픽처의 부호화(S312, S314, S322) 전에 각각 출력 시각 정보의 부호화(S309)를 실시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픽처 데이터 전에 반드시 시각 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복호 처리 후의 표시 처리에 있어서,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의 관계가 더욱 명확해진다. 특히, H.264 방식과 같이 2개의 필드에 같은 픽처 번호(P0C치)를 할당할 수 있는 방식에서는 같은 POC치를 가지는 2개의 필드를, 복호 처리 후,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에 같은 POC치를 할당하고, 또한, 2개의 필드에 같은 시각 정보를 할당하여 둠으로써, 복호 처리부는 같은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된 좌우 화상을 동시에 표시 처리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H.264와 같이 2개의 필드에 같은 픽처 번호(POC치)를 할당할 수 있는 방식에서는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에 같은 프레임 번호를 할당하는 것으로 2개의 필드의 POC치가 같은 값이 되기 때문에, 시각 정보를 픽처 데이터 내의 프레임 번호로 바꾸어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프레임 번호와 같이 실질적으로 필드를 출력하는 시각을 특정하는 정보도 출력 시각 정보에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출력 시각 정보를 사용한 스테레오 영상의 복호 처리의 플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실시예(도 3)와 같이, 복호 처리 개시 프로그램이 호출되면(S401), 복호 프로그램은 동화상 복호장치에, 입력 부호화 데이터의 선두부로부터 시퀀스 전체의 처리에 관계되는 정보를 복호시키고, 메모리의 확보 등의 부호화 준비를 하게 한다(도시하지 않음). 이 때에, 스테레오 정보를 참조시키고(S402), 복호 화상이 스테레오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시킨다(S403). 또, S403에 있어서의 판단은 S402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S402에 있어서 스테레오 정보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스테레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처리가 되기 때문에, 설명을 할애한다. 스테레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스테레오 정보를 복호하여, 복호한 출력 타이밍 정보로 지정되어 있는 페이즈의 필드를 출력 타이밍 기준으로 설정한다(S450). 이 출력 타이밍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정보를 가지지 않는 프레임(2개의 필드의 페어)의 출력 시각을 환산할 때의 기준 필드로서 이용한다. 다음에, 복호 프로그램은 다음 프레임의 시각 정보(t)를 복호하고(S404), 타임 스탬프로서 복호한 t를 tFR로 하는 동시에(S456), 픽처 데이터를 복호시킨다(S409). 그리고, 복호한 픽처가 프레임이 필드인지를 판정하고(S405), 필드인 경우에는 또 상기한 S409에서 복호한 톱 필드와 동시에 출력하는 필드를 마찬가지로 S409에서 복호한다. 그 후, 복호 프로그램은 복호 프레임과 출력 시각(tFR)을 표시 처리에 주고받는다(S410). 이하는 제 1 실시예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처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좌우 화상을 표시 버퍼(표시장치에 출력하기 전에 표시 데이터가 보존되는 버퍼)나 프리젠테이션 버퍼(표시 처리용 버퍼)에 동시 출력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H.264 방식에서는 같은 POC치를 가지는 2개의 필드는 같은 프레임 메모리(복호 처리부 내의 버퍼)에 기록된다. 따라서, 부호화 처리에서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가 같은 POC치를 가지도록, 좌우 화상에 대응하는 2개의 필드에 같은 프레임 번호를 부여하여 두면 좋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하는 복호 처리에서는 출력 시각 정보의 복호 및 설정(S404, S456)을 최초의 픽처의 복호(최초의 S409)의 전에만 실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2개의 필드에 같은 시각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복호(제 2의 S409)의 전이라도, 그 필드에 대응한 출력 시각 정보의 복호 및 설정(S404, S456)이 실시된다. 또 상술한 시각 정보를 프레임 번호와 바꾸는 경우에는 S404 및 S456의 처리는 S409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되는 프레임 번호를 시각 정보로 바꾸는 것으로 대체된다.
[장치 구성]
이어서, 출력 타이밍 정보, 출력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 처리를 실시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200) 및 동화상 복호장치(1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처리에 관해서는 부호화 처리 및 복호 처리로서 설명 완료를 위해서, 여기에서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 처리부의 역할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동화상 부호화장치(200)의 처리 블록도를 도시한다. 우선, 입력 스테레오 화상이 데이터 패스(201)를 통해서 프레임 메모리(211)에 일시 보존된다. 입력 디바이스(212)에서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테레오 정보 및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패스(204)를 통해서, 데이터 다중화부(214)에 출력한다. 또 입력 디바이스(212)는 데이터 패스(205)를 통해서 입력 스테레오 화상을 판독하고, 이것을 부호화 처리부(213)가 대상으로 하는 화상 포맷(여기에서는 도 3 등의 S304에 도시한 좌우 화상으로부터 2개의 필드로의 변환)의 피부호화 화상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 패스(202)를 통해서 부호화 처리부(213)에 출력한다. 이 입력 디바이스에서의 변환 처리에는 또 입력 RGB 신호로부터 YUV 컴포넌트 신호로의 변환이나 화상을 부호화에 적합한 잡음이 적은 화상으로 변환하는 필터 처리 등도 포함된다. 부호화 처리부(213;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 출력 시각 정보 부가수단)는 입력한 피부호화 화상을 부호화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다중화부(214; 스테레오 정보 부가수단, 출력 시각 정보 부가수단)는 데이터 패스(203)를 통해서 취득한 비디오 데이터와 데이터 패스(204)를 통해서 취득한 스테레오 정보나 시각 정보 등의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 데이터를 합성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입력 디바이스와 데이터 다중화부에 스테레오 정보나 시각 정보에 대응한 처리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부호화 처리부를 변경하지 않고 스테레오 화상의 부호화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동화상 복호장치의 처리 블록도를 도시한다. 우선, 데이터 패스(101)를 통해서 파서(111; parser(입력수단))에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패스102를 통해서 디코드 처리부(112;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 복호수단, 출력수단)에, 스테레오 정보나 시각 정보는 데이터 패스(104)를 통해서 표시 디바이스에 건네진다. 디코드 처리부(112)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픽처를 재생하고, 데이터 패스(103)를 통해서, 프레임 메모리(113)에 일시 보존한다(디코드 처리부(112)는 통상 링 버퍼에 의해 복수의 복호 화상을 관리하기 때문에, 복호 화상의 프레임 메모리(113)도 디코드 처리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표시 디바이스(114)는 복호한 스테레오 정보와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스(105)를 통해서 입력되는 복호 픽처를 내부의 표시 버퍼에 보존하고, 이것을 표시장치(115)의 형식에 대응한 표시 화상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패스(106)를 통해서 표시장치(115)에서 표시한다. 이 표시 디바이스에서의 변환 처리에는 YUV 컴포넌트(component) 신호로부터 RGB 신호로의 변환이나 표시장치(115)의 컬러 필터 등에 대응한 영상 정형 처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파서와 표시 디바이스의 처리에 스테레오 정보와 시각 정보에 대응한 기능만의 변경에 의해, 디코드 처리부를 변경하지 않고 스테레오 화상의 복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디바이스는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의 복호 화상을 표시 버퍼에 넣고, 2화상을 표시장치의 포맷에 합성한다. 또 이때, 상술한 좌우 화상을 구성하는 2필드가 같은 POC치를 가지는 경우에는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의 복호 화상을 구성하는 2개의 필드가 동시에 표시 버 퍼에 출력된다. 또한 한편, 표시 버퍼에 각각의 타이밍으로 출력되는 경우는 표시장치에서의 실제의 표시를 할 때에 좌우 화상을 동시에 표시시킨다. 합성 화상의 출력 시각은 출력 타이밍 정보와 시각 정보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방법으로 설정한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형하여 실시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H.264 방식을 베이스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출력 타이밍 정보나 출력 시각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와 떼어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은 특정한 부호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H.264의 프레임 부호화, 필드 부호화, 프레임/필드 적응 부호화 중 어느 하나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부호화 방식이나 또 필드 화상의 부호화방법이 준비되어 있는 부호화 방식에 있어서도, 2개의 필드를 다른 시각에 출력하는 부호화 방식이면,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출력 타이밍 정보는 좌우 화상에 대응하는 2개의 필드 중, 어느쪽의 필드의 출력 타이밍으로 2개의 필드를 동시 출력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따라서, 그 목적을 만족하는 형식이면, 도 2의 스테레오 정보(11)의 포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출력 타이밍 정보의 요소를 톱 필드, 바텀 필드로 하고 있지만, 별도의 방법이어도 선택하는 방법이 규정되어 있으면 출력 시각은 일의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개의 필드를 식별하는 값(예를 들면, POC)의 대소를 출력 타이밍 정보의 요소로 하는 방 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미리 출력 타이밍의 요소를 하나로 정하여 두면 출력 타이밍 정보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단, 이 경우에는 스테레오 정보의 시맨틱스(semantics)로 미리 정한 출력 타이밍의 정보를 규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POC 및 POC에 대응하는 출력 시각 등을 출력 타이밍의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420에서 복호된 픽처는 프레임 메모리에 보존된다(S423). 프레임 메모리에 보존한 복호 픽처를 표시장치에 출력할 때는 복호 픽처가 스테레오 화상인지의 여부를 스테레오 정보로부터 판정하고(S403), 스테레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2개의 필드를 동시에 표시장치에 출력하고(S421), 스테레오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인터레이스 화상으로서, 필드마다 표시장치에 출력한다(S422). 이 경우에도, 디코더(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 화상의 출력처는 표시장치가 아니라 표시 디바이스 내의 표시 버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출력 시각의 정보를 픽처 데이터와는 별도로 부호화하고 있지만, 픽처 데이터 내에서 부호화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개시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에 의한 출력 시각의 지정 처리는 실현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시각 정보에 있어서의 픽처 타입 정보(32)는 픽처 데이터의 픽처 헤더에서 부호화하기 대문에, 통상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시각 정보도 단순한 부호화 순서를 바꿈으로써 픽처 데이터로서 부호화하는 것은 가능하고,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각 정보를 비디오의 부호화 데이터 내에서 취급하고 있지만,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비디오의 부호화 데이터를 정리하는 시스템 데이터의 시각 정보에서도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시각 정보를 부호화 및 복호하기 위한 픽처 타입은 데이터로서 명시하지 않더라도 스테레오 정보의 유무로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또, 스테레오 정보도 마찬가지로 시스템 데이터에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각 정보를 타임 스탬프의 형식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시각의 표시형식에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시각 표시 형식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20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 입력 디바이스 및 데이터 다중화부를 부호화 처리부와는 다른 처리 요소로 하고 있지만, 그 일부가 부호화 처리부에 포함된 부호화장치도 본 발명의 부호화 처리방법이 실현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하는 동화상 복호장치(100)에서는 파서, 프레임 메모리 및 표시 디바이스를 디코드 처리부와는 다른 처리 요소로 하고 있지만, 그 일부가 디코드 처리부에 포함된 복호장치도 본 발명의 복호 처리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 2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스테레오 정보가 존재할 때의 시각 정보의 픽처 타입을 프레임으로 하고 있지만, 2개의 필드에 대하여 타임 스탬프를 1개로 규정할 수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픽처 타입의 후보에 부호화하는 타임 스탬프의 수를 1개로 규정하는 「스테레오」를 추가하는 경우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톱 필드를 바텀 필드보다도 먼저 부호화 및 복호 처리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본원의 특징은 톱 필드와 바텀 필드의 부호화 및 복호 처리 순서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바텀 필드를 먼저 부호화 및 복호 처리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스테레오 화상의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톱 필드와 바텀 필드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할당에 관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터레이스 부호화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좌우안(左右眼)의 화상을 다른 시각에서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부호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안의 화상을 교대로 프로그래시브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좌우안 화상의 출력 시각이 다르다. 이 경우, 출력 타이밍 정보로서, 홀수 프레임과 짝수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출력 시각으로서 설정하는 방법이나, 시각 정보의 픽처 타입에 2개의 프레임을 동시에 출력하는 타입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본원의 응용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2안의 스테레오 화상의 인터레이스 부호화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N안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안 화상을 다른 프레임으로서 프로그래시브 부호화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N안 화상이란, 예를 들면 좌우 2안뿐만 아니라, 상하 2안에 의해서도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스테레오 화상(이 경우는 상하 및 좌우이기 때문에 4안 화상), 또는 각도에 따른 다른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스테레오 화상 등을 가리킨다.
이 경우에는 N안 화상을 구성하는 복호 프레임을 연속하여 디코더로부터 표 시 버퍼(또는 프리젠테이션 버퍼)에 출력한다. 그 때문에, 디코드 처리부와 프레임 메모리는 연속하는 N안 화상의 조합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픽처 번호(H.264 방식에서는 POC)를 N으로 나누었을 때, 그 소수점 이하를 잘라 버린 제산치가 같은 값이 되는 프레임의 조합을 N안 화상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한 연산에서, 픽처 번호로부터 오프셋치(예를 들면, 임의 프레임의 픽처 번호)를 뺀 값을 N으로 나누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N안 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조합을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한 값을 입력으로 한 별도의 연산을 사용한 것, 또는 부호화 방식이 정하는 기준치 등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조합의 식별은 랜덤 액세스 가능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한다. H.264에서는 랜덤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단위는 2종류 있다. 첫째로는 예측 참조 관계를 가지지 않는 특별한 픽처 타입을 가지는 픽처이며, 이 픽처에서 POC의 카운트는 O으로 리셋된다. 둘째로는 프레임 메모리의 관리를 리셋한 픽처이다. 픽처간의 예측관계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픽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부호화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으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조합의 식별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N의 값은 예를 들면 좌우 화상의 2와 같이 미리 정하여 두면 스테레오 정보의 존재에 의해 규정할 수 있지만, N의 값을 고정하지 않는 부호화 방식에서는 그 값을 조합하여 식별 정보(대응관계 정보의 예)로서 도 2의 스테레오 정보(11)로 명시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 조합 식별 정보도 다른 스테레오 정보(11)의 요소 데이터나 시각 정보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통신수단으로 전송되어도 좋고, 시스템 데이터로서 취급되어도 좋다. 또한, 프레임이 N안 화상을 구성하 는 어떤 화상에 대응할지의 복호 처리에 있어서의 판단은 상술한 필드 구성을 프레임 구성으로 바꿈으로써 실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 정보를 도 2b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정보(11)의 필드 구성(22)에 대응하는 부분에 정보를 유지시켜 두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N프레임의 픽처 데이터 전에 같은 시각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으로, 디코더 및 시스템은 N프레임의 재생 화상이 N안 화상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 표시 버퍼 또는 프리젠테이션 버퍼에 연속하여 출력되어 같은 시각에 표시되어야 하는 화상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테레오 정보나 시각 정보, 조합 식별 정보 등을 부호화 데이터로 하고 있지만, 별도의 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경우도, 부호화 및 복호 처리는 같기 때문에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런데,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 및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241)은 동화상 부호화장치(200) 내의 기록매체(240)에 형성된 프로그램 격납영역(240a) 내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141)은 동화상 복호장치(100) 내의 기록매체(140)에 형성된 프로그램 격납영역(140a) 내에 격납되어 있다.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241)은 동화상 부호화 처리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모듈(241a)과, 스테레오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스테레오 정보 부가 모듈(241b)과, 출력 타이밍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출력 타이밍 정보 부가 모듈(241c)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출력 시각 정보가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되는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출력 시각 정보 부가 모듈(241d; 도시하지 않음)도 구비한다. 이들의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141)은 동화상 복호 처리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모듈(141a)과,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모듈(141b)과, 각 필드를 복호하는 복호 모듈(141c)과,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141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의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출력 타이밍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출력 타이밍 정보 취득 모듈(141e;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출력 시각 정보가 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출력 시각 정보 취득 모듈(141f ; 도시하지 않음)도 구비한다.
상기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 및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 DVD, ROM 등의 기록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서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 및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은 반송파에 중첩된 컴퓨터 데이터신호로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득한 스테레오 정보에 근거하여 각 픽처(프레임 또는 필드)의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된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화상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Claims (18)

  1.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필드를 복호한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한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2.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제 1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상기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스텝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텝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방법.
  4.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복호한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한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5.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 스텝과,
    상기 복호 스텝에서 복호된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스텝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텝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스텝에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방법.
  7.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필드를 복호한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한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8.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제 1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복호수단에 의해서 복호된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 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와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장치.
  10.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복호한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한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11.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화상 복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복호수단에 의해서 복호된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장치.
  13. 컴퓨터에,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필드를 복호한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한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14. 컴퓨터에,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를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와,
    상기 제 1 필드와 상기 제 2 필드를 복호하여,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상기 복호 처리에 의해서 복호된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고,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제 2 복호 필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필드와 상기 제 2 복호 필드를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16. 컴퓨터에,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복호한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한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부가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17. 컴퓨터에,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계속되는 제 2 프레임을 각각 왼쪽 화상 및 오른쪽 화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압축 부호화한 후에 상기 스테레오 화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테레오 정보를 부가하여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하는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와,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복호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상기 복호 처리에 의해서 복호된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고,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의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제 2 복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 동시에 출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스테레오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복호 프레임과 상기 제 2 복호 프레임을 각각의 출력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050063748A 2004-07-14 2005-07-14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 KR100676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7790 2004-07-14
JPJP-P-2004-00207790 2004-07-14
JPJP-P-2004-00216384 2004-07-23
JP2004216384A JP4361435B2 (ja) 2004-07-14 2004-07-23 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172A KR20060050172A (ko) 2006-05-19
KR100676099B1 true KR100676099B1 (ko) 2007-02-02

Family

ID=3546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3748A KR100676099B1 (ko) 2004-07-14 2005-07-14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811471B2 (ko)
EP (2) EP2477410B8 (ko)
JP (1) JP4361435B2 (ko)
KR (1) KR100676099B1 (ko)
CN (2) CN1741619B (ko)
TW (1) TWI2773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83B1 (ko) * 2009-01-19 2014-09-17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프로그램, 및 집적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3917A1 (en) * 2006-08-25 2008-02-28 Enhanced Chip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stereoscopic images/videos
KR20090099547A (ko) * 2007-01-04 2009-09-22 톰슨 라이센싱 멀티뷰 코딩 비디오에서 비디오 에러 정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8140190A1 (en) * 2007-05-14 2008-11-20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image
JP2009004939A (ja) * 2007-06-20 2009-01-08 Victor Co Of Japan Ltd 多視点画像復号方法、多視点画像復号装置及び多視点画像復号プログラム
JP2009004940A (ja) * 2007-06-20 2009-01-08 Victor Co Of Japan Ltd 多視点画像符号化方法、多視点画像符号化装置及び多視点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JP4947389B2 (ja) * 2009-04-03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復号装置、画像信号復号方法、および画像信号符号化方法
JP2011119906A (ja) * 2009-12-02 2011-06-1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289386B2 (ja) * 2010-06-10 2013-09-11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伝送システム
JP2012034138A (ja) * 2010-07-29 2012-02-16 Toshiba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KR101090981B1 (ko) * 2011-05-09 2011-12-08 주식회사 쓰리디누리 3차원 영상신호 처리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형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US8860716B2 (en) * 2010-10-13 2014-10-14 3D Nuri Co., Ltd. 3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ortable 3D display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JP2012244411A (ja) * 2011-05-19 2012-12-10 Sony Corp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装置
BR112014016291A8 (pt) * 2012-01-19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s e métodos de decodificação e codificação de vídeo
JP5727398B2 (ja) 2012-01-26 2015-06-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MX352916B (es) * 2013-10-14 2017-12-14 Ericsson Telefon Ab L M Alineación de conteo de orden de imágenes en video escalable.
US9605373B2 (en) * 2013-11-12 2017-03-28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ter supply valve and water supply valve assembly for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13473221B (zh) * 2020-04-27 2023-02-03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视频播放方法及视频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901A (en) * 1986-09-03 1989-07-25 Kabushiki Kaisha Toshiba Stereoscopic television apparatus
DE59407817D1 (de) * 1993-12-29 1999-03-25 Leica Mikroskopie Sy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stereoskopischen videobildern
KR0180026B1 (ko) 1994-05-13 1999-05-01 마츠모도 세이야 입체표시방법 및 장치
US6088006A (en) * 1995-12-20 2000-07-11 Olympus Optical Co., Ltd.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system for substantially matching visual range with vergence distance
US6055012A (en) * 1995-12-29 2000-04-25 Lucent Technologies Inc. Digital multi-view video compression with complexity and compatibility constraints
EP2271090B1 (en) 1996-02-28 2013-12-11 Panasonic Corporation High-resolution optical disk for recording stereoscopic video,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JPH09289655A (ja) * 1996-04-22 1997-11-04 Fujitsu Ltd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多視画像入力方法及び多視画像処理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多視画像入力装置及び多視画像処理装置
EP2259585B1 (en) * 1996-12-04 2013-10-1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 dimensional video recording,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JPH10243419A (ja) 1997-02-26 1998-09-11 Toshiba Corp 立体視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4319268B2 (ja) * 1998-08-07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
JP2000092519A (ja) 1998-09-10 2000-03-31 Toshiba Corp 立体画像受信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3789794B2 (ja) 2001-09-26 2006-06-28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397511B1 (ko)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19720B2 (en) * 2002-01-28 2008-01-15 Microsoft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CN1254773C (zh) * 2002-05-27 2006-05-03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交错式立体影像的产生装置及方法
JP2004040455A (ja) 2002-07-03 2004-02-05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伝送再生方法、伝送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0488804B1 (ko) 2002-10-07 2005-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4 기반의 양안식 3차원 동영상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83B1 (ko) * 2009-01-19 2014-09-17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프로그램, 및 집적 회로
KR101440184B1 (ko) * 2009-01-19 2014-09-17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프로그램, 및 집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7410B8 (en) 2019-03-06
US20120013717A1 (en) 2012-01-19
JP2006054500A (ja) 2006-02-23
CN102638691A (zh) 2012-08-15
EP1628485A3 (en) 2009-07-15
TW200607360A (en) 2006-02-16
EP2477410B1 (en) 2018-09-12
EP1628485A2 (en) 2006-02-22
US20060013297A1 (en) 2006-01-19
TWI277349B (en) 2007-03-21
KR20060050172A (ko) 2006-05-19
JP4361435B2 (ja) 2009-11-11
US8811471B2 (en) 2014-08-19
CN1741619A (zh) 2006-03-01
CN1741619B (zh) 2012-05-16
EP2477410A1 (en)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099B1 (ko) 동화상 복호방법, 동화상 복호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동화상 복호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동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동화상 부호화장치
US7746931B2 (en)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41823B1 (ko) 기준 픽쳐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97354B2 (en)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RU25115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US20100045782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8750388B2 (en) Multiview video decoding apparatus, multiview video decoding method, multiview video decoding program, and multiview video decoding integrated circuit
TWI539790B (zh) 用於產生及重建一視訊串流之裝置、方法與軟體產品
US20150172688A1 (en) Image encoding apparatus, image en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image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357200B2 (en) Video processing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20080000588A (ko) 기준 픽쳐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장치
KR20140057242A (ko)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과 복호 장치 및 복호 방법
US9001892B2 (en) Moving image encoder and moving image decoder
US20140376644A1 (en) Frame pack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a new 3d coding "frame compatible" format
US8896663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JP4243095B2 (ja) 立体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1339722A (ja) マルチチャネル画像符号化装置、復号化表示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表示方法
US20130114740A1 (en) Image coding method, image coding apparatus, image de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1683216A (zh) 一种交织模式下隔行视频处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JP2011193486A (ja) 立体3dビデオイメージディジタルデコーディ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020731A (ja) 線動画像符号化・復号方法、符号化・復号装置および線動画像符号化・復号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