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877B1 -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877B1
KR100675877B1 KR1020000037293A KR20000037293A KR100675877B1 KR 100675877 B1 KR100675877 B1 KR 100675877B1 KR 1020000037293 A KR1020000037293 A KR 1020000037293A KR 20000037293 A KR20000037293 A KR 20000037293A KR 100675877 B1 KR100675877 B1 KR 10067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attern
overlay
forming
reflow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926A (ko
Inventor
김공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3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8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의 리플로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부 층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폴리 성분의 물질로 인너 측정 패턴의 한쪽면이 형성되도록 제 1 인너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리플로우 적용층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인너 측정 패턴의 나머지 한쪽면이 되는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그에 이격되는 아우터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제 2 인너 측정 패턴 및 아우터 측정 패턴을 오버레이하여 노광하는 단계;오버레이 측정자로 리플로우전에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리플로우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OVERLAY VERNIER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의 구성도
도 2a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 패턴의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리플로우시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는 레지스트 플로우 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도
도 3b는 레지스트 플로우 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제 1 인너 측정 패턴 22. 제 2 인너 측정 패턴
23. 아우터 측정 패턴 24. 슬로우프 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의 리플로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의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레지스트의 플로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이 없었다.
따라서 레지스트 플로우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eal cell 패턴에서의 리플로우 전.후의 CD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리플로우 전의 CD 측정시 측정장비의 전자빔의 영향으로 리플로우시 동일 측정 패턴의 리플로우량이 감소하게 되어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또한, 미세 콘택홀일 경우 자동 측정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 에러가 개입되어 한번의 측정 만으로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종래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vernier)으로는 단지 하위 층에 대한 상위 층의 오버랩 정도만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인너 측정 패턴(11)과 아우터 측정 패턴(10)이 모두 포토레지스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 모두 포토레지스트이기 때문에 모두에서 리플로우가 발생하고 오버레이 측정시 좌우 리플로우량의 데이터가 상쇄되어 리플로우량을 측정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리플로우 전의 CD 측정시 측정장비의 전자빔의 영향으로 리플로우시 동일 측정 패턴의 리플로우량이 감소하게 되어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또한, 미세 콘택홀일 경우 자동 측정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 에러가 개입되어 한번의 측정 만으로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의 리플로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은 하부 층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폴리 성분의 물질로 인너 측정 패턴의 한쪽면이 형성되도록 제 1 인너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리플로우 적용층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인너 측정 패턴의 나머지 한쪽면이 되는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그에 이격되는 아우터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제 2 인너 측정 패턴 및 아우터 측정 패턴을 오버레이하여 노광하는 단계;오버레이 측정자로 리플로우전에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측정 패턴의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리플로우시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레지스트 플로우 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도이고, 도 3b는 레지스트 플로우 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0.16 Tech 이하급의 반도체 제조 공정시의 리소그래피 분야의 미세 콘택홀을 형성하는 레지스트 플로우 기술에서 리플로우 량의 정량적 측정을 위한 오버레이 측정 패턴(overlay Vernier)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CD 측정만으로는 리플로우 량을 정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오버레이 측정 기법을 도입하여 전자빔으로부터 셀 패턴을 보호하고 미세 콘택홀의 CD 측정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오버레이 리딩시에 좌우의 시그널이 대칭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 층(under layer)에서 미리 인너 측정 패턴(inner vernier)의 한쪽면만을 필름층으로 형성하고 레지스트 플로우를 시행하는 후속 층에서 인너 측정 패턴의 다른 한쪽면에서만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되어 레지스트 플로우가 일어나도록 한다.
이는 오버레이 리딩시 좌우의 시그널을 대칭적으로 나타나게 하여 오버레이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하부 층(under layer)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폴리 성분의 물질로 인너 측정 패턴(inner vernier)의 한쪽면이 형성되도록 레지스트 플로우를 적용하는 층보다 하부 층에서 제 1 인너 측정 패턴(21)을 형성한다.
여기서, 레티클상에서의 사이즈는 10㎛ ×4㎛로 구성한다.
그리고 도 2b에서와 같이, 리플로우 적용층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인너 측정 패턴(inner vernier)의 나머지 한쪽면 즉, 제 1 인너 측정 패턴(22)과 아우터 측정 패턴(23)을 형성한다.
이때 레티클상의 아우터 측정 패턴(23)의 크기는 20㎛ ×20㎛이며, 제 2 인너 측정 패턴의 크기는 10㎛ ×4㎛로 한다.
그리고 아우터 측정 패턴(23)의 안쪽에서는 포토레지스트의 슬로우프 영역(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c에서와 같이, 도 2a의 제 1 인너 측정 패턴(21)과 도 2b의 제 2 인너 측정 패턴(22) 및 아우터 측정 패턴(23)을 오버레이하여 노광한다.
이때, 레티클상에서 아우터 측정 패턴(23)과 제 1,2 인너 측정 패턴(21)(22)의 이격 거리는 5㎛이며 제 1,2 인너 측정 패턴(21)(22)간의 이격 거리는 2㎛로 구성한다.
이어, 도 2d에서와 같이, 오버레이 측정자로 리플로우전에 오버레이를 측정한다.
이때 인너 측정 패턴 오버레이 리딩 값을 A라 하고, 아우터 측정 패턴의 오 버레이 리딩값을 B라 하면 리플로우전 오버레이 값은 (A-B)/2이다.
도 2e는 레지스트를 리플로우한후의 포토레지스트의 변화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부분에서 포토레지스트가 리플로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a는 레지스트 플로우 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레지스트 플로우 후의 오버레이 측정시 나타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레지스트 리플로우를 측정 패턴을 오버레이 측정장비로써 측정하고 레지스트 리플로우에 의한 변화량을 X라고 한다면, 인너 측정 패턴 오버레이 리딩값은 A-X/2가 되고, 아우터 측정 패턴 오버레이 리딩값은 B가 된다. 따라서 레지스트 리플로우후의 오버레이 값은 (A-B)/2-X/4이다.
여기서, 레지스트 리플로우 전후의 오버레이 변화량은 X/4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은 레지스트 리플로우량을 오버레이 측정을 통하여 수치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미세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의 리플로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 패턴을 구성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하부 층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폴리 성분의 물질로 인너(inner) 측정 패턴의 한쪽면이 형성되도록 제 1 인너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리플로우(reflow) 적용층에서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사용하여 인너 측정 패턴의 나머지 한쪽면이 되는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그에 이격되는 아우터(outer) 측정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너 측정 패턴과 제 2 인너 측정 패턴 및 아우터 측정 패턴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노광하는 단계;
    오버레이 측정자로 리플로우전에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인너 측정 패턴을 레지스트 플로우를 적용하는 층보다 하부 층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인너 측정 패턴을 레티클(reticle) 상에서의 사이즈를 10㎛ ×4㎛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레티클상의 아우터 측정 패턴의 크기는 20㎛ ×20㎛이며, 제 2 인너 측정 패턴의 크기는 10㎛ ×4㎛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레티클상에서 아우터 측정 패턴과 제 1,2 인너 측정 패턴의 이격 거리는 5㎛이며 제 1,2 인너 측정 패턴간의 이격 거리는 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아우터 측정 패턴의 안쪽에 포토레지스트의 슬로우프(slope)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KR1020000037293A 2000-06-30 2000-06-3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KR10067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293A KR100675877B1 (ko) 2000-06-30 2000-06-3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293A KR100675877B1 (ko) 2000-06-30 2000-06-3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926A KR20020002926A (ko) 2002-01-10
KR100675877B1 true KR100675877B1 (ko) 2007-02-05

Family

ID=1967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293A KR100675877B1 (ko) 2000-06-30 2000-06-30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579B1 (ko) 2003-09-29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지스트 리플로우 측정 키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741989B1 (ko) 2006-06-23 2007-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버레이 마크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 측정 방법
KR101067860B1 (ko) * 2008-12-22 2011-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오버레이 측정마크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926A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706A (en) Etching parameter control system process
KR100301648B1 (ko) 리소그래픽프로세스에서의파라미터제어프로세스
US6137578A (en) Segmented bar-in-bar target
US6128089A (en) Combined segmented and nonsegmented bar-in-bar targets
KR100276849B1 (ko) 기판상의 파라미터 측정을 위한 표적 및 방법
KR100519252B1 (ko) 오버레이 마크, 오버레이 마크 형성방법 및 오버레이측정방법
US5952132A (en) Method for forming a stepper focus pattern through determination of overlay error
JP3630269B2 (ja) 重ね合わせマ−クおよびこの重ね合わせマークを使用し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433911A (en) Method of evaluating measure precision of patterns and photomask therefor
KR20000029347A (ko) 위치정렬을 검출하는 마크를 구비한 레티클과 위치정렬검출방법
KR100675877B1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 패턴 형성 방법
JPS5846054B2 (ja) フオトマスク
US5616438A (en) Reticle and a method for measuring blind setting accuracy using the same
KR100457223B1 (ko) 정렬 마크로 이용 가능한 중첩도 측정 패턴 형성방법
KR100283483B1 (ko) 중첩도 측정용 타겟 제조 방법
KR0172287B1 (ko) 중첩 정확도와 노광장비의 포커스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측정마크를 이용한 중첩 정확도 및 노광장비의 포커스 측정 방법
KR100255087B1 (ko) 더미셀이 형성된 스테퍼용 레티클
JPS6232783B2 (ko)
KR100280513B1 (ko) 반도체 제조용 위상차 마스크
JPH035586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49106B1 (ko) 반도체 미세 패턴 변위 측정 방법
KR100685597B1 (ko) 반도체소자의 측정마크 및 그 형성방법
KR100608385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중첩도 측정 패턴
KR20000042843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패턴 형성방법
KR100564579B1 (ko) 레지스트 리플로우 측정 키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미세 패턴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