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672B1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672B1
KR100675672B1 KR1020060044436A KR20060044436A KR100675672B1 KR 100675672 B1 KR100675672 B1 KR 100675672B1 KR 1020060044436 A KR1020060044436 A KR 1020060044436A KR 20060044436 A KR20060044436 A KR 20060044436A KR 100675672 B1 KR100675672 B1 KR 10067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el
guide
suction plate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6004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내부에 스페이스(181)를 구비한 하우징(180)과, 상기 하우징(18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190)로 이루어진 흡입판(170); 상기 하우징(180)에 직립 관통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 홀(112)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110); 샤프트 홀(12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110)와 샤프트(130)를 통해 축 결합되어 있는 1쌍의 캠(120); 상기 1쌍의 캠(120)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140); 하부는 상기 커넥팅로드(140)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고리(151)를 구비한 연결부(150); 상기 연결부(150)의 고리(151)에 결합되어 있는 장신구(160);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15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캠(120)을 회전시킴으로 상기 가이드(11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배꼽 내에 결합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꼽에 포만감이나 이물감, 거북함을 느끼지 않아 배꼽 내의 편안한 장착감을 보장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도 1은 종래의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 안착되어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 밀착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60: 장신구
110: 가이드 170: 흡입판
111: 멈춤돌기 180: 하우징
120: 캠 181: 스페이스
121: 멈춤 홈 190: 흡착 플레이트
130: 샤프트 200: 돌기
140: 커넥팅 로드 210: 레버
150: 연결부
본 발명은 배꼽에 장착되는 장신구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배꼽 주변을 피어싱(piercing)하여 배꼽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던 장신구의 위험성을 탈피하고 논 피어싱(non piercing) 방식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배꼽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사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목걸이의 목걸이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기존의 귀걸이 장착을 위해 사용되던 피어싱(piercing) 기술이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어싱 기술은 장신구를 특전 신체 부위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뚫어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펜던트(pendant)와 고정 수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꼽에 피어싱을 하는 경우 종단에 고리가 있는 펜던트를 배꼽에 밀어 넣고 배꼽 주변 부위를 펜던트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뚫어 이 구멍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고리와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게 배꼽에 펜던트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방법에 의하여 배꼽에 장신구가 장착이 될 때, 분명 배꼽에 견고하게 장신구가 장착된다는 이점은 있겠으나, 신체를 직접 피어싱 하는 시술로 인하여 피어싱 부위에 외부의 세균이 무방비로 침투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하는 곳은 악세사리 판매업체와 같은 의료 기관과 상관없는 곳이라 매우 비위생적이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받은 자가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배꼽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를 장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은 심리는 있으나 배 주변 부위를 피어싱해야 한다는 부담감 내지 혐오감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하지 못한다는 대중화에 역행하는 저해요인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경우, 배꼽 사이즈에 꼭 들어맞는 장신구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신구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설사 배꼽 직경에 꼭 맞는 사이즈의 장신구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배꼽의 구조 상 사용자가 움직일 때 쉽사리 배꼽에서 장신구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 부담 내지 혐오감이 있는 피어싱 시술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배꼽 장착용 장신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 -0025282호"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대하여 출원한 적이 있는데, 그 기술적인 요지는 청구항 제 1항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이 선행하여 출원한 따른 상기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더불어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한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의하여서도 배꼽에 피어싱 없이 견고하게 장착 및 안전하게 탈거가 가능한데, 상기 기술에서는 마개(40)의 통공 개폐부(42)의 개폐 방식으로 바디(20)의 흡착판(23)이 배꼽에 흡착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바 이 경우 마개(40)의 손잡이(41)가 측 방향으로 돌출 구성이 되어야 손잡이(41)의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짐과 더불어 배꼽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손잡이(41)가 자리하는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 10-2006-0038614호의 경우,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디 자체의 팽창으로 배꼽 내에 압착을 하고 바디가 원활히 배꼽 내에 지지되도록 날개가 배꼽의 측벽을 눌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는데 물론 도움이 되나 팽창된 바디에 의하여 배꼽 모양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될 소지가 있음과 동시에 배꼽 내에서 팽창된 바디 및 날개로 인하여 이물감 내지 압박감이 사용자에게 가중될 수가 있다는 착용 상의 불편한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꼽의 직경에 타이트하게 결합이 되고 보다 간편하고 개량된 방식으로 인하여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가진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꼽에 진공 상태로 흡착이 되는 바디를 통해 피어싱 없이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신구 장치를 제공하되 장치의 구성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바디가 배꼽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배꼽 내에 장치를 가능한 최대한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꼽의 바닥 면에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흡입판 및 이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내부에 스페이스(181)를 구비한 하우징(180)과, 상기 하우징(18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190)로 이루어진 흡입판(170); 상기 하우징(180)에 직립 관통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 홀(112)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110); 샤프트 홀(12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110)와 샤프트(130)를 통해 축 결합되어 있는 1쌍의 캠(120); 상기 1쌍의 캠(120)을 연결하고 일 측에 끼움 홈(141)을 구비한 커넥팅로드(140); 상기 커넥팅로드(140)의 끼움 홈(141)에 결합되어 있는 장신구(160);로 구성되어, 상기 장신구(16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캠(120)을 회전시킴으로 상기 가이드(11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10)에는 멈춤돌기(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캠(120)의 어느 하나에는 멈춤 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하부는 상기 커넥팅로드(140)의 끼움 홈(141)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고리(151)를 구비하여 상기 고리(151)에 상기 장신구(160)가 결합되는 연결부(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각 둘레 상부 일 측면에는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버(210)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210)의 조작으로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 내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 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크게 배꼽(N)의 바닥 면에 안착되어 배꼽(N)과 밀착을 이루는 흡입판(170)과 이 흡입판(170)과 결합되어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110), 샤프트(130)에 의하여 가이드(110)와 축 결합되는 1쌍의 캠(120), 1쌍의 캠(120)의 일 부위에 결합되어 캠(120)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140), 직접 커넥팅로드(140)와 결합하거나 연결부(150)에 의하여 커넥팅로드(140)와 연결되어 있는 장신구(160)로 구성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흡입판(170)의 주변 부위에 연결되어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레버(2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판(17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하부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 부착되는 진공압착의 원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흡입판(170)은 금속 내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스페이스(251)가 구비되도록 중공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특히 역 'U'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80)과, 하우징(18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190)로 구성이 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00)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80)의 상부 면에는 관통구(1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가이드(110)가 삽입되어 가이드(110)의 하부가 흡착 플레이트(190)와 결합되어 있다.
흡착 플레이트(190)는 하우징(180)의 직경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되어 외주 면이 하우징(180) 바깥 부위로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우징(180)의 곡률진 내측 상부 면은 흡착 플레이트(190)가 내측에서 일정 범위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후술하겠지만 흡착 플레이트(190)의 중앙부위는 가이드(110)의 상하 이동에 더불어 스페이스(181)를 향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착 플레이트(190)는 특히 신축 및 유연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11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80)의 관통구(182)를 통해 하우징(180) 내에 삽입되어 상부로 직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110)의 하부는 흡착 플레이트(190)와 맞붙어 있고, 상부에는 샤프트 홀(112)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 홀(112) 하부 일 측에는 멈춤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캠(1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샤프트(130)에 의하여 축 결합을 하는 1쌍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가이드(110)의 샤프트 홀(112)에 대응되는 샤프트 홀(122)을 구비하여 이 샤프트 홀(112,122)에 샤프트(130)가 축 결합이 되며, 1쌍의 캠(120)중 어느 하나의 캠(120)의 샤프트 홀(122) 하부에는 가이드(110)의 멈춤돌기(111)에 대응하는 멈춤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1쌍의 캠(120)은 커넥팅로드(140)에 의하여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커넥팅로드(14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캠(120)의 샤프트 홀(122) 바깥 부위에 자리하고 있고, 캠(120)을 하나로 묶어 1쌍의 캠(120)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함과 더불어 캠(120)의 회전에 원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팅로드(140)의 일 부위에는 끼움 홈(1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끼움 홈(141)에는 장신구(160)의 일 부위 또는 연결부(150)의 하단부가 끼워진다.
연결부(150)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 기본적으로 커넥팅로드(140)와 장신구(16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이 외에 사용자가 이를 잡아 힘을 작용/전달하는 레버와 같은 기능도 수행한다. 연결부(150)의 상단에는 장신구(160)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15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150)는 연장 부위 중 적절한 부위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연결부(150)의 고리(151)에는 인조 큐빅, 기타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160)가 결합홀(161)을 통하여 결합될 수가 있다.
장신구(160)는 직접적으로 커넥팅로드(140)의 끼움 홈(141)에 돌출 부위를 구성하여 결합이 되거나 아니면 연결부(150)의 고리(151)에 결합되어 배꼽(N)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고리(151)는 일 부위가 개폐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다른 장신구(160)로 교체가 가능하다.
레버(210)는 흡착 플레이트(190)의 최외각 둘레/외주 면의 상부 면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흡입판(170) 내부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이 되며, 레버(210)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잡기 쉽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배꼽(N) 내에 안착하여 배꼽(N)과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배꼽(N) 내에 밀착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배꼽(N)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를 사용자가 배꼽(N)에 삽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 내부의 바닥 면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사용자는 누르는 힘에 의하여 억지로 흡입판(170)의 잔류 공기를 빼어 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버(210)를 손가락 내지 손톱으로 눌러 레버(210)와 연결되어 있는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주 면을 들어 올리고, 이 과정에서 배꼽(N)과 흡착 플레이트(190) 사이에 잔류 공기를 외부로 방출을 하여 흡입판(170) 내에 가급적 공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대략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 캠(120)은 드러누운 형상, 즉 단경(短徑) 일 부위가 하우징(180)의 상부 면에 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연결부(150)를 통해 장신구(160)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연결부(150)는 배꼽(N)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다가 절곡 부위에서 절곡되어 있고 연결부(150)의 고리(151)에 걸려진 장신구(160)는 배꼽(N)에서 벗어난 부위에서 배꼽(N)과 수평 위치를 가지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를 통하여 흡입판(170)의 잔류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결부(150) 또는 장신구(160)(장신구가 직접 커넥팅로드에 결합되어 있을 때)를 잡고 이를 위로 들어 올리면 연결부(150) 또는 장신구(160)의 하단에 결합된 커넥팅로드(140)에 힘이 작용하며, 커넥팅로드(140)에 연결되어 있는 1쌍의 캠(120)이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샤프트(130)를 매개로 캠(120)과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110)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가이드(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흡착 플레이트(190)를 상 방향으로 잡아 올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하우징(180) 내의 스페이스(181)는 흡착 플레이트(190)가 이동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캠(120)이 대략 1/4회전을 하여 장경(長徑) 부위가 하우징(180)의 상부 면을 압박하게 되면, 캠(120)과 접해 있던 하우징(180)의 상부 면은 지레의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이를 중심으로 가이드(110)의 상 방향 이동하고자 하는 작용력이 최대가 되어 가이드(110)가 최대로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1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흡착 플레이트(190)의 중앙 부위가 상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배꼽(N)의 바닥 면은 흡착 플레이트(190)의 저면과 압착을 하게 된다. 이로서, 흡착 플레이트(190)는 접촉되어 있던 배꼽(N)의 바닥 면과 진공 압착관계를 이루어 배꼽(N)과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더불어, 가이드(110)에 형성되어 있는 멈춤돌기(111)와 캠(120)에 형성되어 있는 멈춤 홈(121)이 서로 결합을 하여, 캠(120)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 을 하여 배꼽(N)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결합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게 된다.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주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200)는 배꼽(N)의 측벽과 맞물려 배꼽(N) 측벽을 붙잡아주는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여 흡입판(170)이 배꼽(N)에서의 흡착되는 과정에서 설령 흡입판(170)의 바닥이 배꼽(N)에서 이탈한다 하더라도 배꼽(N)의 측벽을 잡아 주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150)에 장신구(160)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연결부(150)의 하단은 배꼽(N)과 평행한 상태를 이루고 장신구(160)는 배꼽(N)의 바로 상부 위치에 자리하게 되어 장신구(160) 하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가리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요소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흡착 플레이트(19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부 둘레 부위(외주면)가 하우징(18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부 둘레 부위 상부 면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210)가 배꼽(N) 측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배꼽(N) 측벽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꼽(N)과 레버(210)의 상단부가 맞닿게 되면 레버(210)의 상단부가 배꼽(N) 측벽 부위를 압박하여 배꼽(N)의 바닥 면과 측벽에 대한 이중 결합 관계를 이루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물론, 레버(210)의 배꼽(N) 측벽 압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배꼽(N)에서 이물감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흡착 플레이트(190)가 흡착되면서 외주 면이 하우징(180)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 는 과정에서 레버(210)가 배꼽(N) 측벽에 닿지 않도록 레버(210)를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하지 않고 연장 시작 부위에서는 가이드(110) 방향을 향해 진행되다가 다시 상단 부위에서는 배꼽(N) 측벽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굴곡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배꼽(N)에서 탈거하기 위하여 연결부(150) 또는 장신구(160)를 잡고 도 7의 방향 또는 그 반대의 방향을 향해 힘을 가하면 일정 힘으로 인하여 멈춤돌기(111)와 멈춤 홈(121)의 결합 관계가 해제되면서 캠(120)이 회전하여 다시 원상태 또는 원상태에서 1/2 회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흡착 플레이트(190)는 상 방향으로 올라가 있던 상태에서 다시 원 상태의 형상으로 복원이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억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잡아당김으로 배꼽(N)에서 분리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배꼽(N)에 통증이 가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레버(210)를 손가락 내지 손톱으로 들어올려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주 면이 들어 올려지게 하여 이 사이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함으로 흡입판(170)과 배꼽(N) 사이의 진공 부착 관계를 해제함으로 손쉽게 배꼽(N)에서 흡입판(17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1)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2) 배꼽 내에 결합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꼽에 포만감이나 이물감, 거북함을 느끼지 않아 배꼽 내의 편안한 장착감을 보장할 수가 있으며,
3) 배꼽 내 결합 및 탈거 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각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는 배꼽 사이즈에 상관없이 대중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4) 불필요한 구성을 없애고 보다 슬림한 구성 상태로 제작이 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로서,
    내부에 스페이스(181)를 구비한 하우징(180)과, 상기 하우징(18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190)로 이루어진 흡입판(170);
    상기 하우징(180)에 직립 관통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 홀(112)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110);
    샤프트 홀(12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110)와 샤프트(130)를 통해 축 결합되어 있는 1쌍의 캠(120);
    상기 1쌍의 캠(120)을 연결하고 일 측에 끼움 홈(141)을 구비한 커넥팅로드(140);
    상기 커넥팅로드(140)의 끼움 홈(141)에 결합되어 있는 장신구(160);로 구성되어,
    상기 장신구(16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캠(120)을 회전시킴으로 상기 가이드(11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에는 멈춤돌기(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1쌍의 캠(120)중 어느 하나에는 멈춤 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커넥팅로드(140)의 끼움 홈(141)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고리(151)를 구비하여 상기 고리(151)에 상기 장신구(160)가 결합되는 연결부(15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각 둘레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의 외각 둘레 상부 일 측면에는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버(210)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210)의 조작으로 상기 흡착 플레이트(190) 내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10)의 상단부는 일정 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20060044436A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36A KR100675672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36A KR100675672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672B1 true KR100675672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36A KR100675672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KR200374336Y1 (ko) * 2004-11-04 2005-01-27 김용선 피어싱 구조
KR100585255B1 (ko) * 2006-03-20 2006-05-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KR200374336Y1 (ko) * 2004-11-04 2005-01-27 김용선 피어싱 구조
KR100585255B1 (ko) * 2006-03-20 2006-05-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664B2 (en) Hai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nd holding hair
KR100585255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USD493745S1 (en) Pear-shaped faceted gemstone crown
KR10067567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N1969708A (zh) 扣环以及组装该扣环的方法
KR100675670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CN201657878U (zh) 磁力式珠链首饰锁扣
KR100675674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JP2004298270A (ja) へそ用身飾品
USD500313S1 (en) Disposable sanitary phone cover
JP3165917U (ja) アクセサリー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50580Y1 (ko) 장신구
WO2003042778A3 (en) Method for reordering custom-fitted apparel
KR10062533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JP3088496U (ja) 携帯電話機の装飾用グッズ
CN101766372B (zh) 磁力式珠链首饰锁扣
KR20080094168A (ko) 기능성 화장품 케이스
JP3050781U (ja) 履物及びサンダル
KR200383606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JP3088787U (ja) 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
KR200360009Y1 (ko)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KR100608234B1 (ko) 귀걸이 겸용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