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331B1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331B1
KR100625331B1 KR1020060072352A KR20060072352A KR100625331B1 KR 100625331 B1 KR100625331 B1 KR 100625331B1 KR 1020060072352 A KR1020060072352 A KR 1020060072352A KR 20060072352 A KR20060072352 A KR 20060072352A KR 100625331 B1 KR100625331 B1 KR 10062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el
stopper
main body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6007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331B1/ko
Priority to PCT/KR2007/001323 priority patent/WO2007108622A1/en
Priority to CN2007800184094A priority patent/CN10144842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05Jewelry adherable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통구(121)를 포함한 흡착판(120)을 하부에 구비하여 배꼽(N) 내에 압착이 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내부 중공 구조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서 다른 부위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되,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12)과, 상단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13) 및,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스토퍼(114)를 구비한 마개 결합부(111); 상기 마개 결합부(111)에 결합되되,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41)을 구비한 마개(140); 장신구(180)를 수용하면서 본체(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 형성된 바닥 둘레부(174)에는 상기 스토퍼(114)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17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 둘레부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공기 유통구(113)와 일치하도록 위치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73)를 구비한 수용부(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배꼽이라는 인체 부위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장치에 화학적인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으로 결합력을 보유하게 함으로서 보다 위생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도 1은 종래의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가 배꼽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착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상태를 나타낸 공기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40: 마개
110: 본체 141: 홈
111: 마개 결합부 142: 돌기
112: 홈 150: 핀
113: 공기 유통구 160: 스프링
114: 스토퍼 170: 수용부
120: 흡착판 171: 레그
122: 주름부 172: 결합홈
123: 지지부 173: 공기 유통구
130: 바닥 보강부 174: 바닥 둘레부
131: 오리피스 180: 장신구
132: 날개 190: 자석
본 발명은 배꼽에 장착되는 장신구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배꼽 주변을 피어싱(piercing)하여 배꼽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던 장신구의 위험성을 탈피하고 논 피어싱(non piercing) 방식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배꼽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인체 접촉에 친화적이고 배꼽과의 우수한 접촉력을 가지는 배꼽 장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사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목걸이의 목걸이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의 타겟(target) 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기존의 귀걸이 장착을 위해 사용되던 피어싱(piercing) 기술이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어싱 기술은 장신구를 특전 신체 부위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뚫어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펜던트(pendant)와 고정 수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꼽에 피어싱을 하는 경우 종단에 고리가 있는 펜던트를 배꼽에 밀어 넣고 배꼽 주변 부위를 펜던트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뚫어 이 구멍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고리와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게 배꼽에 펜던트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방법에 의하여 배꼽에 장신구가 장착이 될 때, 분명 배꼽에 견고하게 장신구가 장착된다는 이점은 있겠으나, 신체를 직접 피어싱 하는 시술로 인하여 피어싱 부위에 외부의 세균이 무방비로 침투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하는 곳은 악세사리 판매업체와 같은 의료 기관과 상관없는 곳이라 매우 비위생적이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받은 자가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배꼽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를 장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은 심리는 있으나 배 주변 부위를 피어싱해야 한다는 부담감 내지 혐오감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하지 못한다는 대중화에 역행하는 저해요인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경우, 배꼽 사이즈에 꼭 들어맞는 장신구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신구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설사 배꼽 직경에 꼭 맞는 사이즈의 장신구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배꼽의 구조 상 사용자가 움직일 때 쉽사리 배꼽에서 장신구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 부담 내지 혐오감이 있는 피어싱 시술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배꼽 장착용 장신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 -0025282호"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대하여 출원한 적이 있는데, 그 기술적인 요지는 청구항 제 1항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이 선행하여 출원한 따른 상기 배꼽 장 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더불어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한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의하여서도 배꼽에 피어싱 없이 견고하게 장착 및 안전하게 탈거가 가능한데, 상기 기술에서는 마개(40)의 통공 개폐부(42)의 개폐 방식으로 바디(20)의 흡착판(23)이 배꼽에 흡착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바, 이 경우 마개(40)의 손잡이(41)가 측 방향으로 돌출 구성이 되어야 손잡이(41)의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짐과 더불어 배꼽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손잡이(41)가 자리하는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의 유연성 소재는 실제 제작 시에 일반적인 접착제에 의하여 다른 구성과 접착을 시키기가 힘들어 장신구 수용부(60)와 접착을 시키는데 애로 사항이 따른다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으며, 더불어 일반 화학소재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구성을 결합시키는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위생상의 단점이 따른다.
더불어, 배꼽의 사이즈가 사람마다 다른데 이러한 다양한 배꼽 사이즈에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배꼽의 직경에 타이트하게 결합이 되고 보다 간편하고 개량된 방식으로 인하여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배꼽 사이즈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 가능하며 접착제의 사용 없이 구조적으로 각 구성이 결합될 수 있는 인체에 친화적인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꼽에 진공 상태로 흡착이 되는 바디를 통해 피어싱 없이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신구 장치를 제공하되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조작 방식에 의하여 바디가 배꼽의 벽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각 구성이 견고히 결합되게 함으로써 인체에 친화적이고 위생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마다 각기 다른 배꼽 사이즈를 가진 것에 착 안하여 각 사이즈가 다른 배꼽에서도 범용적으로 호환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공기 흡착 방식을 적용하여 배꼽과 접촉을 하되, 원활한 공기의 흐름 제어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통구(121)를 포함한 흡착판(120)을 하부에 구비하여 배꼽(N) 내에 압착이 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내부 중공 구조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서 다른 부위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되,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12)과, 상단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13) 및,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스토퍼(114)를 구비한 마개 결합부(111); 상기 마개 결합부(111)에 결합되되,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41)을 구비한 마개(140); 장신구(180)를 수용하면서 본체(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 형성된 바닥 둘레부(174)에는 상기 스토퍼(114)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17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 둘레부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공기 유통구(113)와 일치하도록 위치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73)를 구비한 수용부(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흡착판(120)을 구비한 본체(110), 흡착판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로 부착 가능한 바닥 보강부(130), 본체(110) 내에서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는 마개(140), 마개(140)의 상단에서 직립하여 장착된 핀(150), 마개(140)의 상단에 장착이 되는 스프링(160), 장신구(180)를 수용함과 동시에 본체(110)와 결합을 이루는 수용부(170), 수용부(170)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장신구(180)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핀(150)에 자력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배꼽(N)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는 것을 돕는 자석(19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일정 탄성을 보유한 신축/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배꼽(N) 내에 장착이 되었을 때 이물감을 주거나 배 꼽의 손상을 주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체(110)의 측벽을 이루는 부위에는 자바라식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주름(미도시)이 형성되어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보다 용이하게 수축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10)는 중앙부위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원통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상하단 부위의 직경은 본체(110)의 다른 부위의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10)의 상단에 직경이 크도록 이루어진 부위는 마개 결합부(111)라 명명하기로 하며, 이에 대응하는 본체(110)의 하단에는 흡착판(120)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 결합부(111)의 중앙 부위에는 본체(110)의 상부 관통구 역할을 원추형상을 가진 홈(112)을 구비하고 있고, 마개 결합부(111)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합입되어 있는 공기 유통구(113)를 가진다. 또한, 마개 결합부(111)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스토퍼(114)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114)는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로서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흡착판(1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근원적인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배꼽(N)의 내부 바닥 면에 밀착하였을 때 흡착판(120)이 배꼽(N)에 압축 되어 배꼽(N)과의 밀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제공한다. 흡착판(120)의 중앙 부위에는 통구(121)가 형성되어 있어 배꼽(N)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밀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와 배꼽(N) 사이의 잔여 공기를 통구(121)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흡수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흡착판(120)의 바닥 면에는 중앙부의 통구(121) 및 외주면의 원형 형상을 따라 각기 다른 반지름을 가지고 복수 개의 돌출부위에 의하여 형성이 되어 있는 주름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부(122)는 돌출 형상에 따라 오목부위와 돌출부위를 구비하는데, 오목 부위는 구조적으로 흡착판(120)의 바닥 면의 두께를 얇게 하는 부위인바 사용자는 이러한 주름부(122)의 오목부위를 잡고 찢거나 가위를 통해 절개하여 자신의 배꼽(N) 사이즈에 알맞은 흡착판(12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주름부(122)는 사용자가 자신의 배꼽(N) 형상에 흡착판(120)이 타이트하게 들어가기 알맞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배꼽 사이즈 조절 수단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주름부(122)의 형성으로 인하여 흡착판(120) 바닥 면이 너무 유연해져 배꼽(N)에의 부착력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름부(122) 상에는 흡착판(120)의 외주 면에서 통구(121)의 중심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방사형 연장 라인 부위에 복수 개의 지지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23)는 즉, 주름부(122)를 이루는 돌출부위와 오목부위인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로서 흡착판(120)의 바닥 면 자체 형상을 흐느적거리지 않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배꼽(N)과의 밀착력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지지부(123)는 4 내지 6개로서 방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흡착판(120)의 바닥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통구(121)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바닥보강부(130)를 추가적으로 구 비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보강부(130)는 복수 개의 날개(132)에 의하여 톱니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중앙에는 배꼽(N) 내로 공기의 출입을 위한 오리피스(131)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보강부(130)는 흡착판(120)의 통구(121)에 끼워지는 것으로 날개(132)는 지지부(123) 사이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즉, 통구(121)의 바로 바깥부위에는 주름부(122)가 형성되지 않아 일정 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로 이러한 공간 내에 날개(13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바닥보강부(130)는 이처럼 흡착판(120)의 바닥 면에 끼움 결합이 되어 흡착판(120) 바닥 면의 흐느적거리는 상태를 방지함과 동시에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배꼽(N)과의 밀착력 제공 및 공기 흡입에 따른 반동에 견딜 수 있는 내구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140)는 본체(110) 내에 흡수된 공기 및 본체(110) 자체 내의 공기의 유통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배꼽(N)에 압착되는 것과 본체(110) 내에 공기를 유입하여 배꼽(N)에서 분리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개(140)는 마치 깔때기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마개 결합부(111)의 원추형상의 홈(112)에 결합이 된다. 마개(1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 중앙부위에 원추형상(구체적으로는 역 원추 형상)을 가진 홈(14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원추형상의 홈(141) 마개(140) 본체 내에 진입하면서 그 직경이 작아지고 이러한 내부의 홈은 마개(140) 내로 일정 길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140)의 하단부의 외주 부위에는 그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14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42)는 본체(110)의 바닥 면과 접촉할 경우에 마개(140)에 전달되는 압력을 돌기(142) 형성 면적에 상응하게 증가시켜서 마개(140)가 상 방향으로 반동되기 수월하도록 한다.
마개(140)와 마개 결합부(111)의 결합 초기 상태에서는, 마개(140)의 상단부가 마개 결합부(111)의 원추형상의 홈(112)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 있는 상태를 가지되, 마개 결합부(111)의 공기 유통구(113)는 밀폐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마개(140)의 원추형상의 홈(141) 내에는 수직 연장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철재로 이루어진 핀(15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핀(150)은 원추형상의 홈(141) 내의 일정 부위에 고정 부착이 되어 있고 마개(140)의 홈(1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자석(190)의 접촉에 반응하여 마개(14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가 배꼽(N)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마개(140)의 상단에는 핀(150)을 중심으로 콘 형상의 스프링(160)이 감겨 있다. 스프링(160)은 마개(140)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수용부(170) 내의 장신구(180) 하단부와 접촉 시에 다시 마개(140)의 원 위치로 회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단이 상단보다 직경이 작은 역 원추형상, 즉 콘 형상을 가지는 것은 상단에서 장신구(180) 하단과 접촉 면적을 증대하여 외력을 적절히 전달받기 위함이고 하단에서 소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추형상을 가진 홈(141) 내부에 적절히 위치되도록 함이다.
보석이나 큐빅 등을 감싸는 방식으로 보석 등의 수용 구조를 이루는 일명 난집이라 불리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170)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기본적으로 장신구(180)를 안전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이러한 수용부(170)는 상단에는 장신구(180)를 적절하게 잡아 줄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레그(1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중앙 부위에 형성된 장신구(180)의 수용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일정 폭의 바닥 둘레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둘레부(174)에는 상기 스토퍼(114)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서 내측으로 함입되어 있는 결합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70) 하단의 직경은 마개 결합부(111)의 직경에 상응하게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바닥 둘레부(174)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본체(110)의 공기 유통구(113)와 상응하는 개수와 위치로 이루어진 공기 유통구(173)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70)는 본체(110)와 결합되기 위하여 본체(110) 상에 위치시켰을 때 수용부(170)의 하단이 본체(110)의 마개 결합부(111) 하단에 이르도록 마개 결합부(111)에 끼워지게 되며, 이렇게 마개 결합부(111)의 하단에 수용부(170)의 하단, 즉 바닥 둘레부(174)의 상면이 접촉되는 상황에 이르렀을 경우 바닥 둘레부(174)에 형성된 결합홈(172)과 마개 결합부(111)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114)가 끼움 결합을 하게되고, 스토퍼(114)의 단부가 결합홈(172)을 관통한 다음 절곡됨으로 본체(110)와 수용부(170)는 안전한 결합 관계를 이룰 수가 있다.
대신, 수용부(170) 내에 수용된 장신구(180)의 하면과 마개 결합부(111)의 상면 사이는 완전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틈이 형성이 되며 바로 이 틈이 마개(140)의 상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이 된다. 물론, 장신구(180)의 하면과 마개 결합부(111)의 상면 사이는 완전 밀착되어 마개(140)가 마개 결합부(111)의 상면 약간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마개(140)의 이동 가능성을 대신하고 장신구(180)가 수용부(170) 내에서 유동이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도 있어, 상기 틈은 제작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자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와 수용부(170)의 결합 시에, 본체(110)와 수용부(170)의 공기 유통구(113,173)는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이 되어 본체(110) 내외의 공기 유통 수단으로 활용이 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용부(170)의 상부에는 장신구(180)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장신구(180)는 큐빅과 같은 인조보석 내지 천연 보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로 돌출되어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주요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장식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도 2,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분리 구성이 되어 있는 자석(190)을 구비하고 있다.
자석(19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 내의 핀(150)과 자력관계를 이루도록 한다.
즉, 자석(190)을 장신구(180) 상부에 갖다 댐으로 자력에 의해 핀(150)이 자석(190) 방향으로 이동되고, 핀(150)은 마개(140)의 일정 부위에 부착이 되어 있으므로 결국 마개(140)를 자석(190) 방향, 즉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가 배꼽(N)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착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상태를 나타낸 공기 흐름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배꼽(N) 내에 타이트하게 결합이 될 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으며, 특히 흡착판(120)이 배꼽(N)의 하부 측벽 내지 바닥 면에 충분히 맞닿아 배꼽(N)의 살에 일정 부위 파묻힐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배꼽(N)과 1차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 때, 흡착판(120)의 직경이 사용자의 배꼽(N) 직경보다 커서 쉽사리 흡착판(120)이 배꼽(N) 내로 진입하지 못할 경우에는 흡착판(120)에 형성된 주름부(122)를 따라 일정 부위 찢어냄으로 흡착판(120)의 직경을 보정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도 8의 상태와 같이 배꼽(N)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안착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상부, 즉 장신구(180) 부위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게 되면 고무 내지 실리콘의 유연성 탄성 재질의 본체(110)가 압축이 되기 시작한다. 본체(110)의 압축은 본체 측벽에 형성 가능한 주름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게 압축이 수행될 수가 있다.
이 때, 흡착판(120)에는 흡착판(120) 전반의 휘거나 쭈그러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바닥 보강부(13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꼽(N) 내로 흡착판(120)이 진입할 때 주름부(122)로 인하여 흡착판(120) 자체의 견고함이 떨어짐으로 흡착판(120)이 배꼽(N)의 내벽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뒤집어지거나 구겨져 배꼽(N) 내의 바닥 면에 맞닿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개(140)는 본체(110)의 상부에서 본체 결합부(111)와의 밀착 결합으로 인하여 결합이 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 압축 직전의 초기상태에서는 마개(140)의 상단부가 마개 결합부(111)의 상단 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를 취한다. 하지만, 마개(140)의 측벽이 공기 유통구(113)와는 맞닿아 있기 때문에 마개(140)는 본체(110)의 밀폐 상태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결합 관계는 본체(110)의 압축 과정에서 마개(140)의 하단이 흡착판(120)의 상면에 맞닿기 전까지 유지된다.
본체(110)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흡착판(120)의 통구(121) 및 바닥 보강부(130)의 오리피스(131)를 통하여 흡착판(120)과 배꼽(N)의 바닥 면 사이의 공기가 본체(110) 내로 유입이 되어 흡착판(120)과 배꼽(N)의 바닥 면 사이의 잔여 공기가 제거됨으로 진공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한 압력 차로 인하여 흡착판(120)의 바닥 부위는 배꼽(N)과 밀착된 상태에서 약간 상 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어느 정도 본체(110)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면, 본체(110) 내의 마개(140)의 하단이 흡착판(120)의 상면과 맞닿게 되는데 그 반동으로 수직저항력, 즉 관성력이 발생하여 마개(140)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142) 부위에 집중이 된다. 마개(140) 하단에 작용된 관성력은 마개(140) 하단 부위에 골고루 퍼지는 것이 아니라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142)에 집중되어 압력이 발생됨으로 일정 수준으로 마 개(14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반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마개(140)는 마개 결합부(111)와 대략 수평선을 이루다가 상 방향으로 일정 범위로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마개(14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마개(140)에서 공기 유통구(113)를 밀폐하고 있던 측벽 부위 역시 상 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기 유통구(113)는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 때 흡착판(120)의 통구(121)를 통해 유입된 본체(110) 내의 공기 및 본체(110) 자체 내의 공기가 본체(110) 바깥으로 빠져 나가게 되고, 본체(110)의 공기 유통구(113)는 수용부(170)의 공기 유통구(173)와 맞닿아서 서로 일치하는 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110) 바깥으로 유출된 공기는 결국 수용부(170)의 공기 유통구(173)를 지나 바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마개 결합부(111)의 원추형상의 홈(112)은 콘 형상, 즉 역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로 아래의 주변 부위보다 상단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마개(140)의 상단부만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도 마개(140)가 본체(110)에서 개방이 되는 것으로 파악될 수가 있으며, 이로써 본체(110)는 진공 상태를 이루게 되어 흡착판(120)과 배꼽(N)이 더욱 강하게 밀착이 된다.
마개(140)가 상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마개(140)의 상단에 위치한 스프링(160)은 수용부(170)에 수용된 장신구(180)의 하 면에 맞닿아 압축이 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스프링(160)의 압축에 의한 복원력과 본체(110) 내의 진공 상태를 통한 압력 차이에 의하여 마개(140)는 흡착판(120)으로부터 전달받은 관성력을 이기고 원 위치로 복귀하여 본체(110)를 다시 밀폐하게 됨으로써, 본체(110) 내의 진 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마개(140)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본체(1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 본체(110) 내외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오히려 이러한 압력 차이를 줄이기 위해 마개(140)가 다시금 닫히려는 성질 및 압축된 스프링(160)이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하여 마개(140)는 다시금 마개 결합부(111)에 끼워지게 되어 기존의 밀폐 상태로 복원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본체(110) 내의 공기는 모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러한 본체(110) 내의 진공 상태로 인하여 배꼽(N)과 흡착판(120)의 압축상태는 강인함을 이루게 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를 배꼽(N)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장신구(180)의 상단에 자석(190)을 밀착하여 마개(140)의 홈(141) 내에 부착된 핀(150)에 자력을 전달함으로 핀(150)이 자석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마개(140)를 상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킨다.
이로써, 마개(140)는 본체(110)의 개방 상태를 만들게 되며 개방된 공기 유통구(113,17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10) 내로 다시 유입되면서 배꼽(N)과 흡착판(120)의 사이에까지 침투하여 진공 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있고 이로 인해 흡착판(120)은 자연스럽게 배꼽(N)의 바닥 면에서 이탈이 됨과 동시에 다시 본체(110)는 이완이 되면서,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와 배꼽(N)은 쉽사리 분리가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1)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2) 배꼽이라는 인체 부위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장치에 화학적인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으로 결합력을 보유하게 함으로서 보다 위생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며,
3) 배꼽을 뚫는 것을 싫어하나 보다 멋있게 자신을 치장하고자 하는 이에게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어 탁월한 대중성을 가질 수가 있음과 동시에 결합을 위한 수단이 모두 장신구 안쪽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장신구만이 깔끔하게 노출되는 장점을 가지고,
4) 장치의 구조적인 견고한 결합 관계로 인하여 수영장과 같이 물이 접촉되는 환경에서 기존 화학 접착제의 접착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전혀 느끼지 않고 장시간 동안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5) 사람마다 서로 다른 배꼽의 크기에 상관없이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로서,
    통구(121)를 포함한 흡착판(120)을 하부에 구비하여 배꼽(N) 내에 압착이 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내부 중공 구조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서 다른 부위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되,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12)과, 상단에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13) 및,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스토퍼(114)를 구비한 마개 결합부(111);
    상기 마개 결합부(111)에 결합되되,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141)을 구비한 마개(140);
    장신구(180)를 수용하면서 본체(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 형성된 바닥 둘레부(174)에는 상기 스토퍼(114)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17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 둘레부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공기 유통구(113)와 일치하도록 위치된 복수 개의 공기 유통구(173)를 구비한 수용부(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20) 바닥 면의 상기 통구(121) 주변에는, 각기 다른 반지름으로 각 둘레를 따라 돌출부위를 구비하며 형성된 주름부(122);를 더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22)와 상기 통구(121)를 통해 중앙에 오리피스(131)를 구비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 보강부(130);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40)의 상기 홈(141) 내부에는 일정 길이로 직립 형성된 핀(1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40)의 상기 홈(141) 내부에 부착되어 직립 형성된 스프링(16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150)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190)을 별도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결합부(111)의 상기 홈(112)은 역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20060072352A 2006-03-20 2006-07-3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2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52A KR100625331B1 (ko) 2006-07-31 2006-07-3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CT/KR2007/001323 WO2007108622A1 (en) 2006-03-20 2007-03-19 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CN2007800184094A CN101448424B (zh) 2006-03-20 2007-03-19 肚脐装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52A KR100625331B1 (ko) 2006-07-31 2006-07-3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331B1 true KR100625331B1 (ko) 2006-09-20

Family

ID=3763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352A KR100625331B1 (ko) 2006-03-20 2006-07-3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33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6886U (ja) 皮膚処置用ディスペンサ
JP5096632B2 (ja) 他者保護用の衛生マスク
US20150158042A1 (en) Liquid Dispenser That Can Be Worn As Jewelry
US7553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wristwatch
KR101355247B1 (ko) 코 마스크
WO2014169155A2 (en) Antiseptic bracelet
KR100585255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US20100236028A1 (en) Button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200305559A1 (en) Spray &amp; Sniff Aroma Wristband
US9700490B2 (en) Cough containment apparatus
KR101840418B1 (ko) 귀걸이용 향수팩
KR10062533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US20180014672A1 (en) Drinking cup with lid and detachable headband
CA107482S (en) Dispenser for hand sanitizers, skin preparations and soaps
RU190097U1 (ru) Парфюмерный браслет
JP2018027168A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100675670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2343874B1 (ko) 마스크 케이스
KR10067567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970702B1 (ko) 고리형 음료용기
KR20160000137U (ko) 패치형 방향제 패키지
US20110023872A1 (en) Entertaining nose clip assembly for diaper changing
KR101527776B1 (ko) 한지사를 이용한 마스크
US20160095396A1 (en) Charms and Charm Jewelry For Children
TW200420247A (en) Fragrant body ornament deco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