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671B1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671B1
KR100675671B1 KR1020060044435A KR20060044435A KR100675671B1 KR 100675671 B1 KR100675671 B1 KR 100675671B1 KR 1020060044435 A KR1020060044435 A KR 1020060044435A KR 20060044435 A KR20060044435 A KR 20060044435A KR 100675671 B1 KR100675671 B1 KR 10067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el
adsorption plate
coupling
le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6004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금속 내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나사산(132a)을 구비한 수용수단(132) 및 바닥 면(131)에 형성된 흡착판(200)을 포함하여 상기 흡착판(200)이 배꼽(N)의 바닥 면에 밀착이 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신구(160); 상기 장신구(160)의 결합구(161)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141)를 구비하고, 하단부가 상기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수단(132)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결합 수단(140); 상기 바디(110)의 외주 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버(280)로 구성되어, 배꼽(N)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80)를 들어올려 상기 흡착판(200) 내의 잔류 공기를 제거하고 장신구(160)의 회전으로 상기 결합수단(14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판(20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배꼽 내에 결합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꼽에 포만감이나 이물감, 거북함을 느끼지 않아 배꼽 내의 편안한 장착감을 보장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도 1은 종래의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흡착판 부위를 중심으로 도시한 분해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흡착판의 제 1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흡착판의 제 2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 안착되어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 밀착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가 배꼽 내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50: 와셔
110: 바디 160: 장신구
120: 흡착판 작용수단 161: 결합구
130: 베이스 바디 200: 흡착판
131: 바닥 면 210: 볼록부
132: 수용수단 220: 돌기
132a: 나사산 230: 둘레부
140: 결합수단 250: 하우징
141: 결합돌기 270: 흡착 플레이트
280: 레버
본 발명은 배꼽에 장착되는 장신구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배꼽 주변을 피어싱(piercing)하여 배꼽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던 장신구의 위험성을 탈피 하고 논 피어싱(non piercing) 방식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배꼽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사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목걸이의 목걸이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의 타켓 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기존의 귀걸이 장착을 위해 사용되던 피어싱(piercing) 기술이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어싱 기술은 장신구를 특전 신체 부위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뚫어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펜던트(pendant)와 고정 수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꼽에 피어싱을 하는 경우 종단에 고리가 있는 펜던트를 배꼽에 밀어 넣고 배꼽 주변 부위를 펜던트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뚫어 이 구멍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고리와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게 배꼽에 펜던트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방법에 의하여 배꼽에 장신구가 장착이 될 때, 분명 배꼽에 견고하게 장신구가 장착된다는 이점은 있겠으나, 신체를 직접 피어싱 하는 시술로 인하여 피어싱 부위에 외부의 세균이 무방비로 침투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하는 곳은 악세사리 판매업체와 같은 의료 기관과 상 관없는 곳이라 매우 비위생적이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받은 자가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배꼽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를 장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은 심리는 있으나 배 주변 부위를 피어싱해야 한다는 부담감 내지 혐오감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하지 못한다는 대중화에 역행하는 저해요인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경우, 배꼽 사이즈에 꼭 들어맞는 장신구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신구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설사 배꼽 직경에 꼭 맞는 사이즈의 장신구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배꼽의 구조 상 사용자가 움직일 때 쉽사리 배꼽에서 장신구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 부담 내지 혐오감이 있는 피어싱 시술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배꼽 장착용 장신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 -0025282호"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대하여 출원한 적이 있는데, 그 기술적인 요지는 청구항 제 1항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이 선행하여 출원한 따른 상기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더불어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한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의하여서도 배꼽에 피어싱 없이 견고하게 장착 및 안전하게 탈거가 가능한데, 상기 기술에서는 마개(40)의 통공 개폐부(42)의 개폐 방식으로 바디(20)의 흡착판(23)이 배꼽에 흡착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바 이 경우 마개(40)의 손잡이(41)가 측 방향으로 돌출 구성이 되어야 손잡이(41)의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짐과 더불어 배꼽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손잡이(41)가 자리하는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 10-2006-0038614호의 경우,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디 자체의 팽창으로 배꼽 내에 압착을 하고 바디가 원활히 배꼽 내에 지지되도록 날개가 배꼽의 측벽을 눌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는데 물론 도움이 되나 팽창된 바디에 의하여 배꼽 모양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될 소지가 있음과 동시에 배꼽 내에서 팽창 된 바디 및 날개로 인하여 이물감 내지 압박감이 사용자에게 가중될 수가 있다는 착용 상의 불편한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꼽의 직경에 타이트하게 결합이 되고 보다 간편하고 개량된 방식으로 인하여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가진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꼽에 진공 상태로 흡착이 되는 바디를 통해 피어싱 없이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신구 장치를 제공하되 장치의 구성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바디가 배꼽의 벽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배꼽 내에 장치를 가능한 최대한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꼽의 바닥 면에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흡착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금속 내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나사산(132a)을 구비한 수용수단 (132) 및 바닥 면(131)에 형성된 흡착판(200)을 포함하여 상기 흡착판(200)이 배꼽(N)의 바닥 면에 밀착이 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신구(160); 상기 장신구(160)의 결합구(161)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141)를 구비하고, 하단부가 상기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수단(132)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결합 수단(140); 상기 바디(110)의 외주 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버(280)로 구성되어, 배꼽(N)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80)를 들어올려 상기 흡착판(200) 내의 잔류 공기를 제거하고 장신구(160)의 회전으로 상기 결합수단(14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판(20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지고 상기 흡착판(200)의 상부에 위치한 흡착판 작용수단(120);과, 상기 수용수단(132)이 상기 흡착판(200)의 중앙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 바디(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흡착판(200)은, 내부에 스페이스(251)를 구비한 하우징(250)과, 상기 결합수단(140)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우징(250)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재(260), 상기 연결부재(26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5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2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 즉 흡착판(200)을 중심으로 바라 본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의 분리된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크게 배꼽(N) 내에 장착되는 바디(body)(110),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와셔(150), 와셔(1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장신구(160), 장신구(160)와 바디(110)를 고정 연결하는 결합수단(140), 바디(110)의 바닥 면(131)자체 내지 바닥 면(131)에 형성된 흡착판(200), 흡착판(200)의 외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방 연장 형성된 레버(280)로 구성이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일정 탄성을 보유한 신축/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금속 내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져 고급화를 추구할 수도 있어 결국 특정 소재에 한정이 되지 않는다.
바디(110)는 바람직하게 흡착판 작용수단(120)과 베이스 바디(130)로 이루어져 있다.
흡착판 작용수단(120)은 본 발명에서 선택적인 구성 요소로 내부 중공 구조 를 가진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결합 수단(140)과 베이스 바디(130) 사이에 위치한다. 이 흡착판 작용수단(120)은 금속 내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바디(110) 내의 무게 중심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후술하겠지만 흡착판(200)이 가벼이 작동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도록 흡착판(200)의 주변 가장자리, 즉 둘레부(230) 내지 하우징(200)의 상부에 접하여 이 부위에 무게에 의한 압력을 제공하여 흡착판(200)이 배꼽(N)의 바닥 면에서 압착 이전에 쉽사리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한다.
흡착판 작용수단(120)은 후술할 베이스 바디(130)의 바닥 면(131) 상부 면에 붙어 베이스 바디(130)와 일체적으로 구성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바디(130)는 바디(110)의 하부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흡착판 작용수단(120)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진 바닥 면(131)과 바닥 면(131)의 중앙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구성되어 있되 내부의 중공 부위에 나사산(132a)이 형성된 수용수단(132)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바닥 면(131)자체 또는 바닥 면(131)의 저면은 흡착판(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수단(132)은 흡착판 작용수단(120)의 내부 중공 공간을 지나 후술할 결합수단(140)과 나사산 결합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용수단(132)의 내부는 결합수단(14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의 측벽에는 나사산(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수단(132)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결합수단(140)과의 나사산 결합으로 인하여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흡착판(200)은 바닥 면(131) 자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바닥 면(131)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 부착되는 진공압착의 원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200)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200)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 1실시예에 대한 흡착판(2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되, 도 5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앙 부위가 상측으로 올라와 있는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이렇게 곡률지게 상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를 볼록부(210)라 명명한다. 또한 이러한 볼록부(210)의 주변 가장자리, 즉 흡착판(200)의 외주면 부위를 둘레부(230)라 하고, 이 둘레부(230)의 외각 부위에는 복수 개의 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흡착판(200)은 고무 내지 실리콘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착판(200)의 바닥 면은 배꼽(N)에 보다 효율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특수 점성 필름이 코팅되어 질 수도 있다.
둘레부(230)는 수평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단부가 약간 상 방향을 향해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겠지만 배꼽(N)과의 접착 상태를 높이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대한 흡착판(200)은 역시 고무 내지 실리콘과 같은 유연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스페이스(251)가 구비되도록 중공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특히 역 'U'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50)과, 결합수단(14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하우징(250)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계속 연장되어 있는 부위인 연결부재(260) 및 연결부재(260)에 연결되어 하우징(25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트(270)로 구성이 되어 있다. 흡착 플레이트(270)는 하우징(250)의 직경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되어 외주 면이 하우징(250) 바깥 부위로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우징(250)의 곡률진 내측 상부 면은 흡착 플레이트(270)가 내측에서 일정 범위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흡착 플레이트(270)는 연결부재(260)의 상하 이동에 더불어 스페이스(251)를 향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착 플레이트(270)는 특히 신축 및 유연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80)는 바디(110), 구체적으로는 흡착판(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레부(230) 내지 흡착 플레이트(250)의 최외각 둘레의 상부 면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2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흡착판(200) 내부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이 되며, 레버(280)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잡기 쉽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140)은 금속 내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베이스 바디(130)의 수용수단(132)에 나사산 결합을 하여 궁극적으로 바디(110)와 장신구(16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결합수단(140)의 상부는 장신구(160)의 결합구(16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41)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수단(140)의 하단부는 수용수단(132)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15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바디(110), 구체적으로는 흡착판 작용 수단(120)의 상부 면을 덮고 수용수단(132)과 결합수단(140)의 결합 관계에서 완충적인 역할을 가진다. 와셔(150)의 중앙 부위에는 공지된 것과 마찬가지로 결합수단(140)의 결합돌기(141)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150)의 상단에는 인조 큐빅, 기타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160)가 위치한다. 장신구(160)의 저면에는 결합구(161)가 일정 깊이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되어 있어 이에 결합돌기(141)가 결합 고정되어 있다.
결합돌기(141) 및 결합구(161)는 장신구(160)의 회전 시에 공회전이 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배꼽(N) 내에 안착하여 배꼽(N)과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배꼽(N) 내에 밀착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배꼽(N)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를 사용자가 배꼽(N)에 삽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 내부의 바닥 면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때, 결합수단(140)과 수용수단(132)은 서로 나사산 결합을 한 상태로, 결 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수용수단(132)의 내측 하단까지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레버(280)를 손가락 내지 손톱으로 눌러 레버(280)와 연결되어 있는 바디, 구체적으로 둘레부(23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의 외주 면을 들어 올린다. 이 과정에서 배꼽(N)과 흡착판(200) 사이에 잔류 공기를 외부로 방출을 하여 흡착판(200) 내에 가급적 공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대략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 제 1실시예의 흡착판(200)의 경우 볼록부(210) 하부와 배꼽(N)의 바닥 면 사이에는 잔여 공기가 남아 있을 수가 있는데 이러한 잔여 공기는 후술하겠지만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용수단(132)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볼록부(21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며, 볼록부(210)의 볼록 형상은 자체적으로 이미 상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형상을 가진 흡착판보다 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를 통하여 흡착판(200)의 잔류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수단(140)과 수용수단(132)의 나사산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장신구(160)를 회전시키면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나사산을 따라 상 방향으로 올라가는데, 이 경우 제 1, 2 실시예에 대한 흡착판(200)을 각각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 1실시예에 대한 흡착판에서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상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발생하는 수용수단(132) 내의 공간은 공기압의 상 방향 쏠림 현상, 즉 액체의 모세관 현상에 준하는 현상에 따라 수용수단(132) 하부에 위치한 흡착판(200)이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상 방향으로 이동된 범위에 상응하게 상 방향으로 올라간다. 특히, 볼록부(210)가 상 방향으로 올라갈 때 주변의 둘레부(230)가 같이 상 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볼록부(210) 내부의 공기가 상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메우기 위하여 둘레부(230)가 중심 방향으로 응집하기 시작한다. 상술하였듯이, 둘레부(230)의 단부는 약간 상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둘레부(230)가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면 응집 과정에서 응집력이 배꼽(N)의 바닥 면과의 부착력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배꼽(N)에서 미끄러져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이탈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며, 즉 둘레부(230)의 단부가 약간 상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곧바로 둘레부(230)가 배꼽의 바닥 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응집하여 배꼽(N)의 바닥 면을 조여 주면서 배꼽(N)과 견고한 부착관계를 이룰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둘레부(230)의 외측에 위치한 돌기(220)는 배꼽(N)의 측벽과 맞물려 배꼽(N) 측벽을 붙잡아주는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여 흡착판(200)이 배꼽(N)에서의 흡착되는 과정에서 설령 흡착판(200)의 바닥이 배꼽(N)에서 이탈한다 하더라도 배꼽(N)의 측벽을 잡아 주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실시예의 흡착판(200)의 경우,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상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결합수단(14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260) 역시 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결부재(260)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흡착 플레이트(270)를 상 방향으로 잡아 올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하우징(250) 내의 스페이스(251)는 흡착 플레이트(270)가 이동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흡착 플레이트(270)가 상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배꼽(N)의 바닥 면은 흡착 플레이트(270)의 저면과 압착을 하게 된다. 이로서, 흡착 플레이트(270)는 접촉되어 있던 배꼽(N)의 바닥 면과 진공 압착관계를 이루어 배꼽(N)과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흡착 플레이트(27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흡착 플레이트(270)의 외부 둘레 부위(외주면)가 하우징(2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흡착 플레이트(270)의 외부 둘레 부위 상부 면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280)가 배꼽(N) 측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배꼽(N) 측벽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꼽(N)과 레버(280)의 상단부가 맞닿게 되면 레버(280)의 상단부가 배꼽(N) 측벽 부위를 압박하여 이중의 결합 관계를 이루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물론, 레버(280)의 배꼽(N) 측벽 압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배꼽(N)에서 이물감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흡착 플레이트(280)가 흡착되면서 외주 면이 하우징(250)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버(280)가 배꼽(N) 측벽에 닿지 않도록 레버(280)를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하지 않고 연장 시작 부위에서는 바디(110) 방향으로 진행되다가 다시 상단 부위에서는 배꼽(N) 측벽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굴곡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착판 작용수단(120)은 결합수단(140)이 수용수단(132)에서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흡착판(200)을 너무 빨리 이동시키게 됨으로 흡착판(200)이 배꼽(N) 바닥 면에 흡착하기 이전에 아예 배꼽(N) 바깥쪽으로 이 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착판(200)에 일정 압력을 가하거나 흡착판(200)이 배꼽(N) 내에 안착될 때 흡착판(200)을 일정 압력으로 눌러 배꼽(N)의 바닥 면에 적절히 안착되는 것을 돕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흡착판 작용수단(120)의 상부 일정 압박으로 인하여 흡착판(200), 특히 볼록부(21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가 너무 빨리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결국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충분히 볼록부(21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에 작용력을 전달하게 됨으로 결과적으로 흡착판(200)의 원활한 압착 작용을 보장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배꼽(N)에서 탈거하기 위하여 결합수단(140)이 수용수단(132)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장신구(160)를 회전하여 결합수단(140)의 하단부가 수용수단(132)의 내측 하부에 이르게 한다. 이 때 볼록부(21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는 상 방향으로 올라가 있던 상태에서 다시 원 상태의 형상으로 복원이 된다. 이 후, 사용자는 레버(280)를 손가락 내지 손톱으로 들어올려 둘레부(23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의 외주 면이 들어 올려지게 하여 이 사이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게 함으로 흡착판(200)과 배꼽(N) 사이의 진공 부착 관계를 해제함으로 손쉽게 배꼽(N)에서 흡착판(20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 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1)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2) 배꼽 내에 결합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꼽에 포만감이나 이물감, 거북함을 느끼지 않아 배꼽 내의 편안한 장착감을 보장할 수가 있으며,
3) 배꼽 내 결합 및 탈거 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각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는 배꼽 사이즈에 상관없이 대중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4) 불필요한 구성을 없애고 보다 슬림한 구성 상태로 제작이 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로서,
    금속 내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나사산(132a)을 구비한 수용수단(132) 및 바닥 면(131)에 형성된 흡착판(200)을 포함하여 상기 흡착판(200)이 배꼽(N)의 바닥 면에 밀착이 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신구(160);
    상기 장신구(160)의 결합구(161)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141)를 구비하고, 하단부가 상기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수단(132)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결합 수단(140);
    상기 바디(110)의 외주 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버(280)로 구성되어,
    배꼽(N)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80)를 들어올려 상기 흡착판(200) 내의 잔류 공기를 제거하고 장신구(160)의 회전으로 상기 결합수단(14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착판(200)의 중앙부위가 들어 올려져 배꼽(N)과 진공 압착되어 배꼽(N) 내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는,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지고 상기 흡착판(200)의 상부에 위치한 흡착판 작용수 단(120);과,
    상기 수용수단(132)이 상기 흡착판(200)의 중앙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 바디(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200)은,
    중앙부위가 상 방향으로 굴곡 돌출되어 있는 곡률부(210)와, 상기 곡률부(210)의 주변 둘레를 이루되 외각 단부가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둘레부(2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230)의 외각 둘레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200)은,
    내부에 스페이스(251)를 구비한 하우징(250)과, 상기 결합수단(140)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우징(250)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재(260), 상기 연결부재(26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50)의 바닥 면 하부에 위치한 흡착 플레이 트(2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80)는 상기 둘레부(230) 내지 흡착 플레이트(270) 중 어느 하나의 외각 둘레 부위의 상부 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80)의 단부는 일정 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20060044435A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35A KR100675671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35A KR100675671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671B1 true KR100675671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35A KR100675671B1 (ko) 2006-05-17 2006-05-17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KR200374336Y1 (ko) * 2004-11-04 2005-01-27 김용선 피어싱 구조
KR100585255B1 (ko) * 2006-03-20 2006-05-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KR200374336Y1 (ko) * 2004-11-04 2005-01-27 김용선 피어싱 구조
KR100585255B1 (ko) * 2006-03-20 2006-05-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35B2 (en) Antiseptic bracelet
JP2017534304A (ja) マニキュア液容器ホルダ
KR100585255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US20130160490A1 (en) Charm attachable to an object
US5755648A (en) Hand exerciser with attached object
KR100675670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CN210536695U (zh) 一体式硅胶指环支架
KR10062533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JP2007244510A (ja) 点眼補助具
KR100675674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JP201805752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JP2004298270A (ja) へそ用身飾品
WO2004043315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f liquid material to the eye
JP2008237267A (ja) ピンキャッチ、装飾カバーおよびピンキャッチの製造方法
US5123264A (en) Telephone earrings
JP2001247144A (ja) 飲料容器
CN214230218U (zh) 一种蛋形减压钥匙包
JP3162680U (ja) 装飾具
KR200450580Y1 (ko) 장신구
JP2003221706A (ja) パッド及び胸当て部を有する衣類
JP6581744B1 (ja) 男性用の尿失禁防止器具及びカバー
US20210330044A1 (en) Sanitizer Brace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