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674B1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5674B1 KR100675674B1 KR1020060044440A KR20060044440A KR100675674B1 KR 100675674 B1 KR100675674 B1 KR 100675674B1 KR 1020060044440 A KR1020060044440 A KR 1020060044440A KR 20060044440 A KR20060044440 A KR 20060044440A KR 100675674 B1 KR100675674 B1 KR 100675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vel
- elastic body
- extension
- bottom fixing
- jewel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일 측에 결합구(141)를 가진 장신구(140); 일 단부가 상기 장신구(140)의 결합구(141)와 결합되어 있고,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스트링 형태로 연장되어 있되, 신축 및 이완이 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 바디(110);로 구성이 되어, 상기 탄성 바디(110)를 구부리거나 휘게 한 상태로 배꼽(N) 내에 삽입을 한 뒤 상기 탄성 바디(110)가 펴지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 바디(110)가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을 압박함으로 배꼽(N) 내에서 밀착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상당히 간편한 조작법에 의하여 배꼽 내에 결합 및 탈거가 가능하며, 각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는 배꼽 사이즈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여 대중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탄성 바디가 배꼽에 삽입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탄성 바디가 배꼽에 삽입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14: 바닥 고정부
110: 탄성바디 120: 논슬립
111: 고리부 130: 마개
112: 제 1연장부 140: 장신구
113: 제 2연장부 N: 배꼽
본 발명은 배꼽에 장착되는 장신구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배꼽 주변을 피어싱(piercing)하여 배꼽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던 장신구의 위험성을 탈피하고 논 피어싱(non piercing) 방식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배꼽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사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목걸이의 목걸이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기존의 귀걸이 장착을 위해 사용되던 피어싱(piercing) 기술이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어싱 기술은 장신구를 특전 신체 부위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뚫어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펜던트(pendant)와 고정 수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꼽에 피어싱을 하는 경우 종단에 고리가 있는 펜던트를 배꼽에 밀어 넣고 배꼽 주변 부위를 펜던트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뚫어 이 구멍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고리와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게 배꼽에 펜던트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방법에 의하여 배꼽에 장신구가 장착이 될 때, 분명 배꼽에 견고하게 장신구가 장착된다는 이점은 있겠으나, 신체를 직접 피어싱 하는 시술로 인하여 피어싱 부위에 외부의 세균이 무방비로 침투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하는 곳은 악세사리 판매업체와 같은 의료 기관과 상관없는 곳이라 매우 비위생적이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받은 자가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배꼽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를 장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은 심리는 있으나 배 주변 부위를 피어싱해야 한다는 부담감 내지 혐오감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하지 못한다는 대중화에 역행하는 저해요인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경우, 배꼽 사이즈에 꼭 들어맞는 장신구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신구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설사 배꼽 직경에 꼭 맞는 사이즈의 장신구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배꼽의 구조 상 사용자가 움직일 때 쉽사리 배꼽에서 장신구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 부담 내지 혐오감이 있는 피어싱 시술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배꼽 장착용 장신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 -0025282호"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대하여 출원한 적이 있는데, 그 기술적인 요지는 청구항 제 1항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이 선행하여 출원한 따른 상기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더불어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한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의하여서도 배꼽에 피어싱 없이 견고하게 장착 및 안전하게 탈거가 가능한데, 상기 기술에서는 마개(40)의 통공 개폐부(42)의 개폐 방식으로 바디(20)의 흡착판(23)이 배꼽에 흡착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바 이 경우 마개(40)의 손잡이(41)가 측 방향으로 돌출 구성이 되어야 손잡이(41)의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짐과 더불어 배꼽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손잡이(41)가 자리하는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배꼽의 크기가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일정 크기를 가진 바디가 호환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도 따른다.
따라서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 내에 안전하고 밀접하게 결합이 됨과 동시에 보다 간편하고 개량된 방식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가진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어싱 없이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신구 장치를 제공하되, 장치의 구성을 최대한 단순하고 간편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배꼽의 직경 및 형상을 가진 사용자의 특성을 타지 않고 어떠한 사용자에게도 최대한 호환이 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꼽이 주변 유연적인 근육으로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배꼽의 측벽 및 바닥 면의 탄성을 이용하여 배꼽 형태를 변형하더라도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배꼽 내에 안락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는, 일 측에 결합구(141)를 가진 장신구(140); 일 단부가 상기 장신구(140)의 결합구(141)와 결합되어 있고,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스트링 형태로 연장되어 있되, 신축 및 이완이 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 바디(110);로 구성이 되어, 상기 탄성 바디(110)를 구부리거나 휘게 한 상태로 배꼽(N) 내에 삽입을 한 뒤 상기 탄성 바디(110)가 펴지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 바디(110)가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을 압박함으로 배꼽(N) 내에서 밀착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바디(110)는, 상기 장신구(140)의 결합구(141)와 결합하는 고리부(111); 상기 고리부(111)의 하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연장부(112); 상기 제 1연장부(112)의 하단에서 90도 절곡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되, 일정 곡률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바닥 고정부(113); 상기 바닥 고정부(113)의 타단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연장부(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바닥 고정부(113)와 상기 제 1, 2 연장부(112,114)의 각각의 접합 부위 에는 고무 내지 실리콘 재질의 논슬립(120);이 추가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구성의 일부 절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각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0)는 배꼽 내에 삽입되어 배꼽의 측벽 및 바닥 면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 바디(110)와, 이러한 탄성 바디(110)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장신구(140)로 구성이 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탄성 바디(110)에 결합되는 1쌍의 논슬립(non-slip)(120)과, 탄성 바디(11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마개(13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디(110)는 원통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가지고 수축과 이완 작용이 있는 스트링(string) 형상의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 유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 단부는 후술할 장신구(140)와 연결이 되고, 타 단부 및 연장 부위는 배꼽(N)의 내측 원형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부러져 있되 보다 일직선에 가까운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탄성 바디(110)는 스트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져 양 단부를 굽히면 다시 펴지려는 성질을 가진다. 탄성 바디(110)는 탄성력을 가지기 위하여 스프링/스피럴 스피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디(110)는 고리부(111), 제 1 및 제 2 연장부(112,114), 바닥 고정부(113)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고리부(111)는 탄성 바디(110)의 일 단부를 이루는 것으로, 그 단부가 말려진 다음 다른 주변 부위와 겹쳐져 대략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원형 형상 부위가 독립적인 밀폐 공간을 마련하도록 형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고리부(111)는 장신구(140)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시각적으로 장신구(140)가 배꼽(N) 상부 측 주변에 적절히 위치하도록 장신구(140)와 탄성 바디(110)를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연장부(112)는 상기 고리부(111)의 하단부에서 일정 각을 두고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는 부위로서, 바람직하게는 고리부(111)가 배꼽(N)의 위쪽으로 돌출되기 용이하도록 일반적인 성인의 배꼽 깊이보다 약간 길게 연장 형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연장부(1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 삽입되었을 때 배꼽(N)의 측벽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 고정될 시에 배꼽(N)의 측벽에 밀착된다.
바닥 고정부(113)는 제 1연장부(112)의 하단부에서 다시 대략 90도로 절곡되 어 배꼽(N)의 바닥 면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바닥 고정부(113)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원형 형상의 배꼽(N)의 바닥 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호를 그리면서 곡률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배꼽(N)의 바닥 면 직경보다 길어 이를 구부리거나 휘어지도록 해야만 배꼽(N)의 바닥 면에 맞닿게 삽입할 수가 있으며, 특히 탄성 바디(110) 중에서 가장 높은 탄성력을 요구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바닥 고정부(113)는 배꼽(N)의 바닥 면에 위치하여 복원 시에 배꼽(N)의 벽체 부위에 압박을 주어 배꼽(N)의 형상을 변형하면서 배꼽(N)에 밀착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중요 요소이다.
제 2연장부(114)는 상기 바닥 고정부(113)의 타단, 즉 제 1연장부(112)와 연결된 반대 부위에서 다시 절곡되어 수직 상 방향으로 뻗어 배꼽(N)의 측벽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제 1연장부(112)와 평행상태를 이루며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연장부(112,114) 사이에 바닥 고정부(113)가 위치된다. 즉, 제 1, 2 연장부(112,114)와 바닥 고정부(113)는 전체적으로 옆면에서 바라보았을 때'U' 형상을 가진다.
제 2연장부(114)는 상기 제 1연장부(112)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이루어져 제 2연장부(114)의 상단부가 배꼽(N) 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non-slip)(120)은 바람직하게는 1쌍으로 이루어져 있 고 패킹과 같이 중앙부에 홀을 구비한 원형 플레이트 내지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각각 제 1 및 제 2연장부(112,114)의 하단부와 바닥 고정부(113)의 접촉 부위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논슬립(120)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탄성 바디(110)가 배꼽(N)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꼽(N)의 측벽에 압박을 주되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배꼽 내에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 손잡이로서도 활용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1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고, 1쌍의 논슬립(120)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있는 제 2연장부(114)에 삽입되어 논슬립(1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140)는 상기 탄성 바디(110)의 일 단부, 구체적으로는 고리부(111)에 결합되어 배꼽(N)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천연 보석은 물론이고 플라스틱 내지 금속으로 이루어진 인조 큐빅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공 보석과 같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가진다.
장신구(140)의 일 부위에는 결합구(141)가 형성되어 이 결합구(141)에 탄성바디(110)의 일 단부, 구체적으로는 고리부(111)의 단부가 끼워져 장신구(140)와 탄성 바디(110)의 결합 관계를 이룰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의 탄성 바디(110) 및 논슬립(120)이 배꼽(N)에 삽입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의 탄성 바디(110)가 배꼽(N)에 삽입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히, 도 6에서 점선은 배꼽(N)의 기본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타원형의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고정되었을 때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탄성 바디(110)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장신구(140)를 배꼽(N)의 중앙 부위 상측 면에 위치하고 탄성 바디(110)의 타 단부 및 기타 적절한 부위를 두 손가락으로 잡고 배꼽(N) 형상에 상응하도록 휘어지게 한 다음 배꼽(N) 내에 삽입하여 적절하게 위치를 잡도록 한다.
탄성 바디(110)가 배꼽(N) 내에서 위치를 잡게 되면, 사용자는 탄성 바디(110)의 파지 부위에서 손을 떼어 내며 이 때, 자체 탄성력으로 휘어져 있던 탄성 바디(110)가 다시 펴지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1자에 가깝게 펴지려는 복원 상태를 가짐과 동시에 주변에 위치한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에 압박을 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일정 범위에서 이완이 될 수 있는 복근 사이에 이루어진 배꼽(N)의 측벽과 바닥 면은 탄성 바디(110)와 밀착을 이루면서 이완되는데, 탄성 바디(110)가 복원되어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펴지려는 성질과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이 늘어나되 변형되는 한계치에 이르렀을 때 더 이상 변형되지 않는 성질과 평형 상태를 이루어, 결국 애초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진 배꼽(N)이 타원 형상 으로 변형되고 결과적으로 탄성 바디(110)가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에 강하게 고정 밀착되고, 이렇게 고정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 바디(110)가 배꼽(N)의 주변 복근/뱃살을 물거나 주변 살에 파묻히게 됨으로 안정적으로 배꼽(N)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고정될 수가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장신구(140)는 배꼽(N)의 중앙부 상부 면에 위치하여 탄성 바디(110)를 가리게 되어 시각적으로 탄성 바디(11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배꼽(N)을 치장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배꼽(N)에서 탈거하려고 할 때에는 사용자가 탄성 바디(110)의 양 단부를 눌러 배꼽(N)의 원래 형상인 원형 형상에 상응하게 휘어지게 하여 배꼽(N)의 측벽과 바닥 면에서 탄성 바디(110)의 접촉 상태를 해제한 다음, 배꼽(N)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빼어 낼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 바디(110)의 고리부(111)에는 장신구(140)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장신구(140)를 배꼽(N)의 중앙 부근에 위치시킨다.
탄성 바디(110)의 고리부(111) 이외의 구성, 즉 제 1 연장부(112) 및 제 2연장부(114), 바닥 고정부(113)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배꼽(N)에 삽입하게 되면 제 1, 2연장부(112,114)는 배꼽(N)의 측벽에 수평하게 위치하고 바닥 고정부(113)는 배꼽(N)의 바닥 면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바닥 고정부(113)의 길이는 배꼽(N)의 바닥 면 직경보다 길지만 일직선 형태가 아닌 약간 휘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바닥 고정부(113)의 양 단부를 잡고 배꼽(N)에 삽입되는데 장애가 없을 정도로 힘을 작용하여 휘어지게 한다.
여기서, 제 1, 2연장부(112,114)와 바닥 고정부(113)의 연결 부위, 즉 바닥 고정부(113)의 양 단부에는 각각 논슬립(120)이 위치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논슬립(120)을 손잡이로 사용하여 이 논슬립(120)을 누름으로써 바닥 고정부(113)를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제 2연장부(114)에 삽입된 논슬립(120)의 바깥쪽으로는 마개(130)가 추가로 결합되기 때문에 논슬립(120)이 제 2연장부(114)에서 이탈되는 현상은 사전에 방지가 된다.
사용자가 바닥 고정부(113)를 휘게 하여 배꼽(N)에 탄성 바디(110)를 삽입한 다음 논슬립(120)에서 손을 떼면 바닥 고정부(113)는 원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대략 일직선 형태로 펴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꼽(N)의 바닥 면의 측벽 부위에는 1쌍의 논슬립(120)이 맞닿아 배꼽(N)의 바닥 면을 바깥쪽 방향으로 압박함으로 배꼽(N)이 벌어지게 되어 원형 형상에서 타원 형상으로 변형이 되며, 이와 동시에 논슬립(120) 부위는 배꼽(N)과 타이트한 밀착 관계를 이루며 또한 제 1, 2 연장부(112,114) 역시 배꼽(N)의 측벽에 맞닿아 배꼽(N)과 2중의 결합 관계를 이루게 된다.
논슬립(120)은 바닥 고정부(113)가 복원되면서 배꼽(N)에 압박을 줄 때 바닥 고정부(113)의 연장 부위와 더불어 배꼽(N)의 바닥 면에 닿는 부위로, 배꼽(N)의 바닥 면에 직접적인 압박을 주어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발생하거나 통증을 주는 것 을 방지하는 완충 요소 역할을 하며, 더불어 배꼽(N)의 접촉 부위와 별도의 마찰력을 발생하여 탄성 바디(110)가 배꼽(N)에서 자칫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제 2연장부(114)는 그 전체가 배꼽(N)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장신구(140)의 미감을 살려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단부가 배꼽(N)의 측벽과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가 배꼽(N)과 보다 강인한 결합 관계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꼽(N)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빼어내고자 할 때에는, 1쌍의 논슬립(120)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하여 이 논슬립(120)을 눌러줌으로 바닥 고정부(113)가 휘어지게 하여 배꼽(N)의 바닥 면에서 바닥 고정부(113)를 이격시키고 동시에 제 1, 2 연장부(112,114)가 휘어진 바닥 고정부(113)에 따라 내측으로 모여짐으로 배꼽(N)의 측벽에서 이격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에서의 밀착 관계를 해제시킨 다음에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빼어내면 된다.
장신구(14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고리부(111)의 구성 상, 고리부(111)에서 빼어낼 수 있고 더불어 다른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140)로 교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유행 및 사용자의 취향에 알맞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여러 용도에서 활용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 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1)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배꼽 내의 결합 상태를 가지고,
2) 상당히 간편한 조작법에 의하여 배꼽 내에 결합 및 탈거가 가능하며,
3) 각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는 배꼽 사이즈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여 대중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4) 불필요한 구성을 없애고 보다 슬림한 구성 상태로 제작이 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0)로서,일 측에 결합구(141)를 가진 장신구(140);일 단부가 상기 장신구(140)의 결합구(141)와 결합되어 있고,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스트링 형태로 연장되어 있되, 신축 및 이완이 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 바디(110);로 구성이 되어,상기 탄성 바디(110)를 구부리거나 휘게 한 상태로 배꼽(N) 내에 삽입을 한 뒤 상기 탄성 바디(110)가 펴지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 바디(110)가 배꼽(N)의 측벽 및 바닥 면을 압박함으로 배꼽(N) 내에서 밀착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바디(110)는,상기 장신구(140)의 결합구(141)와 결합하는 고리부(111);상기 고리부(111)의 하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연장부(112);상기 제 1연장부(112)의 하단에서 90도 절곡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되, 일정 곡률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바닥 고정부(113);상기 바닥 고정부(113)의 타단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연 장부(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바닥 고정부(113)와 상기 제 1, 2 연장부(112,114)의 각각의 접합 부위 에는 고무 내지 실리콘 재질의 논슬립(120);이 추가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2연장부(114)에 삽입된 상기 논슬립(120)의 바깥쪽으로는 마개(130);가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2 연장부(112,114) 및 상기 바닥 고정부(113)의 전체 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U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4440A KR100675674B1 (ko) | 2006-05-17 | 2006-05-17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4440A KR100675674B1 (ko) | 2006-05-17 | 2006-05-17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5674B1 true KR100675674B1 (ko) | 2007-01-30 |
Family
ID=3801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4440A KR100675674B1 (ko) | 2006-05-17 | 2006-05-17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567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51710U (ko) * | 1988-10-05 | 1990-04-12 | ||
KR200374336Y1 (ko) * | 2004-11-04 | 2005-01-27 | 김용선 | 피어싱 구조 |
KR100585255B1 (ko) * | 2006-03-20 | 2006-05-30 | 이준호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2006
- 2006-05-17 KR KR1020060044440A patent/KR1006756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51710U (ko) * | 1988-10-05 | 1990-04-12 | ||
KR200374336Y1 (ko) * | 2004-11-04 | 2005-01-27 | 김용선 | 피어싱 구조 |
KR100585255B1 (ko) * | 2006-03-20 | 2006-05-30 | 이준호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3675A (en) | Face decor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3041856A (en) | Ear ornament with three-point resilient support within the tragus, the antitragus and the anti-helix | |
KR100675674B1 (ko)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US6662598B2 (en) | Body ornament | |
KR100675670B1 (ko)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KR102337877B1 (ko) | 마스크 스트랩 | |
JP2007068584A (ja) | 連結部材及び連結部材の製造方法 | |
US20040103911A1 (en) | Barrette/hair clip with integrally attachable artificial flower | |
KR20090006171U (ko) | 장신구용 연결구 | |
US20160095394A1 (en) | Flexible jewelry tether for securing and orienting jewelry | |
KR20200002732U (ko) | 마스크끈 고정용 헤어밴드 | |
KR100675671B1 (ko)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JP3237903U (ja) | 装着具 | |
KR100675672B1 (ko)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JP2004298270A (ja) | へそ用身飾品 | |
US20050132472A1 (en) | Ear Muff Twisty | |
KR200474269Y1 (ko) | 안대 | |
WO2020196717A1 (ja) | 耳飾り | |
KR200422582Y1 (ko) | 팔찌 | |
KR100625331B1 (ko)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
KR20220157227A (ko) |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 |
JP2023013279A (ja) | 装着用具 | |
KR970006176Y1 (ko) | 장신구 겸용 인조손톱 보관구 | |
JP2001252113A (ja) | リング状装身具の伸縮部材及び同部材を備えたリング状装身具 | |
JPH0354569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