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227A -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227A
KR20220157227A KR1020210065069A KR20210065069A KR20220157227A KR 20220157227 A KR20220157227 A KR 20220157227A KR 1020210065069 A KR1020210065069 A KR 1020210065069A KR 20210065069 A KR20210065069 A KR 20210065069A KR 20220157227 A KR20220157227 A KR 20220157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present
band
access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건우
Original Assignee
선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건우 filed Critical 선건우
Priority to KR102021006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227A/ko
Publication of KR2022015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팔찌나 건강용 밴드와 같이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착용줄을 가지는 장신구를 보다 편리하게 결착하거나 결착상태를 간단히 분리 가능하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비 자성체로 된 착용줄(30)과, 이 착용줄(30)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정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 각각의 결합면에 설치되는 자석(11)(21)들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는 홀(15)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20)에는 홀(15)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버튼부재(25)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accessorie band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찌나 건강용 밴드와 같이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착용줄을 가지는 장신구를 보다 편리하게 결착하거나 결착상태를 간단히 분리 가능하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장신구를 사용하는 것은 인류의 문화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로 장신구를 만들어 신체에 직접 착용하거나 의복의 특정 부위에 매달아 자신의 호신부로 삼거나, 자신을 돋보이도록 한다.
또, 차별화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통적인 요소를 가진 장신구를 통해 소속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예로서 팔찌는 팔목 기타 팔 부위에 차는 고리 모양의 장신구로, 금, 은과 같은 귀금속이나 옥 등 보석을 고리형으로 형성하거나, 줄에 꿰고 줄 끝을 묶어 환형으로 만들어 착용하였다.
장신구의 상당수는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끈을 사용하여 목이나 손에 잘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지는데, 자신에게 착용할 때에는 두 손을 쉽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너무 가까운 거리에 있어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장신구 가운데 상당수가 착용 후 벗지 않고 계속 착용하도록 예정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벗거나 다른 장신구를 착용해야 하므로, 장신구 탈착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끈이 달린 장신구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많은 장치, 구조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장신구는 신체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너무 복잡하고 크게 만들 수 없다는 점에서 여러 한계가 있고, 손이나 목에 끈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장신구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장착 위치에 대한 기본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여전히 불편한 경우가 많다.
팔찌는 주로 신체의 팔목 부분에 착용하는 장식물로서, 그 모양에 따라 체인(사슬 모양), 링(고리 모양), 힌지(경첩식), 뱅글(장식 고리식), 러브(하트형 사슬에 연결한 것), 슬레이브(팔목에 꼭 끼는 고리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팔찌는 국내 등록번호 10-1837024호에서와 같이 체인 또는 플렉시블한 밴드로 된 착용줄과 이 착용줄의 양단부 상에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 및 제2 체결부재의 결합면에는 자석들 또는 자성체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자석이 서로 부착되려는 자력에 의해 착용줄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착용줄의 두 끝단의 체결부재들이 자력에 의해 착용자가 두 체결부재를 정확한 위치로 결합시키지 않아도 쉽게 두 체결부재가 자착 위치로 움직이며 체결을 이룰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풀어짐과 그에 따른 장신구 훼손, 분실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실 방지를 위해 자석들의 자력 세기가 비교적 강한 것을 선택하여 생산하게 되므로 필요에 의해 장신구를 신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강하게 자착(磁着)되어 있는 두 개의 체결부재들을 예로서 한손을 이용해 간단히 분리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837024호 (등록일자 2018년03월05일)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2011-0011681호 (공개일자 2011년12월19일)
이러한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사용을 위한 체결과 해체가 모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손으로도 간단히 체결상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상태에서는 저절로 풀어지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도록 한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과 신뢰성이 우수한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비 자성체로 된 착용줄(30)과,
이 착용줄(30)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정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 각각의 결합면에 설치되는 자석(11)(21)들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는 홀(15)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20)에는 홀(15)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버튼부재(25)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착용줄의 체결부재들이 자석들에 의해 상호 인력을 작용시켜 쉽게 체결시키게 되며, 분리할 때에는 간단하게 한 손가락으로 버튼부재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착용 상태에서는 결착 상태가 견고하여 분실되는 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결착과 분해가 매우 간편하여 장신구의 상품성이 우수해 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장신구용 팔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신구용 팔찌의 착용줄을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결착부재들에 의해 결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제1 결착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결착부재들에 의해 결착되는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결착부재들이 서로 결착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8은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하여 결착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예로서 체인구조로 연결되는 장신구용 착용줄(30) 양단에는 서로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가 연결된다.
제2 체결부재(20)에는 착용시 신체의 피부에 닿는 부분, 즉 저면에는 토르말린이나 게르마늄과 같이 원적외선 등을 발산하여 신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기능성 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의 본체에는 결합을 위한 자석(11)(21) 혹은 자성체가 설치되는데, 본체는 자석의 영향을 받아 전체가 자화되지 않도록 비자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체와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들은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알루마이트막이나 법랑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의 결합면에는 복수개의 자석(11)(21)들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매립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이 자석(11)(21)들은 원기둥 형상으로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에 파여지는 설치홈에 결합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각각 압입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결착상태에서 제1 체결부재(10)의 자석(11)과 제2 체결부재(20)의 자석(21)은 서로 대향하는 표면이 서로 다른 자극을 나타내어 자성에 의해 인력이 작용되도록 배치한다.
또, 일측에는 자석 대신에 자성체 금속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에서 상기 착용줄(30)은 체인구조로 연결되는 형상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탄성을 갖는 기능성 밴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석(11)(21)들에 의해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들이 결착된 상태에서 해제를 위해 조작의 편의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는 홀(15)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체결부재(20)에는 홀(15)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버튼부재(25)를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도 6은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가 결착을 위해 홀(15)과 버튼부재(25)의 위치를 일치시켜 결착하기 직전 상태를 제1 체결부재(10)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제1 체결부재(10)의 홀(15)과 제2 체결부재(20)에 마련된 버튼부재(25)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버튼부재(25)가 홀(15)에 끼워진 상태에서 약간 헐거운 정도의 공차로 성형된다.
그리고, 각 자석(11)(21)들은 홀(15)에 버튼부재(25)가 끼워진 위치에서 서로 대응되는 동일 위치와 갯수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가 서로 결착되면 홀(15)에 버튼부재(25)가 관통되어 버튼부재(25)의 일부분이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면 보다 더 돌출된 상태로 자석(11)(21)들에 의해 자력으로 결착상태를 유지하여 장신구를 예로서 팔목에 착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착용상태에서 장신구를 팔목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버튼부재(25)를 한손가락으로 밀게 되면, 자착되어 있던 자석(11)(21)들을 쉽게 떨어트리면서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의 체결상태를 간단히 분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착용줄(30)의 체결부재들이 자석(11)(21)들에 의해 상호 인력을 작용시켜 쉽게 체결시키게 된다.
또, 분리할 때에는 간단하게 한 손가락으로 버튼부재(25)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쉽게 체결상태를 분리시킬 수 있어 장신구의 조작 편리성과 상품성이 우수해 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제1 체결부재
11 - 자석
15 - 홀
20 - 제2 체결부재
21 - 자석
25 - 버튼부재
30 - 착용줄

Claims (1)

  1. 비 자성체로 된 착용줄(30)과,
    이 착용줄(30)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정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 및 제2 체결부재(20) 각각의 결합면에 설치되는 자석(11)(21)들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는 홀(15)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20)에는 홀(15)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버튼부재(25)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KR1020210065069A 2021-05-20 2021-05-20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KR20220157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69A KR20220157227A (ko) 2021-05-20 2021-05-20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69A KR20220157227A (ko) 2021-05-20 2021-05-20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227A true KR20220157227A (ko) 2022-11-29

Family

ID=842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069A KR20220157227A (ko) 2021-05-20 2021-05-20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2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681U (ko) 2010-06-11 2011-12-19 안병선 장신구용 펜던트의 장착구조
KR101837024B1 (ko) 2016-10-11 2018-03-12 주식회사 엔텀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681U (ko) 2010-06-11 2011-12-19 안병선 장신구용 펜던트의 장착구조
KR101837024B1 (ko) 2016-10-11 2018-03-12 주식회사 엔텀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74545A1 (en) Jewelry strap with interchangeable snaps and snap charm holders
US20150027166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US20130333418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egments
US6026658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US20160066661A1 (en) Magnetic jewelry connectors for forming a jewelry piece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KR101837024B1 (ko)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US9775456B2 (en)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KR20220157227A (ko) 장신용 밴드 체결장치
JP2007068584A (ja) 連結部材及び連結部材の製造方法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20503Y1 (ko) 액세서리
WO2002035958A1 (fr) Bijou
KR100916516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반지와 팔찌 커플링 장치
KR200463331Y1 (ko) 악세사리 구조
KR200168567Y1 (ko) 장신구
CN204599609U (zh) 一种带装饰件的手镯
KR200313343Y1 (ko) 장신구 걸이용 목걸이 줄
CN210630752U (zh) 一种扩香的投影手饰
KR200177550Y1 (ko) 건강 목걸이 겸용 묵주
CN213096508U (zh) 一种可以拆分佩戴的手镯
CN209498830U (zh) 一种拉伸扣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100916514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KR100916515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넥타이핀 커플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