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825B1 -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825B1
KR100674825B1 KR1020040112771A KR20040112771A KR100674825B1 KR 100674825 B1 KR100674825 B1 KR 100674825B1 KR 1020040112771 A KR1020040112771 A KR 1020040112771A KR 20040112771 A KR20040112771 A KR 20040112771A KR 100674825 B1 KR100674825 B1 KR 10067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jig
bending
rotation
reli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130A (ko
Inventor
문양호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8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96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where the adjusting means are gears and r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1Testing of furniture, e.g. seats or mattr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등의 이동단말기 또는 프린터 케이블등에 사용되어지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는, 연성기판의 일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된 회동수단; 상기 연성기판의 타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받침수단의 사이에서 상기 연성기판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부품형상을 모사하고, 연성기판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지그수단;및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부여하여 연성기판이 반복적인 굴곡작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연성기판이 완성품에 장착된 상태를 모사하여 굴곡 시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장치의 형태를 모사한 지그를 사용하여 완성품의 제작전에 실제와 동일한 조건에서 굴곡 시험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연성기판,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클램프, 회동수단, 지그수단, 완성품 모사

Description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Reliability of Bending of A Flexible PCB}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용 연성기판(Flexible PCB)을 도시한 구성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제 3도의 a),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에서 휴대폰용 연성기판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및, 측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에 갖춰진 지그수단이 휴대폰의 힌지부를 모사(模寫)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에 갖춰진 지그수단이 회전축에 동축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에 연성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8도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가 굴곡성능 시험을 실행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5.... 연성기판 5a.... 연성기판의 일측단
5b.... 연성기판의 타측단 10.... 회동수단
10a... 회동판 12.... 클램프
14.... 회전축 20.... 받침수단
20a... 받침판 30.... 지그수단
32,34... 제 1및 제 2지그 33a,35a.... 제 1및 제 2원통부
33b,35b... 개방구 33c,35c... 제 1및 제 2연결부
50.... 각도조절수단 52.... 지지대
54.... 조절볼트 56.... 완충재
70.... 회동속도 조절수단 72.... 앵커부재
74.... 스프링 수단 100.... 연성기판
110.... 경성기판 120.... 콘넥터
150.... 종래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160.... 회동판 162,172.... 클램프
164.... 베이스 166.... 회전축
170.... 받침판 180.... 동력전달 수단
190.... 계수기(Counter) 195.... 저항 측정기
197.... 모니터 L1,L2,L3... 스프링 수단 길이
S1,S3... 감속구간 S2,S4... 가속구간
본 발명은 휴대폰등의 이동단말기 또는 프린터 케이블등에 사용되어지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장치의 형태를 모사(模寫)한 지그를 사용하여 완성품의 제작전에 실제와 동일한 조건에서 굴곡 시험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되어지는 폴더형의 휴대폰 또는 프린터 케이블등에는 각종 연성기판(Flexible PCB)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성기판(Flexible PCB)은 인쇄 회로용 원판에 여러 개에서 수십 가지의 전기배선을 한 판에 형성하여 부품조립을 용이하게 장착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전자 제품의 핵심부품이다.이러한 연성기판은 신경 시스템에 비유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부품이며, 전자제품이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면서 개발된 전자부품으로서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곡성, 내약품성이 강하며, 특히 열에 강하여 가전기기,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성기판을 사용하는 폴더형 휴대폰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하여 개폐되는 본체부와 폴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 버튼(Key-Button)으로 이루어진 키패드(Key-pad)가 설치되며, 상기 폴더부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부와 폴더부를 연결하여 각종 전기적인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성기판이 사용되며, 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성기판(100)은 폴더부에 배치되는 경성기판(110)이 일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본체부에 장착되기 위한 콘넥터(120)등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성기판(100)은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폴더 구조등에 따라서 중간 부분이 휘어진 지점을 통상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성기판(100)은 휴대폰에 조립되기 전에 굴곡시험을 거쳐야 하는 데, 이러한 굴곡시험은 핸드폰과 같은 기기의 사용중에 연성기판(100)이 반복적으로 굴곡됨에 따라서, 내부 동선 박막이 피로 한도를 견디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전기적인 단락등에 의한 기기의 고장이 발생되므로 이를 조기에 검출하고자 사전에 굴곡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연성기판(100)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150)가 도 2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150)를 이용한 굴곡시험은 연성기판(100)이 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연성기판 제조업체측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연성기판(100)을 시험장치내에 고정하고 반복적으로 굴곡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50)는 상기 연성기판(100)의 일측을 이루는 경성기판(110)이 클램프(162)에 의해서 고정되는 회동판(160)을 베이스(164)상에 회전축(16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이에 대향하도록 클램프(172)에 의해서 콘넥터(120)가 고정되는 받침판(170)을 베이스(164)상에 배치하며, 상기 경성기판(110)과 콘넥터(120)의 사이에 위치한 연성기판(100) 부분은 자유롭게 굴곡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160)은 그 일측에 마련된 구동수단(미도시), 예를 들면 베이스(164)에 내장된 전기 모터(미도시)등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회동판(160)의 회전축(166)이 동력전달 수단(180)에 의해서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180)은 예를 들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회전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에 연결되어 직선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등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래크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도록 된 피니언 기어를 상기 회동판(160)의 회전축(166)에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회동판(160)은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크랭크 축이 회전하면, 이는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이러한 직선 왕복운동은 래크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166)을 정,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동력전달 수단(180)은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160)을 받침판(170)측으로 향하여 회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복귀시키는 굴곡작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동중에 이루어진 굴곡 횟수등은 베이스(164)의 일측에 마련된 계수기(Counter)(190)에 의해서 수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시험장치(150)는 연성기판(100)의 파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성기판(100)에는 저항 측정기(195)와 모니터(197)가 배치되어 상기 연성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저항 측정기(195)를 통하여 연성기판(100)이 전기적인 단락 또는 파단되는 때를 검출하여 연성기판(100)의 굴곡 신뢰성을 평가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50)는 어느 정도 연성기판(100)의 굴곡성능을 시험할 수는 있지만, 이는 연성기판(100)이 휴대폰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완전하게 모사(模寫)할 수는 없는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종래의 시험장치(150)는 단지 경성기판(110)과 콘넥터(120)를 고정하고, 그 사이를 이어주는 연성기판(100)을 자유롭게 하여 굴곡시키는 것이어서, 연성기판(100)의 굴곡 도중에 아무런 장애없이 자유로운 상태로 굴곡이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연성기판(100)이 휴대폰등에 장착되면, 연성기판(100)은 통상적으로 힌지부와 같은 부분에 형성되는 중공 구멍을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힌지부를 이루는 휴대폰 부품에 간섭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굴곡되지 못하는 것이다.
즉, 연성기판(100)은 그 굴곡도중에 굽힘 작동 뿐만이 아니라, 연성기판(100)이 장착되어지는 기기의 형태, 예를 들면 휴대폰의 힌지부등과 같은 장착 부품의 형태에 따라서, 굽힘 작동, 비틀림 작동, 당김 작동 또는 압축 작동등과 같은 복합적인 동작을 거치게 되고, 이와 같은 다양한 동작에 의한 다양한 외력을 복합적으로 받게 되어 연성기판(100)의 파단에 작용하는 것이다.
특히, 굴곡수명은 굴곡시 변형율(Strain)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는 데, 이러한 굴곡 변형율은 굴곡 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고, 이러한 굴곡반경은 상기 연성기판이 장착되는 기기 또는 장치마다 다르게 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50)는 그 굴곡성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연성기판(100)이 굴곡되므로, 연성기판(100)의 굴곡이 크게 제한되어지는 기기 장치에서의 연성기판 굴곡성능과는 큰 차이를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실제로 장착되는 기기 또는 장치의 품질을 보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장치와 동일한 조건에서 굴곡 시험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연성기판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설계에도 보다 완벽을 기할 수 있어서 완제품의 기술경쟁력에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 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의 일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된 회동수단;
상기 연성기판의 타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받침수단의 사이에서 상기 연성기판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부품형상을 모사하고, 연성기판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지그수단;및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부여하여 연성기판이 반복적인 굴곡작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연성기판이 완성품에 장착된 상태를 모사하여 굴곡 시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지그 수단은 상기 회동수단에 고정된 제 1지그와 상기 받침 수단에 고정된 제 2지그를 포함하고, 연성기판이 상기 제 1및 제 2지그의 내부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 1및 제 2지그들이 상기 지그수단의 회전축에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이 그 회동작동중에 감속구간과 가속구간을 거치도록 하여 그 회동속도를 변경하도록 된 회동속도 조절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휴대폰을 모사하여 연성기판(5)을 시험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는 상기 연성기판(5)의 일측단(5a)을 클램프(12)로 고정하고,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베이스(164)에 장착된 회동수단(10)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수단(10)은, 예를 들면 회동판(10a)으로 이루어지고, 그 배면에 클램프(12)를 장착하여 연성기판(5)의 일측단(5a), 예를 들면 경성기판을 고정하게 되며, 그 하단은 회전축(14)을 구성하여 베이스(164)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구동수단의 회전축(미도시) 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동수단(10)은 반복적인 굴곡동작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성기판(5)의 타측단(5b)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수단(20)을 구비하는 바, 상기 받침수단(20)은 예를 들면 베이스(164)상에서 돌출된 받침판(2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수단(20)은 받침판(20a)의 상부에 연성기판(5)의 타측단(5b), 예를 들면 콘넥터 부분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10)과 받침수단(20)의 사이에서 상기 연성기판(5)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부품 형상을 모사하고, 연성기판(5)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지그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지그수단(30)은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00)의 힌지부(210)를 모사하는 제 1및 제 2지그(3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지그(32)는 휴대폰 폴더부(212)의 힌지부(210)를 모사하도록 된 구조를 갖추어 제 1원통부(33a)와, 상기 제 1원통부(33a)를 일측으로 개방하는 제 1개방구(33b)및, 상기 제 1원통부(33a)를 회동수단(10)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 1연결부(3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지그(34)는 휴대폰 본체부(214)의 힌지부(210)를 모사하도록 된 구조를 갖추어 제 2원통부(35a)와, 상기 제 2원통부(35a)를 일측으로 개방하는 제 2개방구(35b)및, 상기 제 2원통부(35a)를 받침수단(20)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 2연결부(35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및 제 2지그(32)(34)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및 제 2원통부(33a)(35a)들이 상기 회전수단(10)의 회전축(14)에 동축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고, 상기 연성기판(5)이 상기 제 1및 제 2지그(32)(34)의 제 1및 제 2원통부(33a)(35a)들과 제 1및 제 2개방구(33b)(35b)들의 내부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부여하고, 그에 따라서 연성기판(5)이 반복적인 굴곡작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베이스(164)내에 내장되어 그 회전축이 동력전달수단(180)을 통하여 상기 회동수단(10)의 회전축(14)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통상적인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랭크 축, 피스톤 로드및 래크기어와 피니언 기어들을 포함하는 구조이거나, 이와는 다른 동력전달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을 통하여 구동수단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진 회전축(14)은 상기 베이스(164)에 마련된 베어링 블록(14a)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굴곡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반복적인 회동작동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5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50)은 베이스(164)상에서 회동수단(10)의 배면으로 향하여 돌출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54)및, 상기 조절볼트(54)의 머리부에 형성된 완충재(56)등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재(56)는 고무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동수단(10)의 배면이 그 회동 작동중에 접 촉되어도 소음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수단(50)은 상기 지지대(52)상에 조절볼트(54)의 나사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완충재(56)가 상부로 돌출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회동수단(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10)이 그 회동작동중에 감속구간과 가속구간을 거치도록 하여 그 회동속도를 변경하도록 된 회동속도 조절수단(7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회동속도 조절수단(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64)에 고정된 앵커부재(72)와, 상기 앵커부재(7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동수단(10)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수단(74)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72)는 그 위치가 상기 회동수단(10)의 회전축(14) 직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속도 조절수단(7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10)이 후방으로 젖혀진 경우의 스프링 수단(74)의 인장 길이(L1)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10)이 직립으로 위치된 때의 스프링 수단(74)의 길이(L2)가 더 길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10)이 받침수단(20)에 밀착될 때의 스프링 수단(74)의 길이(L3)가 상기 직립으로 위치된 때의 길이(L2)보다 짧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수단(10)은 굴곡작동 과정에서 도 8a)의 상태로 부터 도 8b)의 상태로 회동하는 구간(S1)은 스프링 수단(74)의 길이가 점차 증가됨에 따른 탄성력이 증가하여 회동수단(10)이 서서히 회동하는 감속구간을 형성하고, 도 8b)의 상태로 부터 도 8c)의 상태로 회동하는 동안에는 스프링 수단(74)의 길이가 점 차적으로 축소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여 회동수단(10)이 빨리 닫치는 가속구간(S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도 8c)의 상태로 부터 도 8b)의 상태로 회동하는 구간(S3)은 스프링 수단(74)의 길이가 점차 증가됨에 따른 탄성력이 증가하여 회동수단(10)이 서서히 회동하는 감속구간을 형성하고, 도 8b)의 상태로 부터 도 8a)의 상태로 회동하는 동안에는 스프링 수단(74)의 길이 축소에 따른 복원력이 증가하여 회동수단(10)이 빨리 닫치는 가속구간(S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가속구간(S2)(S4)과 감속구간(S1)(S3)들은 마치 휴대폰(200)의 폴더부(212)가 본체부(214)에 대해서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에 더욱 더 유사하도록 모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1)는 도 6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기판(5)의 일측단(5a)을 상기 회동수단(10)에서 배면 클램프(12)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며, 상기 연성기판(5)은 지그수단(30)의 제 1및 제 2지그(32)(34)에 마련된 제 1및 제 2원통부(33a)(35a)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연성기판(5)의 타측단(5b)은 받침수단(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연성기판(5)의 타측단(5b)은 상기 지그 수단(30)의 제 2지그(34)가 받침수단(20)의 받침판(20a)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24)들을 통하여 장착되어지는 연결부(35c)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받침판(20a)과 연결부(35c)의 사이에서 협착되어 볼트(24)등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성기판(5)을 장착하면, 이는 상기 지그수단(30)의 제 1및 제 2 지그(32)(34)들이 각각 휴대폰(200)의 폴더부(212)에 연결된 힌지부(210)와 본체부(214)에 연결된 힌지부(210)를 모사하도록 된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마치 완성품의 휴대폰(200)에 장착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및 제 2지그(32)(34)들의 제 1및 제 2원통부(33a)(35a)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00)의 힌지부(210)에 해당하는 크기및 규격등을 갖추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상기 회동수단(10)의 회전축(14)에 동축으로 일치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휴대폰(200)의 힌지부(210)를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회동수단(10)을 도 8a)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회동수단(10)에 의한 연성기판(5)의 굴곡횟수는 종래와 같이 계수기(190)를 통하여 집계되고, 동시에 상기 연성기판(5)은 저항 측정기(195)와 모니터(197)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통하여 연성기판(5)이 전기적으로 단락, 또는 파단되는 때를 검출하고, 연성기판(5)의 굴곡 신뢰성을 평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50)을 통하여 상기 회동수단(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더욱 더 휴대폰(200)의 굴곡각도를 모사한 상태에서 굴곡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속도 조절수단(70)을 포함하여 굴곡 작동 도중에 감속구간(S1)(S3)과 가속구간(S2)(S4)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더욱 더 실제 완성품의 휴 대폰과 유사한 굴곡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연성기판(5)이 휴대폰에 사용되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지그수단(30)을 구성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 수단(30)은 휴대폰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시험하고자 하는 연성기판(5)이 장착되는 기기의 부품을 모사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 다른 모델의 휴대폰, 다양한 가전기기,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의 완성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모사하여 상기 지그수단(30)을 구성하면 연성기판(5)을 실제 완성품에 장착한 상태와 같이 굴곡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연성기판(5)이 실제로 적용되는 장치와 동일한 조건을 모사한 지그수단(30)을 이용하여 굴곡 시험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연성기판(5)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연성기판(5)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시험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연성기판(5)의 굴곡 신뢰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연성기판(5)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설계에 보다 완벽을 기할 수 있어서 완제품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기술경쟁력에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의 기재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들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변형 구조 또는 균등 구조들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의 재질 변경, 단순 기능의 부가, 단순 형상변경 또는 치수 변경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겠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13)

  1.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의 일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된 회동수단;
    상기 연성기판의 타측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받침수단의 사이에서 상기 연성기판이 장착되어지는 완성품의 부품형상을 모사하고, 연성기판이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지그수단;및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부여하여 연성기판이 반복적인 굴곡작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연성기판이 완성품에 장착된 상태를 모사하여 굴곡 시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수단은 상기 회동수단에 고정된 제 1지그와 상기 받침 수단에 고정된 제 2지그를 포함하고, 연성기판이 상기 제 1및 제 2지그의 내부로 통과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지그들이 상기 지그수단의 회전축에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그는 휴대폰 폴더부의 힌지부를 모사하도록 된 구조를 갖추어 제 1원통부와, 상기 제 1원통부를 일측으로 개방하는 제 1개방구및, 상기 제 1원통부를 회동수단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 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그는 휴대폰 본체부의 힌지부를 모사하도록 된 구조를 갖추어 제 2원통부와, 상기 제 2원통부를 일측으로 개방하는 제 2개방구및, 상기 제 2원통부를 받침수단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제 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수단의 제 2지그는 받침수단의 받침판에 복수의 볼트들을 통하여 장착되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받침판과 연결부의 사이에서 상기 연성기판의 타측단을 협착시켜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베이스상에서 회동수단의 배면으로 향하여 돌출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및 상기 조절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완충재등을 포함하여 상기 회동수단의 배면이 그 회동 작동중에 접촉되어도 소음및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이 그 회동작동중에 감속구간과 가속구간을 거치도록 하여 그 회동속도를 변경하도록 된 회동속도 조절수단을 추가 포함하고,상기 회동속도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앵커부재와, 상기 앵커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동수단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그 위치가 상기 회동수단의 회전축의 직하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속도 조절수단은 상기 회동수단이 후방으로 젖혀진 경우의 스프링 수단의 인장 길이보다, 회동수단이 직립으로 위치된 때의 스프링 수단의 길이가 더 길고, 상기 회동수단이 받침수단에 밀착될 때의 스프링 수단의 길이가 상기 직립으로 위치된 때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감속구간과 가속구간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에 의한 연성기판의 굴곡횟수를 집계하는 계 수기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기판의 전기적으로 단락, 또는 파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연성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 측정기와 모니터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KR1020040112771A 2004-12-27 2004-12-27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KR10067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771A KR100674825B1 (ko) 2004-12-27 2004-12-27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771A KR100674825B1 (ko) 2004-12-27 2004-12-27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130A KR20060074130A (ko) 2006-07-03
KR100674825B1 true KR100674825B1 (ko) 2007-01-25

Family

ID=3716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771A KR100674825B1 (ko) 2004-12-27 2004-12-27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8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7B1 (ko) 2008-03-10 2010-09-10 서승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곡검사방법
KR101437875B1 (ko) * 2013-08-09 2014-09-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KR20160032382A (ko) * 2014-09-15 2016-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부림 시험 장치
EP3396391A4 (en) * 2015-12-24 2019-01-02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Reliability test fixtur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and online reliability test devic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8B1 (ko) * 2008-03-10 2010-09-10 서승환 진공흡입을 이용한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검사장치 및이를 이용한 굴곡 검사방법
KR101985242B1 (ko) * 2013-01-24 2019-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벤딩 방법
KR102342860B1 (ko) * 2015-01-13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20200030699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테스트 장치
CN109490117B (zh) * 2018-12-17 2021-07-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测试治具
CN117871237B (zh) * 2024-03-13 2024-05-14 张家港天乐橡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套管折弯测试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5589A (ja) * 1989-11-24 1991-07-17 Shin Etsu Chem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の屈曲耐久試験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5589A (ja) * 1989-11-24 1991-07-17 Shin Etsu Chem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の屈曲耐久試験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7B1 (ko) 2008-03-10 2010-09-10 서승환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곡검사방법
KR101437875B1 (ko) * 2013-08-09 2014-09-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KR20160032382A (ko) * 2014-09-15 2016-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부림 시험 장치
KR102307219B1 (ko) 2014-09-15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부림 시험 장치
EP3396391A4 (en) * 2015-12-24 2019-01-02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Reliability test fixtur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and online reliability test devic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US10971042B2 (en) 2015-12-24 2021-04-06 Kunshan New Flat Panel Disp. Tech. Center Co., Ltd Reliability test fixtur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and online reliability test device for flexible display component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KR102407618B1 (ko) 2020-05-25 2022-06-10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102415289B1 (ko) 2020-05-25 2022-06-30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130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825B1 (ko)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US7966891B2 (en) Fatigue test apparatus for thin element of electronic device
CN100585354C (zh) 汽车座椅调角器扭矩检测装置
CN101135719B (zh) 电机负载模拟机构
KR20160125757A (ko) 유연 기판의 신뢰성 테스트 장치
JP2000019088A (ja) 捻り剛性試験装置
CN101776520A (zh) 一种汽车时钟弹簧耐久试验装置
CN110873667A (zh) 弯折性能测试装置及弯折性能测试方法
CN212379199U (zh) 一种软板折弯寿命测试机
JP4105601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屈曲試験方法および屈曲試験装置
CN208547548U (zh) 一种柔性导线扭转疲劳试验机
KR20210014868A (ko)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CN101464128A (zh) 一种旋转角度测量装置
KR101776049B1 (ko) 유연소자 테스트 장비
CN209802648U (zh) 一种基于模拟负载校验的执行器扭矩测试台
CN210835083U (zh) 测试装置
CN113049938A (zh) 一种半挠性或挠性线路板的弯折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8760345A (zh) 一种自动汽车门铰链耐久性测试装置
JP4339325B2 (ja) 平板型ディスプレイ検査方法及び平板型ディスプレイ検査用ユニット
CN212007755U (zh) 一种软板折弯寿命测试机
CN210347139U (zh) 一种变速器测试装置
CN213364963U (zh) 电路板测试装置
CN218444391U (zh) 一种用于石英晶体振荡器的冲击测试装置
CN220473264U (zh) 一种护照扭曲测试设备
KR100981608B1 (ko) 진공흡입을 이용한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검사장치 및이를 이용한 굴곡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