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868A -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 Google Patents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868A
KR20210014868A KR1020190092843A KR20190092843A KR20210014868A KR 20210014868 A KR20210014868 A KR 20210014868A KR 1020190092843 A KR1020190092843 A KR 1020190092843A KR 20190092843 A KR20190092843 A KR 20190092843A KR 20210014868 A KR20210014868 A KR 20210014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plate member
bending force
pressure measu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810B1 (ko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보텍
Priority to KR102019009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가 서로 대면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테스트 대상물에 굽힘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에는 압력측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단순한 구성으로서도 테스트 대상물에 가해지는 실제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APPARATUS FOR SENSING BENDING POWER AND JIG FOR USE THEREOF}
본 발명은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굽힘 신뢰성 테스트 대상에 실제 가해지는 굽힘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및 지그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에 들어 각종 전기전자 장치에 관련된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품 및 각종 커넥터 장치에 관한 기술도 점차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유연하게 굽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플렉시블 커넥터 등에 관한 기술들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제조 또는 테스트를 위한 장치들이 담당하는 역할 역시 중요시 되고 있다.
유연하게 굽혀지도록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부품, 커넥터 또는 플렉시블 PCB와 같은 제품의 경우, 제품 출하 전 반복적인 굽힘력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 한다.
이러한 굽힘력에 대한 신뢰성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는, 통상적으로 검사 대상물의 중심 부분에 굽힘력이 일정하게 작용되도록 설계된다.
굽힘 신뢰성 테스트에서는 테스트 대상물에 굽힘력 이외 인장력 또는 압축력 등이 작용되지 않고 온전히 굽힘력만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에서는, 테스트 대상물의 종류에 부합되도록 설계된 지그(Jig) 상에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켜 테스트 장치에 거치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테스트 장치를 통해 상기 지그에 반복적인 굽힘력을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지그 상에 안착된 테스트 대상물에 반복적인 굽힘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 테스트 장치에서는 테스트 대상물에 반복적인 굽힘력을 일정하게 가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주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테스트 대상물에 가해지는 실제 굽힘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향으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하지만, 테스트 대상물에 실제 가해지는 굽힘력의 크기는, 반복적인 굽힘력 작용 하에서의 테스트 대상물의 물성 변화를 관찰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으로서 테스트 대상물에 실제 가해지는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플렉시블(Flexible) 부품 및 폴드폰과 같은 제품의 품질검사 및 양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및 핵심 기술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서도 테스트 대상물에 가해지는 실제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굽힘력 측정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가 서로 대면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테스트 대상물에 굽힘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에는 압력측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의 경계 부분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측정부재의 측단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0.1 mm 내지 7 mm 범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측변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압력측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재는 제 3 플레이트부재 내에 착탈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는 지그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고정부재와,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지그부재와, 상기 제 1 지그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지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에는 압력측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상기 제 1 지그부재와 제 2 지그부재의 경계 부분 부근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측정부재의 측단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0.1 mm 내지 7 mm 범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측변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단순한 구성으로서도 테스트 대상물에 가해지는 실제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굽힘력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굽힘력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테스트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굽힘력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굽힘력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테스트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0)와, 상기 구동부재(10)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플레이트부재(3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가 서로 대면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테스트 대상물에 굽힘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는 압력측정부재(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로는 예를 들어 유연하게 굽혀지는 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커넥터 또는 플렉시블 피시비 기판 등에 실제 가해지는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0)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력 공급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재(10)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들 중의 어느 하나의 축(15)이 연결부재(17)를 통해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재(10)의 축(15) 반대편에는 상기 구동부재(10)의 축을 베어링 지지하는 지지축(12)이 베이스부(70) 상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부재(10)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가 회전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 상으로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과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는 애초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 대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 상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부재(20)가 평평하게 펼쳐지는 상태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 상에 겹쳐지는 상태가 반복되면서, 테스트 대상물(100)에 반복적인 굽힘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는 모두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써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실제 작용되는 굽힘력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는 테스트 대상물(100)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 걸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의 중심부분이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경계부분(B)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는 압력측정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측정부재(4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에 설치되거나,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측정부재(4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경계 부분(B) 부근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측정부재(40)의 측단부(41)는 상기 경계 부분(B)에 인접한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측단부(E)로부터 0.1 mm 내지 7 mm 범위에 설치된다.
즉,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측정부재(4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측단부(41, E) 사이의 간격 S 은 대략 0.1 mm 내지 7 mm 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측정부재(40)를 가급적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측단부(E)로부터 가까운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가장 큰 굽힘력이 작용되는 테스트 대상물(100)의 중심부 부근 영역에 작용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측정부재(40)의 측단부(41)를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 측단부(E)로부터 상기 범위 거리에 배치시킴으로써, 테스트 대상물에 가장 큰 힘이 작용되는 영역에 상기 압력측정부재(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반력을 상기 압력측정부재(40)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의 두께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이용하여 작용되는 굽힘력을 계산하기 때문에, 상기 압력측정부재(40)를 상기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압력측정부재(40)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측단부(E)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일종의 자유단 상태에 유사한 상태가 되는 테스트 대상물(100)의 영역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게 되므로, 측정되는 힘의 크기가 작아져 계산의 오차를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만약 상기 압력측정부재(40)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측단부(E)로부터 보다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측정부재(40) 배치를 위한 현실적인 가공과 설치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측정부재(40)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부재(30)는 제 3 플레이트부재(50) 내에 착탈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플레이트부재(50)는 지지축(60)에 의해 베이스부재(70) 상에서 견고히 지지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만을 상기 제 3 플레이트부재(5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트 대상물(100)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여 배치하고, 다시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를 제 3 플레이트부재(50)에 결합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42)과 상기 로드셀(42)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재(44)를 포함한다.
사익 로드셀(42) 하부에는 지지부재(34)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30)에 로드셀과 압력전달부재(44)를 고정한다.
상기 압력전달부재(44)의 상면은 상기 제 2 플레이트부재(30)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0.01 내지 2 mm 높이(h)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테스트 대상물(100)로부터 상기 압력전달부재(44)에 작용되는 힘을 상기 로드셀(42)을 통해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셀(42)은 상기 압력전달부재(44) 하부에서 복수 개 설치되어, 각 로드셀(42)에 의해 감지되는 힘의 평균값과 차이를 계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로드셀들이 여러 개의 대상물 각각에 대해 굽힘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6 과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11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110)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지그부재(120)와, 상기 제 1 지그부재(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지그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그부재(120) 또는 제 2 지그부재(130)에는 압력측정부재(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에서 상기 회전축고정부재(110)에는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그부재(130)의 측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고정부재(110)를 중심으로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그부재(130)가 서로 대면하거나, 펼쳐지는 위치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그부재(130)는 그 상면에 테스트 대상물을 직접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구부재(130)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 상에 도시되지 않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는 압력측정부재(40)가 설치되지 않고, 단지 상기 지그부재를 지지하는 역할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부재(10)를 통해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20)와 제 2 플레이트부재(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그부재(130) 역시 동일한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에서, 상기 압력측정부재(140)에 포함되는 로드셀과 압력전달부재 및 이들의 설치 구성은 상기된 굽힘력 측정장치에서와 동일하다.
즉, 상기 압력측정부재(140)에 포함되는 로드셀과 압력전달부재의 설치 위치와 지그부재(120, 13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관하여는, 상기 굽힘력 측정장치에서 상기 로드셀과 압력전달부재가 제 1 플레이트부재(20)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30)에 설치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셀과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압력측정부재(140)가 복수 개로 분할 구성되어, 제 2 지그부재(130) 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지그부재(120)와 제 2 지그부재(130) 각각에 압력측정부재(14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구동부재
20: 제 1 플레이트부재
30: 제 2 플레이트부재
40: 압력측정부재
50: 제 3 플레이트부재
110: 구동력전달부재
120: 제 1 지그부재
130: 제 2 지그부재

Claims (15)

  1.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가 서로 대면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테스트 대상물에 굽힘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에는 압력측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의 경계 부분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의 측단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0.1 mm 내지 7 mm 범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 1 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플레이트부재의 측변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재는 제 3 플레이트부재 내에 착탈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
  9. 지그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고정부재와;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1 지그부재와;
    상기 제 1 지그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제 2 지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에는 압력측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상기 제 1 지그부재와 제 2 지그부재의 경계 부분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의 측단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0.1 mm 내지 7 mm 범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부재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 1 지그부재 또는 제 2 지그부재의 측변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력 측정장치용 지그.
KR1020190092843A 2019-07-31 2019-07-31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KR10227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43A KR102274810B1 (ko) 2019-07-31 2019-07-31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43A KR102274810B1 (ko) 2019-07-31 2019-07-31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68A true KR20210014868A (ko) 2021-02-10
KR102274810B1 KR102274810B1 (ko) 2021-07-09

Family

ID=7456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43A KR102274810B1 (ko) 2019-07-31 2019-07-31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9808A (zh) * 2021-02-23 2021-06-2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柔性屏弯折检测装置及柔性屏弯折系统
KR102400742B1 (ko) * 2021-03-23 2022-05-23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파손 시 파티클 제거장치가 갖추어진 utg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99A (ko) * 2008-02-20 2009-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유연성 측정장치
KR101358732B1 (ko) * 2012-10-24 2014-02-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트위스트 측정장치
KR101382169B1 (ko) * 2012-10-24 2014-04-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유연 슈퍼캐패시터의 기계적 유연성 굽힘 장치
JP2014190935A (ja) * 2013-03-28 2014-10-06 Yazaki Corp 柔軟性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20160144694A (ko) * 2015-06-09 2016-12-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표시장치 밴딩 시험장치
KR101762141B1 (ko) * 2016-06-15 2017-07-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20180000130A (ko) * 2016-06-22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99A (ko) * 2008-02-20 2009-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유연성 측정장치
KR101358732B1 (ko) * 2012-10-24 2014-02-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트위스트 측정장치
KR101382169B1 (ko) * 2012-10-24 2014-04-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유연 슈퍼캐패시터의 기계적 유연성 굽힘 장치
JP2014190935A (ja) * 2013-03-28 2014-10-06 Yazaki Corp 柔軟性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20160144694A (ko) * 2015-06-09 2016-12-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표시장치 밴딩 시험장치
KR101762141B1 (ko) * 2016-06-15 2017-07-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20180000130A (ko) * 2016-06-22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9808A (zh) * 2021-02-23 2021-06-2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柔性屏弯折检测装置及柔性屏弯折系统
KR102400742B1 (ko) * 2021-03-23 2022-05-23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파손 시 파티클 제거장치가 갖추어진 utg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10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KR10148966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US6586956B2 (en) Probe contract system having planarity adjustment mechanism
JP4238774B2 (ja) 曲げ試験装置および曲げ試験方法
KR102274810B1 (ko) 굽힘력 측정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지그
CN109870153B (zh) 一种磁强计正交性标定测试方法及标定测试装置
TW201344339A (zh) 鏡頭模組測試治具
CN101887007A (zh) 电气连接构件的接着强度测试装置及其无摩擦校正元件
TW201435363A (zh) 電子器件量測治具及量測裝置
JP2007024582A (ja) 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インターフェース
TW201527776A (zh) 檢查裝置及檢查方法
CA262519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eflect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WO2002103775A1 (fr) Systeme de contact sonde pourvu d'un mecanisme de reglage du plan
KR20190083805A (ko) 수동 변환형 굽힘 신뢰성 검사 장치
KR102342860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101010534B1 (ko) 비주얼검사용 머니퓰레이터부 및 프로브블록부를 구비한 프로브 유닛
JP2012078297A (ja) ワイヤープローブ用治具並びにこれを用いた検査装置並びに検査方法
KR100737384B1 (ko)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40006390U (ko) 커넥터 검사지그
JP2008232851A (ja)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検査装置
KR102266833B1 (ko)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JP200710384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折り曲げ性試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354947B1 (ko)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용 지그장치
KR102239792B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지그를 포함하는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