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75B1 -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875B1
KR101437875B1 KR1020130094507A KR20130094507A KR101437875B1 KR 101437875 B1 KR101437875 B1 KR 101437875B1 KR 1020130094507 A KR1020130094507 A KR 1020130094507A KR 20130094507 A KR20130094507 A KR 20130094507A KR 101437875 B1 KR101437875 B1 KR 10143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pring
measuring
hinge moment
rotating body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원
임재혁
김선원
김창호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200);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체(300); 상기 제1고정체(30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체(400);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는 회전체(500); 및 상기 회전체(5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측정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Measuring device for tape spring hinge moment}
본 발명은 테이프스프링의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위성의 태양전지판에 사용되는 테이프스프링의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위성이 발사체에 실려 발사될 때 장착공간문제로 인하여 대부분의 태양전지판은 인공위성에 접힌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발사체가 위성궤도상에 도달하면, 인공위성은 발사체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인공위성은 태양전지판을 전개한다. 태양전지판은 인공위성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태양전지판의 성공적인 전개는 인공위성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한편, 태양전지판을 전개하기 위한 힌지장치는 주로 관절형스프링 또는 테이프스프링이 사용된다. 관절형스프링은 지상에서 문을 달 때 사용하는 경첩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많은 인공위성의 태양전지판 전개힌지로 사용되고 있다.
관절형스프링의 경우에는 전개 토크가 우수하며, 일부는 전개 토크의 조절도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관절형스프링은 성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편이나, 테이프스프링에 비해서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전개신뢰성 확보를 위한 많은 검증시험 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테이프스프링의 경우 관절형스프링에 비하여 전개토크 및 전개강성이 작은 편이나,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전개신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테이프스프링은 비틀림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가 필요할 실정이다.
종래기술 한국공개특허 제2004-004335호는 인공위성과 태양전지판을 연결하는 힌지부(테이프스프링)의 특성값을 시험함에 있어서, 힌지부의 연결대 한쪽이 연결되는 고정연결대가 설치된 힌지고정장치와, 상기 힌지부가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이 고정되며 반대방향에 연장빔을 돌출시킨 강성빔과, 상기 강성빔의 하측 사방향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강성빔의 하중 영향을 제거하는 에어베어링 지지대와, 상기 강성빔의 일측에서 외력을 제공하는 밀대를 설치한 구동물이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올려지는 외력발생장치와, 상기 연장빔의 양측에서 돌출된 핀으로 강성빔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각도측정기와, 상기 에어베어링 지지대와 외력발생장치 및 각도측정기와 연결되어 제어 및 측정값을 제공하는 데이타 획득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용 스트레인 에너지 타입 힌지의 강성특성 평가를 위한 시험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테이프스프링의 양단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형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테이프스프링에 발생하는 외력을 측정하는 것을 아니라, 테이프스프링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강성빔의 변형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43357호(2004.05.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스프링의 양단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형상을 얻을 수 있고 테이프스프링의 힌지 모멘트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200);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체(300); 상기 제1고정체(30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체(400);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는 회전체(500); 및 상기 회전체(5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측정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200)가 상기 이동부재(11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600)은 상기 회전체(500)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610), 상기 제1연결부재(610)에 결합되며 자신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610)와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키며 자신의 회전각도와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각각 측정하는 토크센서(620), 및 상기 토크센서(6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회전체(500)와 토크센서(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센서(6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5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리니어가이드(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일면에 가이드돌기(811)가 형성되는 제1안내브라켓(810); 및 상기 제1고정체(300)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811)가 삽입되어 원주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822-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822)를 포함하는 제2안내브라켓(8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축(8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체; 상기 제1고정체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체; 상기 제2고정체에 결합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와 제2고정체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를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의 양단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형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의 힌지 모멘트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자신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회전체와 제2고정체를 연동 회전시키며 자신의 회전각도와 테이프스프링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각각 측정하는 토크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테이프스프링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모멘트 측정 장치는 상기 회전체와 토크센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센서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리니어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 궤적에 따른 수평방향 궤도 변화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모멘트 측정 장치는 상기 제2고정체에 결합되며 일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제1안내브라켓; 및 상기 제1고정체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원주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제2안내브라켓;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체의 회전 경로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모멘트 측정 장치는 상기 제1안내브라켓과 제2안내브라켓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안내브라켓과 제2안내브라켓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에 고정된 테이프스프링에 상기 제1안내브라켓과 제2안내브라켓의 비틀림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의 실시예 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의 실시예 2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공위성의 태양전지판에 사용되는 테이프스프링의 특정 부위를 폴딩하여 그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기 위한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메인프레임(100), 이동체(200), 제1고정체(300), 제2고정체(400), 회전체(500), 측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이동체(200) 내지 측정수단(6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다수의 지주와, 그 지주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수평방향 일면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체(300)는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체(300)는 상기 이동체(200)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그립(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그립(310)은 상기 제1고정체(300)의 일면에 결합되어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을 압착 파지하여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체(400)는 상기 제1고정체(30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체(400)는 한 쌍의 제2그립(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그립(410)은 상기 제1그립(31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결합되어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을 압착 파지하여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그립(310) 및 한 쌍의 제2그립(410)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500)는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고정체(4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정수단(600)은 상기 회전체(5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5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10)의 폴딩 부위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200);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체(300); 상기 제1고정체(30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체(400);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는 회전체(500); 및 상기 회전체(5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측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고정체(300)와 제2고정체(400)를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10)의 양단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형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측정수단(600)을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10)의 힌지 모멘트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200)가 상기 이동부재(11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110)에는 상기 이동체(2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600)은 제1연결부재(610), 토크센서(620), 제2연결부재(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610)는 상기 회전체(5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토크센서(620)는 상기 제1연결부재(610)에 결합되며 자신을 회전축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610)와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키며 자신의 회전각도와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각각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630)는 상기 토크센서(620)의 상단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토크센서(620)를 제어하기 위한 로드셀(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은 상기 토크센서(620)의 회전시작각도, 회전종료각도, 상기 토크센서(620)의 회전시작각도와 회전종료각도의 차이에 따른 반복수를 포함하는 변수들을 입력받아서 상기 토크센서(6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600)은 상기 회전체(500)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610), 상기 제1연결부재(610)에 결합되며 자신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610)와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키며 자신의 회전각도와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각각 측정하는 토크센서(620), 및 상기 토크센서(6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토크센서(620)를 이용하여 테이프스프링(10)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리니어가이드(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가이드(700)는 상기 회전체(500)와 토크센서(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센서(6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5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토크센서(6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500)의 회전궤적에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체(500)의 수평방향 궤도를 변화해야 되는 보상이 필요할 수 있는데, 상기 리니어가이드(700)는 이러한 보상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회전체(500)와 토크센서(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센서(6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5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리니어가이드(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체(500)의 회전 궤적에 따른 수평방향 궤도 변화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1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제1안내브라켓(810) 및 제2안내브라켓(820)을 더 더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은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일면에 가이드돌기(8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브라켓(820)은 상기 제1고정체(300)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811)가 삽입되어 원주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822-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8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822)는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822-1)은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일면에 가이드돌기(811)가 형성되는 제1안내브라켓(810); 및 상기 제1고정체(300)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811)가 삽입되어 원주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822-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822)를 포함하는 제2안내브라켓(8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체(400)의 회전 경로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2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2는 제1안내브라켓(810), 제2안내브라켓(820), 지지축(8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축(830)은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의 실시예 2는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축(8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고정체(300)와 제2고정체(400)에 고정된 테이프스프링(10)에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의 비틀림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100 : 메인프레임
110 : 이동부재
111 : 슬라이딩홈
200 : 이동체
300 : 제1고정체
310 : 제1그립
400 : 제2고정체
410 : 제2그립
500 : 회전체
600 : 측정수단
610 : 제1연결부재
620 : 토크센서
630 : 제2연결부재
700 : 리니어가이드
810 : 제1안내브라켓
811 : 가이드돌기
820 : 제2안내브라켓
822 : 가이드부재
822-1 : 가이드홈
830 : 지지축

Claims (6)

  1.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200);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며 테이프스프링(1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체(300);
    상기 제1고정체(30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체(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테이프스프링(1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체(400);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는 회전체(500); 및
    상기 회전체(5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켜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측정하는 측정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200)가 상기 이동부재(11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600)은
    상기 회전체(500)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610),
    상기 제1연결부재(610)에 결합되며 자신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610)와 회전체(500)와 제2고정체(400)를 연동 회전시키며 자신의 회전각도와 테이프스프링(10)에 발생한 힌지 모멘트를 각각 측정하는 토크센서(620), 및
    상기 토크센서(6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회전체(500)와 토크센서(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센서(6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체(5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리니어가이드(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제2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일면에 가이드돌기(811)가 형성되는 제1안내브라켓(810); 및
    상기 제1고정체(300)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811)가 삽입되어 원주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822-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822)를 포함하는 제2안내브라켓(8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안내브라켓(810)과 제2안내브라켓(820)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축(8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1000).
KR1020130094507A 2013-08-09 2013-08-09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KR10143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07A KR101437875B1 (ko) 2013-08-09 2013-08-09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07A KR101437875B1 (ko) 2013-08-09 2013-08-09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875B1 true KR101437875B1 (ko) 2014-09-04

Family

ID=5175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07A KR101437875B1 (ko) 2013-08-09 2013-08-09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7045B2 (en) 2017-12-22 2021-02-09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Deployment test apparatus of a folded solar pa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9533A (ja) * 1990-04-05 1991-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展開試験装置の模擬試験方法
JP2001272320A (ja) 2000-03-27 2001-10-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屈曲試験装置
KR100674825B1 (ko) * 2004-12-27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JP2007078578A (ja) 2005-09-15 2007-03-29 Nhk Spring Co Ltd 板ばねの荷重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9533A (ja) * 1990-04-05 1991-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展開試験装置の模擬試験方法
JP2001272320A (ja) 2000-03-27 2001-10-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屈曲試験装置
KR100674825B1 (ko) * 2004-12-27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기판의 굴곡 신뢰성 시험장치
JP2007078578A (ja) 2005-09-15 2007-03-29 Nhk Spring Co Ltd 板ばねの荷重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7045B2 (en) 2017-12-22 2021-02-09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Deployment test apparatus of a folded solar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708B1 (ko) 전개시험 장치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US7080565B2 (en) Dynamic load fixture for rotary mechanical systems
KR101185386B1 (ko) 인공위성 전개형 안테나의 조립 및 시험을 위한 무중력 모사장치
KR101514296B1 (ko) 비틀림 스프링 토크 검사장치
KR20140021740A (ko) 안테나 무중력 전개시험 장치
US8960015B2 (en) Load test stand
KR101437875B1 (ko) 테이프스프링 힌지 모멘트 측정 장치
KR101129345B1 (ko)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용 무중력상태 제공장치
CN108910080A (zh) 一种直升机尾桨气动载荷环境模拟试验装置
KR20160087143A (ko) 태양전지 모듈의 접힘 운동에 대한 내구성 시험 장치
ES2945718T3 (es) Dispositivo para el ensayo estructural
KR20200061775A (ko) 접이식 매커니즘 전개 시험을 위한 0g 시험 장치
CN107966266B (zh) 一种强迫动导数天平动态校正器
CN205418146U (zh) 一种微型卫星多自由度太阳帆地面展开试验吊挂装置
RU2567678C1 (ru) Стенд для раскрытия батареи солнечной
RU23349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митации невесомости механизмов с гибк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элементов
KR102140239B1 (ko) 인공위성 태양전지판의 시험장치
KR102142989B1 (ko) 승강운동 시험장치
KR100372813B1 (ko) 경사각 조정 가능한 질량특성 측정용 보조장치
RU2721448C1 (ru) 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трособлочной системой для обезвешивания раскрываемых конструкций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RU2394218C2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й шарнирных устройств механических систем
KR100422424B1 (ko) 정적 관성곱 모멘트의 측정이 가능한 질량특성 시험장치
CN213479649U (zh) 一种便携式全站仪
RU2714283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й многозвенной механ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на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