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150B1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150B1
KR100673150B1 KR1020040035938A KR20040035938A KR100673150B1 KR 100673150 B1 KR100673150 B1 KR 100673150B1 KR 1020040035938 A KR1020040035938 A KR 1020040035938A KR 20040035938 A KR20040035938 A KR 20040035938A KR 100673150 B1 KR100673150 B1 KR 10067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ubmarine
chassis
ra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983A (ko
Inventor
고스만헨드리크
칼센마르텐
티일크베른트
Original Assignee
호발트스벨케-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트스벨케-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트스벨케-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2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63G8/32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of torpedo-launching means; of torpedo stores or hand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3/00Arrangements of ammunition stores or handl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G3/02Arrangements of ammunition stores or handl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torped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를 보관 및 이송하기 위한 랙크(5)가 배치되어 있는 기밀실(1)을 구비한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무기는 상기 랙크(5) 내부에 배치되는 무기 컨테이너(6)에서 보관된다. 무기 컨테이너(6) 대신에, 수용섀시(7)와 이와 형상 끼워맞춤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면서 장비비품 혹은 추가의 병사를 수용 또는 수용할 수 있는 모듈(8)로 구성되어 있는 수용장치(7, 8)가 제공되어 있다.
기밀실, 무기 저장실, 하부갑판, 상부갑판, 이송 및 보관 랙크(transporting and warehousing rack), 무기 컨테이너, 수용섀시, 모듈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도1a 및 1b는 각각 선행기술에 따르는 잠수함의 기밀실 내에 설치된 보관 및 이송 랙크의 배열상태에 대한 측면도 및 잠수함에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2a 및 2b는 도1에서 2개의 무기 컨테이너가 수용장치로 대체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3a 및 3b는 6개의 무기 컨테이너가 수용장치로 대체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컨테이너 형태의 수용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수용섀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5는 도4에 따르는 침실 형태의 수용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수용섀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기술한 구조를 가진 잠수함에 관한 것이 다.
선행기술에 속하는 잠수함에 있어서, 선수(船首) 및/또는 선미(船尾) 측의 기밀실 내부에는 무기저장실이 어뢰발사관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무기저장실에는 어뢰 등이 저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어뢰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내에 보관되는데, 이 컨테이너는 다시 잠수함의 기밀실 내에서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관용 랙크(warehousing rack)나 이송용 랙크(transporting rack)에 설치된다. 이러한 랙크는 컨테이너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이송하는 역할 즉, 어뢰를 컨테이너 내에 수용하든지 혹은 컨테이너로부터 어뢰를 어뢰발사관에 적재하기 위해 어뢰발사관에 일렬로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관 및 이송용 장치는, 예컨대 유럽공보 [EP 1 078 849 A2]에 개시되어 있다.
어뢰의 수용은 또한 어뢰 인계 해치(torpedo takeover hatch)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통상 컨테이너 내에 어뢰가 보관되는 몇몇 잠수함들의 경우, 어뢰발사관에 적재해야 할 어뢰를 보관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대응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잠수함의 공간은 매우 제한되어 있는데, 특히 무기를 수용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보관하기 위한 랙크가 잠수함 내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용도의 공간은 상당히 제한된다. 이 외에도 오늘날의 잠수함은 무기, 특히 어뢰는 필요하지 않거나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이 필요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잠수함에 존재하는 기존의 무기저장실을 융통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구조는 종속항,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보관 및 이송 랙크의 기능성, 그리고 그에 따른 저장된 무기의 이송과 이 무기의 어뢰발사관 내의 재적재 가능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무기저장실의 일부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송 및 보관 랙크 내에는 장비비품, 예비부품 및 병사를 수용하거나, 장비비품, 예비부품 또는 병사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용장치는 무기저장실, 특히 이송 및 보관 랙크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장치가 랙크 내에, 보다 정확하게는 컨테이너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무기 컨테이너 대신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필요에 따라 수용장치를 컨테이너로 혹은 그 반대로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필요에 따라 수많은 컨테이너를 수용장치로 교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무기 컨테이너를 랙크 내에 적재함으로써 해상에서 경우에 따라 무기를 어뢰발사관으로부터 빼내어 보관할 수 있다.
수용장치를 가능한 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장치는 랙크 내에 고정되는 수용섀시(receiving chassis)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수용섀시 내에 내장할 수 있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수용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수용섀시와 모듈 사이에, 이 모듈을 섀시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형상 끼워 맞춤부가 제공되어 있다.
수용모듈은 바람직하기로는 각각의 용도에 맞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예를 들어, 사람의 잠자리 혹은 휴식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쿠션 형태의 지지받침대를 포함하며, 상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소형 침실로서 설계된 수용모듈이 제공된다. 이 수용모듈의 치수는 인체공학적 치수에 맞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로서 설계되어 있는 수용모듈이 제공된다. 이 수용모듈은 개방되어 있지만 커버 또는 도어로써 완전하게 밀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비부품 혹은 장비나 장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밀폐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수용모듈의 다양한 응용성은 전술한 2가지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용기, 탱크, 조립체 등으로서 설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치수에 있어서 그 아래 위치하는 섀시를 완전하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용모듈이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3개가 연이어 하나의 섀시 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모듈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크기가 소형 및 중간급인 잠수함의 경우 통상적인 무기 컨테이너에 기초하여, 침실규격이 통상 2미터 길이에 60센티미터 폭을 갖는다고 할 때, 하나의 섀시에 3개의 수용모듈을 연이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수용모듈을 상하로 교환이 가능하면서 유사하게 임의로 배치가 가능한 동일한 규격(길이 및 폭)으로 또 다른 용도의 수용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섀시와 비교하여 분명하게 보다 적은 수용모듈의 추가의 잇점은, 어큐뮬레이터 해치(accumulator hatch)를 통해 수용될 수 있으며, 어뢰의 종류에 따라 전체 섀시와 함께 교환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수용섀시에 대한 수용모듈의 확실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장치들을 대응하는 형상 끼워맞춤 수단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섀시에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장력이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식 레버(pivoted lever)가 제공되어 있다. 이 피봇식 레버는 수용섀시에 연결되어 노즈부(nose)로써, 대응하는 수용모듈의 리세스의 안쪽 측면과 형상 끼워맞춤(a positive fit)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수용모듈에는 후크 모양의 레버단부에 의해 고정되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혹은 여타의 적합한 형상 끼워 맞춤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모듈 리세스의 안쪽 측면에 맞물리는 스프링 탄지식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쌍으로 양측면에 삽입되는데, 이는 모듈은 섀시 상에 결합될 시에, 레버 단부가 최종적으로 모듈의 리세스의 안쪽 측면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결합 시에 모듈을 자동으로 고정시킬 때까지, 스프링장력에 반해서 레버쌍이 상호간에 밀치도록 하기 때문이다. 분리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게 스프링 장력에 반하는 힘을 레버에 가하여 돌리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섀시는 하부방향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ed)형태의 횡단면 윤곽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경우 모듈의 삽입이 특히 간단한데, 이는 모듈이 삽입될 시에 자동으로 중심결정되어 대응하는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하부방향의 측면 경사부는 통상적으로 횡단면이 원형으로 설계되는 무기 컨테이너에 상응하게 랙크 내부의 이동자유도를 보장한다.
이송 및 보관 랙크에서의 설계변경을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섀시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수용모듈로 구성되는 수용장치는, 랙크 내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무기 컨테이너가 점유하게 될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적합한 치수로써 설계되도록 제안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관 및 이송 랙크의 기능이 확실히 저하되지 않는다. 이는 수용섀시의 횡단면 윤곽이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장치의 하부영역의 이용 가능한 공간을 특히 바람직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b는 개략적으로 잠수함의 기밀실을, 보다 정확하게는 기밀실의 전단부영역 내 하부갑판(3)과 상부갑판(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무기저장실(2)의 영역을 절결한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무기저장실(2) 내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이송 및 보관 랙크(5)가 배치되어 있으며, 랙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체로 원통형인 다수개의 무기 컨테이너가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무기 컨테이너(6)는 일반적으로 각각 하나의 어뢰로 채워져 있으며, 동시에 컨테이너(6)로부터 어뢰발사관 내로 혹은 그 반대로 어뢰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컨테이너(6)가 랙크(5)의 내부에서 이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 및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무기 컨테이너(6)는 그 앞에 배치된 어뢰발사관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도1은 선행기술에 속하는 배치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7개의 무기 컨테이너(6)가 이송 및 보관 랙크(5) 내부에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의 배치구조는, 일반적으로 랙크(5)의 내부에 배치되는 6개의 무기 컨테이너(6)에는 무기가 채워져 있고, 그와 반대로 랙크(5) 옆에 배치되는 7번째 무기 컨테이너는 비어있어서 어뢰발사관에 있는 무기를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제거하여 함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도2에 따르는 배치구조의 경우, 랙크(5)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기 컨테이너(6)가 제거되어 각각 수용섀시(7)와 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모듈(8)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장치로 대체되어 있다. 수용섀시(7)는 모듈들(8)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형 플랫폼을 형성하며, 컨테이너(6)가 고정되어 있는 동일한 고정점에서는 이송 및 보관 랙크(5)와 연결되어 있다. 수용섀시(7)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태(도4 참조)이면서 하부방향으로 테이퍼된 횡단면을 가지며 자신의 측면에는 각각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레버(9)를 포함하고 있다. 이 레버는 힘을 받게 되면 그 말단부가 수용섀시(7)의 길이방향 중심영역의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대략 레버(9)의 길이 중간에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노즈부(10)가 제공되어 있어서, 모듈측에 배치되는 함몰부 형태의 리세스 내에 형상 끼워맞춤이 이루어진다. 레버(9)들은 쌍을 이루면서 수납섀시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측면에서도 쌍을 이루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는 또한 스프링 장력에 반하여 선회되면서 노즈부(10)와 더불어, 수용섀시(7) 내부에서 모듈(8)을 형상 끼워맞춤으로 고정하는 형상 끼워맞춤부재를 형성한다.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섀시(7)는 그 전단면이 밀폐되어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모듈(8)이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가지 형태의 모듈(8)이 제공되는 바, 즉 대체로 쿠션형태의 지지받침을 포함하고 상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소형 침실을 형성하는(도5 참조) 모듈(8a)과 선회식 커버(12)에 의해 밀폐되는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모듈(8b)(도4 참조)이 제공된다.
도2에 따르는 배치구조에서는, 상부의 수용 섀시(7) 내의 3개의 침실모듈 (8a)과 하부 수용섀시(7) 내의 3개의 컨테이너 모듈(8b)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듈들이 결합되어 있는 수용섀시(7)는 랙크(5)의 이송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무기 컨테이너(6)의 크기에 대략적으로 상응하는 규격의 치수로 되어 있다.
수용섀시(7)의 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레버(9)를 상호간에 연결시키고 있는 수평으로 뻗은 연결부(13)는 2개의 레버(9)를 동시에 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침실모듈(8a)용인 후프가드(hoop guard)를 형성한다. 이러한 후프가드(13)는 레버(9)와 함께 스프링 장력에 반하여 180°만큼 아래 방향으로 선회되어 고정될 수 있다. 노즈부(10)는, 모듈(8)이 수용섀시(7) 내에 삽입될 시에 모듈(8)이 수용섀시(7)의 바닥부에 도달 할 때까지, 상부로부터 레버(9)가 외부방향으로 자동으로 밀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레버(9)는 노즈부(10)로서 모듈의 리세스(11) 내로 자동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모듈은 수용섀시(7) 내부에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6개의 무기 컨테이너가 해당 모듈(8)이 배치되어 있는 수용섀시(7)의 형태를 갖는 수용장치에 의해 대체되어 있어서, 거의 전체 무기저장실(2)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3b에서 알 수 있듯이, 바람직하게는 비어 있는 무기 컨테이너(6)가 여분으로 제공되어 있어서, 어뢰발사관 내에 있는 무기를 필요한 경우 제거하여 함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침실모듈(8a)과 컨테이너 모듈(8b)의 조합도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듈들은 각각의 환경에 맞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한 모듈(8a, 8b)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 모듈, 조립체 모듈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용섀시(7)는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무기 컨테이너(6)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어뢰해치를 포함하지 않는 잠수함의 경우, 수용섀시(7)는 또한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섀시는 잠수함의 어큐뮬레이터 해치 캐널(accumulator hatch canal)을 통해 기밀실(1) 내로 이송되거나 그 반대로 빼낼 수 있다.

Claims (12)

  1. 무기를 보관하기 위한 랙크(5)가 설치되어 있는 기밀실(1)을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랙크(5) 내에는 장비비품, 예비부품 및 병사를 수용하거나, 장비비품, 예비부품 또는 병사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하나를 포함함)의 수용장치(7, 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1항에 있어서, 랙크(5)의 내부에는 무기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일부의 무기 컨테이너(6) 대신에 랙크(5) 내부에 수용장치 (7, 8)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장치(7, 8)는 랙크(5) 내에 고정되는 수용섀시(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수용섀시 내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수용모듈(8)이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바람직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3항에 있어서, 수용모듈(8a)은 소형침실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3항에 있어서, 수용모듈(8b)은 컨테이너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섀시(7)는 연이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모듈(8)을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3항에 있어서, 잠금장치수단(10, 11)이 제공되어 있어서 수용모듈(8)이 수용섀시(7)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섀시(7)상에는 하나 이상(하나를 포함함)의 피봇레버(9)가 설치되되, 이 피봇레버는 대응하는 수용모듈(8)의 리세스(11)의 안쪽 측면과 형상 끼워맞춤(a positive fit)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섀시(7)는 하부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의 횡단면 윤곽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3항에 있어서, 수용모듈들(8)이 결합되어 있는 수용섀시(7)는, 랙크(5) 내의 해당위치에 배치되는 무기 컨테이너(6)가 점유할 수도 있는 공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레버(9)는 스프링 탄지식 피봇레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2.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섀시(7)에 연이어 배치되어 결합되는 수용모듈(8)은 3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040035938A 2003-09-12 2004-05-20 잠수함 KR100673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2145.9? 2003-09-12
DE10342145A DE10342145A1 (de) 2003-09-12 2003-09-12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83A KR20050026983A (ko) 2005-03-17
KR100673150B1 true KR100673150B1 (ko) 2007-01-22

Family

ID=3412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938A KR100673150B1 (ko) 2003-09-12 2004-05-20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14796B1 (ko)
KR (1) KR100673150B1 (ko)
AT (1) ATE405486T1 (ko)
DE (2) DE10342145A1 (ko)
ES (1) ES231176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2145A1 (de) 2003-09-12 2005-04-07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DE102009020323B4 (de) * 2009-05-07 2011-01-13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Waffenmulde für ein Unterseeboot
DE102009025349B4 (de) * 2009-06-18 2016-10-20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KR102434532B1 (ko) * 2016-01-13 2022-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346A (en) 1974-03-25 1975-06-10 Lanson Ind Inc Container for suspending a bomb-like member
EP0242507A2 (en) 1986-03-31 1987-10-28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handling system
EP1167181A2 (de) 2000-06-28 2002-01-02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Lager- und Ausstossbehälter für Unterwasserschwimm- und Tauchkörper
EP1514796A2 (de) 2003-09-12 2005-03-16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977A (en) * 1974-04-16 1976-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ull module weapon or equipment system
DE19940105C1 (de) * 1999-08-24 2000-08-31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Stau- und Transporteinrichtung für in Torpedorohre zu verbringende Kör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346A (en) 1974-03-25 1975-06-10 Lanson Ind Inc Container for suspending a bomb-like member
EP0242507A2 (en) 1986-03-31 1987-10-28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handling system
EP1167181A2 (de) 2000-06-28 2002-01-02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Lager- und Ausstossbehälter für Unterwasserschwimm- und Tauchkörper
EP1514796A2 (de) 2003-09-12 2005-03-16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5486T1 (de) 2008-09-15
EP1514796B1 (de) 2008-08-20
ES2311764T3 (es) 2009-02-16
DE10342145A1 (de) 2005-04-07
EP1514796A3 (de) 2007-09-19
KR20050026983A (ko) 2005-03-17
DE502004007876D1 (de) 2008-10-02
EP1514796A2 (de)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791A (en) Weapons launch system
EP2609390B1 (en) Self-contained munition gas management system
KR100673150B1 (ko) 잠수함
CN111801271B (zh) 液化氢运输船和船体保护方法
US7032530B1 (en) Submarine air bag launch assembly
US6834608B1 (en) Assembly of underwater bodies and launcher therefor
US7013827B2 (en) Multipurpose underwater vehicle for carrying diverse payload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462003A (en) Minimum displacement submarine arrangement
KR20220133150A (ko) 컨테이너 선박
ES2478282T3 (es) Submarino
KR20090024621A (ko) 용기
KR20210093751A (ko) 액화 가스 연료선
CN114127464A (zh) 罐装置
US7140289B1 (en) Stackable in-line underwater missile launch system for a modular payload bay
ES2678644T3 (es) Refugio seco para incrementar la capacidad operativa de un submarino
KR20140049284A (ko) 잠수함의 무장 탑재용 연결장치
GB2557951A (en) Fluid storage vessel retention system, pressurisable fluid storage vessel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filling a plurality of pressurisable fluid storage
US7159501B1 (en) Stackable in-line surface missile launch system for a modular payload bay
KR102628112B1 (ko) 무장 사출 및 탑재가 가능한 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KR20210045613A (ko) 수중함 발사관의 동시 충배수 시스템
ES238180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arga y de descarga de las municiones de un submarino
ES2863480T3 (es) Sistema de carga rápida para un submarino
CN115038651B (zh) 液化气罐及船舶
Ansay et al. Submarine Air Bag Laun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