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20B1 -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20B1
KR100671920B1 KR1020027014066A KR20027014066A KR100671920B1 KR 100671920 B1 KR100671920 B1 KR 100671920B1 KR 1020027014066 A KR1020027014066 A KR 1020027014066A KR 20027014066 A KR20027014066 A KR 20027014066A KR 100671920 B1 KR100671920 B1 KR 10067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software
information
music data
audio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509A (ko
Inventor
마사나오 요시다
마사하루 사와이
하지메 이노우에
신야 미야조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8Flexibility, adaptability, parametrability and configurability of the implementation
    • H03M13/6513Support of multiple code types, e.g. unified decoder for LDPC and turbo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 H03M13/6505Memory efficient implemen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69Implementation on processors, e.g. DSPs, or software implement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슬롯(16)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8)에는 복수의 압축 방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CPU(20)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이 RAM(22a)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따라서 해당 복호 프로그램을 메모리 카드(18)로부터 RAM(22a)으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이 RAM(22a)에 존재할 때에는 동일한 복호 프로그램이 전송되지 않는다. 음악 데이터는 RAM(22a)에 저장된 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DSP(22)에 의해 복호된다.
메모리 카드, 슬롯, 복호 프로그램, 데이터 압축, 부호화, 신장

Description

복호 장치{DECODER}
본 발명은, 복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 플레이어에 적용되며, 복수의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부호화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오디오 플레이어로서는, 소정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음악 데이터(부호화 신호)를 이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신장 프로그램(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장(伸張)하는 것이 있었다. 신장 프로그램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고, 음성 데이터의 신장 처리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실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신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의 용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밖에 신장할 수 없었다. 여기서, 복수의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을 외부 메모리에 사전에 준비해 놓고,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원하는 복호 프로그램을 내부 메모리에 로드하면, 다른 방식으로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복호 프로그램의 로드에 요하는 시간만큼 복호 처리의 개시가 지연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복호 처리를 빠르게 개시할 수 있는, 복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부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부호화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는, 복수의 부호화 방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 부호화 신호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특정의 복호 프로그램이 내부 메모리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특정의 복호 프로그램을 외부 메모리로부터 내부 메모리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을 포함한다.
외부 메모리에는 복수의 부호화 방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장착 수단은 이러한 외부 메모리를 장착한다. 복호하고자 하는 부호화 신호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특정 복호 프로그램이 내부 메모리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되고, 전송 수단은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특정 복호 프로그램을 외부 메모리로부터 내부 메모리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특정 복호 프로그램이 내부 메모리에 존재할 때에는, 전송 수단에 의한 전송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부호화 신호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다. 따라서, 동일한 부호화 방식에 따른 복수의 부호화 신호를 연속하여 복호할 때에는, 특정 복호 프로그램이 반복하여 전송되지 않아, 복호 처리가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동일한 복호 방식에 따른 복수의 부호화 신호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했을 때에는 시간 단축의 효과가 현저히 나타난다.
또한, 상호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 및 부호화 신호를 동일한 데이터 파일에 수납하도록 하면 데이터 파일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 부호화 신호는 예를 들면 압축된 음악 신호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메모리 카드의 기록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해도.
도 4는 오디오 파일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해도.
도 5는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해도.
도 6은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해도.
도 7은 오디오 파일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의 일부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의 그 밖의 일부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호 장치는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소정의 복 호 프로그램에 의해 복호(신장)하는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10)에 적용된다. 이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10)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통신 단말기(400)에 접속된다. 통신 단말기(400)는 인터넷(100)과 접속되고, 오퍼레이터는 인터넷(100)을 통해 복수의 웹 사이트(300a, 300b, …, 300n)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중, 웹 사이트(300a)는 음악 데이터의 배신(配信)을 행하는 사이트이다. 이후, 음악 데이터를 「음악」 및 「곡」이라 한다. 오퍼레이터가 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이 웹 사이트(300a)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음악(곡)을 발주하면, 웹 사이트(300a)는 수주한 곡의 발송을 인터넷(10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요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요구된 음악(곡)의 음악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파일(오디오 파일)을 인터넷(100)을 통해 발주원인 통신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송신된 오디오 파일은 통신 단말기(400)의 하드디스크에 보존된다.
또, 오디오 파일은 음악 데이터의 1곡마다 형성되고, 오퍼레이터가 복수의 곡을 포함하는 음악 앨범을 발주했을 때에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이 다운로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400)에 다운로드된 오디오 파일은 입력 단자(12)를 통해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10)에 입력된다. 입력된 오디오 파일은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된다. 오디오 파일은 도 3에 도시한 요령으로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되고, 각각의 오디오 파일은 파일 관리 정보에 의해서 관리된다. 또, 메모리 카드(18)는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이며, 슬롯(16)에 장착함으로써 인터페이스(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되는 오디오 파일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오디오 파일의 헤더 이후에는, 시큐러티 정보, 콘텐츠 정보, 부가 정보가 이 순서로 수납되고, 소정 포맷으로 압축 처리 및 암호화 처리가 실시된 1곡분의 음악 데이터가 부가 정보에 이어서 수납된다.
시큐러티 정보로서는 오디오 파일의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키 정보가 포함된다. 이 암호화 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암호가 해독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에는, 음악 데이터가 어떠한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압축 포맷 정보, 음악 데이터가 어떠한 포맷으로 암호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암호화 포맷 정보, 및 부가 정보로서 어떠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이 포함된다. 또한, 아티스트명, 곡명, 앨범명, 작곡가명, 프로듀서명과 같은 이 오디오 파일에 관련된 정보도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다.
부가 정보에는, 음악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디코드 소프트웨어(복호 프로그램), 음악의 곡조를 조정하기 위한 이퀄라이저 소프트웨어, 및 아티스트의 화상 데이터 외에, 아티스트의 메시지나 앨범 작성 시의 에피소드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음악 데이터의 압축 포맷으로서는, MP3(MPEG-1 Audio Layer-3), TwinVQ(Transform domain Weigh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 AAC(MPEG2/Advanced Audio Coding), AC-3(Dolby Digital), ePAC 등의 복수의 포맷이 있다. 이 때문에, 음악 데이터가 ePAC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을 때,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압축 포맷 정보는 "ePAC"를 나타내며, 음악 데이터가 MP3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을 때,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압축 포맷 정보는 "MP3"를 나타낸다.
또한, 재생 장치에 설치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타입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다르다. DSP의 타입의 차이에는, 예를 들면, 처리를 행하는 연산의 비트 수의 차이(16비트 연산과 24비트 연산 등)가 있다. 따라서, DSP가 16비트 연산을 행하는 프로세서이면 타입 A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밖에 기동하지 않고, DSP가 24비트 연산을 행하는 프로세서이면 타입 B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밖에 기동하지 않아, 사용할 수 있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부가 정보에 포함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ePAC 포맷에 따르고 또한 16비트 연산의 DSP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에는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로서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A"가 기입된다. 또한, 16비트 연산 및 24비트 연산 중 어느 것의 DSP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ePAC 포맷에 따른 2개의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부가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에는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로서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A" 및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B"가 기입된다. 이상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는 압축 포맷 정보 및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압축 포맷에 따르고 또한 타입 A 및 타입 B의 양방에 대응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오디오 파일에 수납된다. 이 경우,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5에 따르면, 부가 정보 1이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B"이고, 부가 정보 2가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A"이며, 부가 정보 3이 "아티스트의 코멘트(TEXT)" 이다. 오디오 파일에 하나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밖에 수납되지 않고, 대신에 각 곡에 적합한 특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DSP 소프트웨어가 수납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6에 따르면, 부가 정보 1이 "ePAC 디코드 소프트웨어-타입 A"이고, 부가 정보 2가 "버추얼 사운드 소프트웨어-타입 A"이며, 부가 정보 3이 아티스트 화상(JPEG)"이다. 또, 버추얼 사운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콘서트에서 녹음된 곡에 현장감을 갖게 하여 재생할 때에 유효하다.
디코드 소프트웨어 및 관련된 압축 포맷 정보 및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오디오 파일에 저장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2가지가 고려된다. 첫번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측에서 디코드 소프트웨어, 압축 포맷 정보 및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오디오 파일에 저장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통신 단말기(400)가 웹 사이트(300a)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복수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사전에 입수해 놓고, 오디오 파일의 구입 시에 대응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 압축 포맷 정보 및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이 오디오 파일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또,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10)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되는 것 외에, CD(500)(도 1)로부터 판독함으로써도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구조의 오디오 파일은 통신 단말기(400)에 의해 작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때,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10)에 포함되는 CPU(20)는 도 8 내지 도 10에 설명하는 순서도로 처리한다. 또, 이 순서도의 처리는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먼저 단계 S1에서 메모리 카드(18)가 슬롯(16)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모리 카드(18)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3에서 메모리 카드(18)이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메시지를 LCD(36)에 표시하고,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LCD(36)에 표시된 메시지에 의하여, 오퍼레이터가 메모리 카드(18)를 장착하면, 단계 S1로부터 단계 S5로 진행하며, 메모리 카드(18)에 포함되는 파일 관리 정보(도 3 참조)를 메모리(EEPROM)(32)로 전송한다. 파일 관리 정보는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는 정보이며, 이것에 의해 각 데이터 파일에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가 파악된다.
단계 S7에서는, 메모리 카드(18)에 기록된 오디오 파일의 파일명을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하고, 도 7에 도시한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확장자가 "spt"인 데이터 파일명을 파일 관리 정보로부터 검출하고, 이것을 오디오 파일명으로 간주하여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에 설정한다.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은 아이템(item)이라 불리는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고, 각각의 아이템에는 식별 번호가 할당된다. 파일 관리 정보로부터 검출된 오디오 파일명은 식별 번호가 작은 아이템으로부터 순서대로 설정되어 간다.
단계 S7의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S9로 진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명이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이면, 메모리 카드(18)에는 오디오 파일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단계 S11에서 그 취지의 메시지를 LCD(36)에 소정 시간 표시한다. 소정 시간이 경 과하면, 단계 S55에서의 종료 처리 및 단계 S57에서의 전원 오프를 거쳐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9에서 "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3에서 포인터를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의 선두 아이템으로 설정한다. 계속되는 단계 S15에서는, 메모리 카드(18)에 액세스하고, 현재 포인트하고 있는 아이템의 파일명을 갖는 오디오 파일로부터 헤더, 시큐러티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취득원인 오디오 파일의 기록 위치는 현재 포인트하고 있는 파일명과 메모리 카드(18) 내의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단계 S17에서는, 단계 S15에서 취득한 시큐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디오 파일이 정규의 파일인지의 여부(즉, 부정하게 복제된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디오 파일이 정규의 파일이 아니면, 단계 S19에서 그 취지의 메시지를 소정 시간 LCD(36)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의 포인터가 최종의 아이템을 포인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51에서 판단하고, "아니오"이면 미재생의 오디오 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단계 S53에서의 포인터의 이동 처리를 거쳐 단계 S15로 되돌아간다. 포인터는 다음의 아이템을 포인트하고, 단계 S15에서는 다음의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가 실시된다. 단계 S51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미재생의 오디오 파일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단계 S55에서의 종료 처리 및 단계 S57에서의 전원 오프 처리를 거쳐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에 도시한 단계 S17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DSP(22)의 RAM(22a) 에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이미 로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21에서 판단한다. 전원 투입 직후에는, 디코드 소프트웨어는 RAM(22a)에 로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는 단계 S21로부터 단계 S27로 진행하고,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의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참조하여, 부가 정보에 포함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DSP(22)에 적합한 타입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DSP(22)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29에서 그 취지의 메시지를 소정의 시간 LCD(36)에 표시하고 나서 단계 S51로 진행한다.
한편,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DSP(22)에 적합할 때에는, 단계 S27에서 "예"라고 판단하고, 단계 S31에서 해당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메모리 카드(18)로부터 DSP(22)의 RAM(22a)에 로드함과 함께, 단계 S33에서 해당 디코드 소프트웨어의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CPU(20)의 워크 영역(20a)에 저장한다. 워크 영역(20a)에 저장된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를, 특히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라 정의한다. 이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는 RAM(22a)에 로드되어 있는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식별하기위해 이용된다.
RAM(22a)에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때에는 단계 S21로부터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워크 영역(20a)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을 검색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 정보가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단계 S25에서 판단한다. 여기서 "예"이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RAM(22a)에 존재하므로, 다시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로드할 필요 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대로 단계 S35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재생 개시까지 요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단계 S2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로는 오디오 파일을 복호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단계 S27로 이행한다. 단계 S27에서 "예"라고 판단되고, 단계 S31에서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새롭게 로드된 경우, RAM(22a)에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는 새롭게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에 의해 덧씌우기된다.
단계 S35에서는, 부가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버추얼 사운드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코드 소프트웨어 이외의 DSP 소프트웨어가 오디오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이면 그대로 단계 S39로 진행하지만, "예"이면 단계 S37에서의 해당 DSP 소프트웨어의 로드 처리를 거쳐 단계 S39로 진행한다. 이렇게 해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하고, 단계 S39 이후에서는 조작 패널(34)의 조작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다.
오퍼레이터가 재생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단계 S39에서 "예"라고 판단하고, 단계 S43에서 DSP(22)를 기동한다. 단계 S45에서는,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 상에서 포인터가 지향하고 있는 파일명의 오디오 파일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음악 데이터를 DSP(22)로 전송한다. 단계 S45의 처리가 완료하면, 후속되는 단계 S47에서 DSP(22)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의 재생을 명령한다.
음악 데이터에는 암호화 처리 및 압축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생 지시를 받은 DSP(22)는 시큐러티 정보에 포함되는 암호화 키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 데이터를 해독하고, 해독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RAM(22a)에 기억되어 있는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신장한다. 버추얼 사운드 소프트웨어 등의 DSP 소프트웨어가 RAM(22a)에 존재할 때에는 이 DSP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처리 등을 신장 음악 데이터에 실시한다. 이러한 처리가 실시된 음악 데이터는 D/A 변환기(24)에 의해 음성 신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신호는 증폭기(26) 및 출력 단자(28)를 통해 헤드폰(30)으로 출력된다.
단계 S49에서는 1곡분의 재생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이면 단계 S51로 진행하고, 오디오 파일 테이블(32a)의 포인터가 최종의 아이템을 포인트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최후의 오디오 파일의 음악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포인터가 최종 이외의 아이템을 포인트하고 있을 때에는 단계 S53에서 포인터를 다음의 아이템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단계 S15로 되돌아간다. 한편, 포인터가 최종의 아이템을 포인트하고 있으면 단계 S55에서의 종료 처리 및 단계 S57에서의 전원 오프 처리를 거쳐 처리를 종료한다. 또, 오퍼레이터가 전원 오프 조작을 행했을 때에는 단계 S41에서 "예"라고 판단하고, 단계 S55 및 S57을 거쳐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롯(16)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8)에는 복수의 압축 방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CPU(20)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이 RAM(22a)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따라서 해당 복호 프로그램을 메모리 카드(18)로부터 RAM(22a)으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재생하 고자 하는 음악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이 RAM(22a)에 존재할 때에는 동일한 복호 프로그램이 전송되지 않는다. 음악 데이터는 RAM(22a)에 저장된 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DSP(22)에 의해 복호된다.
따라서, 동일한 압축 방식에 따른 복수의 음악 데이터를 연속하여 복호할 때에는 복호 프로그램이 반복하여 전송되지 않아, 음악 데이터의 복호 처리가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디코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만, 각 오디오 파일 간에서의 일치/불일치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혹은 이에 부가하여, 다른 DSP 소프트에 대하여 각 오디오 파일 간에서의 일치/불일치를 판별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는 RAM에 저장되기 때문에, 전원을 오프하면 해당 디코드 소프트웨어가 소거되지만,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면, 전원을 오프한 후에도 로드된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유효화할 수 있다.
또한, DSP의 RAM에는 하나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만을 저장하도록 하고 있지만, 복수의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RAM에 저장하고, 어느 것의 디코드 소프트웨어에도 대응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만, 다른 디코드 소프트웨어를 RAM에 로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동일한 압축 포맷에 따른 음악 데이터를 복수곡 연속하여 재생한 후에 다른 압축 포맷에 따른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면, 디코드 소프트웨어의 로드에 요하 는 시간만큼 곡 사이의 무음 시간이 변동한다. 이 문제는, 전회와 다른 압축 포맷에 따른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디코드 소프트웨어의 로드에 요하는 시간 분만큼 곡 사이의 무음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서 이용한 것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것은 명백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4)

  1. 복수의 부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부호화된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호화 방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
    상기 복수의 복호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
    상기 부호화 신호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특정의 복호 프로그램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특정의 복호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상기 내부 메모리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복호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
    을 포함하는 복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는 동일한 부호화 방식에 따른 복수의 부호화 신호를 저장하는 복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복호 프로그램 및 부호화 신호는 동일한 데이터 파일에 수납되는 복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신호는 압축된 음악 신호인 복호 장치.
KR1020027014066A 2000-04-20 2001-04-16 복호 장치 KR100671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19801 2000-04-20
JP2000119801 2000-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509A KR20020089509A (ko) 2002-11-29
KR100671920B1 true KR100671920B1 (ko) 2007-01-23

Family

ID=1863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066A KR100671920B1 (ko) 2000-04-20 2001-04-16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55657A1 (ko)
EP (1) EP1291850A4 (ko)
KR (1) KR100671920B1 (ko)
CN (1) CN1193346C (ko)
AU (1) AU2001246924A1 (ko)
WO (1) WO2001082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807A (ja) * 1999-08-25 2001-03-16 Sanyo Electric Co Ltd 音声再生装置
CN100412843C (zh) 2002-12-23 2008-08-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可扩展的光盘播放机、播放设备、记录器和升级它们的方法
US7900041B2 (en) * 2003-07-22 2011-03-01 Irdeto Canada Corporation Software conditional access system
US7913288B2 (en) * 2004-01-06 2011-03-22 Digital Interactive Systems Corp. Home entertainment system
JP4225201B2 (ja) * 2004-01-08 2009-02-18 ヤマハ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562193A1 (en) 2004-02-06 2005-08-1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System for storing and rendering multimedia data
KR100608056B1 (ko) 2004-06-05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재생 방법, 생성 장치,생성 방법, 및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 매체
JP2006109290A (ja) * 2004-10-08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復号化装置
US7765192B2 (en) 2006-03-29 2010-07-27 Ab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rchiving a media collection
US8285595B2 (en) * 2006-03-29 2012-10-09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fining media recommendations
US7444388B1 (en) 2006-04-13 2008-10-28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media content for a portable media player
US8903843B2 (en) * 2006-06-21 2014-12-02 Napo Enterprises, Llc Historical media recommendation service
US8327266B2 (en) 2006-07-11 2012-12-04 Napo Enterprises,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llowing management of a media item playlist based on a preference scoring system
US8059646B2 (en) * 2006-07-11 2011-11-15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usic content in a P2P real time recommendation network
US7970922B2 (en) * 2006-07-11 2011-06-28 Napo Enterprises, Llc P2P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US7680959B2 (en) * 2006-07-11 2010-03-16 Napo Enterprises, Llc P2P network for providing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US8805831B2 (en) * 2006-07-11 2014-08-12 Napo Enterprises, Llc Scoring and replaying media items
US9003056B2 (en) 2006-07-11 2015-04-07 Napo Enterprises, Llc Maintaining a minimum level of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in the absence of online friends
US8090606B2 (en) * 2006-08-08 2012-01-03 Napo Enterprises, Llc Embedded media recommendations
US8620699B2 (en) 2006-08-08 2013-12-31 Napo Enterprises, Llc Heavy influencer media recommendations
KR100826557B1 (ko) * 2006-10-11 2008-04-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플레이어 변경이 용이한 재생 파일의 생성/재생 방법 및장치
US8874655B2 (en) * 2006-12-13 2014-10-28 Napo Enterprises, Llc Matching participants in a P2P recommendation network loosely coupled to a subscription service
US8307092B2 (en) * 2007-02-21 2012-11-06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media collections from multiple login points
US9224427B2 (en) * 2007-04-02 2015-12-29 Napo Enterprises LLC Rating media item recommendations using recommendation paths and/or media item usage
US7941764B2 (en) 2007-04-04 2011-05-10 Ab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user preference settings for a category, and in particular a media category
US8112720B2 (en) * 2007-04-05 2012-02-07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graphically associating programmatically-generated media item recommendations related to a user's socially recommended media items
US8285776B2 (en) * 2007-06-01 2012-10-09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9037632B2 (en) * 2007-06-01 2015-05-19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with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20090049045A1 (en) * 2007-06-01 2009-02-19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media items in a playlist on a media device
US9164993B2 (en) * 2007-06-01 2015-10-20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8839141B2 (en) * 2007-06-01 2014-09-16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isually indicating a replay status of media items on a media device
US20080307316A1 (en) * 2007-06-07 2008-12-11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user preference settings to fields in a category, particularly a media category
US20090049030A1 (en) * 2007-08-13 2009-02-19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multiple listing of a media item in a playlist
US20090048992A1 (en) * 2007-08-13 2009-02-19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repetitive reception of a media item recommendation
US7865522B2 (en) * 2007-11-07 2011-01-04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hyping media recommendations in a media recommendation system
US9060034B2 (en) * 2007-11-09 2015-06-16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of filtering recommenders in a media item recommendation system
US8224856B2 (en) 2007-11-26 2012-07-17 Abo Enterprises, Llc Intelligent default weighting process for criteria utilized to score media content items
US20090138457A1 (en) * 2007-11-26 2009-05-28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Grouping and weighting media categories with time periods
US9224150B2 (en) * 2007-12-18 2015-12-29 Napo Enterprises, Llc Identifying highly valued recommendations of users in a media recommendation network
US8396951B2 (en) 2007-12-20 2013-03-12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a content repository for an internet radio service based on a recommendation network
US9734507B2 (en) * 2007-12-20 2017-08-15 Napo Enterprise, Llc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recommendations in a social network for an offline user
US8060525B2 (en) * 2007-12-21 2011-11-15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edia recommend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based on tagging play history inform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US8117193B2 (en) 2007-12-21 2012-02-14 Lemi Technology, Llc Tunersphere
US8316015B2 (en) 2007-12-21 2012-11-20 Lemi Technology, Llc Tunersphere
US8725740B2 (en) * 2008-03-24 2014-05-13 Napo Enterprises, Llc Active playlist having dynamic media item groups
US20090259621A1 (en) * 2008-04-11 2009-10-15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Providing expected desirability information prior to sending a recommendation
US8484311B2 (en) 2008-04-17 2013-07-09 Eloy Technology, Llc Pruning an aggregate media collection
US20100070537A1 (en) * 2008-09-17 2010-03-18 Eloy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ersonalized universal catalog of media items
US8880599B2 (en) * 2008-10-15 2014-11-04 Eloy Technology, Llc Collection digest for a media sharing system
US8484227B2 (en) 2008-10-15 2013-07-09 Eloy Technology, Llc Caching and synching process for a media sharing system
US8200602B2 (en) 2009-02-02 2012-06-12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hematic listening experiences in a networked peer media recommendation environment
US20130311859A1 (en) * 2012-05-18 2013-11-21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xecution of video files by readers of electronic pub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5531A1 (de) * 1986-05-14 1987-11-19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Verwendung von halbleitertechnischen Festwertspeichern
JPS63228200A (ja) * 1987-03-17 1988-09-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音源装置
JPH04271396A (ja) * 1991-02-27 1992-09-28 Hitachi Ltd ディジタル音声信号受け渡し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レーヤ
JPH04126472A (ja) * 1990-09-17 1992-04-27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記憶装置
JPH06189302A (ja) * 1992-12-15 1994-07-08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US6216152B1 (en) * 1997-10-27 2001-04-10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ug in media decoders
JPH11167400A (ja) * 1997-12-03 1999-06-22 Kobe Steel Ltd 小型音楽信号再生装置
US6292847B1 (en) * 1997-12-03 2001-09-1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Digit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JP3394899B2 (ja) * 1998-01-23 2003-04-07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用データ記録媒体と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0013237A (ja) * 1998-06-23 2000-01-14 Victor Co Of Japan Ltd 携帯型データ再生装置及び半導体メモリ
WO2000067258A1 (en) * 1999-04-30 2000-11-09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ly encoded audio data
JP2001067807A (ja) * 1999-08-25 2001-03-16 Sanyo Electric Co Ltd 音声再生装置
US6721710B1 (en) * 1999-12-13 2004-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ble fast-forward or reverse of compressed audio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5657A1 (en) 2003-03-20
KR20020089509A (ko) 2002-11-29
CN1193346C (zh) 2005-03-16
CN1436346A (zh) 2003-08-13
EP1291850A1 (en) 2003-03-12
EP1291850A4 (en) 2005-07-20
WO2001082292A1 (fr) 2001-11-01
AU2001246924A1 (en)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920B1 (ko) 복호 장치
US8122163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JP4219680B2 (ja) 不揮発性メモリカード、コンパクトディスクまたはその他のメディアから記録済みのオーディオ、ビデオまたはその他の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デバイス
TW475139B (en) Reproducing device having reproducing limiting function, apparatus for rewriting reproducing limiting information, reproducing limiting method, method
US6810200B1 (en)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that restricts usage of data present on a recording medium
WO1999042996A1 (fr) Appareil et procede d'enregistrement / reproduction, et processeur de donnees
KR100716441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A2382004C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6990589B1 (en)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JP4379079B2 (ja) データ再生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55470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EP0920013B1 (en) A combined set for digital audio distribution
CN100458812C (zh) 数据处理电路和方法、再现装置和方法及存储介质
US8407467B2 (en) Ubiquitous audio reproducing and servic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60126465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data
KR100367582B1 (ko)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업로드 방지 방법
JP2005233980A (ja) 音楽再生装置
KR100762645B1 (ko) 콘텐츠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503066B1 (ko) 음악 파일 저장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KR20020069548A (ko) 데이터변환 복사장치 및 방법
KR101098761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MXPA0001010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2002049374A (ja) 音楽再生装置、情報取得方法、情報管理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KR20090071411A (ko) 음성데이터 재생시스템, 음성데이터 재생방법 및 해당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기
KR20000032332A (ko) 자바 프로세서를 이용한 휴대용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