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856B1 -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856B1
KR100671856B1 KR1020000030562A KR20000030562A KR100671856B1 KR 100671856 B1 KR100671856 B1 KR 100671856B1 KR 1020000030562 A KR1020000030562 A KR 1020000030562A KR 20000030562 A KR20000030562 A KR 20000030562A KR 100671856 B1 KR100671856 B1 KR 10067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stic film
standing
surface shee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221A (ko
Inventor
히사나카다카유키
다카이히사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81Struck out portion type
    • Y10T428/24289Embedded or inter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 코어의 오물을 은폐할 수 있는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1)는 제1 플라스틱 필름층(2)과, 제2 플라스틱 필름층(5)과, 이들 양 층(2, 5) 사이에 개재되는 섬유 집합층(3)으로 구성된다. 제1 플라스틱 필름층(2)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8)을 포함하고, 제2 플라스틱 필름층(5)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평탄 부분(58)을 포함한다. 제1 평탄 부분(8)과 2 평탄 부분(58) 중 적어도 제1 평탄 부분(8)에는 브릿지 부분(10)과, 제1 기립 부분(12)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A PERMEABLE TOP SHEET OF BODY FLUIDS ABSORBENT ATR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표면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표면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의 일례를 도시한 도 1과 같은 형태의 도면.
도 6은 도 5의 표면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과 같은 형태의 도면.
도 8은 도 7의 표면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표면 시트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표면 시트 제조 공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면 시트
2 : 제1 플라스틱 필름층(상부 필름층)
3 : 섬유 집합층
5 : 제2 플라스틱 필름층(하부 필름층)
8 : 제1 평탄 부분
10, 10A, 10B : 브릿지 부분
12 : 기립 부분
12A : 제1 기립 부분
12B : 제2 기립 부분
18 : 가장자리부
58 : 제2 평탄 부분
60 : 브릿지 부분
62 : 기립 부분
62A : 제3 기립 부분
62B : 제4 기립 부분
68 : 가장자리부
101 : 플라스틱 필름(제1 웹)
102 : 섬유 집합체(제2 웹)
103 : 플라스틱 필름(제3 웹)
104 : 복합 웹(제1 복합 웹)
105 :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
131 : 복합 웹(제5 복합 웹)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7-328061호 공보에 개시된 일회용 생리대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는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플라스틱 필름은 밴드형의 것으로, 복수 개의 필름이 소요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부직포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부직포에는 밀도가 높고,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는 영역과, 밀도가 낮고, 필름과 필름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에서, 부직포의 상면에 새어 나온 경혈은 노출되어 있는 저밀도 영역을 투과하여, 표면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는 코어에 흡수된다. 코어는 부직포를 매개로 플라스틱 필름으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며, 경혈로 더러워지더라도 그 오물이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저밀도 영역의 경혈은 고밀도 영역으로 이행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고밀도 영역에는 경혈이 많아진다. 그러나, 이 영역은 필름의 바로 아래에 있어, 오물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 시트에 따르면, 사용후의 생리대를 폐기할 때에, 생리대의 오물이 보임에 따른 불쾌감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생리대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필름과 필름 사이에 저밀도 영역에 있어서, 그 아래에 위치하는 코어의 오물이 표면 시트의 부직포를 통해 투시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표면 시트가 피부에 문질러질 때, 그 문지르는 방향이 밴드형 필름과 교차하게 되면, 밴드형 필름의 가장자리부가 나이프 엣지와 같이 피부를 자극한다는 것도 이러한 표면 시트의 단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코어의 오물을 표면 시트로 은폐하고자 할 때의 은폐 범위의 확대와, 표면 시트의 촉감 개량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에 관한 제1 발명과, 그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2 발명 내지 제4 발명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발명의 특징은 상기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가 이하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가 시트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상기 시트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 필름층과, 이들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제2 플라스틱 필름층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제2 플라스틱 필름층 각각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플라스틱 필름층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을 갖는 한편, 상기 제2 플라스틱 필름층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2 평탄 부분을 지니며,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 각각이 0.001∼0.05mm의 두 께와 0.03∼1mm의 폭을 지니며, 인접한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 그리고 상기 제2 평탄 부분끼리 중의 적어도 제1 평탄 부분끼리는 양 부분 사이로 연장하는 다수의 브릿지 부분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 중 적어도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는 평탄 부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상승하여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기복이 반복되는 제1 기립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인접한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층 영역의 하면 근방에는 제2 플라스틱 필름층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집합층은 그 구성 섬유가 기계적인 얽힘, 용착 및 접착 중 어느 것에 의해 일체로 된 것으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하면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상면에 접합되어, 친수성 섬유를 5 중량% 이상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제1 플라스틱 필름층에는 상기 제1 기립 부분을 갖는 제1 평탄 부분 외에,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기복이 반복되는 제2 기립 부분을 갖는 제1 평탄 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2) 상기 제2 플라스틱 필름층에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하면에서 상면으로 향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승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기복이 반복되는 제3 기립 부분 및 제4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다.
(3)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제3 기립 부분 및 제4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은 인접하는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층 영역의 하면 근방에 위치한다.
(4)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은 적어도 이들 기립 부분에 있어서 친수성을 갖는다.
(5)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제2 기립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제3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은 상기 섬유 집합층의 섬유 간극에 진입한다.
(6)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제2 기립 부분은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병행하여 마주하며 또한 한쪽의 제1 평탄 부분 근처로 경사져 있다.
(7)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의 위치는 거의 일치한다.
(8)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 중에서 상기 제2 기립 부분이 있는 가장자리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 중에서 상기 제4 기립 부분이 있는 가장자리부가 형성된다.
(9) 상기 섬유 집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전술한 제2 발명의 특징은 상기 표면 시트의 제조 공정에 다음 공정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b) 공급되는 상기 복합 웹의 하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어, 상기 필름이 상기 분사의 궤적을 따라 상기 한 방향을 따라서 찢어지고, 상기 필름으로부터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인접하는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개방 구멍 부분으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체 영역의 하면 근방에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섬유 집합체의 하면에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복수 개의 상기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전술한 제3 발명의 특징은 상기 표면 시트의 제조에 다음 공정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b) 공급되는 상기 복합 웹의 상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고, 상기 필름이 상기 분사의 궤적과 유사하게 상기 한 방향을 따라서 찢어지는 공정.
c) 상기 분사의 궤적을 거의 본뜨도록, 상기 복합 웹의 하면에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고, 상기 필름에는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수류의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는 다수의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인접하는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개방 구멍 부분으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체 영역의 하면 근방에 상기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섬유 집합체의 하면에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복수 개의 상기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전술한 제4 발명의 특징은 상기 표면 시트의 제조 공정에 다음 공정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이들 양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측 플라스틱 필름의 하면과 상기 하측 플라스틱 필름의 상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b) 공급되는 상기 웹의 상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어, 그 분사의 궤적을 본떠 상기 한 방향 을 따라서 상기 상측과 하측의 플라스틱 필름이 찢어지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각각에는,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복수 개의 평탄 부분과, 이 평탄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타넘어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이 형성되는 공정.
전술한 제4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웹의 상면으로 분사된 고압 기둥형 수류의 궤적의 몇 개에 관해서는 이들 궤적을 본떠 상기 웹의 하면에서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에 의해서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어, 상기 상측과 하측의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기립 부분의 기립 방향이 반전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4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고압 기둥형 수류에 의해서, 상기 하측과 상측의 플라스틱 필름이 찢어져 각각의 플라스틱 필름에는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대략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이 새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발명 내지 제4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5 중량% 이상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휴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의 사시도와, 표면 시트(1)의 구성 부재를 상하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1)는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2)과, 하부 플라스틱 필름층(5)과, 이들 양 필름층(2, 5) 사이에 개재되는 섬유 집합층(3)을 구비한다.
상부 필름층(2)은 가요성을 가지며, 양방향 화살표 Y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하는 복수 개의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평탄 부분(8)과, 인접하는 평탄 부분(8)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개방 구멍(9)과, 인접하는 평탄 부분(8)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부(18)로부터 양방향 화살표 X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개방 구멍(9)을 횡단하는 브릿지 부분(10)과, 평탄 부분(8)의 가장자리부(18)에 있어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기립 부분(12)을 구비한다. 기립 부분(12)은 화살표 Y 방향으로 불규칙한 형상을 반복하여 대략 톱니 형상을 띠는 부분이다.
섬유 집합층(3)은 가요성을 가지며, 상부 필름층(2)의 평탄 부분(8)의 하면에 접합되고, 개방 구멍(9)에서 그 집합층(3)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다. 그 개방 구멍(9)에서는 집합층(3)의 구성 섬유(3A)의 일부가 상측을 향해 직선으로 또는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한다.
하부 필름층(5)은 섬유 집합층(3)의 하면에 접합되어, 화살표 Y방향으로 서 로 병행되어 연장하는 복수 개의 평탄한 밴드형 필름(5A)으로 구성되어, 표면 시트(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인접하는 밴드형 필름(5A, 5A) 사이에는 섬유 집합층(3)의 하면이 노출되고, 그 노출된 부분에서는 집합층(3)의 구성 섬유(3A)의 일부가 하측을 향해 직선으로, 또는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상부 필름층(2)의 가장자리부(18)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는 일점 쇄선은 개방 구멍(9)을 섬유 집합층(3)의 하면에 투영한 선으로, 이러한 개방 구멍(9)으로 구획된 섬유 집합층(3) 영역의 하면 근방에는 밴드형 필름(5A)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선 Ⅲ-Ⅲ과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상부 필름층(2)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평탄 부분(8)은 0.001∼0.05 mm의 두께와, 화살표 X 방향으로 인접한 개방 구멍(9, 9) 사이에 0.03∼1 mm의 폭(W1)을 갖는다. 대다수의 개방 구멍(9)은 화살표 Y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0.05∼1 mm의 폭(W2)과, 폭(W2)의 1.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2)의 브릿지 부분(10)은 화살표 Y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탄 부분(8)의 상면에서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를 그리는 부분(10A), 또는 평탄 부분(8)과 같은 형태로 평탄한 부분(10B)이 있다. 원호를 그리는 브릿지 부분(10A)은 평탄 부분(8)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처럼 보이는 기단부(19A)를 갖는 경우와, 기립 부분(12)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처럼 보이는 기단 부(19B)를 갖는 경우가 있다(도 1을 아울러 참조). 바람직한 브릿지 부분(10)은 그 두께가 평탄 부분(8)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도 얇고,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하는 폭(W3; 도 3 참조)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 0.001∼2 mm의 범위에 있다.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2)의 기립 부분(12) 중의 대다수의 부분(12A)은 필름층(2)의 가장자리부(18)에서 필름이 상측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형성되어 평탄 부분(8)으로 이어지는 기단부(16)와, 기단부(1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자유 단부(17)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17)의 상부 가장자리(17A)는 가장자리부(18)를 따라서 기복이 반복된다. 상부 가장자리(17A)의 평탄 부분(8)에서부터의 높이는 0∼1 mm 사이에서 변화한다. 기립 부분(12) 중의 일부의 부분(12C)은 브릿지 부분(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기립 부분(12A)과 같은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도 1을 아울러 참조).
기립 부분(12A)의 상부 가장자리(17A)가 톱니 형상의 기복을 반복하는 형태의 일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거의 우측이 올라가도록 연장하는 경사변(21)과, 거의 좌측이 올라가도록 연장하는 경사변(22)과, 이들 경사변(21, 22) 사이로 연장하는 기단부(16)로 형성되는 삼각형 또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띠는 부위(23)가 연속된다. 또한, 기립 부분(12C)도 기립 부분(12A)과 마찬가지로 기복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기립 부분(12A, 12C)으로 이루어지는 기립 부분(12)의 두께는 평탄 부분(8)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도 얇고,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부드럽게 변형되어, 표면 시트(1)에 빌로드와 같이 매끄롭고 유연한 감촉을 가져올 수 있다. 기립 부분(12) 하나 하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만, 다 수의 기립 부분(12) 전체에서 표면 시트(1)에 상면이 보푸라기가 일고 있는 것과 같은 외관을 부여할 수는 있다. 또한, 기립 부분(12)은 입사 광선을 난반사함으로써, 플라스틱 필름에 자주 보이는 표면 광택을 감쇄할 수 있다.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2)에는, 개방 구멍(9)을 갖는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JIS-L-1096에 규정된 통기도가 5∼700㎤/㎠·sec의 범위에 있으며, JIS-L-1092에 규정된 내수도(耐水度)가 0∼2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층(2)에는 소수성(疏水性)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에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것, 또는 친수성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필름은 산화티탄이나 황산바륨 등과 같은 적절한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섬유 집합층(3)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 레이온 섬유 등의 화학 섬유, 이들 합성 섬유와 화학 섬유의 혼합물, 이들 합성 섬유나 화학 섬유와 코튼 섬유나 펄프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친수성 섬유를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집합층(3)은 평량이 2∼50 g/㎡이며, 섬유가 서로 기계적인 얽힘,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서 일체로 된 부직포이다. 부직포는 예컨대, 섬도 0.05∼15d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및 화학 섬유 중 어느 것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직포로는 스펀 본드 부직포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서멀 본드 부직포와, 멜트 브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 있다. 섬유 집합층(3)은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JIS-L-1096에 규정된 통기도가 5∼700 ㎤/㎤·sec이고, JIS-L-1092에 규정된 내수도가 0∼2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합층(3)을 상부 필름층(2)이나 하부 필름층(5)과 접합하려면 열이나 초음파에 의한 용착,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 필름층(5)을 형성하는 밴드형 필름(5A)은 0.001∼0.05㎜의 두께와, 0.03∼1.5㎜의 폭(P1)을 가지며, 인접한 밴드형 필름(5A) 사이에는 0.03∼2㎜, 바람직하게는 0.03∼1㎜의 폭(P2)을 갖는 간극(5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필름층(2)의 평탄 부분(8)이 서로 브릿지 부분(10)으로 연결되도록, 인접한 밴드형 필름(5A)은 서로 그들 필름(5A) 사이로 연장하는 브릿지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필름층(2)의 개방 구멍 부분(9)이 섬유 집합층(3)의 하면에 투영되어 있는 부위(53)의 적어도 일부분은 밴드형 필름(5A)에 의해서 점유된다. 예컨대, 부위(53) 중의 부위(53A)는 그 상측 개방 구멍(9)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밴드형 필름(5A)이 차지하고, 부위(53B)는 그 일부분이 평탄 부분(8)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밴드형 필름(5A)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54)이 차지한다. 이 필름(5A)은 산화티탄이나 황산바륨 등과 적절한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표면 시트(1)는, 예컨대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생리대의 코어(56)의 상면을 피복하여 사용한다. 그와 같은 생리대에 있어서는, 경혈이 도 1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필름층(2)의 개방 구멍 부분(9)에서 섬유 집합층(3)으로 진입하여, 밴드형 필름(5A, 5A) 사이에서 코어(56)로 이행한다.
사용후의 생리대는 흡수된 경혈 중에서 상부 필름층(2)의 평탄 부분(8)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과, 하부 필름층(5)의 밴드형 필름(5A)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이들 평탄 부분(8)과 밴드형 필름(5A)에 가려져 실질적으로는 눈에 띄는 일이 없다. 평탄 부분(8, 8) 사이의 섬유 집합층(3)에 체류하는 것은 개방 구멍 부분(9)을 통해서 눈에 띌 수도 있지만, 기립 부분(12)이 개방 구멍 부분(9)의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에는 상기 체류하고 있는 경혈이 기립 부분(12)에 의해서 가려져, 눈에 띄기 어렵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생리대는 사용후라도 오물이 눈에 띄는 일이 없다. 개방 구멍 부분(9)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기립 부분(12)의 일례가 도 4에 기립 부분(12D)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1)의 상면은 상부 필름층(2)이 얇고 유연한 기립 부분(12)에 의해서, 빌로드와 같은 기분좋은 촉감으로 된다. 기립 부분(12)이 친수성이면, 평탄 부분(8)의 가장자리부(18)를 따라서 인접하는 기립 부분(12)끼리나, 개방 구멍 부분(9)을 사이에 두고서 마주하는 기립 부분(12)끼리의 사이에 생기는 모관(毛管) 작용에 의해서 경혈을 섬유 집합층(3)으로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개방 구멍 부분(9)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 섬유(3A)가 친수성이면, 경혈에 대하여 기립 부분(12)과 같은 식으로 작용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1 및 도 2와 같은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필름층(2), 섬유 집합층(3) 및 하부 필름층(5) 중 상부 필름층(2)과 섬유 집합층(3)은 도 2의 그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하부 필름층(5)의 형상은 도 2의 하부 필름층(5)이 아니라 상부 필름층(2)의 형상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평탄 부분(58)과, 개방 구멍 부분(59)과, 브릿지 부분(60)과, 평탄 부분(58)의 가장자리부(68)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기립 부분(62)을 구비한다. 각 개방 구멍 부분(9, 59)으로부터는 섬유 집합층(3)의 구성 섬유(3A)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직선으로, 또는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상부 필름층(2)과 섬유 집합층(3)과 하부 필름층(5)이 겹쳐져 서로 접합되는 표면 시트(1)에서는 시트(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하부 필름층(2, 5)의 개방 구멍 부분(9, 59)의 화살표 X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폭이 거의 같다. 다만, 개방 구멍 부분(9, 59)에 있어서의 브릿지 부분(10, 60)의 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부 필름층(5)의 기립 부분(62)에는 섬유 집합층(3)의 내측을 향해 가장자리부(68)로부터 거의 똑바르게 상측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가장자리부(68)로부터 개방 구멍 부분(59)의 내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부분이 있다. 기립 부분(62)은 그것이 친수성이라면 경혈이 누설되기 쉬워서, 섬유 집합층(3)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의 경혈의 이행이 촉진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소수성으로서 경혈에 누설되기 어렵더라도, 그것은 개방 구멍 부분(59)에 있어서 마주하는 기립 부분(62, 62) 사이의 경혈이 그 기립 부분(62)을 넘어서 측방으로 퍼지는 것을 저지하여, 결과적으로 개방 구멍 부분(59)에 있어서 경혈의 위에서 아래로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기립 부분(62)이 개방 구멍 부분(59)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코어(56)에 흡수되어 개방 구멍 부분(59)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경혈이 은폐되기 때문에, 코어(56)의 오물이 눈에 띄기 어렵게 된다. 브릿지 부분(60)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도 7 및 도 8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5 및 도 6과 같은 도면이다. 이 표면 시트(1)의 상부 필름층(2)과 섬유 집합층(3)과 하부 필름층(5)은 도 5 및 도 6의 것들과 동일하다. 개방 구멍 부분(9, 59)의 화살표 X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위치는 거의 같지만, 브릿지 부분(10, 60)의 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폭은 같다고는 할 수 없다. 상하부 필름층(2, 5)의 가장자리부(18, 68)에는 기립 부분(12, 62)으로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제1 기립 부분(12A)과 제3 기립 부분(62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 기립 부분(12B)과 제4 기립 부분(62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기립 부분(12A, 12B, 62A, 62B)에는 거의 똑바르게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개방 구멍 부분(9 또는 59)의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부분이 있다. 상부 필름층(2)에서는 제1 기립 부분(12A)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9A)과, 제2 기립 부분(12B)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9B)이 화살표 X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 제1 기립 부분(12A)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9A)이 브릿지 부분(10)을 통해 연결되고, 제2 기립 부분(12B)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9B)도 브릿지 부분(10)을 통해 연결된다. 하부 필름층(5)에서는 제3 기립 부분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59A)과, 제4 기립 부분(62B)에 둘러싸인 개방 구멍 부분(59B)이 화살표 X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 개방 구멍 부분(59A)이 브릿지 부분(60)을 통해 연결되고, 개방 구멍 부분(59B)도 브릿지 부분(6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지만, 개방 구멍 부분(9, 59)을 통해 마주보는 가장자리부(18, 68)에서는 마주보는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상측으로 연장하는 제1 기립 부분(12A)과 제3 기립 부분(62A)이 형성되고, 또 한쪽의 가장자리부에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 기립 부분(12B)과 제4 기립 부분(62B)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러한 도 7 및 도 8의 표면 시트(1)가 생리용 휴지에 사용되면, 상부 필름층(2)의 제1 기립 부분(12A)이 표면 시트(1)에 촉감의 증진과, 개방 구멍 부분(9)에 있어서의 경혈의 하측으로의 이행 촉진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부 필름층(2)의 제2 기립 부분(12B)도 섬유 집합층(3)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경혈의 하측으로의 이행을 촉진한다. 하부 필름층(5)의 제3 기립 부분(62A)은 섬유 집합층(3)에 있어서의 경혈의 하측으로의 이행을 촉진하고, 제4 기립 부분(62B)은 코어(56)에 접촉함으로써 경혈이 코어(56)로 이행되는 것을 촉진한다. 섬유 집합층(3)의 구성 섬유(3A)가 친수성이고, 개방 구멍 부분(59)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제4 기립 부분(62B)과 같은 식으로 작용한다. 제1 내지 4 기립 부분(12A, 12B, 62A, 62B) 중에 개방 구멍 부분(9 또는 59)의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부분은 코어(56)에 흡수된 경혈을 은폐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표면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의 일례이다.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섬유 집합층(3)으로 되어야할 섬유 집합체인 제2 웹(102)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제2 웹(102)의 상면(102A)에는 압출기(121)에 의해 얻어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상부 플라스틱 필름층(2)으로 되어야 할 제1 웹(101)이 열에 의해 연화되어 있는 상태로 겹쳐져 한 쌍의 압축 롤(173) 사이에 공급되고, 양 웹(102, 103)이 접합되어 제1 복합 웹(104)으로 된다.
제1 처리 영역(122)에 있어서, 제1 복합 웹(104)은 제1 복합 웹(104)의 폭 방향으로 소요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는 다수의 노즐(123A)로부터의 고압 기둥형 수류가 제1 웹(101)의 상면(101A)에 분사된다. 그 분사된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부위에 있어서 제1 웹(101)이 찢김에 따라, 제1 웹(101)에 제1 복합 웹(104)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 복합 시트(10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방 구멍의 열이 형성되어, 제2 복합 웹(106)으로 된다. 제2 웹(102)의 하면(102B)으로부터는 기둥형 수류의 작용에 의해서 섬유의 일부가 하측으로 직선으로, 또는 원호를 그리도록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처리 영역(122)에서는 복수 개의 개방 구멍의 열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노즐(123A)의 열에 더하여 제2 노즐(123B)과 제3 노즐(123C)의 열로부터도 기둥형 수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들 노즐(123A, 123B, 123C)은 제1 복합 웹(10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노즐의 위치를 거의 일치시켜 수류 분사의 궤적이 겹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처리 영역(122)의 하부에는 분사된 물을 흡인하는 흡입 기구(1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복합 웹(106)은 제2 처리 영역(126)으로 이송된다. 제2 처리 영역(126)에는 제2 복합 웹(106)의 폭 방향으로 열을 이루는 노즐(127A, 127B, 127C)과 흡입 기구(12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복합 웹(106)에 있어서, 제2 웹(102)의 하면(102B)에는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된다. 제1 웹(101)의 기둥형 수류에 의해 찢어진 부분은 기둥형 수류의 방향을 따라 제1 웹(101)의 하면(101B)에서 상면(101A)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전하여 제3 복합 웹(107)으로 된다. 제3 복합 웹(107)에서는 제2 웹(102)의 섬유의 일부가 기둥형 수류의 작용에 의해서 상측으 로 직선으로, 또는 원호를 그리며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노즐(127A, 127B, 127C)에 의한 수류 분사의 궤적은 제1 처리 영역(122)의 노즐(123A, 123B, 123C)에 의한 궤적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다만, 양 노즐(123A∼123C)과 노즐(127A∼127C)의 궤적이 대략 일치하는 경우, 제1 웹(101)을 찢는 것과 찢어진 부분을 반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3 복합 웹(107)이 건조 공정을 거친 후, 제2 웹(102)의 이면(102B)에는 제2 압출기(132)에 의해 성형된 복수 개의 밴드형 필름(105)이 제3 복합 웹(107)의 흐름을 따라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접합되어 제4 복합 웹(108)으로 된다. 필름(105)은 성형 직후의 연화 상태에 있을 때에, 제2 웹(102)에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복합 웹(107)에서는 밴드형 필름(105)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웹에 형성된 개방 구멍의 내측 영역에 있는 제2 웹(102)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접합된다. 이런 방식으로 얻어지는 제4 복합 웹(108)은 권취되어,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어 도 1의 표면 시트(1)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4 복합 웹(108)에서는 제1 웹(101)에 형성된 개방 구멍이 표면 시트(1)의 개방 구멍 부분(9)이 되고, 제1 웹(101)의 찢어진 부분은 기립 부분(12)으로 된다. 제1 웹(101)에서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더라도 찢어지지 않은 부분은 브릿지 부분(10)으로 된다. 밴드형 필름(105)은 표면 시트(1)의 하부 필름층(5)이 된다.
도 9에 있어서, 노즐(123A∼123C, 127A∼127C)의 직경은 50∼150㎛, 제1 웹(10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피치는 0.2∼2㎜, 수압은 30∼200㎏/㎠, 흡입압은 200∼1000㎜H2O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처리 영역(122)과 제2 처리 영역(126)에서는 처리해야 할 웹을 메쉬 스크린 등의 지지체에 실어 소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온에서 공급되는 제1 웹(101)과 제2 웹(102) 및 제2 웹(102)과 밴드형 필름(105)은 가열된 한 쌍의 롤 사이에서 용착됨으로써,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 등으로 접착함으로써 접합할 수 있다.
제1 웹(101), 제2 웹(102) 및 밴드형 필름(105)에는 도시하는 공정의 적절한 위치에서 친수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1 웹(101)에 그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일축 연신되는 필름을 사용하면, 고압 기둥형 수류에 의한 개방 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제1 웹(101)과 밴드형 필름(105)은 두께 0.001∼0.05㎜의 것이 사용되고, 제2 웹(102)에는 평량 2∼50 g/㎡의 것이 사용된다.
도 9의 공정에서는 제1 처리 영역(122)을 생략하고, 제1 복합 웹(104)에 제2 처리 영역(126)만으로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표면 시트(1)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는 기둥형 수류가 제1 웹(101)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1 웹(101)은 개방 구멍의 폭이 좁고, 브릿지 부분이 많은 것으로 되기 쉽다.
도 10은 도 5 및 도 6의 표면 시트(1)나 도 7 및 도 8의 표면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 9와 같은 도면이다. 이 공정에서는 섬유 집합체인 제2 웹(102)의 상면(102A)에 제1 압출기(121)로부터 공급되는 연화 상태의 플라스틱 필름인 제1 웹(101)이 접합되고, 제2 웹(102)의 하면(102B)에는 제3 압출기(113)로부터 공급되는 연화 상태의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표면 시트(1)의 하부 플라스틱 필름층(5)으로 되어야 할 제3 웹(103)이 접합되어, 제5 복합 웹(131)을 얻 을 수 있다. 제5 복합 웹(131)은 제1 웹(101)의 측부에서 제1 처리 영역(122)의 노즐(123A, 123B, 123C)의 고압 분사 수류로 처리되어, 제1 웹(101)과 제3 웹(103)의 플라스틱 필름에 기계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한 부분과, 평탄한 부분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 구멍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6 복합 웹(132)이 된다. 제6 복합 웹(132)은 가상선과 같이 권취되는 경우가 있다. 권취된 시트(132)의 제1 웹(101)과 제3 웹(103)에는 평탄한 부분과 개방 구멍 부분이 형성되는 동시에, 평탄한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수류 방향을 따라 기립하는 기립 부분과, 개방 구멍 부분을 넘는 브릿지 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6 복합 웹(132)은 도 5 및 도 6의 표면 시트(1)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웹(101)과, 그것에 형성된 개방 구멍 부분과, 기립 부분과, 브릿지 부분이 표면 시트(1)의 하부 필름층(5)과, 개방 구멍 부분(59)과, 기립 부분(62)과, 브릿지 부분(60)으로 된다. 또한, 제3 웹(103)과, 그것에 형성된 개방 구멍 부분과 기립 부분과 브릿지 부분은 표면 시트(1)의 상부 필름층(2)의 개방 구멍 부분(9)과 기립 부분(12)과, 브릿지 부분(10)으로 된다. 개방 구멍 부분(59)으로부터는 제2 웹(102)의 섬유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제3 웹(103)에는 두께 0.001∼0.05㎜ 의 필름이 사용된다.
제6 복합 웹(132)은 권취되는 일없이 전진하고, 제3 웹(103)에 제2 처리 존(126)의 노즐(127A, 127B, 127C)의 고압 기둥형 수류가 분사되어, 제7 복합 웹(133)이 되는 경우가 있다. 제6 복합 웹(13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노즐(127A, 127B, 127C)의 열에서는 인접한 노즐끼리의 간격이 제1 처리 영역(122) 의 노즐 간격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정수 배에 가까운 값이고, 또한 노즐 위치가 제1 처리 영역(122)의 것의 어느 것과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 처리 영역(126)에서는 제6 복합 시트(132)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개방 구멍 부분 중 몇 개의 부분이 제2 처리 영역(126)에서의 처리 대상이 되고, 처리된 개방 구멍 부분에서는 제1 웹(101)과 제3 웹(103)이 형성되는 기립 부분의 방향이 수류의 방향을 따라서 반전되어, 제3 웹(103)에서 제1 웹(101)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제2 웹(102)의 섬유가 개방 구멍에서 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제2 처리 영역(126)에서 처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개방 구멍 부분에서는 기립 부분의 방향이 제6 복합 웹(132)에 있어서의 기립 부분의 방향과 같다. 얻어진 제7 복합 웹(133)은 권취되어, 도 7의 표면 시트(1)로서 사용된다. 제7 복합 웹(133)에서는 제1 웹(101)을 표면 시트(1)의 상부 필름층(2)으로서 사용하더라도 좋고, 제3 웹(103)을 상부 필름층(2)으로서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2 처리 영역(126)에서는 기립 부분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는 각 노즐(127A, 127B, 127C) 외에, 제3 웹(103)이나 제1 웹(101)에 새로운 개방 구멍 부분이나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기립 부분, 이 개방 구멍 부분을 타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노즐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에 의하면, 체액을 흡수하여 더러워진 코어가 그 표면이 넓은 범위가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서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피복 되므로, 그 오물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 시트에서는 섬유 집합체의 상하면 각각에 플라스틱 필름이 접합되어, 상면의 필름에는 상측을 향하는 기립 부분이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빌로드와 같이 유연하고 촉감이 좋은 감촉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면의 플라스틱 필름에 기립 부분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감촉에 더하여, 표면 시트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체액의 이행이나, 표면 시트에서 코어로의 체액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

Claims (16)

  1. 시트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시트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 필름층과, 이들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제2 플라스틱 필름층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제1 플라스틱 필름층과 제2 플라스틱 필름층 각각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층에 의해서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라스틱 필름층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 플라스틱 필름층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병행되어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평탄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 각각은 0.001∼0.05 ㎜의 두께와 0.03∼1 ㎜의 폭을 지니며,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 중 전자 또는 양자 모두는 인접하는 두 부분이 이들 두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브릿지 부분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 중 전자 또는 양자 모두의 가장자리부에는, 평탄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상승하여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기복이 반복되는 제1 기립 부분이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층 영역의 하면 근방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필름층의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섬유 집합층은 그 구성 섬유가 기계적인 얽힘, 용착 및 접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체로 된 것으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하면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상면에 접합되고, 친수성 섬유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필름층에는 상기 제1 기립 부분을 구비하는 제1 평탄 부분 외에,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한 방향으로 톱니 형상을 띠며 기복이 반복되는 제2 기립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평탄 부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필름층에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향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기립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톱니 형상을 띠며 기복이 반복되는 제3 기립 부분 및 제4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제3 기립 부분 및 제4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은 인접한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층 영역의 하면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은 이들의 기립 부분 또는 전체에서 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제2 기립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제3 기립 부분 중 어느 것은 상기 섬유 집합층의 섬유 간극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제2 기립 부분은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병행하여 마주하고, 또한 한쪽의 제1 평탄 부분 근처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제2 평탄 부분의 위치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 중에서 상기 제2 기립 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 중에서 상기 제4 기립 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11.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b) 공급하는 상기 복합 웹의 하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분사의 궤적을 따라 상기 한 방향을 따라서 파열시켜서, 상기 필름으로부터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인접한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개방 구멍 부분으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체 영역의 하면 근방에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섬유 집합체의 하면에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기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12.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b) 공급하는 상기 복합 웹의 상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분사의 궤적을 따라 상기 한 방향을 따라서 파열시키는 공정과,
    c) 상기 분사의 궤적을 본뜨도록 상기 복합 웹의 하면에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에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1 평탄 부분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수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는 다수의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인접한 상기 평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d) 상기 개방 구멍 부분으로 구획되는 상기 섬유 집합체 영역의 하면 근방에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섬유 집합체의 하면에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기 밴드형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13.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이들 양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측 플라스틱 필름의 하면과 상기 하측 플라스틱 필름의 상면에 접합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웹을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b) 공급되는 상기 복합 웹의 상면에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하여, 그 분사의 궤적을 따라 상기 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측과 하측의 플라스틱 필름을 파열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각각으로부터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평탄 부분과, 이 평탄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상기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웹의 상면에 분사된 고압 기둥형 수류의 궤적의 몇 개에 대해서는 이들 궤적을 따라 상기 웹의 하면에서 상기 웹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에 의해서 고압 기둥형 수류를 분사하여, 상기 상측과 하측의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기립 부분의 기립 방향을 반전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고압 기둥형 수류에 의해서, 상기 하측과 상측의 플라스틱 필름을 파열하여, 각각의 플라스틱 필름에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 구멍 부분과, 이 개방 구멍 부분을 따르는 평탄 부분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승하여 톱니 형상을 띠며 상기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 부분과, 상기 개방 구멍 부분을 넘어 상기 평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부분을 새로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5 중량% 이상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 성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00030562A 1999-06-03 2000-06-03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1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01699A JP3467428B2 (ja) 1999-06-03 1999-06-03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9-157016 1999-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221A KR20010007221A (ko) 2001-01-26
KR100671856B1 true KR100671856B1 (ko) 2007-01-22

Family

ID=1564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562A KR100671856B1 (ko) 1999-06-03 2000-06-03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517925B1 (ko)
EP (1) EP1062927B1 (ko)
JP (1) JP3467428B2 (ko)
KR (1) KR100671856B1 (ko)
CN (1) CN1137673C (ko)
AU (1) AU773942B2 (ko)
BR (1) BR0001969A (ko)
CA (1) CA2309415C (ko)
DE (1) DE60021662T2 (ko)
ID (1) ID26193A (ko)
MY (1) MY126965A (ko)
SG (1) SG80099A1 (ko)
TW (1) TW526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428B2 (ja) * 1999-06-03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33359B2 (ja) * 2000-03-31 2004-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01415B2 (en) * 2001-12-03 2009-10-1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Absorbent device using an apertured nonwoven as an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JP3964685B2 (ja) 2002-01-24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臭を低減する吸収性物品
US8057729B2 (en) 2002-12-20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forming structure
US7402723B2 (en) 2002-12-20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9545744B2 (en) 2002-12-20 2017-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655176B2 (en) 2002-12-20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40121120A1 (en) 2002-12-20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WO2004058121A1 (en) * 2002-12-20 2004-07-15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Apertured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12213B2 (en) * 2003-12-29 2010-10-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through-slits surrounded by binding areas
US7842396B2 (en) * 2004-10-29 2010-11-30 Thermo-Tec Automotive Products, Inc. Air cooled heat shield
JP4560415B2 (ja) 2005-01-20 2010-10-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8072631A1 (ja) * 2006-12-12 2008-06-19 Uni-Charm Corporation 複合シート及び複合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973490B2 (ja) * 2013-07-05 2016-08-23 日本フイルム株式会社 傷口被覆シートの製造方法
US10758431B2 (en) * 2016-05-02 2020-09-01 Tredegar Film Products Llc Formed film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643A (en) * 1985-05-31 1986-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apertured polymeric web exhibiting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062927A2 (en) * 1999-06-03 2000-12-27 Uni-Charm Corporation Liquid-pervious topshee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2874A (en) * 1979-05-11 1981-08-11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of manufacture
JP3091361B2 (ja) 1994-06-0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3294714B2 (ja) 1994-06-07 2002-06-24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DE4437165A1 (de) * 1994-10-18 1996-04-25 Hpp & C Marketing Consultants Unidirektional flüssigkeitsdurchlässige Bahn
BR9612387A (pt) * 1995-12-28 1999-07-13 Procter & Gamble Artigos absorventes dotados de ângulo de contacto de fluido
EP0804916A1 (en) * 1996-04-29 1997-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ncisions in the absorbent structure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CA2267383A1 (en) * 1996-10-01 1998-04-09 George Stephen Reising Diaper having transverse part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643A (en) * 1985-05-31 1986-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apertured polymeric web exhibiting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062927A2 (en) * 1999-06-03 2000-12-27 Uni-Charm Corporation Liquid-pervious topshee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8952A1 (en) 2003-04-10
AU3639000A (en) 2000-12-07
SG80099A1 (en) 2001-04-17
EP1062927A2 (en) 2000-12-27
CA2309415C (en) 2005-01-18
DE60021662D1 (de) 2005-09-08
TW526054B (en) 2003-04-01
MY126965A (en) 2006-11-30
US6699564B2 (en) 2004-03-02
CN1137673C (zh) 2004-02-11
DE60021662T2 (de) 2006-06-08
EP1062927B1 (en) 2005-08-03
EP1062927A3 (en) 2001-04-04
JP3467428B2 (ja) 2003-11-17
US6517925B1 (en) 2003-02-11
KR20010007221A (ko) 2001-01-26
CN1276195A (zh) 2000-12-13
CA2309415A1 (en) 2000-12-03
AU773942B2 (en) 2004-06-10
JP2000342624A (ja) 2000-12-12
BR0001969A (pt) 2001-01-02
ID26193A (id) 200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8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7861B1 (ko) 체액흡수성일회용가먼트에적합한파열형웨브및이것의제조방법
KR100655806B1 (ko) 플라스틱 복합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EP1401642B1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KR100765214B1 (ko) 가요성 복합 시트
CN1168426C (zh) 弹性复合片及其制造方法
KR100707154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복합 시이트 및 이의제조 방법
US7919169B2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KR100585971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이트 및 이 시이트의 제조방법
AU2002306292B2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JP4188943B2 (ja) 使い捨て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AU2002306292A1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