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214B1 - 가요성 복합 시트 - Google Patents

가요성 복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214B1
KR100765214B1 KR1020010016722A KR20010016722A KR100765214B1 KR 100765214 B1 KR100765214 B1 KR 100765214B1 KR 1020010016722 A KR1020010016722 A KR 1020010016722A KR 20010016722 A KR20010016722 A KR 20010016722A KR 100765214 B1 KR100765214 B1 KR 100765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kes
composite sheet
extending
side ed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128A (ko
Inventor
타카이히사시
스즈끼미오우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2013/512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zed by the dimension of aper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등의 표면재로 사용하는 배설물 체류가 적은 가요성 복합 시트를 목적으로 한다. 복합 시트(2)는 시트형 섬유 집합체(12)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박편(11)으로 이루어진다. 박편(11)의 표면에는 일측면 가장자리(21a)에서 시작하여 다른 측면 가장자리(21b)에까지 연장되는 복수 줄의 홈(31)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요성 복합 시트{FLEXIBLE COMPOSITE SHEETS}
도 1은 생리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2와 동일한 양상의 도면이다.
도 6은 복합 시트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복합 시트(표면 시트)
12 : 섬유 집합체(부직포층)
12a : 상부면
12b : 하부면
18 : 박편
18a : 상부면
18b : 하부면
19 : 간극(개공 부분)
20 : 브릿지 부분
21a, 21b : 측면 가장자리부
22 : 기립 부분
111 : 박막(제1 웨브)
112 : 섬유 집합체(제2 웨브)
102 : 복합 시트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개평 11-217453호의 공보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시트형 섬유 집합체의 상부면에 가요성 플라스틱 시트가 접합된 가요성 복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시트는 0.001∼0.05 mm의 두께, 0.03∼1 mm의 폭을 가지며, 한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줄의 평탄한 부분과, 인접하는 평탄한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한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개공(開孔)에 의해 형성된 개공 열(列)을 갖는다. 개공 열을 끼워 인접한 평탄한 부분끼리는 개공 열을 횡단하는 가교 부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평탄 부분은 그 상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세워진 복수의 기립 부분을 가지며, 이들의 기립 부분은 개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열을 이루고 있다. 개공에서는 섬유 집합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복합 시트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액체 흡수성 코어를 덮는 표면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플라스틱 시트의 평탄한 부분에는 배설된 소변이나 묽은 변, 경혈 등이 그곳에 체류하여 코어로 흡수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공지의 복합 시트에 있어서, 이 시트상의 배설물이 조속히 코어로 흡수되도록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시트형 섬유 집합체의 상기 상부면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박편의 하부면이 접합하고, 상기 박편과 박편의 사이로 형성된 간극에 상기 섬유 집합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있는 가요성 복합 시트이다.
이러한 가요성 복합 시트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박편의 상부면으로, 상기 간극에 따르는 상기 박편의 일측면 가장자리에서 시작되어 상기 일측면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다른 측면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복수 줄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요성 복합 시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대(1)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생리대(1)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액체 불투과성 표면 시트(3), 이들 양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액체 흡수성 코어(4)로 이루어지고, 표리면 시트(2, 3)는 코어(4)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에 겹쳐져서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고 있다. 생리대()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과, X 방향에 직교하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가요성인 냅킨(1)에는 본 발명의 가요성 복합 시트가 표면 시트(2)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2, 3, 4는 냅킨(1)의 부분 확대도, 그 III-III선, IV-IV선 단면도이다. 다만, 이면 시트(3)와 코어(4)가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표면 시트(2)는 그 상부면측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박막층(11)과, 섬유(13)의 집합체인 부직포층(12)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복합 시트이고, 이들 양층(11, 12)이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고 있다. 박막층(11)은 부직포층(12)의 상부면(12a)을 덮는 서로 평행하여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띠 형상의 박편 부분(18)과, 인접하는 박편 부분(18) 사이에 위치하여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공 부분(19)과, 인접하는 박편 부분(18) 사이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가장자리부(21)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공 부분(19)을 횡단하는 브릿지 부분(20), 박편 부분(18)의 측면 가장자리부(21)에 있어서 도면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기립 부분(22)을 갖는다. 기립 부분(22)은 불규칙한 기복을 반복하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톱니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부분이다.
부직포층(12)은 그 상부면(12a)이 박막층(11)의 박편 부분(18)의 하부면(18b)에 접합하고 있고, 개공 부분(19)으로는 부직포층(12)의 상부면(12a)이 노출되어 있다.
이면 시트(3)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이들 시트와 부직포가 라미네이트된 것 등이 사용된다.
코어(4)에는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 등이 사용 된다.
박막층(11) 중의 박편 부분(18)은 상부면(18a)과 하부면(18b)을 가지고, 상하부면(18a, 18b) 사이의 두께가 0.001∼0.05 mm, 개공 부분(19, 19)과 사이의 폭(W1)이 0.03∼5 mm의 범위에 있다. 대다수의 개공 부분(19)은 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0.03∼1 mm의 폭(W2)과, 폭(W2)의 적어도 1.5배의 길이를 갖는다.
박편 부분(18)은 이 부분(18)을 가로 질러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가장자리부(21a, 21b)와의 사이에 늘어나는 다수 줄의 홈(31)을 갖는다. 홈(31)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고, Y 방향에 대해 30∼150°의 각도를 이루며, 인접하는 홈(31, 31)과의 중심 간격이 0.03∼10 mm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홈(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편 부분(18)이 상부면(18a)으로부터 하부면(18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이 되도록 굴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 외에, 박편 부분(18)의 두께가 상부면(18a)으로부터 하부면(18b)을 향해 부분적으로, 예컨대 V자형으로 얇아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홈(31, 31)과의 사이의 박편 부분(18)의 정상부(32)로부터 홈(31)의 기저부(33)까지의 깊이는 0.001∼5 mm이다. 도 3의 홈(31)을 갖는 박편 부분(18)의 하부면(18b)은 홈(31)의 기저부(33)에 있어서 부직포층(12)의 상부면(12a)에 접합하는 한편, 바닥(33, 33)과의 사이에 있어서는 부직포층(12)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들 하부면(18b)과 상부면(12a)과의 사이로 공극(36)이 형성되어 있다. 홈(31)은 그 양단이 박편 부분(18)의 측면 가장자리부(21a, 21b)에 있어서, 개공 부분(19)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양단 부분 중의 한쪽만이 측면 가장자리부(21a or 21b)에 있어서 개공 부분(19)으로 연결되고, 또 한쪽 부분이 기립 부분(22)의 기단부(26)에 위치하여 개공 부분(19)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는 이들의 홈(31)에 덧붙여 양단이 기립 부분(22)의 기단부(26)에 위치하여 개구 부분(19)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 같은 홈(31)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박막층(11) 중의 브릿지 부분(20)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공 부분(19, 19)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박편 부분(18)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볼록이 되도록 호를 그리고 있는 것(20A)이나, 부직포층(12)에 따라 연장되는 것(20B)(도 2 참조)이 있다. 바람직한 브릿지 부분(20)은 그 두께가 박편 부분(18)의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얇고,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W3)(도 3 참조)이 가장 좁은 부분으로 0.001∼2 mm의 범위에 있다.
박막층(11) 중의 기립 부분(22)은 대다수의 것이 박편 부분(18)의 측면 가장자리부(21a, 21b)로 박편의 일부분이 도면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박편 부분(18)으로 이어지는 기단부(26)와, 기단부(26)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자유 단부(27)를 갖는다. 도 3과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기립 부분(22)은 기단부(26)로부터 자유 단부(27)를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진다. 기립 부분(22)의 가장자리(25)는 측면 가장자리부(21a 또는 21b)를 따라서 톱니 형상의 기복을 반복하고 있다. 박편 부분(18)으로부터 가장자리(25)까지의 높이의 최대치는 표면 시트(2)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1 mm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부분(22) 중 일부(22B)는 브릿지 부분(20)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도 2 참조).
기립 부분(22)의 가장자리(25)가 기복을 반복하는 형태의 일례는 도 3에 표시된 그대로이고, 거의 오른쪽으로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사변(41)과, 거의 왼쪽으로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사변(42)과, 이들 사변(41, 42) 사이로 연장되는 기단부(26)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또는 삼각형에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는 부위(43)의 불규칙한 연결이다. 기립 부분(22B)도 또한 기복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기립 부분(22B)을 포함하는 이들의 기립 부분(22)은 그 두께가 박편 부분(18)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얇으며,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부드럽게 변형되어 표면 시트(2)에 빌로도와 같이 매끄럽고 유연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기립 부분(22)의 하나 하나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기립 부분(22)이 다수 있으면, 표면 시트(2)의 표면이 털이 일어난 것 같이 보인다. 또한, 기립 부분(22)은 표면 시트(2)로의 입사 광선을 난반사하여 플라스틱 시트에 잘 보이는 표면 광택을 감쇄시키거나, 더러워짐을 코어의 경혈94)에 의해 은폐할 수 있다.
부직포층(12)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70중량% 이상 포함하고, 그 밖에 레이온 섬유 등의 친수성 화학 섬유, 코튼 섬유나 펄프 섬유 등의 친수성 천연 섬유를 최대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부직포층(12)의 일례는 0.5∼17 dtex의 섬도(纖度)와, 5∼50 g/m2의 평량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것에는 스펀 본드 부직포나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서멀 본 드 부직포의 외에, 멜트블로우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표면 시트(2)가 생리대(1)로 사용되면 경혈은 개공 부분(19)으로부터 부직포층(12)을 거쳐 코어(4)에 흡수된다. 표면 시트(2)의 박편 부분(18)으로는 경혈이 홈(31)으로부터 개공 부분(19)으로 흐르고, 박편 부분(18)이 단순히 평탄한 경우에 비해 상기 부분(18)에 체류하는 경혈의 양이 적어진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1, 31)과의 사이로 박편 부분(18)이 위쪽 방향으로 볼록이 되도록 만곡하고 있을 때에는 박편 부분(18)에 있어서 경혈은 반드시 홈(31)을 향해 흐르기 때문에, 박편 부분(18)에 체류하는 경혈의 양은 한층 적어지게 된다. 또한, 박편 부분(18)이 이와 같이 만곡한 부위에 있어서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직포층(12)과의 사이로 공극(36)을 갖고 있을 때에는 부직포층(12)이 경혈로 더러워져도 공극(36)의 존재에 의해 그 더러워진 것이 보이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표면 시트(2)로는 기립 부분(22)과 공극(36)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사용후의 냅킨(1)의 더러움을 상당한 정도로 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은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박막층(11)에는 산화 티타늄 등의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2와 같은 양상의 도면이다. 이 표면 시트(2)도 또한 박막층(11)과 부직포층(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박막층(11)은 다수의 거의 구형을 나타내는 박편 부분(58)과, 박편 부분(58, 58)과의 사이에 있고, X 방향과 Y 방향과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는 개공 부분(59a, 59b)을 가지며, 이들 개공 부분(59a, 59b)으로는 부직포층(12)의 상부면(12a)이 노출되 어 있다. 박편 부분(58)은 개공 부분(59a, 59b)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가장자리부(61a, 61b)를 가지고,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부(61a, 61b)에 다수의 기립 부분(69)이 형성되어 있다. 박편 부분(58)에는 서로 마주 보는 측면 가장자리부(61a, 61b)와의 사이, 및/또는, 인접하는 것에 의해 비스듬히 마주 보는 측면 가장자리부(61a, 61b)와의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62)은 도 2∼4의 홈(3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박편 부분(58)에 있어서 경혈을 개공 부분(59a, 59b)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생리대(1)의 표면 시트(2)로서 예시된 본 발명의 가요성 복합 시트는 일회용 기저귀나 트레이닝 팬츠 등의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촉감과 통기성의 장점을 살려 일회용 가운 등의 의료용 소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표면 시트(2)로서 사용되는 가요성 복합 시트(102)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좌측으로부터는 도 2의 부직포층(12)이 되어야 하는 섬유 집합체인 제2 웨브(112)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제2 웨브(112)의 상부면(112A)에는 압출기(121)로부터 토출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고, 표면 시트(2)의 박막층(11)이 되어야 하는 제1 웨브(111)가 열로 연화하고 있는 상태로 중첩된다. 이들 제1, 2 웨브(111, 112)는 한쌍의 압축 롤(173a, b) 사이로 공급되고, 양웨브(111, 112)가 용착하여 제1 복합 웨브(104)가 된다.
압축 롤(173b)의 표면은 도 2의 홈(3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여 제1 웨브(111)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볼록 줄과 오목 줄(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양웨브(111, 112)가 가열된 볼록 줄의 부분으로 가압되어 용착하고, 그 용착된 부위에 홈이 형성된다.
제1 복합 웨브(104)는 제1 처리 영역(123)으로 진행하고, 제1 복합 웨브(104)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늘어선 다수의 노즐의 열(123A)로부터 고압 주상 수류가 제1 웨브(111)의 상부면(111A)으로 향해 분사되고, 제2 복합 웨브(107)를 얻을 수 있다. 그 주상 수류에 의해서 제1 웨브(111)가 선택적으로 찢어지고, 제1 웨브(111)에는 제2 복합 웨브(107)의 진행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개공 열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공 열은 제2 복합 웨브(107)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제1 처리 영역(123)에서는 복수 줄의 개공열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노즐 열(123A)에 덧붙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3의 노즐 열(123B, 123C)로부터도 주상 수류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노즐 열(123A, 123B, 123C)은 제2 복합 웨브(107)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노즐의 위치를 서로 거의 일치시켜 분사 수류의 궤적이 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처리 영역(123)의 하부에는 분사된 물을 흡인하는 흡입 기구(1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복합 웨브(107)는 제2 처리 영역(127)으로 진행한다. 제2 처리 영역(127)에는 제2 복합 웨브(107)의 폭 방향으로 열을 이루는 노즐 열(127A, 127B, 127C)과 흡입 기구(12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2 복합 웨브(107)를 형성하고 있는 제2 웨브(112)의 하부면(112B)에 대해 고압 주상 수류가 분사되고, 그 후 건조 처리되어 복합 시트(102)가 된다. 복합 시트(102)에서는 제1 처리 영역(123)에서 이미 찢어져 있는 제1 웨브(111)의 부분이 제2 처리 영역(127)의 주상 수류 방향을 따르도록 배향(配向)하고, 제1 웨브(111)의 하부면(111B)으로부터 상부면(1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처리 영역(127)의 노즐 열(127A, 127B, 127C)에 의한 분사 수류의 궤적은 제1 처리 영역(123)의 노즐 열(123A, 123B, 123C)에 의한 궤적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이들이 서로 거의 일치하고 있으면 제1 웨브(111)가 광범위하게 찢어져 긴 개공이 형성되고, 찢어진 개구의 가장자리에 남은 많은 부분이 제1 웨브(111)의 상부면(111A)의 위쪽으로 연장된다. 이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웨브(111)의 폭 방향의 소정의 필요한 부위가 선택적으로 찢어져 기계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줄의 개공 열과, 인접하는 개공 열끼리의 사이로 연장되는 홈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복합 시트(102)로는 서로 접합하는 제1, 2 웨브(111, 112)가 도 1∼3의 표면 시트(2)의 박막층(11)과 부직포층(12)으로 이루어지고, 제1 웨브(111)로 형성된 개공이 개공 부분(19)이 되며, 제1 웨브(111)가 찢어진 부분이 기립 부분(22)이 된다. 제1 웨브(111)의 공급 방향으로 늘어서는 개공 열에 있고, 개공 부분과 개공 부분과의 사이의 고압 주상 수류로 찢어지지 않은 부분은 브릿지 부분(20)이 된다.
도 6의 노즐 열(123A∼123C, 127A∼127C)에서는 0.05∼0.15 mm의 지름의 노즐이 적절한 피치로 늘어서게 된다. 주상 수류의 수압은 3∼20 MPa, 흡입압은 2∼20 K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 처리 영역(123, 127)으로는 처리해야 할 웨브를 메쉬 스크린 등의 지지체(131, 132)에 실어 소정의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웨브(111), 제2 웨브(112)에는 필요한 경우 도시한 공정의 적절한 위치로 친수 처리나 발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1 웨브(111)는 그것이 공급 방향을 따라서 일축 연신되어 있는 필름이면, 주상 수류에 의한 개공 형성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제1 웨브(111)에는 두께 0.01∼0.05 mm인 것이 사용된다. 제2 웨브(112)에는 평량 5∼50 g/m2의 것이 사용된다. 도 6의 공정에서는 제1 처리 영역(123)을 생략하여 제2 처리 영역(127만)으로 고압 주상 수류를 분사하고, 그것에 의해 제2 복합 웨브(107)를 만드는 일 없이 제1 복합 웨브(104)로부터 복합 시트(102)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는, 주상 수류가 제1 웨브(111)에 직접 작용하기 어려우므로, 제1 웨브(111)에는 폭이 좁은 개공과 많은 브릿지 부분이 생기기 쉽다. 복합 시트(102)는 그것이 권취되기 전에 적절하게 건조 처리가 실시된다.
본 발명의 가요성 복합 시트는, 섬유층과 그 상부면에 접합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박편으로 이루어지고, 박편과 박편 사이로 섬유층이 노출되며, 박편의 상부면에는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어 노출되고 있는 상기 섬유층으로 연결되는 홈을 가지므로, 이 복합 시트를 예컨대 생리대의 표면 시트로 사용하면, 경혈은 그 홈을 타고 상기 섬유층으로 흐르기 쉬워 박편의 상부면에 경혈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시트형 섬유 집합체의 상부면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박편의 하부면이 접합해 있고, 상기 박편과 박편의 사이로 형성된 간극에 상기 섬유 집합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있는 가요성 복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박편의 상부면에는 상기 간극에 따르는 상기 박편의 일측면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상기 일측면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다른 측면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된 상호 평행한 복수 줄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이 상기 간극에 노출된 상기 섬유 집합체에 연결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은 0.001∼0.05 mm의 두께와 0.03∼5 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섬유 집합체 상부면의 한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길게 연장된 복수 줄의 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박편과 박편이 0.03∼1 mm 이격(離隔)되어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박편의 상기 한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박편의 상부면 위쪽을 향해 세워진 선단부가 있으며, 상기 측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폭이 상기 선단부를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다수의 기립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홈과 홈의 사이에 상기 박편이 위쪽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은 상기 홈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하부면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와 접합하고 있는 한편, 상기 홈과 홈 사이의 하부면이 상기 섬유 집합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가 0.00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홈과 홈의 중심 간격이 0.03∼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박편들은 한쪽 박편의 측면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어 나와서 다른 한쪽 박편에까지 연장된 브릿지 부분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KR1020010016722A 2000-03-31 2001-03-30 가요성 복합 시트 KR100765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99023 2000-03-31
JP2000099023A JP3751182B2 (ja) 2000-03-31 2000-03-31 可撓性の複合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28A KR20010095128A (ko) 2001-11-03
KR100765214B1 true KR100765214B1 (ko) 2007-10-10

Family

ID=1861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722A KR100765214B1 (ko) 2000-03-31 2001-03-30 가요성 복합 시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17927B2 (ko)
EP (1) EP1138300B1 (ko)
JP (1) JP3751182B2 (ko)
KR (1) KR100765214B1 (ko)
CN (1) CN1164249C (ko)
AU (1) AU779241B2 (ko)
BR (1) BR0101619A (ko)
CA (1) CA2341046C (ko)
DE (1) DE60137739D1 (ko)
ID (1) ID29707A (ko)
MY (1) MY128407A (ko)
SG (1) SG126674A1 (ko)
TW (1) TW523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7729B2 (en) 2002-12-20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forming structure
US7402723B2 (en) 2002-12-20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40121120A1 (en) 2002-12-20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655176B2 (en) 2002-12-20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9545744B2 (en) 2002-12-20 2017-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754940B2 (en) * 2003-06-12 2010-07-13 Johnson & Johnson Inc. Thin sanitary napkin having protrusions
JP6356271B2 (ja) 2014-03-06 2018-07-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要素トップシート
JP2017510398A (ja) 2014-03-06 2017-04-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構成要素トップシート
CN113893094B (zh) 2014-03-06 2023-07-21 宝洁公司 三维基底
US20150250658A1 (en) * 2014-03-06 2015-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7920938B (zh) 2015-08-26 2021-07-30 宝洁公司 具有三维基底和标记的吸收制品
CN114099153A (zh) * 2016-05-02 2022-03-01 飞特适薄膜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制造成型膜的设备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9923A1 (en) * 1995-10-23 1999-03-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film for absorbent articles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9148A (en) * 1966-12-20 1970-01-13 Procter & Gamble Topsheet for disposable diapers
US4609518A (en) * 1985-05-31 1986-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process for debossing and perforating a polymeric web to coincide with the image of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forming structures
DE4422956A1 (de) * 1994-06-30 1996-01-04 Schickedanz Ver Papierwerk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zur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US5527300A (en) 1994-08-31 1996-06-18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high capacity surge management component
SE508406C2 (sv) 1994-12-30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Ytmaterial samt förfarande och apparat för dess framställning
US5607760A (en) * 1995-08-03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ntaining an emollient and a polyol polyester immobilizing agent
IN189366B (ko) 1996-02-12 2003-02-15 Mcneil Ppc Inc
SE507050C2 (sv) 1996-04-30 1998-03-23 Moelnlycke Ab Höljesskikt för absorberande artiklar uppvisande vågform och innefattande vinkelrätt mot vågorna löpande rader av genomgående öppningar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skiktet
JPH10211232A (ja) 1997-01-31 1998-08-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吸収性着用物品の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953323A1 (en) * 1998-05-02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top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9923A1 (en) * 1995-10-23 1999-03-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film for absorbent articles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9241B2 (en) 2005-01-13
US6517927B2 (en) 2003-02-11
EP1138300B1 (en) 2009-02-25
ID29707A (id) 2001-10-04
CA2341046A1 (en) 2001-09-30
AU2814001A (en) 2002-07-25
MY128407A (en) 2007-01-31
CN1320414A (zh) 2001-11-07
CA2341046C (en) 2005-11-15
DE60137739D1 (de) 2009-04-09
SG126674A1 (en) 2006-11-29
US20010026861A1 (en) 2001-10-04
EP1138300A2 (en) 2001-10-04
TW523404B (en) 2003-03-11
EP1138300A3 (en) 2002-01-30
BR0101619A (pt) 2001-11-06
JP2001276122A (ja) 2001-10-09
JP3751182B2 (ja) 2006-03-01
CN1164249C (zh) 2004-09-01
KR20010095128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806B1 (ko) 플라스틱 복합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AU714660B2 (en) A novel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a method of making and products derived therefrom
JP5390976B2 (ja) 吸収性物品
US3934588A (en) Disposable diaper having facing layer with patterned preferential flow areas
KR20100022490A (ko) 시트형 부재의 적층체
KR100765214B1 (ko) 가요성 복합 시트
KR100796225B1 (ko)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재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KR1006718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6503597B2 (en) Flexible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0501421B1 (ko) 일회용 체액흡수성 물품의 표면층
US7919169B2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CN1201651A (zh) 体液处理用吸湿用品
KR100707154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복합 시이트 및 이의제조 방법
US6686028B2 (en) Hydrophilic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KR100585971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이트 및 이 시이트의 제조방법
JP2001040565A (ja) 使い捨て衛生材料用シート
JP2001029390A (ja) 使い捨て衛生材料用シート
JP2005313651A (ja) 使い捨て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