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148B1 -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148B1
KR100668148B1 KR1020060101760A KR20060101760A KR100668148B1 KR 100668148 B1 KR100668148 B1 KR 100668148B1 KR 1020060101760 A KR1020060101760 A KR 1020060101760A KR 20060101760 A KR20060101760 A KR 20060101760A KR 100668148 B1 KR100668148 B1 KR 10066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per
security
film layer
transpar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373A (ko
Inventor
한황희
심현정
Original Assignee
(주)윈애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애드컴 filed Critical (주)윈애드컴
Priority to KR102006010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14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09F2003/0241Repositionable 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09F2003/0245Differential adhesive streng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강(强)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정지와; 상기 투명층의 표면측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지서와 같은 피착물에 점착된 고정지로부터 보안지를 박리시키면 고정지에 재접착하기 불가하므로, 피착물에 표시된 보안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피착물에 표시된 보안의 봉인상태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지서 또는 회사기밀 서류의 유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보안용, 스티커

Description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Security stick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약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가열 및 압착에 의한 접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도트(dot)식 가압에 의한 접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과정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다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보안지 110:인쇄층
120:불투명층 130:필름층
200:고정지 210:투명층
220:점착층 130a, 210a:용해면
130b:침형돌출편 210b:침형홈
A:고지서 B:고지내용
DP:도트(dot)핀 P:안내정보
본 발명은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지서와 같은 피착물에 표시된 고지내용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지서와 같은 중요한 정보가 담긴 문서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일예로 고지서를 발송할 시에는 수신자만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하여 발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지서를 봉인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고지서를 봉투에 넣고 포장한 후, 봉투의 이음부분에 특정문구가 새겨진 도장을 찍어 봉인하거나 스티커를 부착하여 봉인함으로써 개봉여부를 확인하였다.
또는, 고지서를 접은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하여 봉인함으로써, 마주보는 면을 서로 박리하게 되면 재부착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고지서를 일일이 봉투에 넣는 수작업을 필요로 하고, 고지서가 담긴 봉투를 빛에 비춰보면 고지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빛에 비춰서 고지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봉인된 봉투에서 고지서를 꺼내어 확인한 후 동일한 봉투에 상기 고지서를 넣어 포장하고 위조된 도장이나 위조된 스트커를 부착하여 재봉인하면 개봉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지서를 접은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하여 봉인하는 방법은 접착부가 있으므로 특수인쇄를 필요로 하고, 빛에 비춰보면 고지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지서와 같은 피착물에 표시된 보안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피착물에 표시된 보안의 봉인상태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지서 또는 회사기밀 서류의 유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용 스티커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강(强)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정지와; 상기 투명층의 표면측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점착층의 이면측에는 이형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불투명층의 표면측에는 인쇄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강(强)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정지를 마련하는 단계;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보안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지의 점착층의 이면측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지의 불투명층의 표면측에 안내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필름층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강(强)점착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층의 이면측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불투명층의 표면측에 안내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보안용 스티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강(强)점착되는 고정지(200)와 상기 고정지(200)에 약(弱)접착되는 보안지(100)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지(200)는 투명층(210) 및 점착층(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지(100)는 필름층(130), 불투명층(120), 인쇄층(110)으로 구성된다.
먼저, 투명층(210)과 점착층(220)으로 구성되는 고정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200)는 고지내용(B)이 기재된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강점착되며, 이 고정지(200)의 가장 상면에는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이 약접착하게 된다.
고정지(20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210)과, 상기 투명층(210)의 이면측(하면)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강점착하기 위한 점착층(220)으로 이루어진다.
투명층(210)은, 고지내용(B)이 기재된 고지서(A)에 고정지(200)가 강점착된 상태에서 보안지(100)가 박리될 시,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색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다.
다시말하면, 무색의 투광성 소재가 아니더라도, 붉은색의 투광소재나 푸른색의 투광소재 등 고정지(200)가 고지서(A)에 점착된 상태에서 보안지(100)가 박리될 시,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투명층(210)의 소재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전도성 필름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투명층(210)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착층(220)은, 상술한 투명층(210)의 이면측(하면)에 도포되어, 고정지(200)가 고지서(A)에 강점착되게 하는 부분으로서, 이 점착층(220)은 고정 지(200)가 고지서(A)에 점착된 상태에서 떼어내기 힘들 정도로 강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강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층(220)에 의해서 고지서(A)로부터 고정지(200)를 떼어내더라도 떼어낸 흔적이 고지서(A)에 남아있게 된다.
즉, 고지서(A)에 고정지(200)가 강점착된 상태에서 고정지(200)를 떼어내게 되면, 고정지(200)가 점착되어 있던 부분이 파손되어, 그 흔적이 남는 것이다.
점착층(220)의 소재로는 공지의 점착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지만, 고정지(200)가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견고하게 강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지(200)는,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고정지(200)가 점착된 상태에서 보안지(100)가 박리될 시,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210)과, 고정지(200)가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견고하게 점착되도록 상기 투명층(210)의 이면측(하면)에 도포되는 점착층(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에는 후술하게 될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이 약접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필름층(130), 불투명층(120), 인쇄층(110)으로 구성되는 보안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안지(100)는 상기 고정지(200)의 가장 상면인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에 약접착되어,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시각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부분 이다.
보안지(100)의 구성은, 전술한 고정지(200)의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접착되는 필름층(130)과, 상기 필름층(130)의 표면측(상면)에 적층되되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120)과, 상기 불투명층(120)의 표면측(상면)에 적층되어 안내정보 등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110)으로 이루어진다.
필름층(130)은, 보안지(100)의 가장 하측에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필름층(130)의 이면측(하면)이 상기 고정지(200)의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에 약접착하게 된다.
필름층(130)의 소재로는 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마찬가지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아크릴(acrylic), 전도성 필름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필름층(130)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투명층(210)은 반드시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지만, 필름층(130)은 투광성 소재뿐 아니라 차광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불투명층(120)은, 상기 필름층(130)의 표면측(상면)에 적층되어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시각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에 기재된 보안관련내용, 예컨데 고지내용(B)이라든지 범칙금 금액 등의 인쇄 칼라와 동일한 칼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층(130)이 유색인 경우에는, 그 칼라와 합쳐진 결과 칼라에 의해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의 보안관련내용의 인쇄칼라와 동일한 칼라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예컨데,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의 보안관련내용이 검은 색이면 검은색 먹지와 같이 빛을 차단하여 시각적차단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불투명층(130)의 소재로는 시각적차단성이 뛰어난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불투명한 금속박판이나 얇고 불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차단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불투명층(130)은, 고지서(A)와 같은 피착물을 불빛에 비추어 뒷면 쪽에서 볼 때 보안관련내용이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
인쇄층(110)은 보안지(100)의 가장 상면에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불투명층(120)의 표면측(상면)에 적층되며,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는 권리자가 아닌 사람이 보안지(100)를 떼면 처벌을 받는다는 등의 경고문구나 기타 안내문구와 같은 안내정보(P)가 인쇄된다.
인쇄층(110)의 소재로는 공지의 스티커 인쇄지로 사용되는 아트지, 모조지, 미라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쇄층(110)에 인쇄를 한 후에는 보호필름이나 보호코팅을 더 마련하여 인쇄층(110)에 인쇄된 경고문구나 안내문구와 같은 안내정보(P)가 번지거나 지워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110)은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지(100)는, 상기 고정지(200)의 투명층(210)의 표면 측(상면)에 약접착되는 필름층(130)과,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을 시각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층(120)과, 안내정보(P)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110)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지(200)의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과 상기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의 이면측(하면)이 서로 약접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 되는 것은, ① 약접착제 또는 ② 열 및 압착 또는 ③ 도트(dot)식 가압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약접착제에 의해서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약접착제란, 접착된 피접착물과 접착물이 서로 박리시에 화학적, 물리적 영향을 가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이형이 가능한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를 말한다.
한편, 접착이란 피접착물과 접착물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일체화되는 상태를 말하며, 피접착물과 접착물이 서로 접착 후 박리되면, 피접착물과 접착물 간의 접착력이 매우 약해져서 피접착물과 접착물을 재접착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 일예로,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두 물체는, 접착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지만, 외력에 의해 일단 두 물체가 박리되어 분리되면 다시 재접착하기 어렵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박리 후에도 점착성을 가지는 테이프 등의 점착제나 수회 재점착이 가능한 포스트잇(TM) 등의 점착제와는 다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접착제에 의해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된 상태에서 고정지(200)로부터 보안지(100)를 박리하면, 보안지(100)를 고정지(200)로 다시 접착시키기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것이다.
한편, 약접착제 이외에도 주요성분이 휘발성 물질인 1회성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약접착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1회성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약접착한 상태에서 박리하게 되면, 주요성분이 휘발성 물질인 1회성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가 증발되어 재접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약접착제나 1회성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 이외에도 기타 다른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② 열 및 압착에 의해서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고정지(200)와 보안지(100)를 마련하고, (b)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투명층(210)과 필름층(130) 사이를 표면만 살짝 용해될 정도의 온도로 소정시간 가열하여 투명층(210)의 표면측(상면)에 용해면(210a)이 형성하고 필름층(130)의 이면측(하면)에 용해면(130a)이 각각 형성하는 동안에 가압하여 고정지(200)와 보안지(100)를 약접착되게 하거나, 투명층(210)의 표면측과 필름층(130)의 이면측을 각각 가열하고 서로 접촉시켜 압착하여 (c)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 하게 된다.
이처럼, 열 및 압착에 의해서 약접착되면, 일단 상호간의 용해면(210a, 130a) 사이의 형상의 변형에 의하여 접착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d)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박리된 경우에는, 용해면(210a, 130a) 사이의 형상이 서로 완전 일치하도록 중첩시킬 수가 없고, 또한 가압력을 가할 수가 없으므로, 재접착이 실질적으로 어렵게 된다.
한편, 투명층(210)과 필름층(130) 사이를 가열하는 방법으로는 직접적인 가열도 가능하지만,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의 소재를 전도성 필름을 사용하고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에 각각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저항열을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고, 레이저가열도 가능하며, 두 층(210, 130)을 횡방향으로 빠르게 상대운동을 반복하여 표면 마찰력에 의해 융착하거나, 고주파가열 등 기타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③ 도트(dot)식 가압에 의해서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고정지(200)와 보안지(100)를 마련하고, (b)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c)보안지(100)와 고정지(200)의 상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도트핀(DP)으로 가압 내지 천공하면, (d)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의 이면측에 침형돌출편(130b)이 하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계속하여 고정지(200)의 투명층(210)의 표면측에 하향으로 침형홈(210b)이 형성되어, 각 침형돌출편(130b)이 각 침형홈(210b)에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약접착하게 된다.
상기 도트핀(DP)은 직경이 극히 미세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트핀(DP)의 천공자리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천공자리 갯수를 필요에 따라 가감함으로써, 약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도트식 가압에 의해서 약접착되면 (e)고정지(200)와 보안지(100)가 서로 박리된 경우에는, 각 침형돌출편(130b)과 각 침형홈(210b)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기 불가능하므로 재접착이 실질적으로 어렵게 된다.
한편, 도트핀(DP)으로 가압하는 위치마다, 도트핀(DP)을 대신하여 레이저로 다수의 미세홀을 만들면, 미세홀이 형성된 부분이 일부 용해되므로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을 약접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① 약접착제 또는 ② 열 및 압착 또는 ③ 도트식 가압에 의해 고정지(200)와 보안지(100)를 서로 약접착하는 부분은 전면에 걸쳐서 약접착할 수도 있고, 테두리 부분에만 약접착할 수도 있으며, 모서리 등 특정부분만을 선택하여 약접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210)과, 상기 투명층(210)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점착층(220)을 포함하는 고정지(200)를 마련한다.(S10)
이때, 상기 투명층(210)은 점착 시 고지서(A)에 기재된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착층(220)은 강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름층(130)과, 상기 필름층(130)의 표면측에 적층되되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120)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불투명층(120)의 표면측에 적층되어 안내정보 등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110)을 포함하는 보안지(100)를 마련한다.(S20)
이때, 상기 필름층(130)은 상기 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투광성 소재뿐 아니라 차광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불투명층(120)은 검은색 먹지와 같이 빛을 차단하여 시각적차단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쇄층(110)은 공지의 스티커 인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상기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한다.(S30)
이때,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이 서로 약접착하는 방법으로는 ① 약접착제에 의한 방법, ② 열 및 압착에 의한 방법 ③ 도트(dot)식 가압에 의한 방법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이 서로 약접착되게 하는 방법이라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① 약접착제 또는 ② 열 및 압착 또는 ③ 도트식 가압에 의해 고정지(200)와 보안지(100)를 서로 약접착하는 부분은 전면에 걸쳐서 약접착할 수도 있 고, 테두리 부분에만 약접착할 수도 있으며, 모서리 등 특정부분만을 선택하여 약접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쇄층(110)에 안내정보 등을 인쇄한다.(S40)
이때, 인쇄층(110)은 보안지(100)의 가장 상면에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불투명층(120)의 표면측(상면)에 적층되며,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는 권리자가 아닌 사람이 보안지(100)를 떼면 처벌을 받는다는 등의 경고문구나 기타 안내문구와 같은 안내정보(P)를 인쇄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보안용 스티커의 다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지(200)의 투명층(210)과 보안지(100)의 필름층(130)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한다.
이때,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이 서로 약접착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층(130)의 표면측(상면)에 불투명층(120)을 마련한다.
다음으로, 상기 불투명층(120)의 표면측(상면)에 인쇄층(110)을 마련한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층(210)의 이면측(하면)에 점착층(220)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쇄층(110)에 안내정보를 인쇄한다.
한편, 투명층(210)과 필름층(130)이 서로 약접착하는 단계 이후의 불투명층(120), 인쇄층(110), 점착층(220)을 마련하는 순서는 변경하여 적용가능하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이 기재된 부분에 본 실시예의 보안용 스티커를 점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200)로부터 보안지(100)를 떼어내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고정지(200)로부터 보안지(100)를 떼어낸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200)로부터 보안지(100)를 완전하게 떼어내면,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을 전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처럼 고정지(200)로부터 보안지(100)가 떼어진 상태에서는 보안지(100)가 고정지(200)로 다시 접착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티커는 고지서(A)의 고지내용(B)이 기재된 부분에 수작업으로 점착할 수도 있지만, 자동화기계를 사용하여 자동화작업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착물에 점착된 고정지로부터 보안지를 박리시키면 고정지에 재접착하기 불가하므로, 피착물에 표시된 보안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피착물에 표시된 고지내용의 봉인상태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지서 또는 회사기밀 서류의 유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강(强)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정지와;
    상기 투명층의 표면측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점착층의 이면측에는 이형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불투명층의 표면측에는 인쇄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
  6.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물에 점착하기 위한 강(强)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정지를 마련하는 단계;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보안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 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지의 투명층과 상기 보안지의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의 점착층의 이면측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지의 불투명층의 표면측에 안내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1.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필름층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약(弱)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층의 표면측에 차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불투명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투명층의 이면측에 강(强)점착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약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가열 및 압착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을 서로 약(弱)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층과 상기 필름층은 도트(dot)식 가압 또는 천공에 의해서 서로 약(弱)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이면측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불투명층의 표면측에 안내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KR1020060101760A 2006-10-19 2006-10-19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66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60A KR100668148B1 (ko) 2006-10-19 2006-10-19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60A KR100668148B1 (ko) 2006-10-19 2006-10-19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73A KR20060118373A (ko) 2006-11-23
KR100668148B1 true KR100668148B1 (ko) 2007-01-11

Family

ID=3770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60A KR100668148B1 (ko) 2006-10-19 2006-10-19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1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70B1 (ko) 2007-12-17 2008-03-12 김영구 보안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983B1 (ko) * 2008-03-20 2008-11-10 설진영 개봉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정보 보안 스티커
KR100925566B1 (ko) * 2009-04-29 2009-11-05 주식회사 부영월드 정보 보안용 스티커
KR102118163B1 (ko) * 2020-01-16 2020-06-02 고경열 보안 및 정품 라벨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13B1 (ko) * 2007-07-31 2009-06-18 네오프린텍(주) 등기필 정보 보안스티커
KR100986978B1 (ko) * 2009-10-06 2010-10-11 설진영 외력감지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N105702153B (zh) * 2016-01-28 2018-12-14 山东泰宝防伪技术产品有限公司 水印、数码和条形码对应的防伪膜带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58306B1 (ko) * 2021-08-30 2023-07-21 최재혁 스티커를 이용한 즉석식 복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70B1 (ko) 2007-12-17 2008-03-12 김영구 보안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983B1 (ko) * 2008-03-20 2008-11-10 설진영 개봉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정보 보안 스티커
KR100925566B1 (ko) * 2009-04-29 2009-11-05 주식회사 부영월드 정보 보안용 스티커
KR102118163B1 (ko) * 2020-01-16 2020-06-02 고경열 보안 및 정품 라벨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73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148B1 (ko) 보안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4737616B2 (ja) 鑑識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2346363A (en) Security bag with a heat sensitive tamper evident seal
JP2007505344A (ja) ラベルならびに素材ウェブ、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599238B2 (ja) 情報隠蔽シート組
WO2018216586A1 (ja) ライナー付き両面粘着シート
CN113728371B (zh) 密封膜
JP6627468B2 (ja) 封緘シール
US1192777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troreflective sheet and retroreflective sheet
JP4588554B2 (ja) タックラベル、及びタックラベルの製造方法
JP5165471B2 (ja) 粘着シート
JP7336900B2 (ja) 再帰反射シート
JP2010008944A (ja) 銘板ラベル
JP6875145B2 (ja) 台紙及び筒状フィルム付き台紙
JP2800606B2 (ja) シール
JP4907958B2 (ja) 表示画面用覗き見防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5374B2 (ja) 隠蔽ラベル
JP2009067014A (ja) ラベルを被貼着材へ一体化する製造方法及びラベル
JP2007055208A (ja) 隠蔽用紙および隠蔽式葉書
JPH10219207A (ja) 両面接着シート
JP7184335B2 (ja) ラベル帳票
JP2016224358A (ja) 改ざん防止ラベル
JP4745957B2 (ja) 封緘ラベル
KR930003346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를 위한 각종신분증의 제조방법
JP4148809B2 (ja) 封緘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