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081B1 - 2성분 현상기 - Google Patents

2성분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081B1
KR100668081B1 KR1020050027942A KR20050027942A KR100668081B1 KR 100668081 B1 KR100668081 B1 KR 100668081B1 KR 1020050027942 A KR1020050027942 A KR 1020050027942A KR 20050027942 A KR20050027942 A KR 20050027942A KR 100668081 B1 KR100668081 B1 KR 10066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oner
blade
circ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284A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081B1/ko
Priority to US11/396,483 priority patent/US7546067B2/en
Publication of KR2006010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 G03G2215/0833Augers with varying pitch on one sha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와,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와, 캐리어를 구비하며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고 토너가 감광체로 반송되도록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캐리어순환부를 구비하는 2성분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너공급부와 캐리어순환부 사이에 개재하여 토너공급부와 캐리어순환부에 각각 연통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토너공급부로부터 캐리어순환부로 향하는 축을 갖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토너공급부로부터 캐리어순환부로 반송하며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정반송익과; 회전축의 정반송익이 형성된 부분 사이에 정반송익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된 역반송익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경사 변화, 반송 스크류의 회전수 변화, 또는 토너 및 캐리어의 유동성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양방향 반송을 할 수 있다.
2성분 현상기, 양방향반송, 정반송익, 역반송익

Description

2성분 현상기{TWO COMPONENT DEVELOP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2성분 현상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3의 단위반송익의 피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3의 단위반송익의 각위상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성분 현상기 110 : 감광체
120 : 현상롤러 130 : 캐리어순환부
132 : 제1스크류 134 : 제2스크류
140 : 토너이송부 142 : 회전축
143 : 단위반송익 144 : 정반송익
146 : 역반송익 150 : 토너공급부
본 발명은 2성분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스크류를 개선한 2성분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기와 현상기와 정착기와 배지기를 포함한다. 급지기가 인쇄용지를 현상기로 공급하면 현상기는 인쇄용지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도포하여 소정의 화상을 형성한다. 정착기는 도포된 현상제를 인쇄용지에 정착한다. 배지기는 정착기로부터 현상제가 정착된 인쇄용지를 수령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현상기는 감광체와 현상롤러와 전사롤러를 포함한다. 소정의 광주사에 노광된 감광체에 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롤러가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하며, 전사롤러가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을 인쇄용지로 전사한다.
현상기에는 토너만을 사용하는 1성분 현상기와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2성분 현상기가 있다. 2성분 현상기는 1 성분 현상기에 비해 고속 현상이 가능하고, 계조 현상의 재현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2성분 현상기는 공급되는 토너를 캐리어와 교반시켜 현상롤러로 반송하도록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캐리어순환부를 포함한다. 토너가 캐리어가 순환하는 순환 경로 내에 공급되는 경우, 토너가 캐리어와 충분히 교반되지 않거나 충분히 대전되지 않은 상태로 현상롤러에 수령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는 토너가 반송 과정에서 충분히 대전될 수 있도록 캐리어의 순환 경로 외부에 위치한다.
토너는 자체 반송성이 떨어져 캐리어와 교반되어 반송될 수 있으며 토너공급부는 캐리어의 순환 경로 외부에 토너를 공급하기 때문에, 토너를 캐리어순환부 내로 반송하기 위해서는 캐리어를 토너공급부 측으로 반송함과 동시에 토너와 캐리어를 캐리어순환부 측으로 반송하는 양방향 반송이 필요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성분 현상기(1)는 감광체(10)와 현상롤러(20)와 캐리어순환부(30)와 토너이송부(40)와 토너공급부(50)를 포함하고 있다. 감광체(10)는 잠상을 형성하며, 자성체인 현상롤러(20)는 캐리어순환부(30)로부터 토너를 수령하여 감광체(10)에 형성된 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토너공급부(50)는 캐리어순환부(30)에 이격되어 캐리어의 순환 경로 외부의 위치에서 토너를 공급한다.
캐리어순환부(30)는 캐리어를 내포하며,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여 토너를 현상롤러(20)로 반송하도록 캐리어를 순환시킨다(A-B-C-D-A). 캐리어순환부(30)는 제1스크류(32)와 제2스크류(34)와 제1측벽(36)과 제2측벽(38)을 구비하고 있다. 제1스크류(32)에 의해 A방향으로 교반되면서 반송된 토너와 캐리어는 제1측벽(36)에서 B방향으로 굴절 진행된다. 제2스크류(34)가 교반된 토너와 캐리어를 C방향으로 반송하고 이 과정에서 캐리어가 자력에 의해 현상롤러(20)로 전달되면서 캐리어에 부착된 토너도 현상롤러(20)에 공급된다. 제2스크류(34)에 의해 반송된 토너와 캐리어는 제2측벽(38)에 의해 D방향으로 굴절 진행되어 다시 제1스크류(32)에 수령된다. 제1스크류(32)는 토너공급부(50) 측으로 소정 각도(d)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측벽(36) 측이 상류를 형성하고 제2측벽(38) 측 및 이와 연장된 토너이송부(40) 가 하류를 형성한다.
토너이송부(40)는 토너공급부(50)와 캐리어순환부(30)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41)과 회전축(42)과 종날개(43)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이송부(40)는 캐리어순환부(30)로부터 캐리어가 자중에 의해 토너이송부(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캐리어순환부(30)의 연직방향 저측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42)은 제1스크류(32)에 연장되며 제1스크류(32)의 경사와 일치하도록 토너공급부(50) 측으로 소정 각도(d)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정반송익(44)은 회전축(42)의 일부 축방향 구간에 형성되어 토너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토너와 캐리어순환부(30)로부터 유입된 캐리어를 캐리어순환부(30) 측으로(a방향) 반송한다.
종날개(43)는 회전축(42)의 축방향을 따라 반경반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시키며, 정반송익(44)에 의한 토너 및 캐리어의 정방향(a방향) 반송 속도를 둔화시켜 토너가 캐리어에 교반되는 시간을 확보하며, 캐리어가 경사를 따라 b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토너이송부(40) 내로 흘러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캐리어는 캐리어순환부(30)와 토너이송부(40)의 경사에 의해 자중에 의한 낙하로 b방향으로 토너이송부(40)에 유입되고, 정반송익(44)과 종날개(43)가 캐리어와 토너를 교반하면서 a방향으로 캐리어순환부(30)에 반송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2성분 현상기(1)는 캐리어를 캐리어순환부(30)로부터 토너이송부(40)로 유입시키면서 동시에 새로 투입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여 다시 캐리어순환부(3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2성분 현상기는 일본특허공개 제1995-253711호에 개 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2성분 현상기(1)는 캐리어순환부(30) 내의 캐리어를 토너이송부(40) 내로 반송하기 위하여 캐리어순환부(30)와 토너이송부(40)를 일체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캐리어가 자중에 의해 하류인 토너이송부(40)로 흘러 유입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2성분 현상기(1)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가 기울어지는 등 2성분 현상기(1)가 소정의 경사(d)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캐리어가 토너이송부(4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어 캐리어순환부(30)로의 토너 반송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2성분 현상기(1)는 캐리어 자중에 의한 낙하를 이용하는 소극적인 반송이어서 제1스크류(32) 및 제2스크류(34)의 회전수(rpm)의 변화 또는 토너 및 캐리어의 유동성 변화에 민감하다. 일반적으로 토너 및 캐리어의 유동성은 입경, 농도 (토너양/캐리어양), 열화정도, 온도, 습도 또는 사용정도에 따라 변동된다. 종래의 2성분 현상기(1)는 이와 같은 다양한 조건의 변화에 취약하여 안정적인 토너 반송의 확보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2성분 현상기(1)의 종날개(43)는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시킬 뿐 a방향으로 토너 및 캐리어를 반송하는 반송력은 미약하기 때문에 토너이송부(40)에 토너가 적체되고 토너가 캐리어순환부(30)로 반송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변화, 반송 스크류의 회전수 변화, 토너 및 캐리어의 유동성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양방향 반송이 가능한 2성분 현상기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감광체와,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와, 캐리어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와 상기 캐리어를 교반하고 상기 토너가 상기 감광체로 반송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캐리어순환부를 구비하는 2성분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부와 상기 캐리어순환부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토너공급부와 상기 캐리어순환부에 각각 연통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토너공급부로부터 상기 캐리어순환부로 향하는 축을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기 토너공급부로부터 상기 캐리어순환부로 반송하며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정반송익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정반송익이 형성된 부분 사이에 상기 정반송익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된 역반송익을 포함하는 2성분 현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반송익의 상기 토너공급부 측 불연속단부와 상기 역반송익의 상기 캐리어순환부 측 불연속단부는 상호 연속될 수 있다.
상기 정반송익의 상기 캐리어순환부 측 불연속단부는 상기 역반송익의 상기 토너공급부 측 불연속단부와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정반송익과 상기 역반송익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반송익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반송익은 상기 정반송익의 n/m(n<m) 주기가 형성되며, 상기 역반송익의 피치는 상기 정반송익의 피치와 n/(m-n)의 곱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단위반송익은 상기 정반송익의 2/3 주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순환부는 상기 토너와 상기 캐리어를 교반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감광체로 반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에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성분 현상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성분 현상기(100)는 감광체(110)와 현상롤러(120)와 캐리어순환부(130)와 토너공급부(150)와 토너이송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감광체(110)는 소정의 광주사유니트(미도시)가 주사하는 광에 노출됨에 따라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120)는 토너를 감광체(110)에 공급하여 잠상을 현상시킨다. 닥터블레이드(125)는 현상롤러(120)가 감광체(110)에 공급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한다.
캐리어순환부(130)는 철, 페라이트 등으로 형성되며 반송성이 양호한 캐리어를 내포한다. 캐리어순환부(130)는 토너를 캐리어와 교반하여 캐리어를 반송함으로써 캐리어에 부착된 토너를 반송한다.
캐리어순환부(130)는 제1스크류(132)와 제2스크류(134)와 제1측벽(136)과 제2측벽(138)을 포함하고 있다. 제1스크류(132)와 제2스크류(134)는 각각 현상롤러(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2스크류(134)는 현상롤러(120)와 축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하고 있다. 제1측벽(136)과 제2측벽(138)은 제1스크류(132) 와 제2스크류(134)의 양단에서 각각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포되어 있는 캐리어와 토너이송부(140)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제1스크류(132)와 제2스크류(134)에 의해 서로 교반되면서 캐리어 순환 경로(A-B-C-D-A)를 따라 순환한다. 토너와 캐리어는 제1스크류(132)에 의해 제1스크류(132)의 축방향(A방향)으로 교반 및 반송되며, 제1측벽(136)에 의해 굴절되어 B방향으로 진행된다. 토너와 캐리어가 제2스크류(134)에 수령되면 제2스크류(134)는 축방향(C방향)으로 토너 및 캐리어를 교반 및 반송된다. 이 과정에서 캐리어는 자성체로 형성된 현상롤러(120)의 자력에 의해 현상롤러(120)에 전달되며, 캐리어에 부착된 토너도 함께 현상롤러(120)로 전달된다. 제2측벽에 도달한 토너와 캐리어는 D방향으로 굴절되어 진행되며 제1스크류(132)에 수령되어 다시 A방향으로 반송된다.
토너공급부(150)는 캐리어순환부(130)에 이격 위치하는 토너이송부(140)에 토너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토너는 캐리어의 순환 경로(A-B-C-D-A)의 외부에 공급될 수 있으며, 감광체(110)까지 반송되기까지 캐리어와 충분히 교반될 수 있으며 또한 충분히 대전될 수 있다.
토너센서(160)는 캐리어순환부(130) 내를 순환하는 토너의 농도(T/C : 토너양/캐리어양)를 센싱한다. 토너센서(160)에 의해 센싱된 토너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값보다 작은 경우 토너공급부(150)는 토너이송부(140)에 토너를 추가 공급하여 캐리어순환부(130) 내를 순환하는 토너의 농도를 상승시킨다.
토너이송부(140)는 토너공급부(150)와 캐리어순환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토너이송부(140)는 토너공급부(150)로부터 새로운 토너가 공급되며,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캐리어 순환 경로(A-B-C-D)를 따라 순환하는 캐리어 및 토너를 토너공급부(150) 측으로(b방향) 반송하며, 새로이 공급된 토너와 반송된 캐리어 및 토너를 교반하여 캐리어순환부(130)로(a방향) 반송한다.
토너이송부(140)는 하우징(미도시)과 회전축(142)과 정반송익(144)과 역반송익(14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미도시)은 토너공급부(150)와 캐리어순환부(130) 사이에 개재하는 중공체로 형성되며, 토너공급부(150)와 캐리어순환부(130)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토너이송부(140)는 캐리어순환부(130)에 비해 연직방향 저측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회전축(142)은 중공의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토너공급부(150)로부터 캐리어순환부(130)로 향하는 방향의 축을 갖는다. 회전축(142)은 제1스크류(132)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에 제1스크류(13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142)은 제1스크류(1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전축(142)은 제1스크류(132)의 축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회전축(142)은 제1스크류(132)에 연장되지 않은 상태로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토너와 캐리어를 수령하거나 캐리어순환부(130)로 반송할 수 있다.
정반송익(144)은 회전축(142)의 축방향으로 토너공급부(150)로부터 캐리어순환부(130)로 반송하도록(a방향) 회전축(142)에 형성되어 있다. 정반송익(144)은 축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4a)와 캐리 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를 구비한다. 따라서 양단부(144a, 144b) 사이의 회전축(142)에는 정반송익(144)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정반송익(144)은 토너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된 토너와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유입된 토너 및 캐리어를 교반하고 a방향으로 반송한다.
역반송익(146)은 정반송익(144)과 반대방향, 즉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토너공급부(150)로 반송하도록 회전축(142)에 형성되어 있다. 역반송익(146)은 회전축(142)의 정반송익(144)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역반송익(146)은 회전축(142)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6a)와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6b)를 구비하고 있다. 역반송익(146)은 캐리어순환부(130) 내에서 제2측벽(138)을 따라 D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토너와 캐리어의 일부가 토너이송부(140) 내로 유입되면 토너공급부(150) 측으로(b방향) 반송한다.
정반송익(144)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4a)는 역반송익(146)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6b)와 상호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정반송익(144)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는 역반송익(146)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6a)와 연속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정반송익(144)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와 역반송익(146)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6a)는 회전축(142)의 동일 원주 상에 위치하나 상호 각위치가 상이하여 단절되어 있다. 그러나 정반송익(144)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와 역반송익(146)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 (146a)는 회전축(142)의 서로 다른 원주 상에 위치하여 단절될 수도 있다. 양 불연속단부(144b, 146a)가 회전축(142)의 상이한 원주 상에 위치하여 단절되는 경우 양 불연속단부(144b, 146a) 사이에는 정반송익(144) 및 역반송익(146) 모두 형성되지 있지 않다.
또는 정반송익(144)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와 역반송익(146)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6a)가 상호 연속되고, 정반송익(144)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4a)와 역반송익(146)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6b)가 불연속적으로 단절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양 반송익(144, 146)의 각 양 불연속단부가 모두 상호 연속되거나 불연속적으로 단절될 수도 있다.
정반송익(144)과 역반송익(146)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반송익(143)은 회전축(142)을 따라 소정의 주기(T)를 가지며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위반송익(143)은 전체 회전축(142)에 걸쳐 단일의 주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다양한 주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정반송익(144)과 역반송익(146)은 일정한 주기없이 축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위반송익(143), 정반송익(144), 및 역반송익(146)의 주기를 각각 T, Ta, Tb 라 하고, 한 주기 당 축선거리(피치)를 각각 L, La, Lb 라 하면, 단위반송익(143)에는 정반송익(144)의 n/m(n<m) 주기가 형성되며, 역반송익(146)의 피치(Lb)는 정반송익(144)의 피치(La)와 n/(m-n)의 곱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역반송익(146)의 피치(Lb)는 단위반송익(143) 내에 많은 주기의 정반송익(144)이 형 성될수록 정반송익(144)의 피치(La)에 비례하여 증가적으로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정반송익(144)의 피치(La)는 단위반송익(143)의 피치(L)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단위반송익(143)에 한 주기 미만이 되도록 n/m(n<m) 주기의 정반송익(144)이 형성되며, 단위반송익(143)의 피치(L) 중 정반송익(144)이 형성된 구간(La×n/m)을 제외한 잔여 구간(L-La×n/m)에 역반송익(146)이 형성될 수 있다. 역반송익(146)은 정반송익(144)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4a)에 연속 형성되어 잔여 구간(L-La×n/m) 모두에 형성되거나 잔여 구간 중 일부 구간만에 형성될 수 있다. 역반송익(146)이 잔여 구간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역반송익(146)의 토너공급부(150) 측 불연속단부(146a)는 정반송익(144)의 캐리어순환부(130) 측 불연속단부(144b)와 각위치가 상이하여 불연속되도록 역반송익(146)의 피치(Lb) 및 단위반송익(143) 내에 형성되는 역반송익(146)의 주기가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반송익(143)의 피치(L)와 정반송익(144)의 피치(La)가 동일하고, 역반송익(146)의 피치(Lb)는 정반송익(144)의 피치(La)의 두 배이며, 단위반송익(143)에 2/3 주기의 정반송익(144)이 형성되며, 1/6 주기의 역반송익(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실험한 실험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실험 1
캐리어:실리콘+아크릴 Coat, Ferrite Carrier,진 비중 5.5(g/cm3)
토너:8μm, 폴리에스테르
<비교예>(도 8 참조)
회전축(42) 경사각 : 3.5도
정반송익(44) 피치(La) : 10mm
정반송익(44) 외경 : φ15mm
토너 교반 및 반송은 정반송익(44)과 종날개(43)에 의해 이루어짐.
<실시예> (도 5 내지 도 7 참조)
회전축(142) 경사각 : 0도
정반송익(144) : 피치(La) 10mm, 외경 φ15mm, 회전축에 2/3 주기 포함됨.
역반송익(146) : 피치(Lb) 20mm, 외경 φ15mm, 회전축에 1/6 주기 포함됨.
상기의 조건에 대해 다양한 캐리어 입경과 토너농도에서 회전축(142)의 회전수와 제2스크류(134)의 회전수를 각각 260rpm, 120rpm로 설정하여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반송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캐리어입경(㎛) 20 30 40 50 60 70 80
토너농도(%) 15.4 9 6.3 4.8 3.8 3.2 2.7
비교예 × × ×
실시예 O O O O O O O
토너농도=Toner량/Carrier양(%)
○:120rpm, 260rpm 모두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에 반송됨.
△:120rpm에서만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에 반송됨.
×:120pm, 260rpm 모두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에 반송되지 않 음.
실험 결과, 비교예는 반송스크류의 회전수가 높아지면 토너/캐리어가 하류에 흐르지 않았다.회전축(42)의 경사를 5도~10도까지 기울이고 실험하여도 마찬가지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회전축의 경사가 없는 상태에서 다양한 캐리어 입경과 토너 농도에 대해 반송스크류의 회전수 변화에 관계없이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토너/캐리어가 안정적으로 반송되었다. 또한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반송된 토너/캐리어는 새로운 토너와 교반되어 캐리어순환부(130)로 원활하게 반송되었다.
2. 실험 2
단위반송익(143)을 2/3주기의 정반송익(144)과 1/6주기의 역반송익(146)으로 구성하고, 정반송익(144)의 피치(La)와 역반송익(146)의 피치(Lb)를 변경하면서 토너/캐리어가 캐리어순환부(130)로부터 토너공급부(150) 측에 반송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정반송익의 피치(mm) 10 10 10
역반송익의 피치(mm) 7 10 20
반 송 성 ×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반송되지 않음.
△:소량의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반송됨.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원활하게 반송됨.
실험결과, 역반송익(146)의 피치(Lb)를 정반송익(144)의 피치(La)보다 크게 할 때 토너/캐리어가 토너공급부(150) 측까지 반송되는 정도가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2성분 현상기는 정반송익과 역반송익에 의해 능동적으로 양방향 반송을 함으로써 기기의 경사 변화, 반송스크류의 회전수 변화, 또는 토너 및 캐리어의 유동성 변화 등 주위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양방향 반송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너가 안정적으로 캐리어순환부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이송부에 토너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광체에 수령되는 토너의 농도가 저하되어 인쇄화상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감광체와,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와, 캐리어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와 상기 캐리어를 교반하고 상기 토너가 상기 감광체로 반송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캐리어순환부를 구비하는 2성분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부와 상기 캐리어순환부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토너공급부와 상기 캐리어순환부에 각각 연통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토너공급부로부터 상기 캐리어순환부로 향하는 축을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기 토너공급부로부터 상기 캐리어순환부로 반송하며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정반송익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정반송익이 형성된 부분 사이에 상기 정반송익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된 역반송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송익의 상기 토너공급부 측 불연속단부와 상기 역반송익의 상기 캐리어순환부 측 불연속단부는 상호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송익의 상기 캐리어순환부 측 불연속단부는 상기 역반송익의 상기 토너공급부 측 불연속단부와 연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송익과 상기 역반송익으로 이루어지는 단위반송익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반송익은 상기 정반송익의 n/m(n<m) 주기가 형성되며, 상기 역반송익의 피치는 상기 정반송익의 피치와 n/(m-n)의 곱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반송익은 상기 정반송익의 2/3 주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순환부는 상기 토너와 상기 캐리어를 교반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감광체로 반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현상기.
KR1020050027942A 2005-04-04 2005-04-04 2성분 현상기 KR10066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42A KR100668081B1 (ko) 2005-04-04 2005-04-04 2성분 현상기
US11/396,483 US7546067B2 (en) 2005-04-04 2006-04-04 Two-component delivery system to transfer a mixture of a first and a second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42A KR100668081B1 (ko) 2005-04-04 2005-04-04 2성분 현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284A KR20060105284A (ko) 2006-10-11
KR100668081B1 true KR100668081B1 (ko) 2007-01-11

Family

ID=3707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942A KR100668081B1 (ko) 2005-04-04 2005-04-04 2성분 현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46067B2 (ko)
KR (1) KR100668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0303B2 (ja) * 2010-01-25 2012-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5958163B2 (ja) * 2012-08-06 2016-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部材、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04045B2 (ja) * 2015-06-17 2019-1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963A (ja) 1986-11-14 1988-05-30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0242467A (ja) 1988-08-02 1990-02-13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
JPH07253711A (ja) 1994-03-14 1995-10-03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3554208B2 (ja) * 1998-10-29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
JP2001183865A (ja) 1999-12-24 2001-07-06 Fuji Xerox Co Ltd トナー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1209240A (ja) 2000-01-27 2001-08-03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107859A (ja) 2001-09-27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46067B2 (en) 2009-06-09
KR20060105284A (ko) 2006-10-11
US20060222410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2667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750764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33109A (ja) 粉体攪拌搬送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
CN103995450B (zh) 传送部件、显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8233814B2 (en)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237329A (ja) 現像装置
KR100668081B1 (ko) 2성분 현상기
JP4093677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63700B2 (ja) 現像装置、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33812A (ja) 現像ユニット
US8121523B2 (en) Developer station with tapered auger system
JP4224118B2 (ja) 画像形成装置
JP6766743B2 (ja) 画像形成装置
JP6363641B2 (ja) 現像装置
JP20091161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376A (ja) 現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38028A5 (ko)
JP2004301975A (ja) 現像装置
JP20051346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16245A (ja) 現像装置
JPH01167866A (ja) 現像装置
JP441850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45945A (ja) 現像装置
JP2023000241A (ja) 現像装置
JP2002207366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