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569B1 -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569B1
KR100666569B1 KR1020060002771A KR20060002771A KR100666569B1 KR 100666569 B1 KR100666569 B1 KR 100666569B1 KR 1020060002771 A KR1020060002771 A KR 1020060002771A KR 20060002771 A KR20060002771 A KR 20060002771A KR 100666569 B1 KR100666569 B1 KR 10066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up holder
groove
fitting groov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완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터콘솔 후면 내부에 수납될 때 그 몸체의 전후길이로 인하여 센터콘솔 내부의 부품 및 배선등과의 간섭 및 후방 탑승자의 착석위치에 따른 거주환경으로 인하여 센터콘솔 내부의 설계 및 컵홀더의 설치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면에 제1끼움홈(111)이 형성되고, 양측면으로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푸쉬스위치(113)가 형성되고, 후면 하단 양측에는 레일홈(115)이 구비되면서 일정한 길이로 슬라이딩부(114)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제2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2)과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122)가 형성되며, 후면 상부 양측에는 끼움구(123)가 형성된 제2몸체(120)와;
자동차 센터콘솔 후면 내부에 장착되며, 하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레일(131)이 형성되고, 내부 안쪽에는 상기 푸쉬스위치(113)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구(132)가 형성되며,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끼움구(123)가 끼워지도록 끼움홈(134)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한쌍의 관통공(133)이 형성된 하우징(130)과;
하단(141)은 하우징(130)의 후방쪽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단(141)으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상단(142)은 상기 관통공(133)을 통해 하우징(130) 내부에 위치되도 록 판스프링(140)을 구성하므로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로 이루어진 컵홀더(100)가 하우징(130) 내부로 수납될 때에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일부분이 겹쳐지면서 컵홀더(100)의 전후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컵홀더(100)가 하우징(130) 외부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줄어들었던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전후길이가 원상태로 늘어나게 됨에 따라 컵홀더(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홀더(100)가 수납되기 위한 센터콘솔 내부의 필요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컵홀더(100)와 센터콘솔의 내부에 위치한 각종 부품 및 배선과의 간섭은 물론 후방 탑승자의 주거환경 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센터콘솔 내부 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으로 보다 다양한 편의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컵홀더(100)의 설치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컵홀더, 센터콘솔, 출입, 슬라이딩, 푸쉬스위치, 판스프링, 레일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a, 2b, 2c, 2d 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a, 3b,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컵홀더 110 : 제1몸체
111 : 제1끼움홈 112 : 가이드홈
113 : 푸쉬스위치 114 : 슬라이딩부
115 : 레일홈 120 : 제2몸체
121 : 제2끼움홈 122 : 가이드
123 : 끼움구 130 : 하우징
131 : 레일 132 : 고정구
133 : 관통공 134 : 끼움홈
140 : 판스프링 141 : 하단
142 : 상단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센터콘솔 후면 내부에 컵홀더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가 설치되기 위한 센터콘솔 후면 내부의 필요공간을 최소화시켜 컵홀더와 센터콘솔 내부의 타부품 및 배선 등과의 간섭을 줄임에 따라 센터콘솔 내부에 다양한 편의장치 제공은 물론 센터콘솔 내부의 설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후방 탑승자의 향상된 편의제공과 컵홀더의 설치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부품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 실내의 바닥과 천장의 내장재, 선바이저, 도어트림 및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의 센터콘솔 등으로 구성되며, 그 목적은 실내의장의 향상과 쾌적성의 향상, 운전자 및 탑승자의 다양한 편의성 제공은 물론 승차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에 설치되는 센터콘솔에 대해 살펴보면 그 기능은 차량의 변속이 가능토록 변속레버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컵홀더나 사물함은 물론 장시간 운전식 암레스트의 기능 등 다양한 편의제공을 하기 위한 것이며, 부과적으로 전방 충돌시 승차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센터콘솔에는 전방 탑승자는 물론 후방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장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 노즐 및 컵홀더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밖에 시트의 열선을 조절하는 열선조절스위치나 핸드프리를 위한 연결장치 등이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한편, 센터콘솔의 후면에는 뒷좌석 승객의 편의성을 위하여 컵홀더가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컵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몸체가 슬라이딩작용을 통해 센터콘솔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컵홀더의 경우 컵을 설치하기 위한 원형의 구멍으로 인하여 컵홀더의 전후길이 또한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컵홀더가 센터콘솔의 내부로 수납될 때 상기 몸체의 전후길이로 인하여 센터콘솔의 내부에 위치한 각종 부품 및 열선장치나 핸즈프리장치와 연결되는 배선 등과의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컵홀더의 설치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것은 물론 센터콘솔의 내부를 설계할 때도 컵홀더의 전후길이로 인하여 설계에 제약이 많이 따르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터콘솔의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컵홀더의 필요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컵홀더와 센터콘솔 내부의 타부품 및 배선 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컵홀더의 설치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센터콘솔의 내부 설계를 다양하면서 더욱 효과 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센터콘솔의 하우징으로부터 출입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후방 중앙에는 푸쉬스위치가 형성되고, 후방의 하부 양측에는 측면에 레일홈이 구비되도록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후방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형성되며, 후면 양측 상부에는 끼움구가 형성된 제2몸체와;
서로 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함께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레일홈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고, 내부 안쪽면에는 상기 푸쉬스위치와 결합 및 분리되는 고정구와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끼움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단은 하우징의 후방쪽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단으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컵홀더가 센터콘솔에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될 때는 컵홀더를 구성하는 제1몸체의 일부분과 제2몸체의 일부분이 겹쳐지는 상태로 수납되어 컵홀더가 센터콘솔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며, 상기 컵홀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겹쳐진 부분이 원상태가 됨에 따라 컵홀더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센터콘솔의 내부공간 설계를 보다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컵홀더의 설치작업성 또한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구성하는 제1,2몸체와 하우징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 2b, 2c, 2d 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a, 3b, 3c 는 본 발명에 따라 컵홀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센터콘솔의 하우징으로부터 출입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제1끼움홈(111)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홈(112)이 형성되며, 후방쪽 하부 중앙에는 푸쉬스위치(113)가 형성되고, 후방쪽 하부 양측면에는 레일홈(115)이 구비되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딩부(114)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의 후방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제2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양측 내면의 하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가이드홈 (112)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122)가 형성되며, 후방 양측 상부에는 돌출된 형태로 끼움구(123)가 형성된 제2몸체(120)와;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슬라이딩부(114)에 형성된 레일홈(115)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131)이 형성되고, 내부 안쪽면 중앙의 하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푸쉬스위치(113)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고정구(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안쪽면에는 고정구(132)를 중심으로 양쪽에 관통공(133)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제2몸체(120)의 끼움구(123)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의 끼움홈(134)이 형성된 하우징(130)과;
하단(141)은 상기 하우징(130)의 후방쪽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141)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상단(142)은 상기 관통공(133)을 통해 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우징(130) 내부로 수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140);
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6)은 제1몸체(110)의 슬라이딩부(114)에 형성된 결합공이고, (117)은 상기 결합공(116)에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스톱퍼이며, (124)는 제2몸체(120)의 제2끼움홈(121) 내면에 형성된 탄성부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컵홀더(100)의 몸체를 두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한 상태에서 컵홀더가 센터콘솔(도면중 미도시)의 내부로 들어갈 때는 상기 나누어진 몸체가 서로 겹쳐지면서 그 크기가 최소화됨에 따라 센터콘솔의 내부에서 컵홀더(100)의 몸 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컵홀더(100)의 몸체가 센터콘솔 내부의 각종 부품 및 배선 등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컵홀더(100)의 설치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센터콘솔의 내부를 다양하면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100)는 서로 결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그리고 센터콘솔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출입되는 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즉, 제1몸체(110)는 후방쪽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 한쌍의 제1끼움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하부에는 대향된 상태로 가이드홈(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방쪽 하부 양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딩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114)의 측면에는 레일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114)의 끝단에는 스톱퍼(117)가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공(116)이 형성된 것이며, 후방쪽 하부 중앙에는 푸쉬스위치(113)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제1끼움홈(111) 후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방쪽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 한쌍의 제2끼움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끼움홈(121)의 상측 내면에는 탄성부재(124)가 설치되어 있고, 제2몸체(120)의 양측 내면 하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끼워져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122)가 형성된 것이며, 후방 양측 상부에는 돌출된 형태로 끼움구(1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기 제1끼움홈(111)과 제2끼움홈(121)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결합하게 되면 제2몸체(120)의 가이드(122)가 제1몸체(110)의 가이드홈(112)에 끼워지게 되면서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최대한 벌어지는 경우에는 제1끼움홈(111)과 제2끼움홈(121)이 하나의 정원을 이루게 되면서 상기 정원을 통해 컵이 수납될 수 있는 것이며, 여기서 수납되는 컵의 직경이 상기 정원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컵이 흔들리게 되는데 이는 제2끼움홈(121)에 형성된 탄성부재(124)가 컵의 흔들림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몸체(120)를 제1몸체(110)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제2몸체(120)의 상면이 제1몸체(110)의 상면 위쪽으로 겹치게 됨에 따라 제1끼움홈(111)과 제2끼움홈(121)이 이루게 되는 원은 타원이 되면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전후방향 길이가 제1몸체(110)로부터 제2몸체(120)가 벌어질때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센터콘솔에 설치된 하우징(130)에 출입되도록 한 것인데, 이때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내부 양측면 하부에 레일(131)을 형성함에 따라 제1몸체(110)의 슬라이딩부(114)에 형성된 레일홈(115)에 상기 레일(131)이 결합되면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며 출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납될 때 그 수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의 안쪽면에 고정구(132) 형성함에 따라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하우징(130)의 내부로 수납될 때 제1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된 푸쉬스위치(113)가 상기 고정구(132)와 결합되면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 내부에 계속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푸쉬스위치(113)의 특성상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납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진행방향으로 한번 더 눌러주게 되면 상기 고정구(132)로부터 푸쉬스위치(113)가 분리되므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하우징(130)쪽으로 더욱 눌러주게 되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하우징(130)의 외부로 인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컵홀더(100)가 하우징(13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판스프링(140)의 하단(141)은 하우징(130)의 후방쪽 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141)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상단(142)은 하우징(130) 내부 안쪽면에 형성된 관통공(133)을 통해 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시킨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30)의 내부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끼워지게 되면서 제1몸체(110)의 푸쉬스위치(113)가 하우징(130)의 고정구(132)에 결합될 때 제2몸체(120)의 후면이 상기 판스프링(140)의 상단을 관통공(133) 외부로 밀게 되면서 제2몸체(120)는 하우징(130) 밖으로 나가려하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납된 제1몸체(110)를 하우징(130) 방향쪽으로 더욱 눌러주게 되면 푸쉬스위치(113)와 고정구(132)가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판스프링(140)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하우징(130) 밖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 밖으로 밀려날 때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일정길이의 끼움홈(134)에 제2몸체(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구(123)를 끼워넣어 고정시킴에 따라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의 내부로 수납될 때는 상기 끼움구(123)가 끼움홈(134)에 끼워져 이동되므로 끼움홈(134)이 안내 역할을 해주게 되는 것이며,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의 외부로 인출될 때에는 끼움구(123)가 끼움홈(134)에 걸리게 되면서 하우징(130)으로부터 제2몸체(12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푸쉬스위치(113)가 고정구(132)와 분리되면서 판스프링(140)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하우징(13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일부분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이때 제1몸체(110)의 제1끼움홈(111)과 제2몸체(120)의 제2끼움홈(121)이 이루는 원은 타원의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몸체(110)를 더욱 인출시키게 되면 제2몸체(120)는 끼움구(123)가 끼움홈(134)에 끼워져 있어 더이상 인출될 수 없는 상태이며, 제1몸체(110)만이 더욱 인출됨에 따라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지게 되면서 제1끼움홈(111)과 제2끼움홈(121)에 의해 만들어지는 원은 정원이 되므로 상기 정원을 이용하여 컵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는 끼움구(123)와 끼움홈(134)에 의해 하우징(130)으로부터 제2몸체(1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지만 제1몸체(11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제1몸체(110)의 슬라이딩부(114) 끝단에 형성된 결합공(116)에 스톱퍼(117)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톱퍼(117)가 하우징(130) 후방에 걸리게 되면서 제1몸체(110) 또한 하우징(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제1몸체(110)를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시켜야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공(116)으로부터 스톱퍼(117)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센터콘솔 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에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는 컵홀더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가 하우징 내부로 수납될 때에는 컵홀더의 전후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하우징 외부로 인출될 때에는 줄어들었던 전후길이가 원상태로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홀더를 수납시키기 위한 센터콘솔 내부의 설치공간을 줄일수 있어 컵홀더와 센터콘솔의 내부에 위치한 각종 부품 및 배선 등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센터콘솔의 내부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컵홀더의 설치작업성 또한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센터콘솔 후면 내부로부터 출입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제1끼움홈(111)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하부에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되며, 후방쪽 하부에는 푸쉬스위치(113)가 형성되고, 후방쪽 하부 양측면에는 측면에 레일홈(115)이 구비되도록 슬라이딩부(114)가 형성된 제1몸체(110);
    상기 제1몸체(110)의 후방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제2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양측 내면의 하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가이드홈(112)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122)가 형성되며, 후방 양측 상부에는 돌출된 형태로 끼움구(123)가 형성된 제2몸체(120);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함께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레일홈(115)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131)이 형성되고, 내부 안쪽면 하부에는 상기 푸쉬스위치(113)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고정구(132)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안쪽면에는 고정구(132)를 중심으로 양쪽에 관통공(133)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제2몸체(120)의 끼움구(123)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의 끼움홈(134)이 형성되며, 센터콘솔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30);
    하단(141)은 상기 하우징(130)의 후방쪽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141)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상단(142)은 상기 관통공(133)을 통해 하우징(130)의 내부 에 위치하여 하우징(130) 내부로 수납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1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10)의 슬라이딩부(114) 끝단에 결합공(116)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6)에는 스톱퍼(117)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스톱퍼(117)에 의해 제1몸체(110)가 하우징(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120)의 제2끼움홈(121) 상부에 탄성부재(124)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KR1020060002771A 2006-01-10 2006-01-10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KR10066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71A KR100666569B1 (ko) 2006-01-10 2006-01-10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71A KR100666569B1 (ko) 2006-01-10 2006-01-10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569B1 true KR100666569B1 (ko) 2007-01-11

Family

ID=3786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771A KR100666569B1 (ko) 2006-01-10 2006-01-10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56B1 (ko) 2007-03-20 2008-01-15 강성식 음료용기의 냉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그리고 음료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US8789867B2 (en) 2011-11-03 2014-07-29 Hyundai Motors Company Cup holder of console box for vehicle
US10981484B2 (en) * 2019-07-25 2021-04-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llapsible cup hol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56B1 (ko) 2007-03-20 2008-01-15 강성식 음료용기의 냉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그리고 음료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US8789867B2 (en) 2011-11-03 2014-07-29 Hyundai Motors Company Cup holder of console box for vehicle
US10981484B2 (en) * 2019-07-25 2021-04-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llapsible cup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293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support systems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US8641120B2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RU2688402C2 (ru) Узел консоли (варианты) и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829054B2 (en) Sto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body movable one relative to the other
KR100666569B1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설치구조
JP200827989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2337593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ー
JP201421363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KR100350527B1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KR20000006725U (ko) 자동차용 트레이 장치
KR20200065845A (ko) 자동차용 컵홀더
CN220096206U (zh) 一种存放功能式车用扶手
JP2006015881A (ja) 移動式灰皿係止部構造
KR20020012729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00287080B1 (ko) 키보드 내장형 차량의 글로브 박스장치
JP3296225B2 (ja) 引き出し式収納装置
JP2005343374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24026944A (ja) 乗物用内装材
KR0140400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802771B1 (ko) 자동차용 워크인시트
JP2002321565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220049935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