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475B1 -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475B1
KR100666475B1 KR1020040057202A KR20040057202A KR100666475B1 KR 100666475 B1 KR100666475 B1 KR 100666475B1 KR 1020040057202 A KR1020040057202 A KR 1020040057202A KR 20040057202 A KR20040057202 A KR 20040057202A KR 100666475 B1 KR100666475 B1 KR 10066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vision ratio
frequency
prescaled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817A (ko
Inventor
후웨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475B1/ko
Priority to US11/185,205 priority patent/US7332945B2/en
Publication of KR2006000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64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 H03K23/66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 H03K23/667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by switching the base during a counting cycle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 분주 방법 개시된다.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주파수 분할부, 및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를 구비한다. 주파수 분할부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카운트 신호와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한다. 따라서,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는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 GHz로 동작하는 PLL 시스템에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 분주 방법{DIVIDER WITH HIGH SPEED DUAL MODULUS PRE-SCALER AND DIVID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PLL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주기를 구성하는 종래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주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주기 내에 있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어신호(SCON)가 "로우"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제어신호(SCON)가 "하이"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3의 분주기 내에 있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위상/주파수 검출기 200 : 차지펌프
300 : 루프필터 400 : VCO
500 : 분주기 520 :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521 : 주파수 분할부 526 :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
540 :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 560 : 제어회로
본 발명은 분주기(frequency divi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으로 동작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dual modulus pre-scaler)를 구비한 분주기 및 분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주 회로는 주파수 합성기 등에 이용된다. RF(Radio Frequency) 시스템에서, 주파수 합성기는 필요한 국부발진기 주파수(Local oscillator frequency)를 생성하여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주파수 합성기는 보통 위상동기루프 회로(Phase Lock Loop; 이하 PLL이라 칭함)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입력신호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PLL 회로는 현대 전자시스템의 기본 구성블록의 하나로 되어 왔다. PLL 회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주파수 검출기(phase/frequency detector)(100), 차지펌프(200), 루프필터(300),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칭함)(400), 및 분주기(frequency divider)(500)를 구비한다. 위상/주파수 검출기(100)는 기준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EED)사이의 위상차 또는 주파수차에 기초하여 업 신호(SUP) 및/또는 다운 신호(SDN)를 발생시킨다. 차지펌프(200)는 업 신호(SUP) 및/또는 다운 신호(SDN)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차지펌프(200)의 출력신호는 루프필터(300)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고 VCO(400)에 입력된다. VCO(400)는 입력전압(VLF)의 직류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분주기(500)는 고주파 VCO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저주파 피드백 신호(SFEED)를 발생시킨다. 피드백 신호(SFEED)는 위상/주파수 검출기(100)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PLL 회로는 락이 된 후에 VCO의 출력(SOUT)을 여러 응용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주기를 구성하는 종래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미국등록특허 6,696,857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D형 플립플롭들(12, 14), NMOS 트랜지스터들(MN1, MN2), PMOS 트랜지스터(MP1), 및 NAND 게이트(21)를 구비한다. 도 2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전압제어 오실레이터(미도시)의 출력신호(SOUT)를 입력신호로서 수신하고, 이 신호의 주파수를 4 또는 3으로 나누어 PLL 회로의 피드백 신호(SFEED)로서 출력한다. 입력신호(SOUT)는 D형 플립플롭들(12, 14) 각각의 클럭신호로 사용된다. NAND 게이트(21), NMOS 트랜지스터들(MN1, MN2), 및 PMOS 트랜지스터(MP1)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주파수 분할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모드 신호(MODE)가 "0"이면, NAND 게이트(21)의 출력신호가 "1" 상태가 되어 NMOS 트랜지스터(MN1)가 온되고 노드(B)가 "0" 상태로 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MN2)가 오프되고, 노드(C)는 풀다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D형 플립플롭들(12, 14)에 의해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4로 나누어 출력하게 된다. 모드 신호(MODE)가 "1"이고 D형 플립플롭(14)의 출력신호(SFEED)가 "1" 상태이면, NAND 게이트(21)의 출력신호는 "0" 상태가 되어 NMOS 트랜지스터(MN1)가 오프 되고 노드(B)가 "1" 상태로 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MN2)가 온 되어 노드(C)를 풀다운시킨다. 따라서, 도 2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D형 플립플롭들(12, 14)에 의해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3으로 나누어 출력하게 된다. PMOS 트랜지스터(MP1)는 D형 플립플롭(14)의 반전 출력신호가 "0" 상태일 때, 온 되어 노드(B)를 "1" 상태로 만들어 NMOS 트랜지스터(MN2)를 온 되게 한다.
도 2의 분주기에 있어서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보통 분주기 전체의 속도를 좌우한다. 도 2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주파수 분할비를 조절하기 위해, NAND 게이트(21), NMOS 트랜지스터들(MN1, MN2), 및 PMOS 트랜지스터(MP1)를 사용한다. D형 플립플롭(14)의 출력신호(SFEED)와 모드 신호(MODE)가 노드(C)에 도달할 때까지의 지연시간은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동작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NAND 게이트(21)에 의한 지연시간, NMOS 트랜지스터(MN1)에 의한 지연시간, 및 NMOS 트랜지스터(MN2)에 의한 지연시간 때문에 수 GHz로 고속동작하는 PLL 시스템에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동작하는 PLL 시스템에 적합한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프리스케일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의 분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주파수 분할부, 및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를 구비한다. 주파수 분할부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카운트 신호와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한다.
상기 주파수 분할부는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된 N 개의 D형 플립플롭들을 구비하고, 상기 D형 플립플롭들 중 마지막 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신호가 맨 처음 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서로 캐스코드 연결된 2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주기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 및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제어신호와 프리스케일된 신호의 제어하에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한다.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는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일정한 분할비로 나누어서 분주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회로는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수의 클럭 펄스가 발생한 후 상기 제어신호의 상태를 바꾼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링 방법은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카운트 신호와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주 방법은 제어신호와 프리스케일된 신호의 제어하에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일정한 분할비로 나누어서 분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수의 클럭 펄스가 발생한 후 상기 제어신호의 상태를 바꾸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주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주기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dual-modulus pre-scaler)(520),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fixed division ratio scaler)(540), 및 제어회로(560)를 구비한다.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는 VCO 출력신호(SOUT)를 수신하고 제어신호(SCON)와 프리스케일된 신호(PDIV)의 제어하에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를 2N 또는 2N - 1의 분할비로 나눈다.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540)는 프리스케일된 신호(PDIV)를 수신하고 이 신호의 주파수를 일정한 값의 분할비(M)로 나누고 피드백 신호(SFEED)를 출력한다. 제어회로(560)는 프리스케일된 신호(PDIV)를 수신하고 이 신호의 상승 에지의 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제어회로(560)는 카운트된 클럭 펄스의 수가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제어신호(SCON)를 "하이" 상태로 만들어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에 제공한다. 제어회로(560)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분할비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며, 카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신호(SCON)가 "로우" 상태이면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분할비는 2N이 되고, 제어신호(SCON)가 "하이" 상태이면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분할비는 2N-1이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주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PLL 회로의 출력신호, 즉 VCO 출력신호(SOUT)는 분주기(500)를 통해 주파수가 분할된다.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는 제어신호(SCON)가 "로우" 상태이면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로 나누고, 제어신호(SCON)가 "하이" 상태이면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를 2N -1의 분할비로 나눈다. 1/(2N) 또는 1/(2N-1)로 프리스케일된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는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540)에 의해 일정한 분할비(M)로 스케일된다.
도 4는 도 3의 분주기 내에 있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는 주파 수 분할부(521)와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526)를 구비한다. 주파수 분할부(521)는 D형 플립플롭들(522~525)을 구비한다. 도 4의 예에서 주파수 분할부(521)는 4 개의 D형 플립플롭들(522~525)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N(N≥2인 자연수) 개의 D형 플립플롭들로 구성될 수 있다. D형 플립플롭들(522~525) 각각의 클락 단자(CK)에는 VCO 출력신호(SOUT)가 인가된다.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는 제 2 D형 플립플롭(523)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고, 제 2 D형 플립플롭(523)의 출력신호(DO2)는 제 3 D형 플립플롭(524)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고, 제 3 D형 플립플롭(524)의 출력신호(DO3)는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입력단자(D)에 인가된다.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출력단자(Q)에서 주파수 분할부(521)의 출력신호(PDIV)가 나오고,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반전 출력단자(QB)의 신호는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입력단자(D)에 피드백된다.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526)는 서로 캐스코드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들(MN3, MN4)을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MN3)는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단자(Q)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어신호(SCON)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4)는 NMOS 트랜지스터(MN3)의 소스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출력단자(Q)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전압(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도 5는 제어신호(SCON)가 "0"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제어신호(SCON)가 "1"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신호(SCON)가 "0"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신호(SCON)가 "0" 이면, NMOS 트랜지스터(MN3)는 오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D형 플립플롭들(522~525)로 구성된 주파수 분할부(521)를 구비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출력신호(PDIV= DO4)의 주파수는 도 5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8이 된다. N 개의 D형 플립플롭들로 구성된 주파수 분할부를 구비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2N)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는 클럭단자(CK)에 인가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1" 상태로 천이된다. 이 "1"인 상태가 VCO 출력신호(SOUT)의 4 주기동안 계속되다가,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0" 상태로 천이된다. 그리고, 이 "0"인 상태가 VCO 출력신호(SOUT)의 4 주기동안 계속되다가,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1" 상태로 천이된다.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가 천이한 다음, VCO 출력신호(SOUT)의 1 주기만큼 시간이 지난 뒤에, 제 2 D형 플립플롭(523)의 출력신호(DO2)가 천이한다. 결국,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출력신호(DO4)의 주기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기의 8 배 된다. 즉,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의 주파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8 배 된다.
제어신호(SCON)가 "1" 상태일 때,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동 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신호(SCON)가 "1" 이면, NMOS 트랜지스터(MN3)는 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D형 플립플롭들(522~525)로 구성된 주파수 분할부(521)를 구비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 DO4)의 주파수는 도 6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7이 된다. N 개의 D형 플립플롭들로 구성된 주파수 분할부를 구비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경우, 출력신호(PDIV)의 주파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2N-1)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는 클럭단자(CK)에 인가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1" 상태로 천이된다. 이 "1"인 상태가 VCO 출력신호(SOUT)의 3 주기동안 계속되다가,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0" 상태로 천이된다. 이와 같이,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는 제어신호(SCON)가 "0"일 때와는 "0"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이 다르다. 그리고, 이 "0"인 상태가 VCO 출력신호(SOUT)의 4 주기동안 계속되다가, VCO 출력신호(SOUT)의 상승 에지에서 "1" 상태로 천이된다.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신호(DO1)가 천이한 다음, VCO 출력신호(SOUT)의 1 주기만큼 시간이 지난 뒤에, 제 2 D형 플립플롭(523)의 출력신호(DO2)가 천이한다. 결국,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출력신호(DO4)의 주기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기의 7 배 된다. 즉,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의 주파수는 VCO 출력신호(SOUT)의 주파수의 1/7 배 된다.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526)에서, NMOS 트랜지스터(MN3)의 게이트에는 제어신호(SCON)가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MN4) 의 게이트에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가 인가된다. 그러나, NMOS 트랜지스터(MN4)의 게이트에 제어신호(SCON)를 인가하고, NMOS 트랜지스터(MN3)의 게이트에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520)의 출력신호(PDIV)를 인가해도 된다.
도 7은 도 3의 분주 회로 내에 있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526)가 P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도 4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와 다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526)는 서로 캐스코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들(MP3, MP4)을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MP4)는 제 1 D형 플립플롭(522)의 출력단자(Q)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어신호(SCON)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MP3)는 PMOS 트랜지스터(MP3)의 소스에 연결된 드레인과 제 4 D형 플립플롭(525)의 출력단자(Q)에 연결된 게이트와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제어신호(SCON)가 "0" 이면, PMOS 트랜지스터(MP4)는 온되고, 제어신호(SCON)가 "1" 이면, PMOS 트랜지스터(MP4)는 오프된다.
도 7의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의 동작은 도 4의 회로의 동작과 매우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는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 GHz로 동작하는 PLL 시스템에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24)

  1.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분할부; 및
    카운트 신호와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하는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전압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할부는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된 N(N≥2인 자연수) 개의 D형 플립플롭들을 구비하고,
    상기 D형 플립플롭들 중 마지막 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신호가 맨 처음 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D형 플립플롭들 각각의 클럭단자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5. 제 1 항에 있어, 상기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서로 캐스코드 연결된 2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카운트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카운트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8.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카운트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카운트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신호는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11. 제어신호와 프리스케일된 신호의 제어하에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일정한 분할비로 나누어서 분주된 신호를 출력하는 고정 분할비 스케일러; 및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수의 클럭 펄스가 발생한 후 상기 제어신호의 상태를 바꾸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카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분할부; 및
    제어신호와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논리곱(AND)하고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하는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전압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할부는
    서로 캐스케이드 연결된 N(N≥2인 자연수) 개의 D형 플립플롭들을 구비하고,
    상기 D형 플립플롭들 중 마지막 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신호가 맨 처음 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D형 플립플롭들 각각의 클럭단자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7. 제 11 항에 있어, 상기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서로 캐스코드 연결된 2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21. 제 1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비 조절부는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맨 처음 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과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와 전원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기.
  22.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카운트 신호와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분할부의 분할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링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전압제어 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링 방법.
  24. 제어신호와 프리스케일된 신호의 제어하에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N(N≥2인 자연수)의 분할비 또는 2N-1의 분할비로 나누어서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일정한 분할비로 나누어서 분주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스케일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수의 클럭 펄스가 발생한 후 상기 제어신호의 상태를 바꾸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주 방법.
KR1020040057202A 2004-07-22 2004-07-22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KR10066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202A KR100666475B1 (ko) 2004-07-22 2004-07-22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US11/185,205 US7332945B2 (en) 2004-07-22 2005-07-19 Divider having dual modulus pre-scaler and an associate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202A KR100666475B1 (ko) 2004-07-22 2004-07-22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817A KR20060007817A (ko) 2006-01-26
KR100666475B1 true KR100666475B1 (ko) 2007-01-09

Family

ID=3565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202A KR100666475B1 (ko) 2004-07-22 2004-07-22 고속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를 구비한 분주기 및분주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32945B2 (ko)
KR (1) KR100666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517B1 (ko) * 2005-12-1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운팅 값을 유지한 후 출력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를 구비하는 위상 고정 루프
WO2007109743A2 (en) * 2006-03-21 2007-09-27 Multigig Inc. Frequency divider
KR100891225B1 (ko) * 2006-12-21 2009-04-0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용 위상고정루프의 분주회로
CN100594679C (zh) * 2007-05-24 2010-03-17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双模分频器
KR100905841B1 (ko) * 2007-06-27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파수 분주기 및 그를 이용하는 주파수 합성기
KR100908041B1 (ko) * 2007-07-16 2009-07-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통신시스템의 신호 발생장치
DE602007008594D1 (de) * 2007-12-11 2010-09-30 Swatch Group Res & Dev Ltd Zähler-Verteiler-Schaltung mit Doppelmodus für Hochfrequenzbetrieb
US9438257B1 (en) * 2015-07-02 2016-09-06 Aura Semiconductor Pvt. Ltd Programmable frequency divider providing output with reduced duty-cycle variations over a range of divide ratios
CN106100637B (zh) * 2016-06-14 2018-10-30 东南大学 一种计数器直接控制相位切换的多模可编程分频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068A (en) * 1977-11-14 1980-01-15 Harris Corporation Full binary programmed frequency divider
JPS5718129A (en) * 1980-07-07 1982-01-29 Nec Corp Pulse swallow frequency divider
EP0101896B1 (en) * 1982-07-30 1988-05-18 Kabushiki Kaisha Toshiba Mos logic circuit
US4991187A (en) 1989-07-21 1991-02-05 Motorola, Inc. High speed prescaler
JPH04151912A (ja) 1990-10-16 1992-05-25 Oki Electric Ind Co Ltd 分周回路
US5572168A (en) * 1995-08-09 1996-11-05 Lucent Technologies Inc. Frequency synthesizer having dual phase locked loops
US5783846A (en) * 1995-09-22 1998-07-2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circuit with transistor geometry and channel stops providing camouflage against reverse engineering
JP3468964B2 (ja) * 1996-01-29 2003-11-25 富士通株式会社 Pll周波数シンセサイザ回路、比較分周器、及び、スワロウカウンタ
JP2988373B2 (ja) * 1996-05-13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6094466A (en) * 1997-01-10 2000-07-25 National Science Council High-frequency CMOS dual/multi modulus prescaler
US5889416A (en) * 1997-10-27 1999-03-3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ymmetrical nand gates
KR100329590B1 (ko) 2000-05-25 2002-03-21 대표이사 서승모 고주파 주파수합성기용 듀얼 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US7142400B1 (en) * 2002-03-27 2006-11-28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from power supply transient stress conditions
US6614870B1 (en) * 2002-07-31 2003-09-02 Agilent Technologies, Inc. Multi-modulus prescaler with synchronous output
KR100492690B1 (ko) * 2002-11-04 2005-06-0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프리스케일러를 포함하는 위상 제어 루프 회로
US6696857B1 (en) * 2003-01-07 2004-02-24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High speed CMOS dual modulus prescaler using pull down transistor
US6952121B1 (en) * 2003-11-20 2005-10-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rescaling for dividing fast pulsed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817A (ko) 2006-01-26
US7332945B2 (en) 2008-02-19
US20060017473A1 (en)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934B1 (ko) 위상차 검출회로
KR100806117B1 (ko) 전압제어 발진기, 이를 구비한 위상동기루프 회로, 및위상동기루프 회로의 제어방법
US7495488B2 (en) Phase-locked loop circuit, delay-locked loop circuit and method of tuning output frequencies of the same
US7053666B2 (en) Phase frequency detector
US7332945B2 (en) Divider having dual modulus pre-scaler and an associated method
JP2011188077A (ja) 位相同期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283808A (ja) クロックのデューティ・サイクルの自動制御
US5614869A (en) High speed divider for phase-locked loops
US7248665B2 (en) Prescaler
US9374038B2 (en) Phase frequency detector circuit
WO2016061781A1 (en) Phase locked loop with sub-harmonic locking prevention functionality
KR20100094859A (ko) 비대칭 전하 펌프 및 그것을 포함한 위상 동기 루프
US20050265505A1 (en) Digital phase-locked loop
WO2004095705A1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JP2008060895A (ja) 位相同期回路
US7132863B2 (en) Digital clock frequency doubler
US8068576B2 (en) Counters and exemplary applications
KR100806585B1 (ko) 위상고정 주파수 합성회로 및 방법
US7834666B2 (en) Voltage divider having varied output levels depending on frequency and PLL including the same
CN113676177A (zh) 鉴频鉴相器、电荷泵和锁相环电路
CN111786668B (zh) 一种双模预分频器
CN212258936U (zh) 鉴频鉴相器、电荷泵和锁相环电路
CN108462489B (zh) 一种锁相环启动电路
US7643580B2 (en) Signal generator circuit having multiple output frequencies
Du et al. An anti-harmonic locking, dll frequency multiplier with low phase noise and reduced sp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