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700B1 -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700B1
KR100665700B1 KR1020050054018A KR20050054018A KR100665700B1 KR 100665700 B1 KR100665700 B1 KR 100665700B1 KR 1020050054018 A KR1020050054018 A KR 1020050054018A KR 20050054018 A KR20050054018 A KR 20050054018A KR 100665700 B1 KR100665700 B1 KR 10066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eight
organic
thicknes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382A (ko
Inventor
김태환
추동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7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Abstract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을 동시에 증착하되, 증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를 조절하여 제조되는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엑시톤의 형성영역이 다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엑시톤 형성효율이 증가하고 내부양자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 제조시 유기물의 공급을 중지하지 않고 속도만을 조절하여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제조함으로써 다층 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나타나는 계면영역확산과 계면트랩준위에 의한 전자 및 정공주입 방해문제를 해결하여 고효율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 점진 유기물 혼합층, 단일층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도 1은 종래의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깊이에 따른 유기물 증착속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깊이에 따른 유기물 비율.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깊이에 따른 유기물 증착속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깊이에 따른 유기물 비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200: 양극
300: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
400: 음극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물질과 정공전달물질및 전자전달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표시소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평면표시소자 중 하나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ITO와 같은 투명전극인 양극과 일함수가 낮은 금속(Ca, Li, Al : Li, Mg : Ag 등)을 사용한 음극 사이에 유기 박막층이 있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순방향의 전압을 가하면 양극과 음극에서 각각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radiative recombination)을 하게 되는데 이를 전기발광 현상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박막층의 재료는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저분자 물질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하고, 고분자 물질은 스핀 코팅 방법으로 기판 상에 박막을 형성하며, 낮은 전압에서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해 유기 박막층의 두께는 약 1000Å 정도로 매우 얇게 제작하는데, 박막이 균일하며 핀 홀(pin hole)과 같은 결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유기 박막층은 일반적으로 여러 유기물질의 다층 구조를 주로 사용한다.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다층 박막 구조로 제작하는 이유는 유기 물질의 경우 정공과 전자의 이동도가 크게 차이가 나므로 정공 전달층(HTL)과 전자 전달층(ETL)을 별도로 사용하면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EML)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엑시톤이 주로 유기 발광층과 정공 전달층의 계면 부근에 형성되어 확산하면서 발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Alq3로 구성된 발광층과 TPD로 구성된 정공전달층 사이에 Alq3와 TPD의 균일 혼합물층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유기 EL의 양자효율을 더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T. Mori et al. J. Phys. D: Appl. Phys. 32, L65(1999)). 또한, 더 나아가 Alq3로 구성된 발광층과 NPB로 구성된 정공전달층 사이에 Alq3와 NPB의 계단형 점진 혼합물층을 더 포함시키면 균일 혼합물층을 포함시킨 것보다 양자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도 있다(D. Ma et al. Appl. Phys. Lett. 80, 3641(2002)).
그러나 상기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은 모두 발광층과 정공전달층을 그대로 포함한 채 그 계면에 혼합물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다층구조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구조에서는 계면이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계면에서는 계면영역확산과 계면트랩준위가 전자 및 정공의 주입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물 단일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엑시톤의 형성영역이 다층구조를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계면이 존재하지 않으며 엑시톤 형성 효율 및 내부양자효율이 개선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층, 전자전달층, 정공전달층 등이 별도로 구성된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아닌 단일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는 단일층으로 구성되고 양자효율이 높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1), 제 1전극(2), 정공 주입층(3), 정공 전달층(4), 유기 발광층(5), 전자 전달층(6), 전자 주입층(7) 및 제 2전극(8)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전극(cathode)(8)은 작은 일함수를 갖는 금속인 Ca, Mg, Al 등이 쓰이고, 이는 상기 전극(8)과 유기 발광층(5) 사이에 형성되는 장벽(barrier)을 낮춤으로써 전자 주입에 있어 높은 전류 밀도(current density)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소자의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전극(anode)(2)은 정공 주입을 위한 전극으로 일함수가 높고 발광된 빛이 소자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투명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공 주입 전극으로는 ITO(indium tin oxide)로써, 두께는 약 100nm정도 이다.
또한, 유기 발광층(5)은 상기 제 1, 2전극(2, 8)에서 각기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형성된 엑시톤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이 발광되는 층으로, 재료로 Alq3, DPVBi 등의 저분자 유기물질들이 쓰인다.
또한, 정공 주입층(3) 및 정공 전달층(4), 전자 전달층(6) 및 전자 주입층(7)은 각각 정공 및 전자의 이동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각 제 1전극(2)과 유기 발광층(5) 사이 및 제 2전극(8)과 유기 발광층(5) 사이에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각 층들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 물질로 이루어 지며 상기 수송층의 조합을 통해 양자효율을 높이고,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들이 직접 주입되지 않고 수송층 통과의 2단계 주입과정을 통해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5)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 발광층(5)을 거쳐 반대편 전극으로 이동시 반대편 수송층에 막힘으로써 재결합 조절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발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층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엑시톤은 발광층과 정 공전달층의 계면부근에 형성되어 확산하면서 발광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면에서 존재하는 트랩 때문에 전자 및 정공의 주입 효율이 감소하고 이로인해 엑시톤의 형성 확률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내부양자효율을 증진하는데 중대한 변수로 작용하는 엑시톤 형성 확률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이 두께별로 다른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공 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 물질을 동시에 증착하되 증착이 진행됨에 따라 증착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 제조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공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에서 음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감소하며, 상기 발광물질의 증착속도는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40 내지 6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한다.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별 구간에 따른 혼합비는 바람직하게는 양극에서 음극방향으로 두께 20%이하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이고,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이고, 두께 20 내지 40%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 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다. 그리고 두께 40 내지 60%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60 내지 80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두께 60 내지 80%구간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중량%,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다. 80%이상의 두께에서는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이고,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진 혼합 유기물 혼합층은 상기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 외에 정공차단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 물질의 증착속도를 조절하여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40 내지 6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정공차단물질의 증착속도는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 30 내지 50%구간에서 시작하여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70 내지 8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되,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증가하고, 상기 정공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 외에 정공차단물질을 더 포함하는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 구간에 따른 혼합비는 바람직하게는 양극에서 음극방향으로 두께 20%이하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이고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이고, 두께 20 내지 40%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두께 40 내지 60%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5 내지 1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55 내지 85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5 내지 15중량%,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5 내지 15중량%이고, 두께 60 내지 80%구간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1 내지 2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11 내지 25중량%,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 내지 10중량%,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40 내지 75중량%이고, 80%이상의 두께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50 내지 80중량%,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2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공차단물질은 두께 40%이전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는 100 내지 1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가 100nm 이하이고 전극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동일한 경우 유기발광이 되는 동안 전자와 홀의 주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주울열로 인해 발생되는 암점(dark spot)에 의해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이 더욱 단축되게 되며 150nm 이상의 두께인 경우 발광을 위해 넘어야할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10V 정도의 구동전압에서 안정적인 수명을 유기하기 위해 유기물층의 두께는 100 내지 150nm 의 두께로 성장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분자 유기발광소자에서 형광 또는 인광성 발광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에 적용되므로 정공전달물질로는 TPD 또는 NPB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형광발광소자인 경우는 발광물질로 Alq3, DPVBi 등 또는 Alq3, DPVBi 등을 호스트 물질로 하여 DCM2, Ruburene 등의 게스트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광발광소자인 경우는 Alq3 또는 CBP 의 호스트 물질에 PtOEP, Ir(ppy)3 등의 인광성 게스트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광성 발광소자인 경우 정공차단물질로 BCP 를 사용하는 것이 분자의 에너지 준위를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전달물질로는 전자의 이동률이 가장 좋은 Alq3 를 사용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유리 기판 상부에 30Ω/□ 의 면저항을 갖는 ITO(Indium-tin Oxide)를 증착한다. 상기 ITO가 증착된 유리기판을 진공도 10-7 Torr 인 유기분자증착기에 장착하고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을 동시에 증착한다. 증착하는 동안 유기물층의 두께에 따라 각 물질의 증착속도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절한다. 유기물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증착초기의 증착속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정공전달물질은 유기물 증착 초기에 가장 높은 증착속도를 나타내며 증착두께가 증가할수록 증착속도가 감소한다. 발광물질은 증착초기에 증착속도를 정지속도에서 점차 증가 시켜 유기물층 전체 두께의 50% 근방에서 최대의 증착속도를 가지고 이후 증착속도를 점차 감소시켜 증착한다. 마지막으로 전자전달물질은 정공전찰물질의 증착조절방법과 반대로 증착초기에 증착속도 0에서 점차 증착속도를 증가시켜 유기물증착이 끝나는 시점에서 최대의 증착속도를 갖도록 조절한다. 유기물 단일층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150nm가 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유기물층 두께에 따른 유기물 비율을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위에 음극전극으로 Mg:Ag 또는 LiF/Al층을 증착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구조는 도 6과 같다.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계면이 없어 내부양자효율이 증가하여 휘도가 높다.
실시예 2
유리 기판 상부에 30Ω/□ 의 면저항을 갖는 ITO(Indium-tin Oxide)를 증착한다. 상기 ITO가 증착된 유리기판을 진공도 10-7Torr 인 유기분자증착기에 장착하고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정공차단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을 동시에 증착한다. 증착하는 동안 유기물층의 두께에 따라 각 물질의 증착속도를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절한다. 유기물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증착초기의 증착속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정공전달물질은 유기물 증착 초기에 가장 높은 증착속도를 나타내며 유기물층의 증착두께가 증가할수록 증착속도가 감소한다. 발광물질은 증착초기에 증착속도를 정지속도에서 점차 증가시켜 유기물층 전체 두께의 50% 근방에서 최대의 증착속도를 가지고 이후 증착속도를 점차 감소시켜 증착한다. 정공차단물질도 발광물질과 동일한 방법으로 증착하지만 두께의 70% 근방에서 최대의 증착속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전자전달물질은 정공전달물질의 증착조절방법과 반대로 증착초기에 증착속도 0에서 점차 증착속도를 증가시켜 유기물증착이 끝나는 시점에서 최대의 증착속도를 갖도록 조절한다. 유기물 단일층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150nm가 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의 유기물층 두께에 따른 유기물 비율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위에 음극전극으로 Mg:Ag 또는 Al층을 증착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단일층으로 제조되어 계면이 없고 계단식 혼합이 아닌 점진혼합이므로 내부양자효율이 증가하여 휘도가 높다.
본 발명은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으로 구성된 고효율 단일층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사용하여 종래의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발광소자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효율저하의 요인을 제거하여 고효율 발광이 가능한 단일층을 갖는 새로운 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단일층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소자는 다층구조의 계면영역에서 발생하는 트랩현상으로 인해 전자 및 정공의 주입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입효율이 높다. 또한 엑시톤의 형성지역이 넓어져 내부양자효율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정보 전자 통신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1.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을 동시에 증착하되, 증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정공전달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를 조절하여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은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정공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감소하며,
    상기 발광물질의 증착속도는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40 내지 6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은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으로 두께 20%이하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이고,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전자전 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이고, 두께 20 내지 40%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두께 40 내지 60%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60 내지 80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두께 60 내지 80%구간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중량%,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80%이상의 두께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이고,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4. 정공전달물질, 정공차단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을 동시에 증착하되, 증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정공전달물질, 정공차단물질, 발광물질 및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를 조절하여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의 증착속도는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40 내지 6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정공차단물질의 증착속도는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 30 내지 50%구간에서 시작하여 두께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그 최대치가 70 내지 80%의 두께가 되었을 때 발생하되,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의 상기 유기물 단일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전자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증가하고, 상기 정공전달물질의 증착속도는 감소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은 양극전극에서 음극전극방향으로 두께 20%이하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80중량%이상,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이고, 두께 20 내지 40% 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5 내지 4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35 내지 55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0 내지 20중량%이고, 두께 40 내지 60%구간에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5 내지 1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55 내지 85중량%,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5 내지 15중량%,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5 내지 15중량%이고, 두께 60 내지 80%구간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11 내지 25중량%, 상기 발광물질이 11 내지 25중량%,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3 내지 10중량%,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40 내지 75중량%이고, 80%이상의 두께에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이 50 내지 80중량%, 상기 발광물질 및 상기 정공전달물질이 각각 10중량%이하, 상기 정공차단물질이 20 내지 30중량%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전달물질은 TPD 또는 NPB를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Alq3, DPVBi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호스트 물질로 하여 DCM2, Ruburene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게스트 물질로 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물질은 Alq3 를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차단물질은 BCP를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극전극, 음극전극 및 점진 혼합 유기물 단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050054018A 2005-06-22 2005-06-22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6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18A KR100665700B1 (ko) 2005-06-22 2005-06-22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18A KR100665700B1 (ko) 2005-06-22 2005-06-22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82A KR20060134382A (ko) 2006-12-28
KR100665700B1 true KR100665700B1 (ko) 2007-01-09

Family

ID=3781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018A KR100665700B1 (ko) 2005-06-22 2005-06-22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790B1 (ko) 2011-06-30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82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5714B2 (ja) 有機層を持つ発光素子
TWI389596B (zh) 有機電致發光元件及其製備方法
JP4024754B2 (ja) 有機層を有する発光素子
TWI406440B (zh) 具多數彼此堆疊有機電激發光單元之有機發光裝置
JP4625911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oled)
KR1018464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06018119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multilayer cathode
KR20020092977A (ko) 고효율의 투명한 유기 발광소자
WO201107463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11996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TWI453967B (zh) 包含透明導電氧化物層作為陰極之有機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73207B1 (ko) 금속 산화물이 함유된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JP4615083B2 (ja) 二重絶縁層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777099B1 (ko) 고효율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19809B1 (ko) 인버티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10047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093671A6 (ja) 二重絶縁層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WO2010128426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88814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e et 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performance improvement by inserting thin parylene layer
KR10066570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N107968153B (zh) 一种oled器件及制备方法
WO2019104848A1 (zh) 具有空穴传输功能的阳极及有机发光显示器件
KR100542996B1 (ko) 투명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TW200423813A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ntaining fullerene as a hole-injection modification layer or hole-transport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